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012. 1.. 목 차 과업의 개요 1 2 현황조사 및 분석 3 환경비전 및 지표설정 4 분야별 기본계획 5 기타분야별 기본계획 6 사업추진계획.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012. 1.. 목 차 과업의 개요 1 2 현황조사 및 분석 3 환경비전 및 지표설정 4 분야별 기본계획 5 기타분야별 기본계획 6 사업추진계획."—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2. 1.

2 목 차 과업의 개요 1 2 현황조사 및 분석 3 환경비전 및 지표설정 4 분야별 기본계획 5 기타분야별 기본계획 6 사업추진계획

3 01_ 과업의 배경 및 목적 02_ 과업의 범위 1_ 과업의 개요

4 4 안산시의 지속적인 발전 도모 및 쾌적한 주거환경과 생태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계획 수립 환경정책기본법에 의거 2004 년 수립된 1 차 안산시 환경보전 종합계획 수정 보완 필요 환경문제 해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자연친화적인 안산시의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안산시의 바람직한 환경비전을 제시하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환경보전계획 마련 실천 가능한 분야별 환경기본계획 수립 및 투자계획 수립 과업 배경 과업 목적 녹색생태도시 안산의 이미지를 부각하고 지속가능한 친환경녹색 도시로서의 안산시 미래상 제시 필요 1. 과업의 개요

5 5 시간적 범위 계 획 기 간 : 2011 ∼ 2020(10 년 ) 내용적 범위 안산시 환경여건 및 환경질의 변화와 전망 관련계획의 검토와 종합분석 환경비전 및 환경보전 목표와 지표 설정 계획의 목표달성을 위한 부문별 계획 수립 주민환경의식 조사 · 분석 공간적 범위 안산시 행정구역 전지역 및 그 영향권 지역 1. 과업의 개요

6 01_ 지역적 여건 분석 02_ 상위 및 관련계획 검토 03_ 환경의식 설문조사 2_ 현황조사 및 분석

7 7 2. 현황조사 및 분석 경기도 안산시 ( 경기도 행정구역 )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 행정구역 : 2 개구 25 개 행정동 (30 개 법정동 ) 총면적 : 148.75 km 2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대부동 (42.37km 2 ) 이 있는 단원구가 상록구에 비해 면적이 넓음 남단과 북단 : 인천광역시와 시흥시에 접해있음 동단과 남단 : 수원시와 충남 당진군, 화성시의 서해도서와 접해 있음 서해안고속도, 영동고속도로 등 광역 교통망이 잘 연결된 서해안 개발지역의 중심 거점도시 수도권 최대의 산업단지인 반월 · 시화국가산단 ( 스마트허브 ) 이위치한 계획화된 도시이며, 수도권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시화호 유역의 다양한 생태계를 보유한 전원도시

8 8 2. 현황조사 및 분석 총인구 : 753,862 명 (2010 년말 기준 ) 인구증가율 : 2.7%( 지난 10 년간 ) 2000 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과거 10 년간 외국인 인구 증가율이 한국인 인구 증가율보다 약 10 배 정도 크게 증가 자료 : 안산통계연보 (2011) 2002200320042005200620072008 575,574 637,660 2010 세대당 인구수 : 2.62 명 / 세대 인구밀도 : 5,068 명 /km 2 753,862 20012000 598,560 671,687 686,873 697,239 723,075 734,713 739,493 2009 741,073

9 9 2. 현황조사 및 분석 국가환경종합계획(’06~’15)국가환경종합계획(’06~’15) 제 4 차 국토종합계획 ( 수정 ) (’06~’20) 제 4 차 국토종합계획 ( 수정 ) (’06~’20) 경기도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경기도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2020 안산비전 (2009) (2009) 제 4 차 환경보전 중기종합계획 (’08~’17) (’08~’17) 2020 안산시 공원녹지 기본계획 (2011) 2020 안산도시기본계획 (2008)

10 10 2. 현황조사 및 분석 안산시에 거주하는 전체 시민을 모집단으로 하여, 502 명 표본추출 조사목적 조사대상 환경에 대한 안산 시민들의 의식과 당면 현안과제를 파악하여 환경보전계획 수립에 반영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함 빈도분석과 인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집단간 변이분석 (t-test, ANOVA) 을 실시함. 또한 각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함 조사내용 분석방법 안산시의 일반적인 환경여건에 대한 인식 안산시의 현재 및 장래 이미지에 대한 의식 환경문제에 대한 시민의 관심ㆍ지식 안산시 환경오염의 정도 및 원인에 대한 시민의 의식 안산시 환경행정서비스에 대한 시민의 평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과제 수환경, 대기환경, 기후변화대응 등 각 세부분야별 환경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 동별, 계층별, 남녀비율 등에 따른 층화추출법에 의해 실시

11 11 2. 현황조사 및 분석 안산시의 도시 이미지 안산시 현재 이미지 안산시 환경비전의 방향(미래 이미지)

12 12 2. 현황조사 및 분석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보통 193 (38.4%) 98 (19.5%) 관심있음 186 (37.1%) 22 (4.4%) 3 (0.6%) 환경문제에 대한 시민의 관심도 전혀 관심 없음 별로 관심 없음 보통 매우 관심 있음 관심 있음 구 분구 분응답 수 ( 개, %) 순 위순 위 전혀 관심 없음 3(0.6)5 별로 관심 없음 98(19.5)3 보통 193(38.4)1 관심 있음 186(37.1)2 매우 관심 있음 22(4.4)4 계 502(100.0)- 환경문제에 대한 안산시민의 관심

13 13 2. 현황조사 및 분석 환경운동 실천여부 항 목항 목 응답 수 ( 개, %) 평균값 (Mean) 전혀 실천 하지 않음 대체로 실천안함 보통 대체로 실천적극 실천 계 1. 쓰레기 분리수거 1. 쓰레기 분리수거3(0.6)14(2.8)97(19.4)238(47.6)148(29.6)500(100.0)4.03 2. 일회용품 안 쓰기 ( 젓가락, 컵 등 ) 7 (1.4) 89 (17.8) 243 (48.6) 150 (30.0) 11 (2.2) 500 (100.0) 3.14 3.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35 (7.0) 95 (19.0) 155 (31.0) 158 (31.6) 57 (11.4) 500 (100.0) 3.21 4. 세탁 · 설거지 · 목욕시 저공해 세제 이용 46 (9.2) 149 (29.9) 216 (43.3) 79 (15.8) 9 (1.8) 499 (100.0) 2.71 5.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승용차 이용 절제 15 (3.0) 128 (25.6) 283 (56.6) 59 (11.8) 15 (3.0) 500 (100.0) 2.86 6. 에너지 절약 ( 모니터 끄기, 냉난방기절전 등 ) 3 (0.6) 35 (7.0) 159 (31.9) 209 (41.9) 93 (18.6) 499 (100.0) 3.71 7. 재생제품 사용 및 자원재활용 41 (8.2) 128 (25.7) 271 (54.3) 47 (9.4) 12 (2.4) 499 (100.0) 2.72 8. 환경무해제품 ( 친환경상품 ) 사용하기 8. 환경무해제품 ( 친환경상품 ) 사용하기42(8.4)151(30.3)231(46.4)65(13.1)9(1.8)498(100.0)2.69 9. 등산 · 야유회 시 자연환경 훼손방지 9. 등산 · 야유회 시 자연환경 훼손방지0(0.0)10(2.0)51(10.2)321(64.5)116(23.3)498(100.0)4.09 10. 물 아껴 쓰기 ( 샤워, 세수시 절수 ) 2 (0.4) 43 (8.7) 179 (36.0) 152 (30.6) 121 (24.3) 497 (100.0) 3.70

14 14 2. 현황조사 및 분석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보통 224 (44.6%) 2(0.4%) 대체로 심각함 219 (43.6%) 6(1.2%) 51 (10.2%) 환경오염수준에 대한 인식 전혀 심각하지 않음 심각하지 않음 보통 매우 심각함 대체로 심각함 안산시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

15 15 2. 현황조사 및 분석 수환경 분야에 대한 인식 나쁨 191 (37.8%) 9(1.8%) 보통 259 (51.3%) 43 (8.6%) 3(0.6%) 아주 나쁨나쁨보통 좋음아주 좋음 생활하수축산폐수위락시설오수 농업활동공장폐수 기타 생활하수 123 (24.6%) 공장폐수 303 (60.7%) 2(0.4%) 41 (8.2%) 26 (5.2%) 4(0.8%) 하천수질에 대한 인식 수질악화의원인

16 16 2. 현황조사 및 분석 대기환경 분야에 대한 인식 매우 악화됨어느 정도 악화됨보통 양호함 도로교통건설현장철도교통 공장 기타 대기환경에 대한 인식 소음진동 원인 어느 정도 악화됨 16 8(33.5%) 보통 200 (39.8%) 77 (15.3%) 57 (11.4%) 56 (11.2%) 도로교통 317(63.3%) 공장 95(19.0%) 22(4.4%) 11(2.2%)

17 17 2. 현황조사 및 분석 폐기물 분야에 대한 인식 매우 불만족불만족보통 만족매우 만족 쓰레기 처리 만족도 항 목항 목응답 수 ( 개, %) 순 위순 위 완벽한 수거체계 마련 138(27.7)2 분리수거용기 확충 80(16.0)4 분리수거 횟수 확대 81(16.2)3 수거방법 홍보 및 보상 확대 194(38.9)1 기타 6(1.2)5 계 499(100.0)- 보통 335(66.7%) 불만족 85(16.9%) 만족 69(13.7%) 5(1.0%) 8(1.6%) 효율적인 쓰레기 수거를 위한 개선사항

18 18 2. 현황조사 및 분석 토양환경 분야에 대한 인식 토양오염에 대한 인식도 매우 오염됨어느 정도 오염됨 보통양호매우 양호 보통 251(50.1%) 어느정도 오염됨 148(29.5%) 82 (16.4%) 2(0.4%) 18(3.6%) 항 목항 목응답 수 ( 개, %) 순 위순 위 주유소 등 오염유발 시설물 116(23.2)2 가축분뇨 7(1.4)6 화학비료, 농약사용 등 94(18.8)3 생활오수224(44.7)1 가정쓰레기 51(10.2)4 기타 9(1.8)5 계 501(100.0)- 토양오염의 원인

19 19 2. 현황조사 및 분석 자연환경 분야에 대한 인식 녹지훼손공원 등부족녹지공간 부족 생물다양성 감소산림피해 기타 공원확대개발제한구역 보존노후공원 재정비 주변산림활용생물서식지 보존 기타 자연환경의심각성중요시하는자연환경 산림의 피해 176 (35.2%) 녹지훼손 199 (39.8%) 8(1.6%) 53 (10.6%) 31 (6.2%) 33 (6.6%) 개발제한구역 보존 244(48.7%) 공원확대 75(15.0%) 생물서식처 보존 94(18.8%) 41 (8.2%) 43 (8.6%) 4(0.8%)

20 20 2. 현황조사 및 분석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인식 산업 및 경제활동산림과 자연파괴 냉난방 등 에너지 소비 자동차 등 운송수단 배출가스 기후변화 원인에 대한 인식 89 (17.8%) 산업 및 경제활동 181 (36.2%) 자동차 등 운송수단 배출가스 108 (21.6%) 122 (24.4%) 항 목항 목응답 수 ( 개, %) 아주 잘 안다 2(0.4%) 조금 안다 60(12.0%) 잘 모른다 440(87.6%) 계 502(100.0) 환경인증제 인지도 항 목항 목응답 수 ( 개, %)있다173(34.6) 없다 90(18.0) 모르겠다237(47.4) 계 500(100.0) 환경인증제 참여의사

21 21 2. 현황조사 및 분석 안산시 환경행정에 대한 인식 매우 불만족불만족보통 만족매우 만족 전혀 노력하지 않음별로 노력하지 않음보통 대체로 노력함매우 노력함 안산시의 노력 안산시 환경행정 만족도 보통 400(79.7%) 31 (6.2%) 만족 65(12.9%) 2(0.4%) 4(0.8%) 보통 270(53.9%) 86 (17.2%) 대체로 노력 138 (27.5%) 5(1.0%) 2(0.4%)

22 22 2. 현황조사 및 분석 환경보전과제의 필요성 항 목항 목 응답 수 ( 개, %) 평 균평 균순 위순 위 불필요 조금 필요 보통필요매우필요계 1. 관내 녹지공간 확충 및 공원건설 38 (7.6) 117 (23.4) 178 (35.5) 154 (30.7) 14 (2.8) 501 (100.0) 2.9810 2. 자연친화적 하천기능 회복 2 (0.4) 102 (20.4) 209 (41.7) 168 (33.5) 18 (3.6) 499 (100.0) 3.207 3. 쓰레기 처리시설 등 악취 해소 2 (0.4) 22 (4.4) 263 (52.5) 182 (36.3) 32 (6.4) 501 (100.0) 3.445 4. 하수처리장 증설 및 정비 11 (2.2) 95 (19.0) 295 (58.9) 80 (16.0) 20 (4.0) 501 (100.0) 3.019 5. 분뇨처리 시설 확충 14 (2.8) 117 (23.4) 293 (58.6) 61 (12.2) 15 (3.0) 500 (100.0) 2.8912 6.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확충 6 (1.2) 73 (14.6) 292 (58.3) 103 (20.6) 27 (5.4) 501 (100.0) 3.148 7. 방음벽 / 방음시설 확충 10 (2.0) 148 (29.5) 225 (44.9) 91 (18.2) 27 (5.4) 501 (100.0) 2.9511 8. 오염배출 업소에 대한 단속 강화 2 (0.4) 86 (17.2) 137 (27.4) 128 (25.6) 147 (29.4) 500 (100.0) 3.662 9. 대기오염저감을 위한 천연가스 보급 3 (0.6) 74 (14.8) 241 (48.2) 139 (27.8) 43 (8.6) 500 (100.0) 3.299 10.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업소 관리강화 1 (0.2) 56 (11.2) 133 (26.6) 136 (27.2) 174 (34.8) 500 (100.0) 3.851 11. 기후변화 대응 1 (0.2) 75 (15.0) 177 (35.4) 191 (38.2) 56 (11.2) 500 (100.0) 3.454 12. 주민 대상 환경 홍보 및 교육 2 (0.4) 75 (15.0) 129 (25.9) 254 (50.9) 39 (7.8) 499 (100.0) 3.513

23 3_ 환경비전 및 목표설정 01_SWOT 분석 02_ 안산시 환경비전 03_ 분야별 지표설정

24 24 3. 환경비전 및 지표설정 강점 (S) 약점 (W) 기회 (O) 위협 (T) 종합적인 환경기본계획 요구  수도권내에서 도심지 녹지비율 매우 높음  생태습지공원 등 다수의 자연자원 풍부  NGO 활동 활성화  광역교통 기반시설간 유기적인 연계성으로 도심으로 편리한 접근성  풍부한 해양관광자원 및 국가산업단지 보유로 인한 자족기반 기확보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시의 정책의지 확대 및 기반 확충 지속 추진 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  반월 · 시화 국가산업단지 ( 스마트허브 ) 의 오염물질 증대 및 에너지 다소비  반월시화 산단의 노후화 및 기반시설 부족  공단 및 구도시의 노후에 따른 열악한 도시환경  출퇴근시 교통량 증가로 인한 간선도로상 교통혼잡 심화 및 자동차 배출가스 증대  아직도 확실히 개선되지 않은 환경오염 도시라는 부정적 이미지 상존  수도권 대기환경 특별대책 시행  시화 MTV 사업 추진  생태산업도시로의 전환 및 추진  환경인증 기후보호 도시 추진  젊은 인구구성과 꾸준한 인구증가로 도시 활력 확대  인구, 사업체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가중  급격히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시민 및 상위 기관 요구도 증대  교통량 증가로 인한 교통여건 및 환경오염 가중 악화  환경규제 정책강화와 수도권정비법 규제

25 25 3. 환경비전 및 지표설정 저탄소 녹색도시 Evergreen 안산 저탄소 녹색도시 Evergreen 안산 의지 참여 정책  신재생 에너지 메카 조성  생태산업도시로의 전환  환경인증기후 보호도시 지속추진  환경 · 생태 네트워크 구축  기후변화대응 프로그램 확대  환경오염의 사전예방 체제 강화 및 협력  지역사회구성원이 동참하는 환경보전  저탄소 녹색성장 조성방향 및 전략 도입  친환경 저탄소형 사회 · 경제구조로의 체질개선  녹색 인프라 구성 및 협력체계 구축

26 26 3. 환경비전 및 지표설정 주 1) 시가화지역녹피율, 공원녹지율은 2007 년 현황 자료임. 주 2) 토양환경, 지하수환경 현황자료는 2009 년 기준임. 구 분구 분항 목항 목단 위단 위 현 황 (2010 년기준 ) 목표연도 20152020 자연환경 1 인당 도시공원면적 m2/인m2/인 12.412.612.8 시가화 지역 녹피율 %10.312.014.4 공원녹지율 %7.78.28.7 수환경 하천수질등급 3 ∼ 62 ∼ 42 ∼ 3 시화호 수질 등급 322 수질측정망 운영 / TMS 구축 개소 17 / 125 / 230 / 4 1 인 1 일 물 사용량 L/ 인 · 일 325.6306.5291.5 빗물이용시설개소 -410 비점오염저감시설개소 -510 토양환경 토양오염 실태조사 개소 101520 토양오염취약지역 모니터링 개소 -510 지하수환경 방치공 처리율 %59.97090 자체 지하수 관측망 운영 개소 -510 대기환경 이산화질소 (NO 2 ) 농도 ppm0.030.0280.025 미세먼지 (PM-10) 농도㎍/㎥㎍/㎥ 544540

27 27 3. 환경비전 및 지표설정 구 분구 분항 목항 목단 위단 위 현 황 (2010 년기준 ) 목표연도 20152020 소음 · 진동, 악취 소음 일반지역 (“ 가 ”)dB(A) 낮 52 밤 43 낮 51 밤 42 낮 50 이하 밤 40 이하 도로변일반지역 (“ 가,“ 나 ”) dB(A) 낮 65 밤 56 낮 65 밤 55 낮 65 이하 밤 55 이하 악취 황화수소 (HS)ppb0.0800.0680.058 폐기물 생활폐기물 재활용율 %61.1 67.0 가정생활폐기물 발생량 kg/ 인 · 일 0.5720.5480.528 가정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 kg/ 인 · 일 0.2500.2320.217 유해화학물질 관리대상업체 규모 기준 30 인이상 업체 20 인 이상업체 유해폐기물 회수센터 개소 -12 에너지 1 인당 에너지소비량 toe/ 인 3.43.23.0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배출량천톤 CO 2 eq./ 년 8,454 ( 기준년도 2005 년 ) 기준년도 대비 20% 감축 기준년도 대비 30% 감축 주 1) 폐기물, 유해화학물질, 1 인당 에너지소비량 현황자료는 2009 년 기준임. 주 2) 2007 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은 8,657 천톤 CO 2 / 년임.

28 4_ 분야별 기본계획 01_ 자연환경 02_ 수환경 03_ 토양 · 지하수 환경 04_ 대기환경 05_ 소음 · 진동 · 악취 · 실내공기질 06_ 폐기물관리 07_ 유해화학물질 관리 08_ 에너지 관리 09_ 기후변화 대응

29 29 4. 분야별 기본계획 자연환경 현황 공원 및 녹지현황 시민 1 인당 공원 면적 : 2010 년말 기준 12.4m 2 으로 경기도 시 · 군 중 3 위 조성 완료된 녹지면적은 전체 녹지면적 ( 시설결정 ) 의 78.1% (2009 년말 기준 )

30 30 4. 분야별 기본계획 자연환경 현황 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평가도 대부분 지역이 생태자연도 3 등급 지역 (73.7%) - 2 등급 25.8%, 3 등급 : 73.7%, 별도관리 0.5% 대부분 지역이 5 등급 지역에 해당 - 대부도, 양상동, 시사사동 시외곽지역에 1 등급 일부분포

31 31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도시생태현황 ( 비오톱 ) 지도 작성 및 활용 활성화 지속적인 개발에 따른 자연생태계 훼손 우려 문제점 기후변화 위기에 따른 녹색수요 증대 및 자연친화적인 쾌적한 삶 추구 생물서식환경의 축소 및 파편화 생태계교란 야생 동식물의 확산과 대책 부재 개선과제 녹지에 바탕을 둔 도시네트워크 창출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관심 증가 기후변화 위기 극복을 위한 녹색도시 실현 활용 가능한 녹지 및 미조성 공원 활성화 도심의 열악한 생태기반과 순환과정

32 32 4. 분야별 기본계획 “ 시민이 즐거운 건강한 자연환경 조성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지속적인 개발에 따른 자연생태계 훼손 우려  기후변화 위기에 따른 녹색수요 증대  환경교육,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관심 증가  지속적인 개발에 따른 자연생태계 훼손 우려  기후변화 위기에 따른 녹색수요 증대  환경교육,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관심 증가 향후 전망  녹지에 바탕을 둔 도시네트워크 창출  기후변화 위기 극복을 위한 녹색도시 실현  활용 가능한 녹지 및 미조성 공원 활성화  녹지에 바탕을 둔 도시네트워크 창출  기후변화 위기 극복을 위한 녹색도시 실현  활용 가능한 녹지 및 미조성 공원 활성화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업 거점녹지 기능의 확충 불투수 지역의 녹화 등 녹화사업 확장 미조성 공원녹지 활성화 및 도심공원 재생사업 도시공원·녹지체계 확립 천변 생물 서식처 확보 및 수( 水 ) 요소를 도입한 공원 확충 악취저감 수림대 확보 도시생태체계 확립 녹색교통 거점 및 시스템 구축 자연생태축과 도심녹지축 연결 녹색인프라 조성

33 33 4. 분야별 기본계획 도시공원 및 녹지체계 확립 – 미조성 공원녹지 활성화 및 도심공원 재생사업 추진배경 및 필요성 안산시 일부 미조성 지역 및 대부도 지역 공원의 많은 부분이 사유지로 이루어짐 ( 미조성 녹지 비율 2.0%) 공원 서비스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한 도심공원 확충도 중요하나, 기존 공원 시설의 재정비 필요 갈대습지공원 ~ MTV 로 이어지는 물축 (Water-N.) 상의 공원개발 가이드라인 작성 미보상 녹지의 보상, 신규 사업 ( 도로, 학교 신설 ) 과 연계한 미조성 녹지의 조성 재정비 될 공원에 대하여 시민이 직접 선정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 마련 쌈지공원, 체육공원 등 설치 확충 고려 신규 공원은 테마형으로 조성하고 동일 지역, 동일 주제 여가공간 중복 고려 도심녹화 및 도심재생에 기여 시민 직접 참여를 통한 도심공원에 대한 주인의식 고취 지역주민에게 쾌적한 공간 제공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 추진방안 기대효과

34 34 4. 분야별 기본계획 도시생태체계 확립 – 천변 생물서식처 확보 및 수 ( 水 ) 요소를 도입한 공원 확충 추진배경 및 필요성 안산시 시가지 완충녹지 중 하천변 완충녹지는 하천과 연계한 생태적 · 경관적 기능이 미약한 실정임 부분 보식 및 하부식생 강화, 도심 비오톱 확보 가능한 토지이용 필요 생태하천 조성사업과 연계한 하천 생태계 보전방안 마련 낙엽 활엽수림 위주의 화목류 보식을 통한 경관성 향상, 계절감 부여 하천변 축제 및 화정천 생태하천 계획과 연계하여 녹화 방안 수립 녹지 내 산책로 및 휴게소 조성을 통한 이용성 극대화 하천 생육환경에 적합한 수종 선택, 다양한 식생 조성 교목류 식재를 통한 하천변 휴식공간 제공 하천변 수환경 개선으로 계절적 변화 경관을 체험하는 친수환경 조성 수환경 거점 지역 확보를 통한 생태적 균형 및 지역 형평성 확보 시화호와 하천 연결부 기수역에 대한 생물다양성 확보 추진방안 기대효과 [ 천변 녹지 기능 강화 모식도 ]

35 35 4. 분야별 기본계획 녹색 인프라 조성 – 자연생태축과 도심녹지축 연결 추진배경 및 필요성 추진방안 기대효과 자연생태축 보호 및 도심녹지축과의 연결 통한 녹색도시 이미지 제고 필요 도심녹지의 점적 요소 조성으로 연결성 확보된 녹지로 보전되지 못하고 있음 자연생태축과 공원녹지축, 가로녹지축 연계고려 추진 필요성 제기 자연생태축과의 연결 통해 도심 녹지와의 종합적인 녹지축 구상 옥상녹화, 가로수, 도심공원 등 도심녹지 모든 구성요소 연결방안 수립 가로별 특성 있는 가로수 식재, 가로별 아이덴티티 부여 가로수와 완충녹지대 연계하여 나무그늘 있는 보도 조성 삶의 질 향상 및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위한 녹지체계 구축 지역성과 특수성 고려한 녹지 계획 가능 [ 가로수와 완충녹지 연계 보도 구상도 ] [ 띠녹지 조성사례 – 일본 고베시 ]

36 36 4. 분야별 기본계획 하천 · 호소 현황 주요 하천  안산천, 화정천, 반월천, 신길천, 건건천  시화호, 수암, 장상, 능앞, 북동 주요 호소 ( 지방하천 : 5 개, 소하천 : 19 개 ) 수질 측정망  하천측정망 ( 자체 ) : 5 개소  시화호측정망 ( 국가 ) : 3 개소

37 37 4. 분야별 기본계획 하천수질 현황 연도별 BOD 현황 월별 BOD 현황 (2010 년 ) 하천수질 (2010 년 기준 ) : 안산천 ( Ⅲ 등급 ), 화정천 ( Ⅲ 등급 ), 반월천 ( Ⅴ 등급 ), 신길천 ( Ⅵ 등급 ) 우수기보다 갈수기에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여 하천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하천 유지용수 확보 방안 검토 필요

38 38 4. 분야별 기본계획 시화호 수질현황 평균 COD 3.2mg/L 로 해역수질기준 Ⅲ 등급 - 2008 년 이후 수질이 다소 악화되는 경향을 나타냄

39 39 4. 분야별 기본계획 상수도 보급현황 하수도 보급현황 상수도 보급률 99.6, 유수율 94.9% 로 전국 및 경기도 평균치 보다 높음 1 인당 1 일 물 사용량 325.6 L/ 인 / 일로 전국, 경기도 및 전국 평균치보다 높아 물수요 관리 필요 하수도 보급률 은 98.2% 매우 높으며, 발생된 하수는 전량 고도처리되고 있음

40 40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 비중 증가 하천유지용수 부족 문제점 및 개선과제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제 도입 기초자료 수준 향상 및 신뢰성 제고 건전한 물 순환 체계 구축 비점오염원 관리 대책 수립 및 체계적인 점오염원 관리 참여형 선진 물관리 행정 구현 안전한 먹는물 공급 및 수변 여가공간에 대한 욕구 증대 건전한 물순환체계 구축

41 41 4. 분야별 기본계획 “ 맑은 물과 생태계가 살아있는 수환경 조성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시민들의 깨끗한 물에 대한 요구 증가  물관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필요  시화호 수질개선을 위한 오염원관리 책임 가중  시민들의 깨끗한 물에 대한 요구 증가  물관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필요  시화호 수질개선을 위한 오염원관리 책임 가중 향후 전망  새로운 물관리 정책 도입 등 물관리정책변화에 대응  시민에게 깨끗하고 안정적인 물환경 제공  시민과 함께하는 선진 물행정 구현  새로운 물관리 정책 도입 등 물관리정책변화에 대응  시민에게 깨끗하고 안정적인 물환경 제공  시민과 함께하는 선진 물행정 구현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업 연안수질오염총량제 도입을 위한 대응체계 구축 수질측정망 확충 및 TMS 구축 국제 물캠페인 참여를 통한 국제수준의 물관리행정 구현 선진 물관리대책 추진 체계적인 점오염원 관리 및 하수처리시설 최적화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수립 및 지속추진 생태계가 살아있는 물환경 조성 오염원관리 강화를 통한 수질 개선 오염원관리 강화를 통한 수질 개선 빗물관리 시스템 정착 및 빗물이용시설 확대 하수처리수 재이용 확대 건전한 물순환체계 구축 시민참여형 물관리 행정 구현 시민이 참여하는 물수요관리 시스템 구축 참여형 물관리 행정 구현

42 42 4. 분야별 기본계획 선진 물관리 대책 추진 – 연안수질오염총량제 도입을 위한 대응체계 구축 추진배경 및 필요성 시화호의 수질은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오염도에 좌우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농도규제 방식으로는 중 · 장기적인 측면에서 수질개선을 기대하기가 어려움 시화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오염총량관리제 도입을 통한 유역단위의 관리 필요 산업단지와 도심내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이 가증됨에 따라 체계적 관리 필요 단순수질관리 부서에서 종합적인 물관리 부서로 조직 및 업무 정비 안산시 연안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 수립 추진 유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과학적 수질관리 시스템 구축 연안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에 대비한 대응으로 수질개선 및 지역개발 동시 추구 중장기적인 시화호 및 수환경 개선대책 수립 가능 체계적인 조직 정비로 물관리 정책의 효율성 증대 추진방안 기대효과

43 43 4. 분야별 기본계획 오염원 관리 강화를 통한 수질 개선 –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수립 및 지속추진 추진배경 및 필요성 연안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시 점오염원 삭감방법에는 한계가 있으며, 비점오염원의 효율적 관리가 병행되어야 오염총량관리제를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 안산시 비점오염관리 기본계획 수립 각 하천별 비점오염 최적 저감시설 설치 및 운영 각종 개발사업 추진시 비점오염원 저감계획 철저 반영 반월 · 시화산업단지 ( 스마트허브 ) 내 비점오염원 발생원 조사 및 관리 강화 도시 완충녹지, 주차장 등 공용공간을 활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지정 등 정책적 수단 병행 추진 비점오염물질 유출 최소화를 통한 하천수질 개선 및 생태계 교란 최소화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확대를 통한 녹지, 생태교육, 친수공간 확보 등 1 석 2 조 효과 추진방안 기대효과

44 44 4. 분야별 기본계획 건전한 물순환체계 구축 – 빗물관리시스템 정착 및 빗물이용시설 확대 추진배경 및 필요성 불투수면 증가로 인해 빗물의 유출량이 증가하여 하천 · 호소의 유지유량 확보가 주요 이슈화 안산시가 타지자체에 비하여 물 사용량이 많은 점을 감안할 때 대체 수자원 확보는 매우 중요하며 빗물의 이용 및 관리는 수자원 확보의 좋은 대안이 될 것임 물순환 장애요인 제거 및 지하수 함양사업 추진 빗물 재이용 및 지하침투시설 설치 빗물이용 시범도시 추진 각종 개발사업시 물순환이용시설 설치 제도화 빗물이용 조례 제정 등을 통한 제도적 기반 마련 안산시 자체 물자급률 증가로 물사용량 감소 및 비용 절감 건전한 물순환체제 구축 및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 추진방안 기대효과

45 45 4. 분야별 기본계획 참여형 물관리 행정 구현 – 시민참여형 물관리 행정 구현 추진배경 및 필요성 수질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는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당사자인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필요 최근의 하천관리는 과거 관중심의 정책이 아닌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함께하는 유역중심의 관리로 전환되는 추세 안산시 하천유역네트워크 발족 및 활동 지속적 지원 - 소유역별 수질관리 방안 수립 및 참여 - 수질 및 수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DB 구축 - 수질오염행위 감시 및 하천정화활동 등 자발적 참여형 환경운동 전개 - 다양한 물환경교육을 통한 세대간 지역간 갈등조정 역할 도모 유역의 이해당사자의 적극적 참여 유도로 정책 추진의 효율 증대 시민 참여의 활성화로 시민 환경의식 제고 및 민관 협동의식 고취 추진방안 기대효과 [ 안산시 하천유역네트워크 구성 ( 안 )]

46 46 4. 분야별 기본계획 토양측정망 현황 조사지점 번호 고유명칭 토지용도 ( 지목 ) SA-19 고잔고잔학교용지 SA-20 석호사동학교용지 SG-16 이동안산체육용지 SK-46 안산성포대지 SK-47 안산사동대지 SN-20 안산사사답 SP-43 반월동단공장용지 조사지역 종류 고유명칭 토지용도 ( 지목 ) 공장 및 공업지역 단원구 성곡동 635-7 공장 단원구 원시동 769-2 공장 단원구 목내동 405-4 공장 단원구 목내동 388-1 공장 단원구 성곡동 623 공장 단원구 성곡동 683-5 공장 교통관련시설지역 상록구 성포동 590 대지 기타토지개발 등 지역상록구 부곡동 587 체육 폐기물적치 · 매립 · 소각 등 지역단원구 선부동 1016-6 공장 공장폐수유입지역 원시동 779-91 공업지역 전국망 토양오염실태조사지점

47 47 4. 분야별 기본계획 토양오염도 현황 전국망 측정결과 7 개 전지점에서 토양오염우려 기준치 이하로 조사됨

48 48 4. 분야별 기본계획 번호 ( 조사 지점 ) 측정항목 (mg/kg) CdCuAsHgPbCr +6 ZnNiF 유기인 PCBCN 페놀 유 류유 류 TCEPCEpH BTEXTPH 10.1311.7680.4430.0200.5730.026122.3435.0767.00--0.000 0.00 7.8 20.0155.8570.8310.0246.2900.02861.10315.6449.00--0.000 0.00 7.7 30.0130.7170.5510.0180.0990.034104.1028.9229.90--0.000 0.00 9.4 40.0002.6440.4310.0132.0840.03753.4411.98277.80--0.000 0.00 7.9 50.0610.2050.7250.0260.0110.029140.7765.70348.55--0.000 21.4311,925.7 0.00 9.0 60.0001.0570.4500.0081.1220.02983.1030.65101.30--0.000 0.00 8.4 70.0000.4630.3780.0080.0430.028------0.000 0.00 8.2 80.0000.5350.7560.0051.3760.034------0.000 4.094 0.0000.00 8.1 90.0014.0020.4850.0256.3550.0343.3630.220-0.00-0.000-- 0.00 6.4 평균 0.0251.9160.5610.0161.9950.03181.17426.883145.590.000- 3.191213.970.00 8.1 우려기준 (1 지역 ) 4150254200530010040010124-50084 토양오염도 현황 토양오염실태조사 결과 공업지역 (No. 5) 과 기타지역 (No.8) 2 개소에서 유류가 검출되어 정밀검사 및 원인 파악 필요 대부분의 지점들에서 모든 항목이 토양오염우려기준 (1 지역 ) 이하로 나타남

49 49 4. 분야별 기본계획 구 분구 분합계미처리건수처리건수처리비율 (%) 전 국전 국 87,39416,86970,52580.7 경기도 14,3404,09410,24671.5 안산시 30212118159.9 방치공 처리현황 지하수 이용현황 3,622개소 농어업용 66.2% (2,397개소) 생활용 32.9% (1,191개소) 공업용 0.9% (34개소) 6,663,950m 3 /년 농어업용 79.5% 생활용 18.6% 공업용 1.9%

50 50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토양오염 및 지하수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증대 개발 계획사업 추진 및 토양오염우려지역 존재로 오염 가능성 상존 사전예방위주의 관리 정책 필요성 증대 문제점 토양오염 현황 파악 미흡 토양오염실태조사의 비효율성 및 체계적인 분석 미흡 개선과제 전문인력의 부족 및 정보체계 미비 자발적인 토양 복원 및 관리유도 토양오염실태 조사 효율화 및 모니터링 강화 지하수 정보 확보 및 관리기반 구축

51 51 4. 분야별 기본계획 “ 살아 숨쉬는 토양 · 지하수 환경 조성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토양오염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확대  수자원으로서의 지하수의 역할 인식 확대  국가산단입지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위험 상존  토양오염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확대  수자원으로서의 지하수의 역할 인식 확대  국가산단입지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위험 상존 향후 전망  사전예방 중심의 관리정책 추진 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방안 추진  토양 및 지하수 관리에 자발적 참여 유도  사전예방 중심의 관리정책 추진 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방안 추진  토양 및 지하수 관리에 자발적 참여 유도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업 토양환경관리기본계획 수립 토양환경보전 및 복원을 위한 교육·홍보 토양오염 실태조사 효율화 및 모니터링 강화 토양환경관리 기반 구축 자율적 토양오염관리 프로그램 운영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놀이터 조성 토양환경 보전 및 복원 지하수 기초조사 실시 지하수관리 기본계획 수립 지하수환경관리 기반구축 방치공(폐공) 관리 대책 수립 지하수관련 유관업무의 통합체계 구축 지하수오염 예방 및 관리

52 52 4. 분야별 기본계획 토양환경관리 기반 구축 – 토양환경관리기본계획 수립 추진배경 및 필요성 안산시는 토양오염이 취약한 지역 및 시설들이 산재하고 있어 향후 발생 가능한 토양오염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양환경 관리 기본계획 마련 요구 토양오염 모니터링 및 오염실태조사 지속 추진 안산시 토양환경관리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수행 토양환경 관리의 기본 내용 및 방향, 수단 제시 등 계획 추진 및 평가 기술적 지원 및 자문을 위한 위원회 구성 및 운영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토양환경 관리 지침 및 업무체계 정비 ( 안 ) 제시 체계적인 토양환경 관리 기본 틀 마련 신속하고 과학적인 오염토양에 대한 복원 전략 수립 추진방안 기대효과

53 53 4. 분야별 기본계획 토양환경관리 기반 구축 - 토양오염실태조사 효율화 및 모니터링 강화 추진배경 및 필요성 토양오염우려 및 취약지역의 오염도 파악을 위해 토양오염측정망 확충 필요 토양오염에 대한 능동적인 토양환경관리를 추진하기 위함 추가적인 모니터링 지점 확보 및 시민과 민간단체들과 연계하여 안산시 자체 토양오염모니터링 실시 오염우려의 개연성이 높은 곳으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토양오염실태 조사지점 선정 토양오염실태 조사지점과 측정항목을 점차적으로 확대 - 토양오염실태조사지점 (2009 년 10 개 지점 → 2020 년 20 개 지점 ) - 토양오염측정항목 (2009 년 22 개 항목 → 2020 년 30 개 항목 ) 체계적인 토양오염도 조사를 통한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토양환경 관리 가능 토양오염 예방을 위한 기반 마련 추진방안 기대효과

54 54 4. 분야별 기본계획 지하수환경관리 기반 구축 – 지하수 기초조사 실시 추진배경 및 필요성 지하수 기초조사는 지하수법 제 5 조에 의하여 지하수 부존특성 및 개발가능량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는 사업으로, 지하수의 개발 · 보전을 위한 지하수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자료 안산시 지하수 현황파악의 토대 마련 지하수관리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 추진방안 기대효과 [ 고양시 수문지질도 예시 ] 지하수 기초조사시 다음 사항을 포함한 수문지질도 작성 - 지형 및 지하지질 분포 - 지하수위의 분포 및 지하수의 수질 특성 - 지하수를 함유하고 있는 지층의 구조와 수리적 특성 / 지하수의 개발 가능량 조사된 자료 토대로 종합분석 및 안산시 수리수문 지질도 작성

55 55 4. 분야별 기본계획 지하수오염 예방 및 관리 – 방치공 ( 폐공 ) 관리대책 수립 추진배경 및 필요성 방치공 ( 폐공 ) 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 방치공 ( 폐공 ) 위치 파악 및 미처리 방치공에 대한 적절한 처리필요 신규 및 기존 방치공 ( 폐공 ) 관리 방치공 ( 폐공 ) 의 재활용 방치공신고센터 설치 · 운영 등을 통한 방치공 ( 폐공 ) 찾기 사업 추진 지하수 오염방지 및 관정주변의 환경성 복원 지하수 관리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유발 효과 추진방안 기대효과 [ 방치공 ( 폐공 ) 원상복구 ] [ 방치공 ( 폐공 ) 찾기 ]

56 56 4. 분야별 기본계획 구분계 1종1종 2종2종 3종3종 4종4종 5종5종 총계 1,6943271138599854 시화공단 31712152299169 반월공단 1,2321956109453595 반월도금단지 601-31640 공 단 외공 단 외 85--43150 구분측정소명주소비고 도시대기측정망 고잔동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15( 안산시청 ) 대부동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467( 대부출장소 ) 본오동 안산시 상록구 본오 2 동 796-4( 본오 2 동사무소 ) 부곡동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671( 부곡동사무소 ) 원곡동 안산시 단원구 원곡 2 동 936-5( 원곡 2 동사무소 ) 원시동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82-9( 민주노총사무실 ) 대기 중금속 겸용 호수동 안산시 단원구 고잔 ( 호수 ) 동 781-2( 양지중학교 ) 도로변측정망중앙로 안산시 단원구 고잔 1 동 554-1( 안산시 상하수도사업소 ) 대기오염 측정망 현황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 현황

57 57 4. 분야별 기본계획 PM-10 의 경우 대기환경기준치 (50 ㎍ / ㎥ ) 를 초과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냄 NO 2 의 경우 지역 대기환경기준치와 같은 농도로 지속적인 저감노력 필요 연도별 대기오염도 현황 SO 2 NO 2 O3O3 CO PM-10

58 58 4. 분야별 기본계획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 SO 2 NO 2 CO VOCs PM-10 일산화탄소는 에너지산업에서, 미세먼지는 유기용제에서 발생 이산화황과 이산화 질소 및 VOCs 는 대부분 도로이동 오염원에서 발생

59 59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자동차 및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로 NO X 와 PM-10 의 환경기준 초과 가능성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감소를 위한 배출시설 관리 강화 문제점 지속적이고 실천 가능한 대기환경관리 계획 미흡 대기환경개선을 위한 통합적 접근 부재 개선과제 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체계 강화 중 · 장거리 이동오염물질 관리 강화 기후변화 대응 계획에 따른 각 부분별 온실가스 관리 강화 사전예방적 대기환경 관리 필요 미세먼지 (PM-2.5) 포함 관리체계 수립 청정하고 푸른 대기환경에 대한 시민 욕구 증대 산업단지 대기환경 규제관리 엄격화

60 60 4. 분야별 기본계획 “ 깨끗하고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산업 및 지역개발, 인구증가로 인한 점, 면, 이동 오염원 증가  청정하고 푸른 대기환경에 대한 시민 욕구 증대  산업 및 지역개발, 인구증가로 인한 점, 면, 이동 오염원 증가  청정하고 푸른 대기환경에 대한 시민 욕구 증대 향후 전망  지속적이고 실천 가능한 대기환경관리 계획추진  반월 · 시화산단 대기환경 규제지역 관리 엄격화  지속적이고 실천 가능한 대기환경관리 계획추진  반월 · 시화산단 대기환경 규제지역 관리 엄격화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항 반월 · 시화산업단지 대기환경 특별관리 대책 추진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및 전광판 확충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 및 DB 구축 대기오염 예경보 시스템 보완 PM-2.5 저감 관리방안 수립 저 NOx 버너 설치 확대사업 대기환경 관리체계 구축 산단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 총량제 검토 특정대기유해물질 (HAPs) 관리 방안 중소형 배출 시설 관리 강화 바이오 연료 등 친환경 에너지의 사용 확대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관리 강화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관리 강화 천연가스 (CNG) 시내버스 보급사업 확대 운행차 저공해화 사업 운행차 배출가스 관리제도 개선 이동배출원 관리 강화

61 61 4. 분야별 기본계획 대기환경 관리체계 구축 – 반월 · 시화산업단지 대기환경 특별관리 대책 추진 추진배경 및 필요성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해 서울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15 개 시를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 · 고시 반월 · 시화산업단지 ( 스마트허브 ) 지역 내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중 ·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 반월 · 시화산업단지 ( 스마트허브 ) 중 · 장기 대기질 개선 목표 수립 사업장별 배출허용 총량 할당 의무화 추진 굴뚝 대기오염 자동감시체계 (TMS) 확대 및 최적방지시설 (BACT) 설치 · 운영 오염물질 저감 비용 최소화를 위한 배출권 거래제 도입 추진 시화 MTV 대기개선로드맵 사업비 활용한 오염물질 저감시설 도입 특정 대기오염물질 오염발생량 저감으로 반월 · 시화산업단지 ( 스마트허브 ) 지역 대기질 개선 효과 사업장에 대한 자발적인 배출저감 유도 총량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 도입 등을 통한 제도적 근거 마련 추진방안 기대효과

62 62 4. 분야별 기본계획 대기환경 관리체계 구축 –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및 전광판 확충 추진배경 및 필요성 안산시의 대기오염 감시와 오존경보체계 구축을 위하여 자동측정망 확충 필요 미세먼지 및 오존 등을 관측하기 위해 지역배경 측정망과 유해대기오염물질 측정망 구축 필요 시민들에게 대기질 개선 및 대기환경정보 제공을 위해 대기오염 전광판 확충 필요 기존 설치 중인 측정소간의 이격 거리를 감안한 대기오염 측정망 확충 지역배경 측정망과 유해대기오염물질 측정망을 신설하여 미세먼지와 오존 등 지역 대기질의 정확한 평가 및 대기질 관리를 위한 자료 구축 경기도 및 환경부와의 긴밀한 협의 하에 측정망 직접 운영을 적극 추진 쾌적한 대기환경정보 제공 및 홍보를 위한 시내 주요지점에 대기오염 전광판 확충 대기오염 측정망 확충에 따른 지역별 오염물질 발생 특성 파악 미세먼지 및 오존경보체계 관리 강화 대기질 개선으로 인한 안산 시민의 삶의 질 향상 추진방안 기대효과

63 63 4. 분야별 기본계획 대기환경 관리체계 구축 – 저 NOx 버너 설치 확대사업 추진배경 및 필요성 수도권대기환경특별대책 시행에 따라 도심내 질소산화물 저감 필요 도심 대기오염도 측정결과 년간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질소산화물에 대한 저감방안 마련 시급 산업시설의 노후버너를 저 NOx 버너로 교체할 경우 교체비 지원 산업시설외 시설의 버너 교체시에도 사업비 한도내에서 적극 지원함으로써 도심내 질소산화물 배출저감 버너교체시 일부 사업자 부담금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원활한 교체유도 교체대상시설 사업비 부족에 대한 환경부, 경기도와 협의하여 사업비 추가확보방안 강구 2015 년까지 한시적 사업으로 되어 있어 연장, 추가지원방안 협의 노후버너를 저 NOx 버너로 교체함으로써 질소산화물 배출저감 총량관리제 시행에 따른 지역 배출량 저감 추진방안 기대효과

64 64 4. 분야별 기본계획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관리 강화 – 중소형 배출시설 관리 강화 추진배경 및 필요성 중 · 소형 배출시설이 많아 단속위주 지도 · 점검은 배출관리에 크게 효과적이지 못함 현재 경기도 및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환경닥터제와 같은 환경기술 지도체계를 활용하여 최적 기술을 지원하고, 필요한 방지시설 설치 비용을 지원하고 방지시설 설치 및 운영비용 지원 방안 마련 관내 주요 배출시설에 대하여 현황 파악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체계 구축 노후방지시설 및 운영기술 미흡 시설에 대한 자료 확보 및 지원방안 논의 시화 MTV 대기개선로드맵의 영세사업장 및 면오염원 개선 사업과 연계한 소규모사업장 시설개선비 지원 녹색환경지원센터를 활용한 배출시설 운영 기술지원 중 · 소 배출시설에 대한 대기오염물질 관리 강화에 따른 배출 저감 효과 방지시설 설치비 지원 등으로 중 ∙ 소 배출시설 자발적 관리 방안 마련 중 · 소 배출시설에 자율환경관리제도 정착 기여 추진방안 기대효과

65 65 4. 분야별 기본계획 이동배출원 관리 강화 – 천연가스 (CNG) 시내버스 보급사업 확대 추진배경 및 필요성 현재 도심지 대기오염부하가 높은 경유 시내버스를 천연가스 (CNG) 버스로 교체하는 정책 추진 천연가스 시내버스 보급의 활성화를 위하여 관내 경유버스 천연가스 (CNG) 버스로 교체 예정이며, 압축천연가스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천연가스 충전소를 설치 · 운영할 계획임 관내 시내버스 및 청소차량 등을 천연가스 (CNG) 버스로 지속적으로 교체 천연가스 차량 보급 확충에 따른 정부 보조금 지원 확대 방안 마련 천연가스 충전소 설치에 관한 관련법 개정 및 관계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가스충전소 보급 확대 지구온난화 물질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기대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에 따른 대기질 개선 체감효과 상승 시내버스 등 도심운행차량의 매연배출 저감으로 도심 미세먼지 감소 저탄소 녹색도시 안산시의 위상 제고 추진방안 기대효과

66 66 4. 분야별 기본계획 이동배출원 관리 강화 – 운행차 저공해화 사업 추진배경 및 필요성 경유나 휘발유 차량에 대해 오염물질 배출이 적은 저공해 차량으로 교체 ( 저감장치 부착 ) 하는 정책 추진 중 중앙정부의 저공해 차량 보급 계획 확대에 따라 안산시에서도 전체 차량 18 만여대 중 약 26,000 대 정도 교체 (2011 년 11 월 기준 ) 경유차 오염저감 장치 (DPF, DOC) 장착 의무화 사업 지속 추진 경유차 오염저감 장치 (DPF, DOC) 장착 의무화에 따른 정부 보조금 지원 확대 노후차량에 대한 매연저감장치 부착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저감 효과 대기질 개선으로 인한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추진방안 기대효과 [ 매연저감장치 - DPF] [ 매연저감장치 - DOC] [ 저공해 엔진 (LPG 개조 ]

67 67 4. 분야별 기본계획 분기별 소음측정결과 일반지역 소음도 도로변 지역 소음도 2007 년 이후 소음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일반지역 (“ 가 ” 지역 ) 과 도로변 주거지역 (“ 가, 나 ” 지역 ) 에서 낮 · 밤소음도가 기준치를 초과함

68 68 4. 분야별 기본계획 악취발생 현황 악취민원 발생현황 황화수소 (HS) 농도 악취민원발생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임 주요 악취유발물질인 황화수소 농도도 기준치 이내이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임

69 69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각종 소음에 의한 피해 증가로 정온 환경에 대한 시민 요구 증대 문제점 및 개선과제 환경소음 측정망 및 악취 측정망 확대 방음시설 설치 및 보완 소음지도 작성을 통한 효율적인 소음저감대책 마련 및 추진 교통소음 관리 규제지역 확대 및 관리강화 환경친화적인 방음시설 설치 확대 산업단지 위치로 인한 악취발생 가능성 상존 악취관리지역 및 배출업소 관리 강화 실내공기질 관리의 사전예방원칙 적용

70 70 4. 분야별 기본계획 “ 조용하고 상쾌한 생활환경 조성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정온환경에 대한 시민요구 증대  악취 민원 증가 예상  실내오염물질에 의한 환경성질환 증대  정온환경에 대한 시민요구 증대  악취 민원 증가 예상  실내오염물질에 의한 환경성질환 증대 향후 전망  도시계획과의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 강화  발생원별 사전예방 저감대책 수립  도시계획과의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 강화  발생원별 사전예방 저감대책 수립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항 교통 소음 · 진동 관리 규제지역 지정 및 관리 강화 환경친화적인 방음시설 확충 및 보완 생활소음 및 교통소음 관리 강화 환경친화적인 소음 · 진동 관리 환경친화적인 소음 · 진동 관리 과학적인 악취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운영 악취 측정망 확충 효율적 악취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실시 사업장 악취 저감 투자확대 유도 염색단지 악취 등 환경개선사업 지원 악취 저감 관리체계 구축 실내공기질 관리대상 확대 및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실내유해물질 관리 강화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71 71 4. 분야별 기본계획 환경친환적인 소음 · 진동관리 – 환경친화적인 방음시설 확충 및 보완 추진배경 및 필요성 기존에 설치된 방음벽에 교체적용이 가능한 모델 또는 기존 방음벽에 적용할 수 있는 신축개념 모델의 적정여부를 반영한 효과적인 방음벽 관리필요 미관적인 측면을 고려한 환경친화적인 방음벽 설치가 필요 정온시설 지역에 대한 환경친화적인 방음시설 확충 및 노후화된 방음벽 교체 방음둑, 방음림 등 완충녹지 조성을 위해 도시계획과 연계된 환경친화적인 방음시설 구축 환경친화적인 방음시설 구축에 따른 소음 저감 및 쾌적한 정온환경 조성 미관이 우수한 방음시설 설치는 기존 방음시설에 대한 거부감 해소 추진방안 기대효과 [ 환경친화적 방음시설 예시 ]

72 72 4. 분야별 기본계획 환경친환적인 소음 · 진동관리 – 생활소음 및 교통소음 관리 강화 추진배경 및 필요성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생활주변의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민원 급증 도심지역내 교통소음으로 인한 정온한 주거환경 훼손 생활소음 · 진동과 교통소음의 효율적인 관리가 시민들의 삶 만족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침 교통소음 규제지역의 지정 및 관리강화 생활소음으로 인한 민원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정온한 환경조성을 위한 확성기 및 경적소음 관리 강화 도심내 공사장 소음 · 진공 관리 강화 도심내 공사장 소음 및 생활소음 저감을 통한 정온한 주거환경조성 정온한 환경조성에 따른 시민만족도 향상 추진방안 기대효과

73 73 4. 분야별 기본계획 악취저감 관리체계 구축 – 악취측정망 확충 추진배경 및 필요성 산업단지와 인근 주거지역에 악취측정망을 구축 운영중이나 신규 택지개발 등으로 도심 바람길 변화 에 따른 추가적인 측정망 확충필요 효과적인 악취관리를 위하여 주거지역내 악취배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고정식 악취측정소를 1 개소 추가하여 바람방향별 악취배출정도 조사 도심내 바람길 등에 의한 악취변화 추이 조사 기 설치된 악취측정소의 기기를 추가확보하여 측정결과치의 신뢰도 확보 시화 MTV 대기개선로드맵의 악취측정망 구축사업과 연계한 사업추진 도시 전 지역에서 악취배출정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청정한 도시환경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 측정 data 자료 분석 및 D/B 축적을 통한 과학적인 악취 관리 추진방안 기대효과

74 74 4. 분야별 기본계획 악취저감 관리체계 구축 – 효율적 악취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실시 추진배경 및 필요성 악취개선을 위한 사업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어 악취개선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으로 효과적인 사업 추진방안 결정 악취실태조사를 통한 저감방안 마련 가능 악취관리지역의 악취배출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를 년 4 회 실시 지역내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모니터링과 연계방안 강구 산업단지별 조사지점을 지정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악취배출원에 대한 특성파악 및 정밀조사로 악취관리의 효율성 향상 전문화된 악취실태조사로 행정의 투명성 제고와 시민 만족도 향상 추진방안 기대효과

75 75 4. 분야별 기본계획 악취저감 관리체계 구축 – 염색단지 악취 등 환경개선사업 지원 추진배경 및 필요성 염색단지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이 인접한 주거지역으로 유입되어 악취민원의 주요원인으로 작용 각 배출업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배출허용기준이내이더라도 단지내에서 발생되는 오염 부하량 이 증가하여 악취관련 민원발생 시화 MTV 개발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마련된 대기개선로드맴 사업비를 활용한 염색단지 방지시설 개 선자금 지원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서 추진하는 염색단지 환경개선을 위한 시범사업 등과 연계한 추진방안 마련 업체부담을 경감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 도출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추진 주거지역 악취문제의 주요오염원 해결을 통한 악취민원해소 대기개선로드맵 사업비 활용을 통한 기업체 부담 경감 추진방안 기대효과

76 76 4. 분야별 기본계획 악취저감 관리체계 구축 – 과학적인 악취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운영 추진배경 및 필요성 반월 · 시화산단 ( 스마트허브 ) 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하기 위하여 환경컨트롤센터를 구축 · 운영 중임 환경컨트롤시스템은 악취 발생 시 신속하게 악취배출사업장에 상황을 전파하여 악취 확산을 최대한 억제토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음 자료 분석에 의한 악취발생원 예측 강화 민원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 및 발생원 관리 강화 과학적인 악취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악취 저감 관리 및 대응 방안 수립 체계적인 통합시스템 운영으로 산단 및 주거지역 내 악취발생 원인물질 파악과 발생원 추적관리 용이 측정 data 자료 분석 및 DB 축적을 통한 과학적인 악취 관리 추진방안 기대효과

77 77 4. 분야별 기본계획 폐기물 발생 현황 생활계폐기물 발생원단위총 폐기물 발생현황

78 78 4. 분야별 기본계획 폐기물 처리 현황

79 79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문제점 및 개선과제 폐기물 발생량 변화 - 생활계 폐기물 : 택지개발 사업에 따른 지속적인 인구증가에 따라 발생량 증가 - 사업장폐기물 : 장래인구, 개발사업 등의 여건을 고려한 결과 2020 년 (2009 년대비 ) 27.6% 증가 전망 폐기물 처리 자원순환체제로의 전환 폐기물처리시설 최적화 및 광역화 폐기물 관리 선진화 재활용 수거체계 개선 및 인프라 확대 폐기물 이용 신 · 재생에너지 활용체계 구축 폐기물 관리의 민관 거버넌스 구축

80 80 4. 분야별 기본계획 “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혁신도시 조성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지속적인 성장에 따른 폐기물발생량 증가 예상  자원순환 및 재활용의 필요성 증대  쾌적하고 살기좋은 도시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 증대  지속적인 성장에 따른 폐기물발생량 증가 예상  자원순환 및 재활용의 필요성 증대  쾌적하고 살기좋은 도시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 증대 향후 전망  폐기물의 발생억제 및 자원순환 체계 강화 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폐기물 처리  참여와 협조에 의한 통합형 폐기물 관리 구현  폐기물의 발생억제 및 자원순환 체계 강화 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폐기물 처리  참여와 협조에 의한 통합형 폐기물 관리 구현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업 폐기물관리 유비쿼터스 체계 구축 생활계 유해폐기물 및 소량배출 유해폐기물 관리체계 구축 폐기물 처리시설 최적화 및 효율화 폐기물 관리 주체간 파트너쉽 구축 자원순환 혁신도시 기반 구축 자원순환 혁신도시 기반 구축 폐기물 감량화 프로그램 및 인센티브제 도입 음식물류폐기물 처리다변화 시범사업 추진 재활용품 수거·판매체계 개선 및 강화 녹색구매 활성화 폐기물 감량화 및 재활용활성화 폐기물 감량화 및 재활용활성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정착 폐기물 이용 신재생에너지 활용기반 구축 도시광산 등 순환자원이용 활성화 체계 구축 자원순환이용 체계 구축

81 81 4. 분야별 기본계획 추진배경 및 필요성 정기적인 폐기물 성상조사 및 통계조사를 통해 폐기물 물질수지 작성, 이를 토대로 체계적인 폐기물 관리정책 수립필요 과학적이고 선진화된 폐기물 관리시스템 (RFID, GPS 시스템 ) 도입 을 통한 효율 적인 폐기물 관리 필요 폐기물 센서스의 지속적인 실시 및 물질수지 작성 GPS 및 RFID 기반의 폐기물관리 유비쿼터스 체계 구축 - 음식물류폐기물, 대형폐기물 및 생활계폐기물 관리시스템에 적용 폐기물 관리 기초자료 확보 및 수거 · 운반체계 최적화로 예산 절감효과 지역별 배출자별 폐기물 발생량의 전산화를 통한 폐기물 감량화 유도 추진방안 기대효과 [RFID 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시스템 ] [ 폐기물관리 유비쿼터스 체계도 ] 자원순환 혁시도시 기반 구축 – 폐기물관리 유비쿼터스 체계 구축

82 82 4. 분야별 기본계획 자원순환 혁신도시 기반 구축 – 폐기물관리 주체간 파트너쉽 구축 추진배경 및 필요성 시민들의 폐기물 감량화, 자원화 / 재활용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 폐기물관련 교육 · 홍보는 물론 제도적인 정비를 통하여 폐기물 관리에 주민참여 확대 필요 시민, 공무원 그리고 전문가들로 네트워크 또는 협의체를 구성 폐기물관리 문제점과 해결방안 논의 다양한 실천운동 및 홍보를 통하여 시민들의 폐기물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활동 수행 주기적인 회의 개최를 통해 안산시의 효율적인 폐기물 관리의 수단으로 활용 폐기물 관리 관련 민관 거버넌스 구축으로 폐기물 관리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확대 폐기물 감량화와 재활용 효율 증대 추진방안 기대효과

83 83 4. 분야별 기본계획 폐기물 감량화 및 재활용 활성화 - 폐기물 감량화 프로그램 및 인센티브제 도입 추진배경 및 필요성 폐기물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발생원에서의 감량화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해 낼 수 있는 방법 제도적 지원 필요 1 회용품 사용량 저감 및 과대 포장 사용 억제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 친환경소재 및 순환자원 이용 활성화 폐기물 줄이기 생활실천 아이디어 공모 폐기물 감량 인센티브제 도입 폐기물 발생량 저감으로 인한 폐기물 처리비용 절감 재활용품의 분리배출 촉진 및 폐기물 줄이기에 대한 관심과 실천 제고 추진방안 기대효과

84 84 4. 분야별 기본계획 자원순환이용 체계 구축 - 폐기물 이용 신재생에너지 활용기반 구축 추진배경 및 필요성 신재생에너지는 온실가스 저감 효과 및 기후변화 대책의 수단으로 각국의 전략사업으로 등장 정부에서도 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최대한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을 추진 기후변화대응 및 고유가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응방안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반 마련 필요 자원회수시설 여열회수 개선사업 추진 폐기물 전처리시설 (MBT) 설치 추진 음식물류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가스 생산 폐식용유 바이오 디젤 시범 사업 추진 폐기물로부터 전력 및 열 생산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확보 전력 및 열 공급을 통한 주민 복지 및 경제적 이득 창출 추진방안 기대효과 [ 폐식용유 바이오 디젤 ] [ 소각여열 회수처리 시설 예시 ]

85 85 4. 분야별 기본계획 유해화학물질 관리현황 구 분구 분 계제조업판매업 보관 · 저장업 운반업사용업비고 전국 6,3815143,6741152641,814 경기도 1,6431429323930500 안산시 3314313513149 공단내 26043671-149 경기도 공단외 71-68-3- 안산시 * 2009 년 기준 2009 년 기준 안산시 유독물영업자 등록수는 331 개소 경기도 유독물 업체의 20% 차지 유독물영업자의 78% 가 반월 · 시화산업단지 ( 스마트허브 ) 내에 위치

86 86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웰빙 및 삶의 질을 고려한 소비생활 등으로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관심 증대 신화학물질관리제도 (REACH) 도입에 따른 적극적 대응방안 마련 필요 지역적 차원의 화학물질관리 실천계획 수립 요구 문제점 및 개선과제 유해화학물질 관리 전문성 및 관리역량 강화 유해화학물질 배출실태 및 DB 구축 유해화학물질 정보 체계 구축

87 87 4. 분야별 기본계획 “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유해화학물질의 사용량 및 배출량 증가  유해화학물질 관련 사고 및 노출 위험성 증가  유해화학 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 증대  유해화학물질의 사용량 및 배출량 증가  유해화학물질 관련 사고 및 노출 위험성 증가  유해화학 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 증대 향후 전망  사전예방을 위한 유해화학물질 관리 체계 구축  유해화학물질 관리 전문성 및 관리역량 강화  사전예방을 위한 유해화학물질 관리 체계 구축  유해화학물질 관리 전문성 및 관리역량 강화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업

88 88 4. 분야별 기본계획 유해화학물질 관리기반 및 대응체계 구축 - 유해화학물질관리의 전산화 및 공간화 추진배경 및 필요성 행정정보의 전산화가 강화되는 추세에 발맞추어 유해화학물질 관련 정보를 DB 화하고 GIS 를 연계한 관리정보체계 구축을 통한 유해화학물질 관리행정 효율 증진 요구 유해화학물질 및 유독물 등록 업소 대상 유해화학물질 배출실태 조사 생활주변에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 현황 조사 GIS 를 활용한 유해화학물질 관리 시스템 구축 ( 대기, 수질, 폐기물 분야와 통합정보 체계 구축 ) 유해화학 물질의 안전한 관리 및 신속한 사고대처와 예방 가능 관련분야 통합관리에 의한 환경관리 행정효율 증대 추진방안 기대효과

89 89 4. 분야별 기본계획 유해화학물질 관리역량 강화 - 전문인력확보 및 교육강화 추진배경 및 필요성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REACH 제도 ) 의 도입 등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관리체계 강화로 인한 적극적 대응능력 요구 생활 환경 속에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사고 등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 증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위험성, 사고발생시 대처방안 등에 대한 교육 미흡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를 대상으로 한 정기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실시 유해화학물질 관리 및 교육을 담당하는 관련 공무원의 업무능력 강화 시민대상 유해화학물질 위험성 교육 강화 전문성 제고를 통한 유해화학물질 관리 선진화 사전예방의식 확립 및 시민들의 유해화학물질 관심 증대 추진방안 기대효과

90 90 4. 분야별 기본계획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소비현황

91 91 4. 분야별 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 설치현황 구 분구 분 설치지역설비용량설치일비고 공공부문 태양광 육도 95 ㎾ 2001.5 월 준공 안산시 시 청사옥상 72 ㎾ 2005.12 월 준공 사회복지시설태양광 175 ㎾ 2009, 2010 하수처리장, 안산정수장 97 ㎾ 2010 경수중학교, 선부초등학교 100 ㎾ 2010 한전 옥상 17 ㎾ 2007.12 월 준공한 전한 전 상록경찰서 옥상 28 ㎾ 2006.12 월 준공 경찰서 태양열 안산 공고 태양열설비집열기 20 매, 집열판 60 ㎡ 2006.12 월 준공 교육청 초지, 군자사회복지관온수설비 276 ㎥ 2010 안산시 지 열지 열 상록수 보건소 50RT2007.7 월 준공 안산시 연료전지 농업기술센터 1㎾1㎾ 2008.10 월 준공 안산시 안산식물원 2㎾2㎾ 2009.11 월 준공 조 력조 력 안산 시화호 조력발전소 254 ㎿ 2011 수자원 공사 풍 력풍 력 시화호 풍력발전소 3㎿3㎿ 2010.9 월 준공 예정 누에섬 풍력발전소 2.25 ㎿ 2009. 12 월 준공 안산시 민간부문 태양광 명휘원 50kw2006 안산도시개발 50kw2006 태양광주택 144.47kw2005 ~ 200910 년 14 가구 풍 력풍 력 안산도시개발 10kw2006

92 92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에너지 소비량 증가 전망 문제점 및 개선과제 지역에너지 통계자료 등 기초 DB 부족으로 에너지관리 대응력 저하 효율적 에너지관리를 위한 상위기관과의 연계계획 수립 및 실천 필요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한 다양한 사업발굴 및 제도적 기반구축 필요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을 통한 에너지생산 및 경제적효과 창출 가능

93 93 4. 분야별 기본계획 “ 지속가능한 에너지 순환체계 구축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에너지 소비 증대  신재생에너지 설치 보급 확대에 따른 지자체 에너지 생산 및 에너지 수입 대체효과 증대 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에너지 소비 증대  신재생에너지 설치 보급 확대에 따른 지자체 에너지 생산 및 에너지 수입 대체효과 증대 향후 전망  에너지 절약형 선진도시 실현  신재생에너지 및 미활용에너지 보급 확대  에너지 절약형 선진도시 실현  신재생에너지 및 미활용에너지 보급 확대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항 지역 에너지관리 계획 수립 지역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에 대한 타당성 조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기반 구축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기반 구축 에너지 및 자원절약 홍보 및 교육 지속가능한 에너지관리 교육 및 전문인력 양성 시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교육 강화 시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교육 강화

94 94 4. 분야별 기본계획 효율적인 에너지관리 기반 구축 - 지역에너지 관리계획 수립 추진배경 및 필요성 지역특성을 감안한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에너지정책 추진 및 효율 극화가 요구 지역 주민의 복지 증진 및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지역단위의 에너지계획 수립 필요 지역 에너지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지역에너지 수급구조 분석 및 전망 신재생에너지 및 미활용에너지 이용보급 분석 지역단위 정책과제 도출, 지역 에너지관리 계획 수립 정책연구 및 실행계획 작성 · 수립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기반 구축 에너지 소비절약형 선진 에너지도시 구축 추진방안 기대효과

95 95 4. 분야별 기본계획 시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교육 강화 - 지속가능한 에너지 관리교육 및 전문인력 양성 추진배경 및 필요성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지역의 지속적인 에너지관리 교육과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가 필요 에너지관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주기적인 교육 및 평가 실시 지역대학과 협력하여 해외 우수기관의 전문인력 초빙 및 기반 확충 지역 내 에너지관리 우수 교수 및 연구자에 대한 연구지원 및 평가 시스템 구축 운영 에너지관리 분야의 지역 전문 인력풀 확충 에너지관리 분야의 저변 확대 및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구축 추진방안 기대효과

96 96 4. 분야별 기본계획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온실가스 총 배출량 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2007 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8,657 천톤 / 년이며 공공부문 증가율이 15.7% 로 가장 높음 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 산업 (65%) > 수송 (13%) > 가정 (11%) > 상업 (9%) > 공공 (2%)

97 97 4. 분야별 기본계획 전망 온실가스 배출량 지속적 증가 전망 - 2020 년 온실가스 예상 배출량은 11,993 천톤으로 2007 년 대비 3,388 천톤 증가예상 - 연평균 증가율 (2008 ∼ 2020 년 ) 은 2.1% 로 전망 - 2020 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산업 55%, 수송 13%, 가정산업 21%, 폐기물 11% 차지 문제점 및 개선과제 도시개발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하나 흡수원은 지속 감소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적극적인 추진 경기도와 기후변화 적응 협조체제 구축을 통한 기후변화 선적응 기후변화 대응에 시민들의 참여 유도

98 98 4. 분야별 기본계획 “ 시민참여형 기후변화 대응 선진도시 구현 ” 향후전망과 기본방향  지자체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  생활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파급효과  지자체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  생활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파급효과 향후 전망  기후변화 정책 및 실천내용 사업 우선성  주체별 자율적 의지 각성 및 활성화  기후변화 정책 및 실천내용 사업 우선성  주체별 자율적 의지 각성 및 활성화 기본 방향 비전 추진목표와 세부사업 기후변화 조례 등 법적, 제도적 정비 온실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GIS 연계) 저탄소 무동력(자전거, 보행 등) 중심의 체계구축 및 활성화 친환경 생활문화 확산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지원 기후변화 대응 기반조성 기후변화 대응 홈페이지 구축 환경인증제 활성화 방안 시민참여 및 홍보 강화

99 99 4. 분야별 기본계획 추진배경 및 필요성 온실가스 배출의 경우 시각적 인지의 어려움이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 인식 및 홍보효과 저하 초래 온실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시민 의식 전화 및 홍보효과, 실천력 증진 필요 통계시스템과 GIS 와의 연계를 통한 온실가스 관리시스템 구축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인벤토리 관리 활동자료 DB 관리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기후변화 대응 인식강화 및 홍보효과 창출 구역별 온실가스배출량 분석 및 연차별 성과분석에 기초자료로 활용 추진방안 기대효과 [GIS 연계 모니터링 시스템 예시 ] ( 샌프란시스코 Eco Map) 기후변화 대응 기반 조성 – 온실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GIS 연계 )

100 100 4. 분야별 기본계획 기후변화 대응 기반 조성 –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지원 추진배경 및 필요성 안산시 제조업의 대부분이 중소기업으로서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이 어려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하여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지원이 절실히 요구됨.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지원 시스템 구축 -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 전담조직 구성 ∙ 중소기업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지원 - 중소기업 온실가스 배출현황 DB 구축 - ESCO 사업 연계 시스템 구축 - 중소기업 기후변화 대응 교육 및 홍보 에너지관리 분야의 지역 전문 인력풀 확충 에너지관리 분야의 저변 확대 및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구축 추진방안 기대효과

101 101 4. 분야별 기본계획 추진배경 및 필요성 환경인증제도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가 낮아 환경인증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홍보 필요 활성인증제도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 필요 시민들을 대상으로 환경인증제 및 기후변화에 대한 홍보 강화 - 홍보 책자 제작 및 배포 환경인증제도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중장기발전방안 수립 - 환경인증제도 추진성과 평가, 향후 발전계획 수립 환경인증제도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한 기후변화대응 선도도시 이미지 구축 분야별 실천계획 제공을 통한 시민참여 활성화 추진방안 기대효과 시민참여 및 홍보강화 – 환경인증제 활성화 방안 [ 기후변화 홍보책자 내용구성 예시 ]

102 5_ 기타분야별 기본계획 01_ 환경행정체계 개선 02_ 시민환경의식 강화 및 참여 활성화 03_ 환경계획의 공간화 및 전산화

103 103 5. 기타 분야별 기본계획 안산시 환경행정체계 개선방향 통합적 관리 기반 마련 ( 안산시 행정계획 요소중 중요 요소만을 반영 ) 기후변화대응관련 업무체계 강화 ( 기후변화대응 전담부서 신설 검토 ) 환경재단 운영 관련 업무 재편 ( 중복업무 배제 및 효율적 운영 위한 부서 일원화 ) 광역적인 환경정책 수립 ( 인근 지자체의 환경정책과 연계 ) 산업단지 ( 스마트허브 ) 환경관련 업무체계 개선 ( 지역중심에서 업무중심으로 배분 )

104 환경교육 개선 민간참여 활성화 104 5. 기타 분야별 기본계획 시민참여확대 및 환경거버넌스 체계 활성화 환경 시범학교 운영 현장견학 등 실적위주의 행사 지양 시범학교 우수사례 발굴 · 보급하여 환경 교육의 일반화 도모 현장체험 환경교육 프로그램 육성 흥미위주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형태의 현장 체험위주 교육실시 지역환경단체와 연계를 통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추진 안산의제 21 과 푸른경기 21 의 상호 협력체계 강화 에버그린 21 을 중심으로 기관별 추진사 업의 특성화 및 연계 추진 단체간 연계성 확보 안산의제 21 분과위원화 활성화 분야별 시민 활성화 방안 수립 환경인증기업 및 참여기업 우선지원 기업의 지역사회활동 참여유도

105 105 5. 기타 분야별 기본계획 안산시 환경정보화 현황 대부분 일반 현황정보 제공수준으로 포괄적 환경분석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Data 로서의 활용 미흡 안산시민들만을 위한 환경정보 서비스 부족, 환경정보센터 기능 불충분

106 106 5. 기타 분야별 기본계획 GIS 를 이용한 환경정보 전산화 GIS 를 이용한 환경지도 및 DB 활용 GIS 를 이용한 안산시 환경지도 활용 GIS 를 이용한 환경실태분석 활용 환경 모델링 기존 분석 모델링 + GIS 정보시스템 → 각 환경분야의 예측 현황을 시각적으로 제공 의사결정에 용이 EIS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환경 행정의 생산성 향상 및 환경정책 의사결정의 과학화 → 환경정보의 공개를 통한 국민들의 환경정책에 대한 신뢰성 확보에 도움이 됨 통계자료, 행정 DB 와 연계하여 visual 한 도시정보의 서비스 제공 환경정책 의사결정 시스템의 개발 정책결정시 공간분석기능을 활용하여 여러 복수대안을 개발하고, 최적대안을 선정하는데 활용 특정주제에 대한 전문가가 작성한 주제도 제공

107 6_ 사업추진계획 01_ 단계별 투자계획 02_ 재원조달 방안 03_ 로드맵

108 108 6. 사업추진계획 분야별 사업 예산 구분 예산 ( 백만원 ) 비율 (%) 자연환경 36,9907.4 수환경 76,41015.3 토양 · 지하수환경 2,3700.5 대기환경 353,03070.7 소음 · 진동관리 10,6202.1 폐기물관리 14,9503.0 유해화학물질관리 9000.2 에너지관리 1,1100.2 기후변화대응 2,6800.5 소계 499,060100 9 개 분야에 대한 총 세부사업은 70 개로 이에 소요되는 10 년간 사업비는 연간 약 499 억원 정도임 분야별 사업예산은 대기환경, 수환경, 자연환경 순임.

109 109 6. 사업추진계획 단계별 사업 예산 분야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계 자연환경 3,8504,3204,0203,500 3,600 36,990 수환경 6,4607,250 7,1007,6007,850 8,350 76,410 토양 · 지하수 환경 70500150 300450200 2,370 대기환경 34,89035,16035,05034,92035,36035,24035,39035,74035,69035,590353,030 소음 · 진동 · 악취 · 실내공기질 1,053 1,063 1,073 10,620 폐기물 관리 1,3201,0701,6208701,8201,450 1,950 14,950 유해화학물질 관리 6021060 21060 900 에너지 관리 1303023040 15035050 1,110 기후변화 대응 21084061066010210106010602,680 총 예산 48,04350,43350,04348,35349,60349,71350,07350,88350,98350,933499,060

110 110 6. 사업추진계획 단위사업 예산 편성 각 분야별 사업비 투자는 국비 17.3%, 도비 11.3%, 시비 21.8%, 기타 49.5% 로 구성됨 국비 및 경기도 지원부담액을 더 확보하는 노력에 따라 실제 안산시의 부담재원을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분야 소요예산 ( 백만원 ) 국비도비시비기타계 자연환경 16,9637,96412,064-36,990 수환경 10,10017,05049,260-76,410 토양 · 지하수 환경 -3751,995-2,370 대기환경 53,45026,97728,603244,000353,030 소음 · 진동 · 악취 · 실내공기질 -2,2175,1043,30010,620 폐기물 관리 5,7001,9507,300-14,950 유해화학물질 관리 --900- 에너지 관리 --1,110- 기후변화 대응 --2,680- 총 예산 86,21356,532109,015247,300499,060

111 111 6. 사업추진계획 1. 기본방향 2. 추진과제 지역내 국가시행 투자사업 적극 유치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 중앙부처 및 정부 투자기관의 지역내 투자사업의 적극유치  범시민적 공감대 형성을 통한 투자유치의 체계적 전략 수립  오염자부담원칙에 대한 철저한 시행 및 확대  예산절감시책 및 경영수익 사업 발굴 및 확대 친환경적인 전략사업에 대한 투자액은 안산시가 주도적으로 확보하도록 하며, 확보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방안 수립 환경부의 국고보조사업 지원계획을 통해 환경보전사업 재원확보 방안 강구

112 112 6. 사업추진계획 민자사업 유치방안 강구  공익성을 지닌 민자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민자사업 유치에 따른 혜택과 제도개선 등에 필요한 편의 도모  친환경적 추진사업에 기업체 참여 유도 및 그에 따른 혜택 부여방안 강구  도시기반시설 ( 도로 등 ) 의 건설에 따른 수익자 부담금제에 대한 개발이익 환수방안 강구 2. 추진과제 국제 환경단체와 협력사업 강화  국제 환경단체의 정책 실현을 위한 체계적인 전략 수립  UNEP, ICLEI 등과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을 통한 지원 강화

113 113 6. 사업추진계획  투자금액의 적정산출 및 집행으로 투자대비 효율성 증대  투자 우선 순위계획 및 개발우선 순위 결정 기준 수립 가. 투자계획 - 각 분야별 전략사업 추진 나. 투자순위 결정 대상 사업 기준 - 사업의 파급효과 - 주민 숙원도 - 주민 수혜도 - 재원조달방법 - 사업추진 준비 상태 3. 투자계획 및 사업순위 결정 기본방향 주요 투자계획 및 순위결정

114 114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도시공원 · 녹지체계 확립 거점녹지 기능의 확충 200 불투수 지역의 녹화 등 녹화사업 확장 100200300 미조성 공원녹지 활성화 및 도심공원 재생사업 2,500 2,600 도시생태체계 확립 천변 생물 서식처 확보 및 수 ( 水 ) 요소를 도입한 공원 확충 500 악취저감 수림대 확보 650620 100 녹색인프라조성 녹색교통 거점 및 시스템 구축 100 자연생태축과 도심녹지축 연결 200 자연환경분야 사업비 소계 (36,990) 3,8504,3204,0203,500 3,600 자연환경 분야

115 115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도시공원 · 녹지체계 확립 거점녹지 기능의 확충 200 불투수 지역의 녹화 등 녹화사업 확장 100200300 미조성 공원녹지 활성화 및 도심공원 재생사업 2,500 2,600 도시생태체계 확립 천변 생물 서식처 확보 및 수 ( 水 ) 요소를 도입한 공원 확충 500 악취저감 수림대 확보 650620 100 녹색인프라조성 녹색교통 거점 및 시스템 구축 100 자연생태축과 도심녹지축 연결 200 자연환경분야 사업비 소계 (36,990) 3,8504,3204,0203,500 3,600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선진 물관리대책 추진 연안수질오염총량제 도입을 위한 대응체계 구축 150 수질측정망 확충 및 TMS 구축 60300 500 국제물캠페인 참여를 통한 하수처리시설 최적화 50 오염원관리 강화를 통한 수질개선 체계적인 점오염원 관리 및 하수처리시설 최적화 3,000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수립 및 지속추진 200500 생태계가 살아있는 물환경 조성 100 건전한 물순환체계 구축 빗물관리 시스템 정착 및 빗물이용시설 확대 1,000 1,500 2,000 하수처리수 재이용 확대 2,000 참여형 물관리 행정 구현 시민참여형 물관리 행정 구현 50 100 시민이 참여하는 물수요관리 시스템 구축 100 수환경분야 사업비 소계 (76,410) 6,4607,250 7,1007,6007,850 8,350 수환경 분야

116 116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토양환경관리 기반 구축 토양환경관리기본계획 수립 100 토양환경보전 및 복원을 위한 교육 · 홍보 20 토양오염 실태조사 효율화 및 모니터링 강화 50 100 토양환경 보전 및 복원 자율적 토양오염관리 프로그램 운영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놀이터 조성 50 지하수환경관리 기반 구축 지하수 기초조사 실시 100 지하수관리 기본계획 수립 150 지하수오염 예방 및 관리 방치공 ( 폐공 ) 관리 대책 수립 30 지하수관련 유관업무의 통합체계 구축 토양 · 지하수환경 분야 사업비 소계 (2,370) 70500150 300450200 토양 · 지하수환경 분야

117 117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대기환경 관리체계 구축 반월 · 시화산업단지 대기환경 특별관리 대책 추진 15,000 15,200 15,000 15,200 15,000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및 전광판 확충 200 300 500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 및 DB 구축 100 대기오염 예경보 시스템 보완 20 50 PM-2.5 저감 관리방안 수립 100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관리강화 산단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 총량제 검토 50 100 특정대기유해물질 (HAPs) 관리 방안 50 100 중소형 배출 시설 관리 강화 9,430 9,450 바이오 연료 등 친환경 에너지의 사용 확대 100 150 이동배출원 관리 강화 천연가수 (CNG) 시내버스 보급사업 확대 300 500 운행차 저공해화 사업 9,840 운행차 배출가스 관리제도 개선 20 30 50 대기환경 분야 사업비 소계 (353,030) 34,89035,16035,05034,92035,36035,24035,39035,74035,69035,590 대기환경 분야

118 118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환경친화적인 소음 · 진동 관리 교통 소음 · 진동 관리 규제지역 지정 및 관리 강화 30 환경친화적인 방음시설 확충 및 보완 150 악취저감 관리체계 구축 과학적인 악취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운영 430 사업장 악취 저감 투자확대 유도 403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실내공기질 관리대상 확대 및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30 40 50 실내유해물질 관리 강화 10 소음 · 진동 · 악취 · 실내공기질관리 분야 사업비 소계 (10,620) 1,053 1,063 1,073 소음 · 진동 · 악취 · 실내공기질 관리 분야

119 119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자원순환 혁신도시 기반 구축 폐기물관리 유비쿼터스 체계 구축 450 생활계 유해폐기물 및 소량배출 유해폐기물 관리체계 구축 50 폐기물 처리시설 최적화 및 효율화 500 1,000 1,500 폐기물 관리 주체간 파트너쉽 구축 폐기물 감량화 및 재활용활성화 폐기물 감량화 프로그램 및 인센티브제 도입 50 음식물류폐기물 처리다변화 시범사업 추진 200300 재활용품 수거 · 판매체제 개선 및 강화 20 녹색구매 활성화 자원순환이용 체계구축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EPR) 정착 폐기물 이용 신재생에너지 활용기반 구축 200 280 도시광산 등 순환자원이용 활성화 체계 구축 50 폐기물 관리 분야 사업비 소계 (14,950) 1,3201,0701,6208701,8201,450 1,950 폐기물 관리 분야

120 120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유해화학물질 관리기반 및 대응체계 구축 유해화학물질 관리의 전산화 및 공간화 150 유해화학물질 사고 대응체계 구축 관리대상 사업장 확대 유해화학물질 관리역량 강화 전문인력 확보 및 교육강화 30 유해화학물질 정보전달체계 구축 30 유해화학물질 관리 분야 사업비 소계 (900) 6021060 21060 유해화학물질 관리 분야

121 121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기반 구축 지역 에너지관리 계획 수립 200 300 지역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에 대한 타당성 조사 100 시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교육 강화 에너지 및 자원절약 홍보 및 교육 10 지속가능한 에너지관리 교육 및 전문인력 양성 20 30 40 에너지 관리 분야 사업비 소계 (1,110) 1303023040 15035050 에너지 관리 분야

122 122 6. 사업추진계획 분야세부사업 연도 ( 백만원 )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기후변화 대응 기반조성 기후변화 조례 등 법적, 제도적 정비 온실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GIS 연계 ) 200600 저탄소 무동력 ( 자전거, 보행 등 ) 중심의 체계구축 및 활성화 150 친환경 생활문화 확산 10 시민참여 및 홍보 강화 기후변화 대응 홈페이지 구축 30 환경인증제 활성화 방안 50 기후변화 대응 분야 사업비 소계 (2,680) 2108406106601021010601060 기후변화 대응 분야

123


Download ppt "2012. 1.. 목 차 과업의 개요 1 2 현황조사 및 분석 3 환경비전 및 지표설정 4 분야별 기본계획 5 기타분야별 기본계획 6 사업추진계획."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