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Ⅰ. 여명기의 문학 신구 문학론의 갈등과 근대적 자각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Ⅰ. 여명기의 문학 신구 문학론의 갈등과 근대적 자각"— Presentation transcript:

1 Ⅰ. 여명기의 문학 신구 문학론의 갈등과 근대적 자각

2 교재 내용 외재적 여건의 변화 비평의 자의식 성장 문학비평 내부의 근대성 확보

3 1. 외재적 여건의 변화와 비평의 자의식 성장(교재90-99)
근대적 비평 양식의 확립 요인들(외재적 요인) 학교 교육 제도의 변화 근대적 교육 기관의 등장 : 중화주의 → 근대적 세계관 국문 보급의 역할 신문잡지와 같은 본격 대중매체의 등장 ‘한성순보’(1883), ‘독립신문’, ‘친목회회보’(1895), ‘대조선 독립협회 회보’(1896) 시가와 소설의 유통 경로로 기능 비평담론의 확산 : 서평, 독후감 등의 형식 도서의 구입과 세책 같은 소비 양식의 근대화 상업적인 논리의 파급 현상제도를 통한 보수의 지급, 원고료 → 비평의식의 확대(응모된 작품의 우열 평가, 원고료 지급에 따른 작품의 채택 기준 설정 등)

4 교육입국조서( )

5 국민소학독본

6 임화의 신문학사(임규찬 외 편, ‘개설 신문학사’, 168쪽)
그러므로 광무, 융희년간에 새로 나온 신소설의 일우에나마 작자의 이름이 기록되었다는 것은 전혀 개화의 결과 시민의 사회적 지위의 향상과 언문존중의 혜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소설책의 작자를 다른 서적의 저자와 동등에 놓지 아니했고 은연중 천시하는 풍이 잔재하여 작자들도 내가 아무런 소설의 작자라 하는 것을 공포하는 것을 그리 명예로운 일로 생각치 아니했다. 오늘날 내외 문단의 작자들의 사회적 지위나 영예에 비하여 실로 천양의 차가 있었다. 그러면서도 역시 소설 일우에 작자의 서명이 있는 것을 보면 신소설이란 어떤 의미에서도 작자가 불명한 시대와 작자가 확연한 시대와의 사이를 차지한 과도기의 문학임을 절감케 된다. 그런 만큼 시대가 지남에 다라 발행서점에선 자의로 작자명을 말소하고 저작 겸 발행인으로 점주(店主)의 명의를 기(記)하여 작자를 알지 못하게 된 작품이 불소(不少)하며, 또한 초판 발행 당시에도 이인직이라든가, 이해조라든가 하는 저명한 작자 이외는 최초부터 작자명을 기재치 아니하여 신소설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발행점주를 작자로 오인케 하는 수가 종종 있다. 근소한 돈을 주고 판권을 매수하여 자기의 명의로 바꾸어 버린 것이다. 이러한 사정은 또한 신소설의 작자가 누구라는 것은 전혀 염두에 두지 않고 글자 그대로 이야기의 재미만을 탐했다는 다른 반반의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구소설을 읽던 습관의 연장이다.

7 근대적 비평 양식의 확립 요인들(내재적 요인) 국문론
자주, 민족 의식과 관련된 국문 의식의 성장 대표적 언론매체 : ‘독립신문’, ‘제국신문’,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 근대국가로서의 주권독립, 국민 모두의 개화 계몽 등 역설 반대론자들 : 신기선, 여규형, 윤희구, 정교 등 → 문화교류(한∙중∙일), 과거 문화 유산의 보존 국문론자들의 소명 : 문법의 확립과 통일, 사전 편찬 국한문체(논리성)와 국문체(감각)의 공존 → 점차 국한문체로 통일 ※ 단 감각 위주의 국문체는 신소설 등의 문체로 정착 비평 의식의 성장 고전비평의 자의식이 근대문학비평의 밑거름으로 작용 : 김득신, ‘일찍이 나는 시를 아는 어려움이 시짓는 어려움보다 심하다고 한 말을 들었는데 이 말을 어찌 믿지 않겠는가?’ 유승겸의 ‘중등만국사’에서 ‘비평’, ‘평론’이라는 어휘 처음 발견 안확과 이광수에 의해 현재의 비평 개념으로 정착 사용

8 2. 신구 문학론의 교체와 근대성의 확보(교재99-108쪽)
(1) 시론 시의 효용론 자유시론

9 전통시가에 대한 비판 시의 효용론 강조 대표적 논의 : 월주산인의 ‘탄시문모집’, 금혜의 ‘가곡 개량의 의견’, 대한매일신보의 ‘논학교용가’, 신채호의 ‘천희당시화’ 등 대한매일신보 논학교용가 신채호의 ‘천희당시화’ 개(盖) 동국시가 하(何)오 하면 동국어, 동국문, 동국음으로 제(製)한 자가 시(是)오

10 2. 백대진, 김억, 황석우 등의 자유시론 프랑스 상징주의 소개 백대진의 ‘최근의 태서문예’ , 김억의 ‘프랑스 시단’
최초 자유시 형식으로서의 프랑스 상징주의 소개 자유시의 율격 문제 김억의 ‘시형의 음률과 호흡’ : 자유시 율격 문제를 최초로 다룸 호흡률 → 율격의 기본 단위 → 시의 한 행 → 작품 내부의 리듬 황석우의 ‘영률(靈律)’ 이론 ‘시화’, ‘조선시단의 발족점과 자유시’ 등 발표 인어(人語) 영어(靈語) 속어나 노래, 상업주의 예술파 영감설, 천재론

11 백대진, “최근의 태서문단”(태서문예신보, 1918.11.30)
상징주의의 파괴운동으로 말미암아 자유시의 건설 위대한 공화적 자유사상이 확실히 구축 상징주의와 자유시의 전복적, 혁명적 성격 강조 김억, “프랑스 시단”(태서문예신보, , 14) 과거의 모든 형식을 타파하려는 근대예술의 폭풍우적 특색 자연과학의 진보에 따라 나오는 현실과 이상과의 충돌, 신앙과 몽상의 소멸, 격렬한 생존경쟁, 종교와 과학의 충돌 백대진∙김억 데까당스, 상징주의, 자유시가 단순한 시의 기법이나 형식이 아니라 전세계의 근대에 대응하는 시대정신으로 수용 황석우, “조선시단의 발족점과 자유시”(매일신보, ) 근대시의 출발점은 자유시 – 신체시 폐기론 철저한 개인 자치의 실현 개성을 분방하게 발휘하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양식인 자유시에서 근대시 출현

12 1. 신문에 게재된 소설론(주로 애국계몽기 시대)
(2) 소설론 애국계몽기 신문게재 소설론 신소설작가 1910년대 후반 1. 신문에 게재된 소설론(주로 애국계몽기 시대) 소설의 효용성 강조 검심의 ‘소설가의 추세’, ‘장지연의 ‘소설잡서괴란 풍속’, 무기명의 ‘근금국문소설저자의주의’ 등 독후감 형태의 소설론 : 독이태리건국삼걸전유감, 독월남망국사, 독미국여걸비다소서 등 의의 : 독립과 애국심 고취(애국계몽기의 일반적 경향) 14

13 대한매일신보

14 2. 이해조와 이상협의 소설론 이해조 “허구에 의지하되 소설은 어디까지나 인정에 맞아야 할 것”
2. 이해조와 이상협의 소설론 이해조 “허구에 의지하되 소설은 어디까지나 인정에 맞아야 할 것” 이상협 “소설을 현재 사회의 형편과 인생을 비추는 거울” 의의 : 소설을 풍교의 수단이 아닌 현실의 반영 기제로 인식

15 편두단언 재봉춘은 어찌한 연고로 지었는가? 선남선녀의 사적을 기록코자 함인가? 아니오. 효제충신의 도리를 설명코자 함인가? 아니오. 재봉춘 한 편은 현대사회의 형편을 비추는 거울이라. 품계만 높고 지위만 귀하나 심지와 행위가 지극히 비루한 사람이 있으면 어떻게 될까? 지체만 천하고 계급만 낮으나 심지와 행위가 지극히 고상한 사람이 있으면 어떻게 될까? 현금 세상은 이러한 사람들에게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며, 어떠한 대우를 하는지, 인정의리에 위배되는 바이 없으며 교제담화에 차이한 일은 없나, 천백만 인 중에 부귀를 놓고 의리를 취하는 사람이 있으면 재봉춘의 지은 뜻을 거의 짐작할 듯. 이상협, 재봉춘, 전광용 외 편, 한국신소설전집 10권, 을유문화사, 1968, 13쪽

16 3. 1910년대 후반 소설론(이광수, 양건식, 김동인 등) 소설에 대한 긍정론 및 소설의 자율성 인식
년대 후반 소설론(이광수, 양건식, 김동인 등) 소설에 대한 긍정론 및 소설의 자율성 인식 양건식의 ‘춘원의 소설을 환영하노라’, 주요한의 ‘무정을 읽고’ 이광수의 ‘현상소설고선여언’, ‘문학이란 하오’, ‘문학의 가치’ 의의 : 소설의 요소에 대한 관심, 소설의 정론성 쇠퇴,

17 현상소설고선여언(이광수, ‘청춘’ 12호 97-102쪽, 1918)
일즉 매일신보신년호에 단편소설의 현상모집이 잇섯스나 순문학적목적으로 소설을 모집한 것은 아마 이번이 처음인가보외다. 첫째, 그것이 모도다 순수한 시문체로 씌엇슴이외다. 둘재는 정성으로 쓰신것이외다. 셋재는 전습적, 교훈적인 구태를 탈(脫)하여 예술적에 들어가는 기미가 잇는것이니 이것이 실로 신흥하는 문학의 핵심이외다. 넷째, 고대문학은 이상적이엇던것을 이번 응모하신이는 얼마큼 이 폐(弊)를 탈하고 현실적에 돌아온 것이외다 다섯째, 깃븐것은 그 속에 신사상의 맹아가 보이는 것이외다

18 3. 문학일반론(교재108-112) (1) 이론비평의 흐름 (2) 전통주의 문학론 전통주의 문학론 신문학론
장지연, 박은식, 신채호 이광수, 백대진, 최두선 (2) 전통주의 문학론 허문(虛文)과 실문(實文)의 구별 박은식의 ‘문약지폐는 필상기국’, 장지연의 ‘문약지폐’

19 (3) 신문학론 이광수의 ‘문학이란 하오’ 최두선의 ‘문학의 의의에 관하여’ 백대진의 논의
문학에 대해 문학의 어원, 정의, 문학과 감정, 재료, 도덕, 문학의 실효, 문학의 종류, 문체, 문학의 평가 문제, 조선의 문학 등(총 11개 항목)으로 나눠 고찰 최두선의 ‘문학의 의의에 관하여’ 정의(情意)의 영역으로서의 문학(지적 경험의 학문과 구별) 백대진의 논의 문학기원설(유희본능설, 자현본능설, 여락본능설)과 문학기능론(실용론과 쾌락론) ‘현대조선에 자연주의문학을 제창함’ : 현실을 노골적으로 묘사한 문학으로 인생의 암흑면이나 성욕 등을 주로 제시하는 것으로 인식(신소설의 통속성 비판 + 사회의 결함 등을 보완하는 소설론 + 사회교육가 및 인생지도자로서의 소설가)

20 조선문학 건설론 이광수 : 국문문학으로만 조선문학을 한정 안확 : 한문문학을 아우른 조선문학

21 이광수의 ‘문학이란 하오’, 이광수 전집 1권, 삼중당, 1962
‘매일신보’ 연재 금일 소위 문학이라 함은 서양인이 사용하는 문학이라는 어의를 취함이니, 서양의 Literatur 혹은 literature 라는 어를 문학이라는 어로 번역하였다 함이 적당하다. 고로 문학이라는 어는 재래의 문학으로서의 문학이 아니요, 서양어에 문학이라는 어의를 표하는 자로의 문학이라 할지라. 차례 문학의 정의 문학의 감정 문학의 재료 문학과 도덕 문학의 실효 문학과 민족성 문학의 종류 문학과 문 문학과 문학자

22 문학의 정의 문학이란 특정한 형식하에 인(人)의 사상과 감정을 발표한 자(者)를 위(謂)함이라. ∙∙∙∙ 고로 문학자라 하면 인(人)에게 모 사물에 관한 지식을 교하는 자가 아니요, 인(人)으로 하여금 미감과 쾌감을 발(發)케 할 만한 서적을 작(作)하는 인(人)이니, 과학이 인(人)의 지(知)를 만족케 하는 학문이라 하면 문학은 인(人)의 정(情)을 만족케 하는 서적이니라 문학의 감정 근세에 지(至)하여 인(人)의 심(心)은 지, 정, 의 삼자로 작용되는 줄을 지(知)하고 차 삼자에 하우(何優), 하열(何劣)이 무(無)히 평등하게 오인의 정신을 구성함을 각(覺)하며 ∙∙∙∙∙ 지가 제반과학으로 만족을 구하려 함에 정도 문학, 음악, 미술 등으로 자기의 만족을 구하려 하도다. 문학의 재료 전절에 문학은 정의 만족을 목적 삼는다 하였다. 정의 만족은 즉, 흥미니, 오인에게 최(最)히 심대한 흥미를 여(與)하는 자(者)는 즉 오인자신에 관한 사(事)이라.∙∙∙∙ 고로 문학예술은 모재료를 전혀 인생에 취하라.

23 최두선의 ‘문학의 의의에 관하여’, 학지광, 3호, 1914, 26-28쪽
심리상태는 심리학상삼종에 분하여 지 정 의로 논하고 혹 학자를 따라서 이것을 이종에 분하여 지와 정의로 논하여 정과 의를 일종연속작용이라하나니 그러면 우리가 문학을 맛보아 그것이 생명이 유하다하면 우리의 심적상태의 엇더한부분이 만족함을엇을가 지식의 만족이 생명을 판단할수업도다 ∙∙∙ 정의의부분은읏더할가 정의가 만족하면 비로소 생명을 경험할수잇스니 ∙∙∙ 읏더한 글을 보고 생명이 잇슴을 감득함은 그것이 정의의 경험에 감촉됨이라 ∙∙∙ 그 글 가운데도 정의가 잇슴이라 그럼으로 누구든지 그글을 보면 그 가운데서 정의의 자극이 생하나니 그러한 때에 그 글이 생명이 잇다함이라 요하건대 문학은 글가운데 정의를 늣는것이니라 생명 문학 情意

24 안확의 ‘조선의 문학’, 학지광, 6호, 1915, 64-73쪽 文學은 美感想을 문자로 표현하는 것이라 할지라 대저 인(人)이 춘풍화기를 승(乘)하야 경가(景佳)한 처(處)에 임(臨)하면 진상(塵想)이 불래하고 감정이 격동하야 심(心)이 순주(醇酒)에 취함가치 망아의 회(懷)가 기(起)하는 동시에 자연의 취미를 감(感)하야 시가의 정(情)이 생할지니 차(此)시가의 정이 생함은 즉 오인이 생존을 요한 잉여에서 기심(心)을 자위케하며 오락케하는 바 美를 심(審)하는 사상활동이라 차가 즉 문학 발생의 원인이니 ∙∙∙ 다시 문학의 공효로 말할진대 일면으로 관하면 오락의 료(料)와 소한(消閑)의 구(具)가 될뿐이나 연이나 타면으로 보면 또한 인(人)의 사상을 활동식히며 이상을 진흥식히는 기계니라 ∙∙∙ 이상에 말함과가치 문학의 본령은 순문학이라하는 시가소설서사문서정문 등과 잡문학이라하는 서술문평론문 등을 물론하고 다 인간의 정신상 감명과 이상상 활동을 여(與)하는 바이라

25 정리 비평 담론 전화의 외재적∙내재적 요인 시론, 소설론, 문학일반론의 변화 외재적 요인 내재적 요인 시론 소설론 문학일반론
근대적 교육기관의 설립 대중매체의 등장 근대적 유통 경로 확립 내재적 요인 국문론 비평의식의 성장 시론, 소설론, 문학일반론의 변화 시론 시의 효용론 → 자유시론 소설론 애국계몽기신문게재소설론 → 신소설작가소설론 → 1910년대후반소설론 문학일반론 전통주의 문학론 → 신문학론

26 문학 = literature 예술 미술 음악 소설 수필 희곡 역사 철학

27 이광수의 ‘문학’에 대한 정의 ‘문학의 가치’(1910) ‘문학이란 何오’(1916)
“문학이라는 자(字)의 유래는 심히 요원하여 확실히 그 출처와 시대는 고(攷)키 난(難)하나, 여하튼 그 의의는 본래 ‘일반학문’이러니, 인지(人智)가 점진(漸進)하여 학문이 점점 복잡히 되매, ‘문학’도 차차 독립이 되어 그 의의가 명료히 되어, 시가, 소설 등 정(情)의 분자를 포함한 문장을 문학이라 칭하게 지(至)하였으며” ‘문학이란 何오’(1916) “고로 문학자라 하면 인(人)에게 그 사물에 관한 지식을 교(敎)하는 것이 아니요, 인(人)으로 하여금 미감(美感)과 쾌감(快感)을 발(發)케 할 만한 서적을 작(作)하는 인(人)이니, 과학이 인(人)의 지(知)를 만족케 하는 학문이라 하면 문학은 인(人)의 정(情)을 만족케 하는 서적이니라.”

28 과학이 인(人)의 지(知)를 만족케 하는 학문이라 하면 문학은 인(人)의 정(情)을 만족케 하는 서적
- 情의 독립 - 知∙義와 대등한 관계로서의 情 - 知와 義로부터 독립된 情 : 情의 자율성 - “人의 心은 지, 정, 의 삼자로 작용되는 줄로 알고, 이 삼자에 何優, 何劣이 없이 평등하게 우리의 정신을 구성”(문학이란 하오) ‘정(情)의 분자를 포함한 문장’으로서의 문학 - 윤리적 혹은 정치적 이데올로기로부터 독립된 문학 즉, 예술의 자율성 과학 윤리 예술

29 문학자라 하면 人에게 그 사물에 관한 지식을 敎하는 것이 아니요, 人으로 하여금 미감(美感)과 쾌감(快感)을 發케 할 만한 서적을 作하는 人
계몽의 차원이 아니라 미감/쾌감의 차원을 인정하는 것은 곧 감각하고 욕망하는 주체로서의 개인적 가치 인정 개인의 발견(cf 개화기 민족의 발견) 1910년대 이광수 문학론의 의의 - 情의 충족이고 美의 추구이며 따라서 예술의 한 갈래로서의 문학 개념 설정 문학의 독자적인 의의를 설정 (문학의 자율성) 情의 문학론에 근거한 예술의 자율성

30 삼분법적 가치 범주의 변화와 ‘문학’의 위치 (1) (2) (3)


Download ppt "Ⅰ. 여명기의 문학 신구 문학론의 갈등과 근대적 자각"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