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 고대 국가의 성립  1) 고대 국가의 성격    ① 중앙 집권 체제      - 국왕의 지위 강화, 부족장 세력의 통합,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 고대 국가의 성립  1) 고대 국가의 성격    ① 중앙 집권 체제      - 국왕의 지위 강화, 부족장 세력의 통합,"— Presentation transcript:

1 (2) 고대 국가의 성립  1) 고대 국가의 성격    ① 중앙 집권 체제      - 국왕의 지위 강화, 부족장 세력의 통합, 율령 반포, 정치 제도와 신분 제도 마련, 불교 수용    ② 영역 국가 체제      - 활발한 정복 전쟁 수행    ③ 고대 국가 체제 정비 순서 : 고구려 -> 백제 -> 신라

2 고대국가의 발전 단계

3 고대국가의 성립과정 영토확장 왕권강화 체제정비 불교수용 율령반포 연맹국가 고대국가

4 고대국가의 특징 부족국가를 정복 강한 정복성 신분제도 세습적 계급사회 형성 왕족, 귀족이 지배 왕위가 세습 왕권의 성장,발전

5 신라 관등표

6  2) 삼국의 성립    ① 초기의 고구려      ㉠ 성립 : 부여 유이민 + 압록강 유역 토착민      ㉡ 중앙집권국가의 기틀 마련         - 태조왕(1세기 후반) : (옥저 정복, 계루부 고씨의 왕위 독점 세습 등)      ㉢ 중앙 집권화의 진전         - 고국천왕(2세기 후반) : 부족적 5부 -> 행정적 5부, 왕위 계승을 형제상속 -> 부자상속으로

7   ② 초기의 백제      ㉠ 성립 : 북방 유이민과 한강 유역 토착민의 결합(B.C.18)      ㉡ 중앙 집권의 기틀 마련        - 고이왕(3세기 중엽) : 한군현과 항쟁, 관리 복색 지정, 관등제 정비

8  ③ 초기의 신라      ㉠ 성립 : 경주 지역 토착민 + 유이민 집단 ,          부족 연맹 -> 6부족 연맹체로 발전      ㉡ 중앙 집권의 기틀 마련        - 내물왕(4세기 후반) : 김씨 왕위 독점, 낙동강 유역 진출, 왕의 칭호로 마립간 사용,          왜의 세력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도움을 받음 -> 고구려의 간섭 아래 놓임(호우명 그릇)

9 호우명(명문이 새겨진 물그릇) 을묘년 국강상 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 해석 : 나라 언덕 위에 있는 광개토왕릉용 물그릇
을묘년 : 호태왕이 죽은 지 3년째인 415년(장수왕3년) 국강상 :나라 언덕 위에 호우십: 병(단지)과 물그릇(잔)

10 ④ 가야 연맹    ㉠ 성립 : 변한 지역    ㉡ 전기 가야 연맹(3세기 경) : 금관가야(김수로)를 중심으로 소국 연맹체 형성, 낙동강 유역 -> 고구려군의 낙동강 진출(4세기 말~5세기 초) -> 금관가야의 약화와 대가야의 대두    ㉢ 가야의 경제 : 철의 생산과 중계 무역    ㉣ 가야의 문화 : 고령 지산동 고분, 부산 복천동 고분    ㉤ 가야 토기의 일본 전파 : 일본 스에키 토기에 영향

11 가야토기

12 고대 가야와 일본의 주요 토기

13 스에케토기 일본의 5세기 경 고분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는 회색의 경질(단단한) 토기. 가야 토기가 스에키(須惠器)의 원류이다. 이러한 스에키의 출현은 신라, 백제,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는 물론 신라,백제, 가야인들의 일본 이주를 의미하는 것이다

14 6가야

15 (3) 삼국의 발전과 통치 체제  1) 삼국의 정치적 발전    ① 고구려의 발전      ㉠ 중국 세력과의 대결 : 위의 침입(동천왕, 3 세기 중반)과 낙랑군 축출(미천왕, 313)      ㉡ 국가적 위기 : 전연과 백제의 침입(4C 후반)      ㉢ 중앙 집권의 강화        - 소수림왕(4세기 후반) : 율령의 반포, 불교의 공인, 태학 설립

16

17  ② 백제의 발전     ㉠ 근초고왕(4세기 중반)        - 영토 확장 : 남한의 남은 세력 정복(전라도 남해안),             고구려 평양성 공격, 가야에 지배권 행사        - 해외 진출 : 중국의 요서와 산둥, 일본의 규슈 지방까지 진출   ㉡ 침류왕 : 불교 공인(중앙 집권의 사상적 뒷받침) 

18 백제 전성기

19 ③ 신라의 발전(6세기 초 중앙 집권 체제의 강화)
     ㉠ 눌지왕 이후 : 나제 동맹 체결, 부자 상속, 6촌 -> 6부      ㉡ 지증왕 : 국호 변경(사로국 -> 신라),        왕호 개칭(마립간 -> 왕), 우산국(울릉도) 복속      ㉢ 법흥왕 : 병부 설치, 율령 반포, 공복 제정,         골품제도 정비, 불교 공인, 연호 사용(건원), 금관가야 정복

20 2) 삼국 간의 항쟁  ① 삼국의 대외 팽창 : ② 제1기 : 장수왕이 남진 정책을 표방한 5세기부터 본격화, 고구려 주도    ㉠ 광개토 대왕 : 요동과 만주 지역 정복 사업 단행,         신라침입한 왜 격퇴 -> 전기 가야 연맹 해체, 광개토대왕릉비에 정복 사업이 기록됨 ㉡ 장수왕 : 평양 천도(남진 정책, 왕권 강화, 427), 중국 남북조와 각각 교류, 백제․신라 압박 -> 나․제동맹 강화 -> 한강 유역 진출(중원 고구려비)

21 고구려 전성기

22 (영락) 9년(399) 기해에 백제가 서약을 어기고 왜와 화통하므로, 왕은 평양으로 순수해 내려갔다
(영락) 9년(399) 기해에 백제가 서약을 어기고 왜와 화통하므로, 왕은 평양으로 순수해 내려갔다.   신라가 사신을 보내 왕에게 말하기를, ‘왜인이 그 국경에 가득 차 성을 부수었으니, 노객은 백성된   자로서 왕에게 귀의하여 분부를 청한다.’고 하였다.……10년(400) 경자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관군이 이르자 왜적이 물러가므로, 뒤를 급히 추격하여 임나가라의   종발성에 이르렀다. 성이 곧 귀순하여 복종하므로, 순라병을 두어 지키게 하였다. 신라의 □농성을 공략하니 왜구는 위축되어 궤멸되었다.                                     - 광개토대왕릉비문 -

23 광개토대왕릉비

24  ㉢ 백제의 쇠퇴(5세기 후반)         - 고구려 남진 정책 -> 문주왕 : 웅진(공주)으로 천도(475), 왕권 약화, 귀족 세력 강화  ㉣ 백제의 중흥             - 동성왕 : 나제 동맹으로 고구려에 대항         - 무령왕 : 22담로 설치(지방 통제의 강화, 백제 중흥의 발판 마련)         - 성왕 : 사비(부여) 천도(538), 국호 변경(남부여) 체제 정비(중앙 : 22부, 지방 : 5부5방)                  중국의 남조와 교류,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유역 부분적 수복 -> 신라의 배신, 전사  ㉤ 후기 가야 연맹의 성립(5세기 후반) : 고령, 합천, 거창, 함양 지역 중심

25  ③ 제2기 : 6세기 중반 신라의 한강 유역 확보    ㉠ 진흥왕 : 화랑 제도의 개편, 낙동강 유역과 한강 유역 확보, 삼국 경쟁의 주도권 장악         단양 적성비와 4개의 순수비(북한산․창녕․ 마운령․황초령)    ㉡ 대가야가 백제 신라와 대등하게 세력을 다툼 -> 신라와 결혼 동맹          -> 대가야가 신라에 의해 멸망(562)  

26 신라 전성기

27 ④ 제3기 : 신라의 삼국 통일 ※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의 의미 : 경제 기반 강화, 전략 거점 확보, 중국과 직접 교섭 발판 마련

28 한강의 중요성

29  3) 삼국의 통치 체제    ① 귀족 협의체의 존재 : 고구려 제가 회의, 백제 정사암 회의, 신라 화백 회의    ② 관등 조직의 정비 : 고구려(10여 관등), 백제(6좌평제와 16관등제), 신라(17관등)    ③ 신라 골품제도 : 관등의 상한을 골품에 따라 정하 고 관등의 범위 한정      ④ 수상 : 고구려(대대로), 백제(좌평), 신라(상대등)    ⑤ 지방 통치 : 최상급 지방 행정 단위(부,방,주)에 지 방관 파견, 말단 행정 단위(촌)는 토착세력을 촌주로, 중앙 정부의 지배가 강력하게 미치지 못함    ⑥ 군사 조직 : 지방 행정 조직 = 군사 조직 (지방관 = 군대 지휘관)

30 (4)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1)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① 6세기 말의 동아시아 정세 : 수의 중국 통일 (고구려 침공), 남북․동서 연합 세력 구축      고구려․돌궐․백제․왜<-> 수,․신라    ② 고구려와 수의 대립 : 고구려 요서 지방 선제 공격          -> 수양제의 침략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612)    ③ 고구려와 당의 대립      ㉠ 고구려 : 방어 체제 강화(천리장성), 연개소문의 집권(독재 정치, 당에 대한 강경책 추진)      ㉡ 당의 침입 : 당 태종의 요동성 공격 -> 양만춘의 안시성 싸움 승리(645)

31 6C말 동북아시아

32 2)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① 나․당 연합군 결성 -> 백제 멸망(660년) : 황산벌 전투 패배, 당군의 금강 하구 침입      -> 백제 부흥 운동의 전개(복신, 흑치상지, 도침 등이 주류성과 임존성을 거점으로 거병)    ② 나․당 연합군의 공격 ->고구려 멸망(668년) ->고구려 부흥 운동 전개(검모잠, 고연무) -> 실패

33 부 흥 운 동

34 3) 신라의 삼국 통일   ① 나․당 전쟁의 전개     ㉠ 원인 :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백제-웅진도독부, 고구려-안동도호부, 신라-계림도독부 설치)     ㉡ 과정 및 결과 :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 당군 축출 -> 삼국 통일 완성(676)   ② 삼국 통일의 한계 : 외세와 결탁, 대동강 이남의 불완전한 통일   ③ 삼국 통일의 의의 : 당 세력 축출에 의한 자 주성 과시, 민족 문화 발전의 토대 마련

35 신라의 삼국통일


Download ppt "(2) 고대 국가의 성립  1) 고대 국가의 성격    ① 중앙 집권 체제      - 국왕의 지위 강화, 부족장 세력의 통합,"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