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한국 농촌의 6차 산업(융복합산업)의 정책과 과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한국 농촌의 6차 산업(융복합산업)의 정책과 과제"—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 농촌의 6차 산업(융복합산업)의 정책과 과제
KRILA-GRIPS 제10차 한일 공동연구회 한국 농촌의 6차 산업(융복합산업)의 정책과 과제 김선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 순 서 6차 산업화의 개념과 의의 1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2 6차 산업의 유형별 사례 3 6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4

3 Ⅰ. 6차 산업의 개념과 의의 6차 산업의 개념 개념 :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축산업과 식품· 특산품 제조·가공(2차 산업) 및 유통·판매, 문화·체험·관광 서비스(3차 산업) 등을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농식품부) 농촌의 주민 또는 공동체가 주도 농축산업의 생산활동이 기본이자 전제임(0×2×3=0) 농업의 6차 산업화는 생산자발 가치사슬(value chain) 모델(일본 농림수산성, 2011) 지역의 자원을 활용 생산·가공·서비스의 단순 집합이 아니라(1+2+3=6),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융합(1×2×3=6) 새로운 부가가치(소득, 고용, 사업, 시장 등)의 창출(6+α) 최근 6차 산업이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 1차 산업(농산물 생산) → 2차 산업 → 3차 산업(기본형) 1차 산업 ← 2차 산업(농산물 가공) → 3차 산업 1차 산업 ← 2차 산업 ← 3차 산업(도농교류)

4 Ⅰ. 6차 산업의 개념과 의의 X X 1차산업 농수산물 생산 2차산업 농수산물 가공 3차산업 직거래 도농교류 농촌관광 국외
수출 농수산물 국내 생협 직영 대리점 학교·공공 급식 100% 고용 동일 시·군 80% 50%↓ 생협 직영 대리점 학교·공공 급식 직매장 50% 50%↑ 지역 또는 개별경영체* 직매장 1차산업 농수산물 생산 2차산업 농수산물 가공 3차산업 직거래 도농교류 농촌관광 지역 농산물 판로 확대 지역 내 고용창출 지역농가 소득증대기여 X X 온라인 판매 체험장 자가 농원 계약재배 계약재배 *마을 또는 몇 개의 마을이 모인 권역

5 Ⅰ. 6차 산업의 개념과 의의 6차 산업의 배경 내부적 요인 외부적 요인
농업의 시장개방, 농업생산의 축소, 도농간 소득격차, 영농의 양극화 농촌의 고령화 농촌의 공동체 붕괴 도시민의 귀농·귀촌 증가 외부적 요인 산업간 협력, 연대, 융합의 트랜드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욕구 증대 지역순환경제를 통한 내발적 발전 지향

6 Ⅰ. 6차 산업의 개념과 의의 6차 산업화의 범위 수직적 다각화 ② 생산·가공·판매부문의 통합 ③ 농공상 연대 3차산업
판매교류 (3차 산업) 서비스업 (3차 산업) 2차산업 농산물가공 (2차 산업) 제조업 (2차 산업) ① 지역복합영농 1차산업 농업생산 (1차 산업) 곡물 축산 채소 과수 화훼 에너지 등 수평적 다각화

7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6차 산업의 정책 동향 6차 산업 관련정책의 역사적 전개과정
1960년대 : 농촌 유휴노동력의 비농업분야 활용 1970년대 : 농한기 부업 활용 및 새마을공장 육성 1980년대 : 농공단지, 관광농원 등을 통한 농외소득 증대 1990년대 : 농업의 다각화 및 복합산업화(농업+제조, 판매) 추진 2000년대 :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일환으로 농촌 회생을 위한 6차 산업화 추진 2010년대 : 농업의 6차 산업화 및 농촌융복합산업 육성정책의 본격 추진 ( , 농촌융복합산업 육성법 제정)

8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최근 6차 산업 관련 정책 개요 지역발전정책 지방 자립 – 경쟁력 기반 구축 국가균형발전
지역 글로벌 경쟁력 강화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 → 16개 시·도별 4개 전략산업 지역발전 5개년 계획 5+2 광역경제권 제1단계 지역산업진흥계획 (2002~2007) Post 4+9 지역전략산업 진흥사업 (2008~2012) 지역전략산업 육성 광역화 특성화 분권화 상생발전 지역특화산업 진흥사업 농업부문사업 신활력사업 89 농어촌휴양단지 개발사업 91 농어촌민박사업조성사업 지역특화발전특구 농어촌자원복합 산업화지원사업 농어촌구조개선사업 농산물가공산업육성 전통식품,산지가공사업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 향토산업육성사업 녹색농촌체험마을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사업 지역특화품목육성사업 1990 1993 1997 1999 2002 2004 2005 2007 2008 2009 2010 추진전략 지방 육성-수도권 과밀 억제 신산업지대 조성과 산업구조 고도화 국민생활-환경부문 투자 증대 지역혁신체계 지역혁신 추진요소 확충·연계강화 창조적 광역 발전 광역경제권 인프라 확충, 연계사업 활성화 협력·통합·분권적 광역경제권 실현 산업클러스터 관련 기업의 집적과 전후방 연계

9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6차 산업 관련 정부와 자치단체 정책(예시) 공간 중앙정부 지자체 시군 농림축산식품부
시군연계협력사업 전라북도 6차산업화 사업모델 지역전략식품산업 육성사업 농촌산업집적화지구 향토산업 육성사업 농어촌자원복합사업화 지원사업 중소기업청 지역특화발전특구 읍면 충청남도 우량기업 기업조합 두레기업 마을 농촌마을종합개발 경상북도 부자마을만들기 농어촌공동체회사 소득자원발굴사업 안전행정부 마을기업 강원도 새농어촌건설운동

10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농촌융복합산업 육성법(2014.5.2. 제정)의 개요 X X 농촌융복합산업
유무형자원, 농특산물 생산 식품 및 특산품 가공 유통, 판매, 체험, 관광, 숙박, 치유 등 X X 계획 수립 기본계획(중앙정부, 5년), 시행계획(지자체, 매년) 사업자 인증 및 지원 6차 산업을 추진하는 농업인·법인을 사업자로 인증 인증사업자에 대해 창업·판로·금융 등 지원 농촌융복합사업지구 지정 6차 산업의 특화지역을 농촌융복합산업지구로 지정 농공단지, 지역특구, 관광단지 등 지정을 의제처리 특례 식품위생법상 시설기준 특례 폐기물 처리기준 특례

11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6차 산업 육성의 단계별 지원내용 사업 초기 단계 창업·판매 지원체계 구축
주민주도의 현장포럼을 통한 마을 사업계획을 농산물종합 가공센터를 통해 사업화·시제품 생산 지원 농산물종합가공센터(농업기술센터) 확대 설치 및 광역지원기관화 식품·창업분야 은퇴전문가 기술·경영고문 채용 지역개발, 식품가공, 포장 및 디자인 등 분야의 재능기부 참여자 활용 농식품분야 6차산업화 창업보육센터 지정·육성 (2013년 8개소, 중소기업청과 협조) 지역의 농산물식품의 지역 내 소비 촉진을 위해 지역 내 단체급식 공급 및 로컬푸드 매장 설립 확대 로컬푸드매장(누계) : (2013년)20개소→(2016년)100개소

12 농산물종합가공센터 확대설치 (13년) 16개소→(17년) 48개소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사업 초기 단계 농산물종합가공센터 확대설치 (13년) 16개소→(17년) 48개소 시·군 농업기술센터의 증·개축을 통해 농산물 종합가공 시설 공동 이용 공간 확보 현장 밀착형 가공, 창업활동 종합서비스 지원 강화 단계별, 품목별 창업·보육 프로그램 운영, 경영 컨설팅 등 6차 산업화 창업자금지원(2014~) 6차 사업화 우수경영체 육성을 위해 시설, 장비 현대화 자금 등 융자지원 2억원 한도, 연리3%, 3년 거치 7년 균분상환 사업계획서 접수 후 심사를 거쳐 지원대상자 선정 세부 사업계획 11월 중 수립·통보

13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성장 단계 6차 산업 사업자 인증 6차 산업화 사업자 인증 자금지원 자금 지원
성장가능성이 있는 경영체를 6차 산업화 사업자로 인증 (2017년 까지 1천개) 지원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전문가 등으로 6차 산업화 추진계획 심의회를 구성하여 사전사업성 검토 강화 자금 지원 자본 조달확충을 위해 모태(특수목적)펀드 지원 (2013년 100억원) 창업투자회사의 투자확대를 위해 6차 산업화 박람회와 투자 설명회 동시 개최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13, 6차 산업화 추진 정책설명회

14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성장 단계 6차 산업화 모태펀드 조성 판로개척 및 통합마케팅 지원
(2014년 : 100억원 예상) 6차 산업화에 기여하는 경영체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민·관합작 방식의 펀드 결성 운용사 선정 후 농식품투자조합을 결성, 실질적으로 관련 경영체에 투자 판로개척 및 통합마케팅 지원 6차 산업화 경영체 생산제품의 전시·홍보 및 생산품 판로확보 지원 소비자 유통품평회 개최, 6차 산업 박람회 개최, 6차 산업 경진대회 개최(2014.7~8월)

15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지역 네트워킹 강화 6차 산업화 주체간 연대 6차 산업화 주체간 연대 촉진 활용자원 다양화
중간지원조직 지정·운영 6차 산업화 주체간 연대 촉진 지역 농업인, 생산자단체, 제조·가공업체, 체험·관광마을 등이 참여하는 6차 산업화 협의체 구성 6차 산업화 사업자의 공동 홍보·마케팅·판매·품질관리 등의 촉진을 위해 6차 산업화 공동사업 지원 추진 활용 자원 다양화 승마시설, 힐링 농장, 이벤트 농장 확대 및 양조장의 복합체험장화 추진 지역 농산물·문화와 연계된 향토음식·전통제품의 관광 상품화 촉진 광역중간지원조직 지정·운영 광역(도) 단위로 총괄조직을 지정, 관련 지원기능 수행조직간 네트워크 구축

16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지역 네트워킹 강화 지역 컨소시엄 사업단 구성 지원 (2014) 6차 산업화 지구 조성
지역 컨소시엄 사업단 구성 지원 (2014) 1차 농산물이 6차 산업화된 품목을 중심으로 농업인, 제조가공업체, 체험마을 등이 참여하는 6차 산업 협의체 지원 공동상표 및 디자인 개발, 공동마케팅, 판매 및 수출, 품질관리 촉진 2014년 : 공모를 통해 5개소 추진 6차 산업화 지구 조성 지역자원이 집적화된 곳을 6차 산업화 지구로 지정해 지역농업의 허브로 구축 지정된 지구에 대해서는 공동 제조·판매·체험 등 공동 이용시설의 설치 및 운영지원, 공동연구개발 및 품질관리에 대한 지원, 참여자 교육 등을 지원 2014년 : 공모를 통해 3개소 시범 추진

17 Ⅱ. 6차 산업화 관련 정책 인적·제도적 기반구축 인력 육성 인력 육성 제도 개선 제도 개선 6차 산업 코디네이터 과정 신설
귀농·귀촌 희망자 및 농고·농대생 교육 확대 제도 개선 영세 식품 제조·가공 농가 및 마을의 식품안전 확보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 (조례제정 및 모니터링 등) 강화 농가민박 활성화를 위해 조식 유료제공 허용, 농촌관광사업 등급제를 통해 체험마을의 서비스 품질고급화

18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6차 사업의 유형 분류(예시) 일본의 6차 산업 유형
농업부문과 다른 주체와의 관계 : 다각화 유형, 연계 유형 사업방향 : 산업·비즈니스 지향, 지역·커뮤니티 지향 사업내용 : 유통채널 활용형, 교류유형, 복합유형 농산물카테고리 : 채소, 과일, 축산물, 맥류, 두류 등 구분 중심 산업 1차 2차 3차 주체 농가 麗州 은아 목장 법인 禮山 사과와인 공간 마을 任實 치즈마을 지역 完州 로컬푸드

19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麗州 “은아”목장 : 농가 + 1차 산업 중심 소재지 京畿道 麗州市 특징
가족 중심으로 운영하는 체험관광농원 지역자산 인적 자원 : 가족, 지역농민, 여주시 공무원 생산 자원 : 젖소, 체험농장, 유제품, 지역농산품 고객 국내관광객, 지역소비자, 학생, 해외관광객 비즈니스(재화, 서비스) 유가공품 생산과정 관광 연계, 체험, 판매, 레스토랑 지역사회 성과 지역농산물 판매, 일자리 창출, 연 매출 6억원 지역 명성 제고(’12년 내국인 5,000명, 외국인 6,300명 방문) 시사점 구성원의 전문성에 기반한 가족책임경영 : 4인 분담 두 딸을 해외유학을 보내 유가공 전문가로 양성 급속한 시대의 변화(잉여 원유생산)에 적극 대처

20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X X 은아목장 1차 젖소 원유 2차 우유, 치즈, 쿠키, 플레인요거트 등
2차 우유, 치즈, 쿠키, 플레인요거트 등 3차 체험프로그램, 판매장, 숙박시설 등 X X 우유회사 납품 유제품 생산 쇼핑몰 판매 체험활동 연계 제품홍보 체험수익창출 6차 산업화 모델 은아목장 원유생산 전문성을 가진 유제품 생산 체험 생산량 조절로 고품질 원유 생산 종사자 유가공 전문가 육성 유가공 허가를 위한 노력 가족경영체제 구축 치즈 생산 및 쿠키 생산·판매 낙농체험프로그램 2006목장 체험인증

21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22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任實 치즈마을 : 마을 + 2차 산업 중심 소재지 全羅北道 任實郡 특징
마을 단위 최초의 치즈체험마을 지역자산 인적 자원 : 리더(신부), 마을주민, 임실군 공무원 생산 자원 : 산양, 젖소, 치즈공장, 체험농장, 유제품 고객 국내관광객, 지역소비자, 학생, 해외관광객 비즈니스(재화, 서비스) 유가공품(치즈, 요구르트) 생산·판매, 체험공방 지역사회 성과 젖소 300두, 연 매출 17억원, 51명 고용 지역 명성 제고(’12년 7만명 방문) 시사점 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자주, 자조, 자립의 책임경영 추가 수익금을 마을발전기금으로 적립, 지역사회 환원 지속적인 리더교육, 전문가 양성교육, 직원교육 등 역량 강화

23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X X 치즈마을 운영위원회 1차 우유 2차 치즈 등 유가공품제조 3차 치즈만들기 체험 8억원
2차 치즈 등 유가공품제조 3차 치즈만들기 체험 X X 8억원 17억원 6차 산업화 모델 유가공 업체 치즈 공방 설립 및 운영, 원유공급 치즈/유가공제품 상품구매 농가 도시 소비자 치즈마을 운영위원회 구성 및 참여 고정고객 확보 도농교류 참여 각종 체험 프로그램 운영참여 상품구매 마을식당 직매장 식재료 공급 이용 지역 주민 농가 레스토랑 이용

24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禮山 사과법인 : 법인 + 3차 산업 중심 소재지 忠淸南道 禮山郡 특징
6차 산업을 통한 지역 사과와 와인 브랜드 인지도 제고 지역자산 인적 자원 : 주민, 농장직원, 예산군 공무원, 지역관광산업 생산 자원 : 사과, 와인, 지역관광자원 고객 관광객, 소비자 비즈니스(재화, 서비스) 농산물 판매, 전용매장과 직거래를 통한 마케팅 지역사회 성과 ’12년 우리술 품평회에서 대상 수상 ’12년 3만명 방문, 연소득 2억 5천만원, 90명 고용(일용직 포함) 시사점 구성원의 장점을 극대화한 가족기업 캐나다 이민자 출신의 양조 전문가(사위) + 사과 농장 주인(장인) 첨가물이 전혀 없고 100% 지역사과로 차별화된 와인 생산 다양한 체험활동 등 3차 산업과 적극 연계 와인만들기, 사과파이 만들기, 사과잼 만들기, 사과나무 음악회, 콘도형 숙박시설, 와인양조 교육프로그램

25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X X 1차 사과생산 2차 와인제조 3차 직거래·체험 6차 산업화 모델 사과과수원(은성농원)
와인발효주 체험(애플파이) 사과재배 사과와인 와인양조 교육프로그램 6차 산업화 모델

26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27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完州 로컬푸드 : 지역 + 3차 산업 중심 소재지 全羅北道 完州郡 특징
군 단위의 지역순환농업시스템 실현 지역자산 인적 자원 : 주민, 농가, 완주군 공무원 생산 자원 : 농산물, 축산물, 체험시설, 레스토랑 고객 인근 도시민, 주민, 관광객 비즈니스(재화, 서비스) 농산물 생산·가공, 레스토랑, 전용매장과 직거래를 통한 판매 지역사회 성과 ’13년 ㈜완주로컬푸드의 매출 70억원, 농가당 월 118만원 소득 ’13년 2월(2만 1,300명 매장 방문) 시사점 기획생산, 농가조직화, 농산물 품질 안전성 확보 군의 시책(5대 약속프로젝트)에 지역농민이 적극 협조 생산-행정-사업주체-전문가의 거버넌스 구축 생산자-소비자 교류사업의 지속적 추진, 소비의 조직화

28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X X 완주군 로컬푸드 통합정책 1차 다품종 소량생산, 기획생산 2차 농민가공 활성화
관리 및 운영 : 완주로컬푸드 품질관리 : 농업기술센터 종자보급 등 생산지원 : 완주군 지원 및 협력 : 완주로컬푸드, 거점 농민가공센터, (재)온고을 공공급식지원센터, 농촌활력과 기술지원 : 농업기술센터 관리 및 운영 : 완주로컬푸드 지원 및 협력 : 농촌활력과, 체험마을, 체험농장 등 1차 다품종 소량생산, 기획생산 2차 농민가공 활성화 3차 생산자-소비자 관계 구축 X X 농가 및 로컬푸드 작목회 10개 공동두레농장 마을 공동체(마을회사) 100여개 마을공동체 (마을회사) 거점농민가공센터 직매장(2013년 4개로 확대) 농가레스토랑(현재 3개소 운영) CSA, 공공급식 등 확대 로컬푸드 인증시스템 종자보급, 비가림하우스 지원 기획생산체계 구축 마을회사육성정책 (농촌활력과) 농민가공지원 (거점농민가공센터) 팸투어 등 상시적 운영 가공체험 완주군복지정책 연계 완주군 로컬푸드 통합정책 6차 산업화 모델

29 Ⅲ. 6차 산업 유형별 사례

30 Ⅳ. 6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6차 산업의 새로운 개념과 발전방향 모색
6차 산업을 농촌 융복합산업의 관점으로 방향 전환 농업 중심 → 농촌의 지역자산(local assets) 중심 산업발전전략(농업의 경영 다각화) → 지역발전전략(농촌형 특화발전) 농촌의 농촌성(rurality : 전통성과 향토성)에 기반한 순환경제체계 구축 2014년 농촌융복합산업육성법 제정 농촌융복합산업(법 제2조3호) : 농업인 또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자가 농촌지역의 농산물‧자연‧문화 등 유형‧무형의 자원을 이용하여 식품가공 등 제조업, 유통‧관광 등 서비스업 및 이와 관련된 재화 또는 용역을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출하거나 높이는 산업 일본 : 90년대 초 단순히 산업간 결합의 개념(1차+2차+3차=6차)에서 90년대 후반부터 유기적 융합의 개념(1차×2차×3차=6차)으로 발전 (농업의 6차산업화, 今村, 2010)

31 Ⅳ. 6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농촌의 유‧무형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농촌융복합산업 모델 발굴
농업 중심의 6차 산업화에 해당하는 기존의 ‘농업 기반 농촌융복합산업’을 넘어 다양한 유형의 신산업을 발굴 예 : ‘전통 및 향토식품 기반형’, ‘전통공예 기반형’, ‘전통공연예술 및 축제 기반형’, ‘역사‧문화유적 기반형’, ‘생태‧환경자원 기반형’ 등 다양한 모델 발굴 농촌의 유무형 영역자산(territorial assets)에 대한 체계적인 발굴·조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다양한 국내외 신산업 모범사례를 전파 일본 : 2010년 제정된 6차산업화법에서 지역자원을 활용한 농림축수산업자 등에 의한 신사업의 창출을 강조 농림수산성이 사례집, 팜플렛등을 제작 배포하고, 「6채널」이란 정보사이트를 개설하여 사업자와 소비자에게 정보 제공

32 Ⅳ. 6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6차 산업 전문인력 및 기업가 양성 체계적 지원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적 역량이 급속하게 취약 신산업 consultant, 산업간 연계 coordinator, 조직 활성화 facilitator 등 리더와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 향후 농림수산업과 타 분야의 융합을 위한 기술지원을 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 지방농촌진흥기관 등을 활용하여 농촌융복합산업(6차 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 6차 산업 사업희망자 대상으로 교육‧훈련과정을 실시하고 교육이수자를 사업자로 인증 인증 사업자에게 정보제공, 창업자금 지원, 연구‧개발 성과 제공, 우수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제품의 성분분석‧품질검사 및 상용화 지원, 창업시설 임대‧제공 등 지원 기업가 양성을 위해 농업계 고등학교 및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스카우팅 추진 도시민의 귀농과 귀촌을 장려하여 도시의 자본과 젊은 인력을 활용

33 Ⅳ. 6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중간지원조직의 체계적 운영과 역량강화 지원
농촌의 사업자는 경영능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중간지원조직(intermediary) 의 네트워킹을 통한 간접지원을 확대 농촌융복합산업 전문기관(중앙) : 6차 산업을 위한 조사‧분석, 정보수집‧제공, 창업‧보육 및 경영‧컨설팅, 협력체계 구축, 전문가 관리, 연구‧개발, 산·학·연 연계, 판매‧유통 및 홍보, 교육‧연수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 농촌융복합산업 지원센터(시도) : 시도 단위의 중간지원조직으로 설치·운영 지구육성센터(시군) : 농촌융복합산업지구 단위로 사업자 지원을 위해 설치·운영 시도 단위에서 지원센터가 중심이 되어 사업자와 대학, 유관기관, 전문가 등을 플랫폼(platform) 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

34 Ⅳ. 6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6차 산업화의 다양한 주체(사업자) 육성과 공간전략 다변화
농촌에 지역공동체와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여 다양한 6차 산업화 주체로 육성 현재 주체 구분의 기준(농가 및 법인)을 넘어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공동체 회사, 협동조합 등 다양한 경제활동 조직들의 6차 산업화 참여 촉진 한국에서는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어 2014년 현재 3천개가 넘는 협동조합이 탄생 마을, 권역, 지자체 등 공간적 경계를 넘는 다변화된 6차 산업 공간전략 모델을 발굴 박근혜정부의 지역생활권정책과 연계하여 주체간, 사업간, 분야간, 지역간 네트워킹(블록화사업)를 적극 추진

35 Ⅳ. 6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6차 산업에 R&D를 접목하여 부가가치 창출
농촌융복합산업의 핵심은 과학기술의 도입을 통한 부가가치 창조 융복합기술 : ICT(info –communications), BT(bio-tech), ET(environment), NT(nano–tech), ST(space-tech), CT(cultural contents) 등 박근혜정부 국정목표인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에서도 기술융합을 강조 농업분야(생산, 마케팅, 소비, 농촌생활 등)에서도 ICT를 비롯한 R&D 활용으로 새로운 생산물과 서비스 시장을 창조 일본 : 6차산업화법(2011)과 관련 省令(2011.3)에서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활용″을 강조하고 ″연구개발성과이용″을 명시 농림수산기술회의 교부금사업으로 R&D 공모사업 추진

36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한국 농촌의 6차 산업(융복합산업)의 정책과 과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