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한국건축사 기초지식 (2) 발굴, 실측, 보수. 발굴의 조사과정 예비조사 발굴도구의 준비 조사 전 상태의 기록과 기준점 설정 조사갱 설치 유구조사 기록 유물수습 및 정리 유구 및 유적에 대한 고찰, 종합 보고서 작성, 발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한국건축사 기초지식 (2) 발굴, 실측, 보수. 발굴의 조사과정 예비조사 발굴도구의 준비 조사 전 상태의 기록과 기준점 설정 조사갱 설치 유구조사 기록 유물수습 및 정리 유구 및 유적에 대한 고찰, 종합 보고서 작성, 발간."—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건축사 기초지식 (2) 발굴, 실측, 보수

2

3 발굴의 조사과정 예비조사 발굴도구의 준비 조사 전 상태의 기록과 기준점 설정 조사갱 설치 유구조사 기록 유물수습 및 정리 유구 및 유적에 대한 고찰, 종합 보고서 작성, 발간

4 발굴의 조사과정 1. 예비조사 - 본격적인 발굴 전에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사 - 문헌조사, 지표조사 등이 이에 해당 - 예비조사 후 충분히 신중을 기해 발굴을 계획하고 실행 - 발굴은 그 이면에 유적 파괴가 필연적으로 수반 - 발굴의 특성상 완벽한 계획과 고도의 기술이 동반하더라도 원상 회복 - 발굴에 임하는 자는 그 유적이 지닌 학술적 문화적 가치에 책임져야 함

5 발굴의 조사과정 2. 발굴 도구 준비 - 땅을 파는 도구, 유물을 정리, 분류하는 도구 등 다양한 장비 필요 - 발굴기재, 운반기재, 측량기재, 사진기재, 기록기재, 채집, 수납기재, 정리기재, 분석 연구기재 등 - 발굴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체크하고 준비하여 꼼꼼히 챙겨야 함

6 발굴의 조사과정 3. 조사 전 상태 설정과 기준점 설정 -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은 조사 전 상태를 기록해 놓는 일 - 기록에는 기술기록, 사진기록, 현황도 작성이 수반 사진 기록 발굴 전 상태의 전경과 각 방향에서 필름 종류별로 촬영 이는 발굴조사 후에는 다시 기록에 남길 수 없기 때문임 현황도 작성 대상구역보다 조금 넓게 조사구역을 포함한 주위가 한눈에 들어올 수 있는 도면을 작성해야 함 반드시 종과 횡단면도를 작성하고 필요에 따라 등고선 측량도 함 위치기준점 (T.B.M), 방위표시, 축척, 조사지역의 면적 등을 기록

7 발굴의 조사과정 3. 조사 전 상태 설정과 기준점 설정 1) 기준점 설정 발굴 조사는 전 지역을 한꺼번에 개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 발굴 조 사의 기준의 되는 기준점을 잡고 이를 중심으로 지역을 세분해야 함. 2) 기준점 설정 방법 2 가지 지상에 유적 일부가 노출, 문헌을 통해 규모나 방향을 알 수 있는 경우 → 유적의 중심을 지나도록 설정 지상에 전혀 흔적이 없는 경우 → 부지 중심을 지나는 자북선으로 설정

8 발굴의 조사과정 4. 조사갱 설치 작업 - 조사갱 설치방법 3 가지 : 구획법, 24 분법, 전면하강법 1) 구획법 (= 방격법 ) -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 - 절터나 궁궐터, 도시 유적 등 대체로 넓은 평지 지역의 건물지 조사사용 - 현장 실정에 맞추어 일정한 조사 구획을 정하여 조사하는 방법 - 대개 5~10 미터 크기의 방형 조사갱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임 - 둑을 설치 : 조사갱 사이에 0.5~2 미터 이내의 폭 설치 ① 조사 중 통로로 이용 ② 유구를 밟는 유구 훼손을 방지 ③ 조사중 토층 관찰 ④ 조사 후 복원시 원지표를 확인하는 자료 - 전체적인 모양은 바둑판 형태를 이룸

9 발굴의 조사과정 4. 조사갱 설치 작업 1) 구획법 (= 방격법 ) - 장점 장기 발굴, 연차적 발굴조사에서 구획에 의한 계획 발굴이 용이 현장 관리가 편리하고 조사 면적이 넓어 조사갱이 수십개 혹은 수백 개가 필요하다 하더라도, 조사갱 각각의 명칭을 쉽게 부여가능 - 경주 황룡사터 발굴조사, 익산 미륵사지 발굴조사에서 사용

10 발굴의 조사과정 구획법으로 발굴한 황룡사지 부여 능산리사지 목간출토지 발굴장면

11 발굴의 조사과정 4. 조사갱 설치 작업 2) 2/4 분법 - 봉분을 2 등분 혹은 4 등분 하여 조사하는 방법 - 주로 고분 조사에 해당하는 방법 -4 분법으로 나누어 주사할 경우 방위를 동서남북으로 정확히 나누어 노출된 유구방향비교 용이 - 2/4 분법에서도 토층 상태관찰과 통행을 위해 둑 (0.5m~1m) 을 남김 - 조사시에는 나누어진 부분을 동시에 조사하면 좋지 않으며, 1 개소 혹은 2 개소를 시간차를 두어가면서 조사를 진행해야 순간적인 판단 착오일지라도 미조사분에서 확인이 가능 - 토층에서 유구를 판단해야 하는 경우 ( 널무덤 ) 에는 이 방법이 부적합 토층이나 구조 파악을 통해 널무덤으로 판단되면 다시 검토하여 적절한 조사방법으로서의 전환이 필요

12 발굴의 조사과정 4. 조사갱 설치 작업 3) 전면하강법 - 덧널무덤으로 판단된 경우, 널무덤으로 판단될 때 사용하는 방법 - 하나의 고분 내에 여러 개의 시대가 있거나 다른 널들이 자리하고 있을 때 선후 판단에 유리 - 전면 하강법에서도 토층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최소한의 둑은 남김

13 발굴의 조사과정 5. 유구조사 - 확정된 조사갱에 따라 흙제거 작업을 실시 - 한번에 제토하는 두께는 10~20cm 정도로 평탄하게 개토하는 것이 기본 - 발굴 조사의 가장 기본은 토층 변화를 구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 토층의 색깔과 그 토층에 들어 있는 혼합물 또는 토층의 강도로 구별 - 어떤 경우에는 유구의 축조과정을 반대로 생각해서 판단함 - 하지만 조사자의 많은 경험에 의한 판단, 손끝의 감각도 매우 중요 - 평면조사가 끝나면 구조조사를 해야 함 유구 성격에 따라 구조조사를 생략가능하나 학술 발굴 조사시에는 필수 - 흙 제거 작업 후 제거된 흙의 처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음 제거한 흙을 쌓아놓을 장소가 너무 멀면 조사 진척이 늦어지고 가까이에 쌓아두면 유구 확장조사 때 다시 치워야 하기 때문임. 발굴조사 전에 토량을 쌓아놓을 장소를 미리 선정하는 것이 좋음 제토된 토량을 한곳에 쌓아 전망대로 활용 ( 경주 황룡사터 발굴조사 )

14 발굴의 조사과정 6. 기록 - 발굴조사 시작부터 현장의 모든 사항을 꼼꼼하고 정확하게 기록해야 함 - 기록의 방법은 야장 기록, 사진기록, 실측기록 등이 있음 1) 야장 기록 (= 기술기록 ) - 조사 당시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 원칙 - 이 기록은 개인의 기록이 아니라 공식적인 기록 - 쉽게 이해될 수 있고 반드시 정확해야 함

15 발굴의 조사과정 6. 기록 2) 사진기록 - 예비조사 시부터 이루어 왔던 것의 연장 - 훼손되기 전의 상태를 회복할 수 없는 발굴의 단점을 보완할 중요한 기록 - 가능한 한 다양한 각도에서 많은 장면을 담아놓는 것이 필요 -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보편화로 현상, 인화가 생략되고 보관도 용이 그러나 화질의 한계로 인하여 아날로그 카메라와 함께 사용해야 함 - 또한 기록을 정확하게 남겨 사진 자료의 정확성을 확보해야 함 - 유적의 크기가 커서 지면촬영이 불가능 한 경우는 항공촬영도 시행 항공촬영은 아무리 큰 유적도 하나의 사진에 전체를 잡을 수 있으며 주위 지역과의 관계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 3) 실측기록 - 실측기록은 유구실측을 의미 - 사진자료로 남지 못하는 세부사항까지 기록, 조사 보고서의 근간이 됨 - 최근 디지털 사진처럼 유구 도면도 cad 를 이용한 전산화가 이루어짐

16 발굴의 조사과정 7. 유물 수습 및 정리 1) 보관처리 - 유물은 유물의 위치, 출토 상태, 층위, 토층, 주변 상황, 동반 유물, 사진기록 등과 함께 보관, 처리되어야 함 2) 세척과정 - 출토 된 유물은 토양에서 출토된 그대로이기 때문에 세척과정을 거침 - 출토 유물의 성격에 따라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세척 이전에 분류를 나누어 각 유물의 성격을 파악하고 실시함 - 세척된 유물은 완전히 건조시켜 출토 위치나 성격에 따라 분류함 3) 복원작업 - 발굴된 유물은 완제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복원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 - 도자기, 기와 등은 비슷한 조각끼리 맞추어 추정복원이 가능하도록 함 - 금속 유물의 경우는 보존처리기관으로 이송하여 복원, 보존처리 함 - 복원 된 유물들은 유물 실측 작업에 들어가 유물 하나하나에 도면을 작성하고, 필요한 유물은 탁본도 남김

17

18 발굴의 조사과정 8. 유구 유적에 대한 고찰과 보고서 작성 - 도면까지 완성된 유물은 유물의 성격이나 출토위치에 따라 분류됨 - 분류 별로 하나씩 보고서 작업 - 유물의 성격을 고찰 - 예비조사 당시의 문헌기록 유구조사 당시의 유구실측들과 고찰되어 함께 보고서를 구성하게 됨

19 발굴의 조사과정 전기비저항․자력․지중레이다 탐사에 의한 지구물리탐사

20 발굴의 조사과정 인천 삼목도 신석기 주거유적 전경 및 부분

21 발굴의 조사과정 보길도 윤선도유적 곡수당 전경 동천석실 연못지 전경

22 발굴의 조사과정 나주객사 ( 금성관 ) 항공사진 및 동익헌 노출전경

23 발굴의 조사과정 장승리 고분군 A-28 호분 전경 및 장승리 고분군 노출상태

24

25 실측과정과 결과물

26 공포 부분의 건탁을 뜨는 장면

27 실측과정과 결과물

28

29

30 무위사 극락전 전경 및 측면, 실측도

31 수덕사 보수를 위한 조사

32 수덕사 보수결과 ( 수리전 )

33 수덕사 보수결과 ( 수리후 )

34 봉정사 극락전 수리 전후

35 미륵사탑 해제수리 현장

36 강화 온수리 성당

37 경도 대덕사 보수현장

38 명동성당 보수현장 및 전시관

39 부여 백제 재현단지 복원 현장 모형과 최기영 대목

40 서울대학교부속 병원대한의원

41 동경은행집회소

42 일본신탁은행

43 벨기에 영사관


Download ppt "한국건축사 기초지식 (2) 발굴, 실측, 보수. 발굴의 조사과정 예비조사 발굴도구의 준비 조사 전 상태의 기록과 기준점 설정 조사갱 설치 유구조사 기록 유물수습 및 정리 유구 및 유적에 대한 고찰, 종합 보고서 작성, 발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