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경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1161015 최혜정 발표일 : 2012.10.11. 목 경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1161015 최혜정 발표일 : 2012.10.11. 목.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경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1161015 최혜정 발표일 : 2012.10.11. 목 경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1161015 최혜정 발표일 : 2012.10.11. 목."— Presentation transcript:

1 경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1161015 최혜정 발표일 : 2012.10.11. 목 경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1161015 최혜정 발표일 : 2012.10.11. 목

2

3 훈민정음의 제정에 따라 조선조의 대표적 시가 양식 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유학자들 사이에서는 ' 충의 이념 ' 을 노래한 작품이 주 류를 이루었으며, 사상적 기반은 성리학이었다. 이 시기의 시조는 시대별로 다양한 미의식을 보여 주 었다.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을 둘러싼 충절을 노래한 시조와 옛 시절을 회고한 시조가 나타났다. 수양대군에 의한 계유정난을 전후해 사육신을 비롯 한 지식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드러낸 내용을 읊었다.

4 간밤에 불던 여흘 - 원호 간밤에 우던 여흘 슬피 우러 지내여다. 이제와 생각하니 님이 우러 보내도다. 져 물이 거스러 흐르고져 나도 우러 녜리라. 간밤에 불던 여흘 - 원호 간밤에 우던 여흘 슬피 우러 지내여다. 이제와 생각하니 님이 우러 보내도다. 져 물이 거스러 흐르고져 나도 우러 녜리라. ⇒ 연군가, 절의가 가마괴 눈비 마자 - 박팽년 가마괴 눈비 마자 희는 듯 검노라 夜光明月 ( 야광 명월 ) 이 밤인들 어두오랴 님 向 ( 향 ) 一片丹心 ( 일편 단심 ) 이야 變 ( 변 ) 줄이 이시랴 가마괴 눈비 마자 - 박팽년 가마괴 눈비 마자 희는 듯 검노라 夜光明月 ( 야광 명월 ) 이 밤인들 어두오랴 님 向 ( 향 ) 一片丹心 ( 일편 단심 ) 이야 變 ( 변 ) 줄이 이시랴

5  시조가 등장하게 된 배경 고려 후기에 이르러 신흥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 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관 념과 주관적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창안된 양식이 라고 한다.  시조는 신라 향가와 고려 가요 ( 속요 ) 의 영향을 받 았다.

6  시조란 ? 고려 말기부터 발달한 한국 고유의 정형시이다.  시조의 명칭 영조 때 가객 이세춘이 ' 시절가조 ' 라는 곡조를 만든 후부터 ' 시조 ' 라 부르게 되었다. 시조란 시절의 노래, 즉 시절가조 ( 時節歌調 ) 의 약칭 으로서 시절가 ( 時節歌 ) · 신조 ( 新調 ) · 시조 ( 詩調 ) 라 고도 하였다.

7 시조의 기본 형식과 종류  시조의 기본 형식과 종류 ① 평시조란 ① 평시조란 시조의 기본형으로 단형시조라 한다. 3 ・ 4 조의 음수율 을 가지고 3 장 6 구 45 자 내외로 이루어져 있으며 4 음보이다. 종장 첫째 구만은 3 음절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② 엇시조란 ② 엇시조란 시조창 ( 時調唱 ) 중의 하나로 일명 중시조 · 반 사설시조 · 농 시조 ( 弄時調 ) · 엇 엮음시조라고도 한다. 이 시조는 평시조와 사 설시조의 중간 형태의 시조이다. ③ 사설시조란 ③ 사설시조란 장시조 ( 長時調 ) 또는 장형시조 ( 長形時調 ) 라고도 한 다. 형식은 초장 ( 初章 ) · 종장 ( 終章 ) 이 짧고, 중장 ( 中章 ) 이 대중없이 길며, 종장의 첫 구만이 겨우 시조의 형태를 지닌다. ④ 연시조란 ④ 연시조란 여러 수의 평시조를 연달아 엮어나간 시조를 말하며 내용상 연결된 2 수 이상의 기본형을 나열한 것을 말한다. 두터비 파리를 물고 - 작자미상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달아 안자 건넌산 바라보니 백송골이 떠 있거늘 가슴이 끔찍하여 풀떡 뛰여 내닷다가 두엄 아래 자빠지거고, 모처럼 날랜 낼싀망정 에헐질 뻔 하괘라. 두터비 파리를 물고 - 작자미상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달아 안자 건넌산 바라보니 백송골이 떠 있거늘 가슴이 끔찍하여 풀떡 뛰여 내닷다가 두엄 아래 자빠지거고, 모처럼 날랜 낼싀망정 에헐질 뻔 하괘라.

8  시조의 특징 형식 : 3 장 6 구, 12 음보, 45 자 내외로 이루어진다. 운율 : 시조의 운율은 외형률로 대부분 음보율로 이 루어진다.  종장의 첫 구는 반드시 3 음절, 둘째 구는 5 음절 이 상으로 이루어진다.

9  시조의 주된 내용 유교적 충의 이념 자연 친화의 강호가도 ( 江湖歌道 ) 도산십이곡 - 이황 도산십이곡 - 이황 유학자들의 심리적 갈등 유교적 윤리관 발랄한 애정 표현

10  시조 3 대 가집 청구영언 ( 靑丘永言 ) 』 : ① 『청구영언 ( 靑丘永言 ) 』 : 1728 년 ( 영조 4). 조선 영조 때의 김천택 ( 金天澤 ) 해동가요 ( 海東歌謠 ) 』 : ② 『해동가요 ( 海東歌謠 ) 』 : 1763 년. 가객 ( 歌客 ) 김수 장 ( 金壽長 ). ③ 『가곡원류 ( 歌曲源流 ) 』 : ③ 『가곡원류 ( 歌曲源流 ) 』 : 1876 년 ( 고종 13). 박효관 ( 朴 孝寬 ) ㆍ안민영 ( 安玟英 )

11  시조의 국문학사적 의의 ①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② 우리말로 노래하여 민족의 주체성을 살림 ③ 고려시대에 형성되어 현대시조로 전승된 전통적 문 학 ④ 양반과 평민 모두가 지었던 국민문학이다. ( 작가층 : 사대부⇒기녀⇒평민 )

12  악장이 등장하게 된 배경 악장은 건국의 성업과 선대 임금의 위업 및 공덕을 기리고 임금의 만수 및 자손의 번성을 송축하기 위하 여 등장하였다. 악장악장

13  악장이란 ? 궁중에서 나라의 공식적 행사에 쓰이는 노래 가사라고 한다.  악장의 명칭 나라의 공식적 행사인 제향 ( 祭享 ) 이나 연향 ( 宴享 ) 혹은 각종 연회 ( 宴會 ) 에 쓰기 위하여 새로 지은 노래 가사들 을 특별히 따로 묶어 시가 장르의 하나로 다루는데, 이 것이 ‘ 악장 ’ 이다. 또한 ‘ 악부 ( 樂府 )’ 라고도 한다. 즉, 조선 이 건국되면서 동양적 통치 관례에 따라 예악 ( 禮樂 ) 을 정비 ( 整備 ) 하게 된다는 것을 말한다. 악장악장

14  악장의 다양성 작품에 따라 속요 · 경기체가 · 시경 ( 詩經 ) · 초사체 ( 楚辭體 )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어 장르로서의 통일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 악장의 작가층 악장의 중심 작가층은 15 세기 조선왕조를 건국하고 그 기틀을 확고히 다져나간 신흥사대부 가운데 핵심 관료 층이다. 정도전, 하륜, 변계량, 권근 ( 權近 ), 윤회 ( 尹惟 ) 등 이 대표 작가이다. 악장악장

15  악장의 언어형식 악장은 언어형식에 따른 표기 체계상의 차이에 따라 한문악장 · 국 문악장 · 현토악장 ( 懸吐樂章 ) 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한문악장 한문악장은 악장의 본래 영역으로서 양적으로나 음악적 비중으 로 중심위치를 차지한다. 정도전 ( 鄭道傳 ) · 하륜 ( 河崙 ) · 변계량 ( 卞季良 ) 이 대표적 작가이 며, 4 언구 중심의 시경체와 장단구 ( 長短句 ) 중심의 초사체가 대 표적 형식이다. 한문악장의 후렴구 형식에서는 정통형식의 악장보다 우리말 시 가인 경기체가나 속요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이 중요하다. 국문악장 국문악장은 한문악장에 비해 작품수가 훨씬 적지만 앞 시기의 고려 속요의 형식을 수용하여 새로운 세계관을 드러내어 기존 장르에 변화를 가져왔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악장악장

16 현토악장 현토악장은 기존의 한시 작품에 우리말 토를 달아 지은 것이 대 부분으로 작품세계의 독자성보다 한시를 국문시가화하는 형태 적 이행의 과정이 주목된다. 현토악장이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훈민정음을 창 제하면서부터이다. 처음에는 이미 한문악장으로 창작된 것들이 나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작품, 혹은 중국의 한시에 현토하는 방 식을 취하다가 뒤에는 순수한 창작의 현토악장으로 발전하기에 이른다. 악장악장

17  악장의 주된 내용 악장의 주된 내용은 고려 후기의 혼란과 모순을 극복 하고 새 왕조의 건설을 이룩한 창업주나 왕업을 찬양 하고, 그들의 성덕을 기리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 새 왕조의 문물제도나 도읍을 찬양하고 과시하며 태평성대와 임금의 은혜를 기리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문체 : 문어체적 성격 시적 정조 ( 詩的情調 ) : 장중함, 외경스러움 양식 : 한시 양식, 경기체가 양식을 집중적으로 선택 표현어법 : 송도적 성격 악장 작품 악장 작품악장악장

18  악장의 성격 악장의 장르적 성격은 ‘ 교술적 서정 ’ 으로 규정할 수 있 다. 그러나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에 이 르러 서사적 모티프를 전면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서사 적 성격까지 통합하는 독특한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 악장의 종류 악장의 종류는 그 용도에 따라 조회 ( 朝會 )· 종묘 ( 宗廟 )· 사 직 ( 社稷 )· 풍운뇌우 ( 風雲雷雨 )· 산천성황 ( 山川城隍 )· 선농 ( 先農 )· 선잠 ( 先蠶 )· 우사 ( 雩祀 )· 문선왕석전 ( 文宣王釋奠 )· 둑제 ( 纛祭 )· 문소전 ( 文昭殿 ) 등과 기타 궁중행사에 부르 던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악장악장 종묘제례악

19 Q&A

20


Download ppt "경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1161015 최혜정 발표일 : 2012.10.11. 목 경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1161015 최혜정 발표일 : 2012.10.11. 목."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