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가정과 행복 이정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우리는 행복한가 ( 한길사 ). 목차 서론 소득과 행복 행복의 역설 문제의 제기 행복의 기반 붕괴 혼외출산과 미혼모 문제의 시사점 동거 문제의 시사점 높은 이혼율의 시사점 건강한 가정 건강한 가정의 육성 결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가정과 행복 이정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우리는 행복한가 ( 한길사 ). 목차 서론 소득과 행복 행복의 역설 문제의 제기 행복의 기반 붕괴 혼외출산과 미혼모 문제의 시사점 동거 문제의 시사점 높은 이혼율의 시사점 건강한 가정 건강한 가정의 육성 결론."— Presentation transcript:

1 가정과 행복 이정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우리는 행복한가 ( 한길사 )

2 목차 서론 소득과 행복 행복의 역설 문제의 제기 행복의 기반 붕괴 혼외출산과 미혼모 문제의 시사점 동거 문제의 시사점 높은 이혼율의 시사점 건강한 가정 건강한 가정의 육성 결론

3 서론 우리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들 : 소득, 가정의 화목, 기타 ◇핵심주장 주장 1: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면 소득보다는 가정의 화목이 우 리의 행복에 더 중요해진다. 주장 2: 건강한 가정은 각 개인을 행복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를 살기 좋게 만들고 우리 경제를 활성화하는 기반시설이다. 그러므로 가정문제는 당사자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이해 관계가 걸린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 모두가 깊은 관심을 가지고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문제이다.

4 행복의 요인 행복 가정 소득 기타 1. 행복에 대한 ; 소득의 기여 < 가정의 기여 2. 건전한 가정은 사회기반시설

5 소득과 행복 미국의 예 1

6 미국의 예 2

7 행복관련 주요 지표의 동반하락 결혼생활 만족도 ↘ 직장생활 만족도 ↘ 주거환경 만족도 ↘ “ 물질적 풍요가 역사상 최고에 이르렀지만, 인생의 허무함 을 느끼는 사람의 수 역시 최고에 이르렀다.” 엘 고어 (2007 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

8 일본의 예 ( 자살 사망률이 교통사고 사망률보다 높은 나라 )

9 독일의 예

10

11 행복한 나라와 불행한 나라 A 그룹 : 잘 살면서 행복한 나라 네델란드, 북구의 나라, 스위스, 미국 B 그룹 : 못 살면서 행복한 나라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베트남, 필리핀 C 그룹 : 못 살면서 불행한 나라 불가리아, 짐바브웨, 파키스탄 일본과 우리나라

12 경제성장 효용체감의 법칙 ( ※소득과 건강 )

13 행복의 역설 ◇ 선진국의 실상 소득수준의 향상이 국민을 더 행복하게 하지는 않는 현상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측됨 → 행복의 역설 ◇행복의 역설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 지난 반세기행복에 대한 연구의 홍수 ; 자연과학자들이 주도 이스털린 (Easterlin) 의 연구 개인소득의 증대 → 개인의 행복 국민소득의 증대 → ⅹ국민의 행복 후속이론들 이스털린의 역설을 일부 부정 개인소득의 증대 → ⅹ개인의 행복 새로운 개념들 결별점 (Decoupling Point), 적응 ( 습관화 ), 포부형성

14 ⊙상대성 이론 소득수준의 향상 → 남과의 비교가 심해짐 실험 1: 다음 두 가지 중 어느 것을 선호 ? 선택① : 당신의 월급은 400 만원이고 다른 모든 사람의 월급은 800 만원인 상황 선택② : 당신의 월급은 200 만원이고 다른 모든 사람의 월급은 100 만원인 상황 ☞ 다수가 ② 선택 [ 나의 소득 증가, 남의 소득 증가 ] → ⅹ 행복 ↑ ⇒ 1 인당 국민소득 증가 → 국민의 행복감 불변

15 상대성 이론의 사례들 (1)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와 동메달리스트 (2) 구 동독 국민의 행복지수 ⇒소득, 소비의 영역 : ‘ 남과의 비교 ’ 가 유난히 심함 남과의 비교 : 행복감을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 우리의 현실 ( 선진국의 현실 ) [ 소득수준 ↑, 경쟁의 격화 ] → 남과의 비교가 점점 더 중요 경쟁격화 → 스트레스 : 불행의 주된 요인 지위재의 비중 증가 : Luxury Fever, “ 사치의 나라 ”, 사교육 열풍 ☻ 행복의 비결 : 남과 나를 자꾸 비교하지 말라

16 ⊙물질적 행복 포화이론 ◇행복의 종류 √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 특징 : 한계효용체감현상 √ 돈으로 살 수 없는 행복 사랑, 우정, 화목, 존경, 명예 등 특징 : 한계효용체증의 현상 ◇선진국 사회 :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이 포화상태 에 이름 ☞행복의 역설을 설명

17 문제의 제기 ◇선진국에 대한 질문 왜 달은 보지 않고 손가락만 보는가 ? ◇우리 사회 : 선진국으로 돌진하는 사회 금전적․물질적 목표를 중심으로 짜여진 사회 2007 년 참여정부 국정목표 : 1 인당 국민소득 2 만 불 비전 2030, : 2030 년까지 5 만 불, 세계 제 8 위 경제대국, 생활의 질 10 위 (2007 년 현재 40 위 ) 질문 : 2 만 불 선을 넘어서면 어떻게 되는가 ? 소득증대 → 생활의 질 ↑ → 행복 ? ◇ 경제성장에 대한 반성 경제성장의 득과 실 계산 → Smart Growth ◇소득과 소비에 대한 집착 → 행복의 기반 파괴

18 행복의 기반 붕괴 미국 사회의 비관적 변화 (1960-1990) ✓ 이혼율이 두 배 늘었다. ✓ 10 대 자살률이 세 배 늘었다. ✓ 공식 기록된 폭력범죄가 4 배 늘었다. ✓ 감옥소에 수용되어 있는 죄수의 수가 5 배 늘었다. ✓ 미혼모가 낳는 신생아의 비율이 6 배 늘었다. ✓ 동거부부가 7 배 늘었다. ✓ 우울증이 2 차 대전 전에 비해서 10 배 늘었다. ⇒ 선진국 사회의 뒤안길 [ 이혼율, 미혼모, 동거부부 ] ⇒ 가정과 관련된 문제 ↓ [ 범죄, 자살, 우울증 ] 가정해체 : 미국사회의 기본을 파괴

19 아이가 아이를 낳는 문제 ◇혼외출산의 만연 2000 년 미국 신생아 3 명 중 1 명, 스웨덴 신생아 10 명 중 7 명 ( 특히 미혼모의 출산이 급증 ) 혼외출산율과 폭력범죄율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 ◇미혼모가 낳은 아이의 대부분 : 원치 않는 아이 “ 원치 않는 출생처럼 아이에게 나쁜 것은 없다.” 미혼모가 낳은 아이들이 범죄를 저지를 확률, 월등히 높음. ◇미국의 범죄율 추이 90 년대 초반까지 급격하게 상승, 그 이후 급격히 하락 질문 : 왜 갑자기 하락하였는가 ? 전통적인 이론으로 충분히 설명이 안됨

20 ◇레빗과 도나휴의 연구 낙태의 합법화가 미국의 범죄율을 낮춘 주된 요인임을 밝힘 통계자료 : 낙태를 합법화한 미국 5 개 주에서 15 년 후 범죄율이 급격히 감소 레빗과 도너휴의 논리 “ 원치 않는 출산은 높은 범죄율의 원인이 된다.” “ 낙태는 원치 않는 출산을 줄여준다.” “ 그러므로 낙태는 낮은 범죄율의 원인이 된다.” ⇒ 미혼모의 문제와 범죄율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 입증 ※레빗과 도너휴의 연구에 대한 도덕적 비난 ◇자유화의 후유증 섹스의 자유화 → 개인의 자유 증진 섹스의 자유화 → 혼외출산, 미혼모, 높은 이혼율 → 높은 범죄율 범죄 : 개인의 자유에 대한 가장 큰 위협 개인자유 증진 → 가정해체 → 범죄증가 → 개인자유 침해

21 동거의 문제 동거는 이혼율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가 ? 답 : 아니다 거의 대부분의 동거생활이 결혼에 이르지 못함. 동거과정을 거쳐 결혼한 부분의 이혼율이 더 높음. 동거는 결혼보다 더 행복한가 ? 답 : 아니다 동거부부의 행복지수 < 결혼부부의 행복지수 동거부부 : 언제라도 헤어질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 혼인에 대한 책임감 (commitment) 의 문제 동거 자녀들의 불행

22 생각보다 큰 이혼의 후유증 “ 인생은 길어지는데 사랑은 짧아진다.” ◇불행한 어른들, 상처 받는 아이들 이혼 전에는 스트레스, 이혼 후에는 고민 ( 가난 ) 과 우울증 월등히 높은 우울증 확률, 높은 자살률 “ 이혼은 다리를 하나 잘리는 것과 같다.” 편부모의 자녀 : 높은 범죄율 (Magic Number 70%) 10 대 가출 청소년의 70%, 청소년 살인범의 70%, 장기 복역수의 70% → 편부모 가정의 자녀들 ◇높은 이혼율 →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 이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 → “ 수 틀리면 언제라도 헤어진다 ” → 가정유지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함 → 불화와 갈등 증폭

23 선진국 사회의 교훈 1. 건강한 가정 → 개인의 행복 “Big Five” (U.S. General Social Survey) ➀가족관계 ➁재정상태 ➂일 (work) ➃공동체 (community) 와 친구 ➄건강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이 첫 번째임 2. 건강한 가정 → 건강한 사회 ( 살기 좋은 사회 ) 3. 건강한 가정 → 사회적 자본 → 경제활성화 사회적 자본 : 상호신뢰 하에 협동하는 능력 혹은 인간관계망 가정은 이타심과 신뢰의 산실 ⇒ 건강한 가정은 사회기반시설

24 건강한 가정의 육성 ◇긍정심리학의 시사점 ▪ 정상적인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행복을 위한 지식을 생산 ⇒정상적인 가정을 연구하고 육성할 필요성 ▪ 행복해질 수 있는 능력, 그 능력은 기르기 나름 ◇가정교육의 목표 : 행복해질 수 있는 능력의 함양 ▪ ‘ 생산기술 ’ 보다는 ‘ 생활기술 ’ 을 가르쳐라 ※사교육의 문제 ▪ ‘specialist’ 보다는 ‘generalist’ 를 ◇가정에 대한 강한 commitment 의 함양 타산적 결혼관 : 가정은 상호이익 도모의 장소 낭만적 결혼관 : 가정은 베품의 장소

25 맺는 말 행복을 의무로 삼는 사회 행복한 사람 : 남을 더 잘 배려, 더 협동적, 더 많은 봉사활동, 더 많은 기부 불행한 사람 : 그럴 마음의 여유를 갖지 못함 ⇒ 사회구성원 각각이 행복 → 더 좋은 사회 “ 행복은 개인의 권리이자 의무 ” ⇒건강한 가정을 유지할 권리와 의무 개인의 행복추구 한계 → 사회적 ( 국제적 ) 공조 필요

26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가정과 행복 이정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우리는 행복한가 ( 한길사 ). 목차 서론 소득과 행복 행복의 역설 문제의 제기 행복의 기반 붕괴 혼외출산과 미혼모 문제의 시사점 동거 문제의 시사점 높은 이혼율의 시사점 건강한 가정 건강한 가정의 육성 결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