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 훈민정음.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 훈민정음."— Presentation transcript:

1 (2) 훈민정음

2 訓民正音解例本 세종 28년 반포 국보 70호

3 제재 해설 ‘세종어제 훈민정음’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어지 부분을 언해한 것이다.
우리는 이를 통해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 대왕의 취지와 15세기 국어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4

5 한글 명칭의 변천 훈민정음(訓民正音) : 창제 당시 세종이 붙인 정식 이름 정음(政音) : 훈민정음을 줄여서 부른 이름
언문(諺文) : 훈민정음을 낮추어 부른 이름 반절(半切) : 최세진의 <훈몽자회> 국문(國文) : 갑오경장 이후 국어의 존엄성 한글 : 주시경이 붙인 이름. ‘하나의 글’, ‘바른 글’, ‘위대한 글’.

6 세종 어제 훈민정음의 특징 문자상의 특징 -ㆆ, ㅿ, ㆁ, ㅸ, ㆍ, ㆀ 등을 사용 -‘ㅳ’, ‘ㅄ’ 등 어두 자음군 사용
음운상의 특징 -모음 조화의 규칙적 적용 -구개음화, 원순모음화가 일어나지 않음. 어휘상의 특징 -의미가 오늘과 다르게 쓰임 -어린(어리석은), 어엿비(불쌍하게), 노미(예삿말->낮춤말)

7 ‘훈민정음’ 창제 정신 자주정신: 우리나라의 말과 한자의 차이점을 인식함.
애민정신: 문자 생활을 하지 못하는 백성들을 가엾게 여김. 창조정신: 새로운 문자 28자를 창조함. 실용정신: 백성들의 편안한 문자 생활을 도모함. 클릭하면 창제 배경과 취지가 나타난다. 훈민정음의 창제 과정 원리, 가치, 운용 방법을 알 수 있는 자료

8 창제 동기 ①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서 한자와 서로 잘 통하지 않음.
②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함. ③ 백성들이 불편하게 지내고 있음. 클릭하면 창제 배경과 취지가 나타난다. 훈민정음의 창제 과정 원리, 가치, 운용 방법을 알 수 있는 자료

9 ‘훈민정음’의 판본 훈민정음 해례본(解例本):
- 문자’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로, ‘예의(例義), 해례(解例), 정인지 서(序)’로 이루어졌으며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음 훈민정음 언해본(諺解本): - 책 “훈민정음 해례본 (解例本)”의 ‘예의 (例義)’부분을 국문으로 번역한 것임. 세종어제 훈민정음을 낭독시 옛 문자를 어떻게 낭독할지 모르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을 위해 모범 낭독안을 제시해 활용함.

10 世․솅 宗종 御․엉 製․졩 訓․훈民민正․졍音
나․랏:말․미 中듕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이런 젼․․로 어․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배 이․셔․도 ․:내 제․․들 시․러 펴․디 :몯․노․미 하․니․라․내․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새․로․스․믈여․듧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 ․미니․라.

11 世․솅 宗종 御․엉 製․졩 訓․훈民민正․졍音
어제(御製) : 임금이 지음

12 ‘세종 어제 훈민정음’이란? ▶ 훈민정음 해례본(한문으로 된 훈민정음 해설 서) 의 어지(語旨) 부분을 언해(諺解)한 것
▷ 제목 해석 : 세종이 훈민정음을 친히 창제했다. ▶ 훈민정음 해례본(한문으로 된 훈민정음 해설 서) 의 어지(語旨) 부분을 언해(諺解)한 것 세종어제 훈민정음을 낭독시 옛 문자를 어떻게 낭독할지 모르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을 위해 모범 낭독안을 제시해 활용함.

13 15세기 표기상의 특징 1) 한자음 표기 : 동국정운식 표기 2) 사잇소리 표기 : 사이시옷 외에도 ‘ㄱ, ㄷ, ㅂ, ㅸ,
ㅿ’이 쓰임 3) 겹자음 표기 : 첫소리- ‘ㅼ, ㅳ’등의 겹자음 쓰임 끝소리- ‘ㅭ’ 쓰임 4) 방점 : 소리의 높낮이 표시하는 점 5) 이어적기, 8종성법, 모음조화의 규칙적 적용

14 의미의 이동과 축소 중세 국어에는 현대 국어와는 다른 의미의 어휘들이 쓰였다.
- 의미의 이동: 단어의 의미 자체가 변하는 현상이다. (어엿비: 불쌍하게 어여쁘게) 의미의 축소: 한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의 폭이 좁아지는 쪽으로 의미가 변하는 현상이다. (놈: 보통사람 남성을 비하하는 말)

15 방점의 이해 방점(사성점, 좌가점) : 글자 왼쪽에 붙어서 성조를 나타냄 높은 소리- 長音으로 2 점 상성(낮다가)
방점(사성점, 좌가점) : 글자 왼쪽에 붙어서 성조를 나타냄 .갈(刀) 거성(높은소리) 1점 입성 받침 발음 ㄱ,ㄷ ㅂ,ㅅ 긷(柱) .입(口) :낟(穀) 높은 소리- 長音으로 상성(낮다가) 2 :말(言) 학습 초기에 아이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도입 화면이다. 제시되는 화면속 [큰 그림]을 클릭하면, 웹으로 연결되어 사랑이란 단어가 들어간 플래시 애니메에션을 볼 수 있다. 아래쪽 [음표]를 클릭하면 진달래꽃과 유사한 내용을 담은 현대 가요을 만날 수 있다. [화살표]를 클릭하면 슬라이드 11로 가서 사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 두 가지가 모두 사랑과 관련 있음을 다시 확인한다 이를 통해서 사랑의 보편성을 이야기하고 진달래꽃을 읽어볼 학습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평성(낮은소리)무점 쇼(牛) 이영보래가 쓰인 한자 우리말 ‘ㄹ’로 끝나는 한자가 중국에서는 입성이어서 입성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ㆆ을 붙였다

16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국어가
비교부사격 나․랏 :말․미 中듕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국어가 이어적기 다르기 때문에 자주정신 사잇소리 동국정운식 표기 주격 공동부사격 한자와 8종성법 아니하므로 통하지 동국정운식 표기

17 까닭, 이유, 연고 어리석은, 어의전성 : 언어의 역사성 ․이런 젼․․로 어․린 百․姓․셩․이
․이런 젼․․로 어․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까닭, 이유, 연고 어리석은, 어의전성 : 언어의 역사성 원인부사격 할 바가 있어도 말하고자 주격 뜻을 자기의 마침내 관형격 이어적기 많으니라 사람이 충분히 펼치지 역사성 능히 이어적기

18 내․이․ 爲․윙․․야 :어엿 ․비 너․겨
내․이․ 爲․윙․․야 :어엿 ․비 너․겨 ․새․로․ 스․믈 여․듧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 ․미니․라. 애민정신 불쌍하게 역사성 생각하여 주격 창조정신 만드니 쉽게 하여금 익혀 사용함에 실용정신

19 사잇소리 현상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서 합성어가 될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즉 사잇소리가 삽입되는 현상이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ㄱ, ㄷ, ㅂ, ㅸ, ㅿ, ㆆ’ 으로 다양하게 쓰였다가 나중에 ‘ㅅ’으로 통일되는 양상을 보였다. 君군ㄷ字

20 1. 오늘날의 '∼의'로 해석된다. 2. 사잇소리는 ① 체언 뒤 ② 유성음(울림소리) 뒤에서만 사용된다. 3. 복잡한 사잇소리는 세종, 세조 때에만 사용되었다. 즉 '용비어천가'와 '훈민정음 언해본'에만 그 용례가 나올 뿐이다. 4. '두시언해'(성종)부터 'ㅅ'으로 모두 통일되었다. 5. 형태

21

22

23 연철(이어적기) 니믈(연철) 님믈(혼철) 님을(분철)
어간과 어미, 체언과 조사 등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연결될 때, 그것을 구분하여 적지 않고 소리나는 대로 풀어 적는 표기법. 형태소를 밝혀 적는 표기법을 ‘분철’이라 하는데, 과도기적 표기를 ‘혼철’이라 한다 니믈(연철) 님믈(혼철) 님을(분철)

24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법 - 동국정운(세종 29년 완성) - 중국의 한자 원음에 가깝게 하기 위한 노력
- 실제 통용의 음이 아닌 이상음. - 세조 때까지 쓰이고 소멸(1480년경) 한자음을 중국의 원음에 가깝게 고친 것으로, 반드시’초성+중성+종성’의 3성 체계를 갖추어서 표기하였으며, 한자음에 받침이 없는 글자는 종성에 음가가 없는 ‘ㅇ’이나 ‘ㅱ’을 씀. (虛(헝), 斗(둠))

25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好’라는 글자를 어떻게 읽을까? 훈민정음 당시도 현실음과 중국원음이 달랐다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好’라는 글자를 어떻게 읽을까? 우리나라 : 호 중국 : 하오 훈민정음 당시도 현실음과 중국원음이 달랐다 그래서 중국 원음을 표기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초성에 전탁음 ㅸ, ㅿ,ㆁ, ㆆ 이영보래가 쓰인 한자 학습 초기에 아이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도입 화면이다. 제시되는 화면속 [큰 그림]을 클릭하면, 웹으로 연결되어 사랑이란 단어가 들어간 플래시 애니메에션을 볼 수 있다. 아래쪽 [음표]를 클릭하면 진달래꽃과 유사한 내용을 담은 현대 가요을 만날 수 있다. [화살표]를 클릭하면 슬라이드 11로 가서 사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 두 가지가 모두 사랑과 관련 있음을 다시 확인한다 이를 통해서 사랑의 보편성을 이야기하고 진달래꽃을 읽어볼 학습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종성에 음가가 없는 ㅇ, ㅱ 그러나 현실과 거리가 있었기에 곳 소멸됨

26

27 중세 국어 현대 국어 음운상의 차이점 들 뜻을 중세 국어 시기에 존재하는 어두 자음군이 소실되어 된소리로 바뀌어 ‘’이 ‘ㄸ’이 된 것이다. 펴디 펴지 근대 국어 시기에 나타나는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디’가 ‘지’로 바뀌었다. 스믈 스물 근대 국어 시기에 순음(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의 영향으로 ‘스믈’이 ‘스물’로 바뀌었다. 귁에 중국과 중세 국어에는 비교나 기준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에’가 있었다.

28 중세 국어에서는 ‘어리석은’의 뜻이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나이가 적은’의 뜻으로 바뀌었다.
의미상의 차이점 어린 나이가 적은 중세 국어에서는 ‘어리석은’의 뜻이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나이가 적은’의 뜻으로 바뀌었다. 어엿비 어여쁘게 중세 국어에서는 ‘가련하게, 불쌍하게’의 뜻이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예쁘게, 어여쁘게’의 뜻으로 바뀌었다.

29 이 글의 표기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어두 자음군을 사용하였다. ② 현재 쓰이지 않는 문자를 사용하였다.
③ 체언에 조사가 붙을 때 끊어적기를 하였다. ④ 한자음을 중국의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였다. ⑤ 문자 이외에 다른 표시로 발음을 나타내었다. 들 수 말미(이어적기) 中듕國귁 방점 ‘:말․미’를 살펴보면 받침이 있는 체언에 조사가 붙을 때 그 받침을 조사의 초성에 이어적고 있으므로 끊어적기가 아니라 이어적기가 쓰이고 있다.

30 이 글에서 언급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새로 만든 글자의 수는 28자이다. ② 문물을 정비하기 위해서 새 문자를 만들었다.
③ 우리의 말과 중국의 말이 다름을 인식하고 있다. ④ 새롭게 만든 문자는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⑤ 당시에는 문자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았다. 훈민정음은 백성들의 편리한 문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했으므로 ②는 적절하지 않다.

31 이 글의 나타난 국어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끊어적기 위주의 표기가 사용되었다. ② 성조를 나타내는 방점이 사용되었다. ③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가 사용되었다. ④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은 표기가 사용되었다. ⑤ 오늘날 사용되지 않는 자음이나 모음이 사용되었다.

32 이 글의 사용된 다음 단어를 현대어로 풀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디 : 통하지. ② 젼로 : 까닭으로 ③ 들 : 뜻을 ④ 시러: 싫어 ⑤ 노․니: 만드니

33 어휘의 의미를 파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말 : 현대 국어에서는 ‘말’의 높임말이나 낮춤말로 쓰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보통의 말’을 가리킨다. ② 어린 : 현대 국어에서는 ‘나이가 적다’는 뜻으로 쓰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어리석다’는 뜻이다. ③ 놈 : 현대 국어에서는 ‘남자’를 얕잡아 부르는 낮춤말로 쓰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보통의 사람’을 가리킨다. ④ 어엿비 : 현대 국어에서는 ‘예쁘다’는 뜻으로 쓰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불쌍하다’는 뜻이다. ⑤ 便뼌安․킈 : 현대 국어에서는 ‘편하게’의 뜻으로 쓰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변함없이’라는 뜻이다. ‘뼌킈’는 중세 국어에서도 ‘편하게’의 뜻으로 쓰였다.

34 핵심내용 ( 제자해) 갈래: 설명문 주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내용구조 초성의 제자 원리를 밝힘
-상형: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뜸 -가획: 기본자에 획을 더함 -이체: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떴으나 기본자와 모양을 달리함 중성자의 제자 원리를 밝힘 -상형: 천지인의 모양을 본뜸 -합성: 기본자를 합성함(초출자, 재출자)

35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초성(자음): 상형의 원리(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뜸)에 가획(기본자에 획을 더함)과 이체(기본자와 모양을 달리해서 만듦)의 원리로 만듦. 중성(모음): 상형의 원리(천, 지, 인의 모양을 본뜸)에 합성(기본자를 합성하여 초출자, 재출자를 만듦)의 원리로 만듦.

36 소실 문자 정리 학습 초기에 아이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도입 화면이다.
제시되는 화면속 [큰 그림]을 클릭하면, 웹으로 연결되어 사랑이란 단어가 들어간 플래시 애니메에션을 볼 수 있다. 아래쪽 [음표]를 클릭하면 진달래꽃과 유사한 내용을 담은 현대 가요을 만날 수 있다. [화살표]를 클릭하면 슬라이드 11로 가서 사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 두 가지가 모두 사랑과 관련 있음을 다시 확인한다 이를 통해서 사랑의 보편성을 이야기하고 진달래꽃을 읽어볼 학습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37

38 자음(첫소리) 병서(나란히 쓰기)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들(전탁음,된소리)은 훈민정음 스물 여덟 자 중 초성 17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초성 17자 중 소실된 문자는 ‘ㆁ, ㆆ, ㅿ’이다. 이체자는 기본자에 획을 더하는 가획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가 아니다.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뜸.

39 제자 원리 자음(오행설) 기본글자 음성기관상형 가획자 기본자 가획 각자병서 28자 제외 이체자 다른 모양
제자 원리 자음(오행설) 기본글자 음성기관상형 가획자 기본자 가획 학습 초기에 아이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도입 화면이다. 제시되는 화면속 [큰 그림]을 클릭하면, 웹으로 연결되어 사랑이란 단어가 들어간 플래시 애니메에션을 볼 수 있다. 아래쪽 [음표]를 클릭하면 진달래꽃과 유사한 내용을 담은 현대 가요을 만날 수 있다. [화살표]를 클릭하면 슬라이드 11로 가서 사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 두 가지가 모두 사랑과 관련 있음을 다시 확인한다 이를 통해서 사랑의 보편성을 이야기하고 진달래꽃을 읽어볼 학습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각자병서 28자 제외 이체자 다른 모양

40 ㆁ 자음 ㄱ ㅋ ㄴ ㄷ, ㅌ ㅁ ㅂ, ㅍ ㅅ ㅈ, ㅊ ㅇ ㆆ, ㅎ ㄹ ㅿ 위치/성질 기본자 가획자 이체 牙音(아음)
舌音(설음) ㄷ, ㅌ 脣音(순음) ㅂ, ㅍ 齒音(치음) ㅈ, ㅊ 喉音(후음) ㆆ, ㅎ 半舌音(반설음) 半齒音(반치음)

41

42

43

44

45

46

47 28자(초성 17자 중성 11자)에 포함 제자원리 모음(음양이론) 학습 초기에 아이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도입 화면이다.
제자원리 모음(음양이론) 학습 초기에 아이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도입 화면이다. 제시되는 화면속 [큰 그림]을 클릭하면, 웹으로 연결되어 사랑이란 단어가 들어간 플래시 애니메에션을 볼 수 있다. 아래쪽 [음표]를 클릭하면 진달래꽃과 유사한 내용을 담은 현대 가요을 만날 수 있다. [화살표]를 클릭하면 슬라이드 11로 가서 사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 두 가지가 모두 사랑과 관련 있음을 다시 확인한다 이를 통해서 사랑의 보편성을 이야기하고 진달래꽃을 읽어볼 학습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28자(초성 17자 중성 11자)에 포함

48 모음(가운뎃소리) 天(천), 地(지), 人(인) 三才를 본뜸.
天(천), 地(지), 人(인) 三才를 본뜸. ‘ㆍ’ 계열의 모음- 양성, ‘ㅡ’ 계열의 모음- 음성, ‘ㅣ’-중성. 중성 11자 중 소실된 문자는 ‘ㆍ’ 이다. 단모음(7개) : 기본자와 초출자

49 1 •(天) ㅗ, ㅏ ㅛ, ㅑ 2 ㅡ(地) ㅜ, ㅓ ㅠ, ㅕ 3 ㅣ(人) 基 本 字 (기본자) 初 出 字 (초출자) 再 出 字
모음 基 本 字 (기본자) 初 出 字 (초출자) 再 出 字 (재출자) 1 •(天) ㅗ, ㅏ ㅛ, ㅑ 2 ㅡ(地) ㅜ, ㅓ ㅠ, ㅕ 3 ㅣ(人)

50

51

52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중심 내용은? ① 훈민정음의 음가. ②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③ 한글의 띄어쓰기 원리. ④ 음절 문자의 구성 원리. ⑤ 받침에 쓰이는 글자의 원리. 이 글은 훈민정음 28자의 제자 원리를 초성과 중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53 이 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입의 모양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② 중성에는 우주의 이치가 담겨 있다. ③초성과 중성이 어울려야 음절이 이루어진다. ④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글자를 만들 수 있었다. ⑤ 당시에는 이중 모음과 단모음의 차이를 알고 있었다. - 한글은 초성과 중성이 어울려 음절을 이루나, 제시된 글에서는 음절에 대한 설명이 없으므로 ③의 내용은 알 수 없다

54 이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훈민정음 28자 중, 중성의 수는?
① 10자 ② 11자 ③12자 ④13자 ⑤ 14자 - 훈민정음은 총 28자인데 그 중에서 초성은 기본자 5자, 가획자 9자, 이체자 3자 합쳐서 17자이고, 중성은 천,지,인 3자를 기본자로 하여 초출자 4자, 재출자 4자로 합해서 11자이다

55 이 글의 내용으로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은? ① 훈민정음의 자음은 어떻게 변용되는가? ② 훈민정음의 자음은 무엇을 본떠서 만들었나? ③ 훈민정음의 모음은 어떻게 변용되는가? ④ 훈민정음의 모음은 무엇을 본떠서 만들었나? ⑤ 훈민정음의 모음은 문자의 어디에 위치하는가? 이 글은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설명하는 글이다. 이 글에는 모음의 위치가 자음의 밑이나 오른쪽에 위치한다는 어떠한 정보도 주어지지 않았다. ① (나)에서 자음은 가획과 이체의 원리로 변용된다고 하였다. ② (가)에서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했다. ③ (라)와 (마)에서 자음은 합성의 원리로 변용된다고 하였다. ④ (다)에서 모음은 하늘·땅·사람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했다.

56 이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가획자는 자음 기본자보다 소리가 강하다. ② 훈민정음은 모두 17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③ 이체자는 자음의 가획자와 형성 방식이 다르다. ④ 발음하는 기관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자음 문자를 만들었다. ⑤ 하늘과 땅, 사람의 모양을 기본으로 모음 문자를 만들었다. - 훈민정음은 자음 17자와 모음 11자, 모두 28자로 구성되었다. ① (나)에서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 나는 것이 조금 센 까닭으로 획을 더하였다.’고 밝혀, 가획자가 기본자보다 소리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③ (나)에서 이체자는 혀와 이의 모양을 본뜨긴 했으나 획은 더한 뜻이 없다고 하였다. ④ (가)에 발음하는 기관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자음 문자를 만든 예가 제시되었다. ⑤ (다)에 하늘과 땅, 사람의 모양을 기본으로 모음 문자를 만들었다고 제시되었다.

57 핵심내용(정인지 서) 주제: 훈민정음의 창제 이유와 훈민정음의 우수성 내용구조
-우리의 문자 현실: 우리말을 표현할 글자가 없어서 불편함. -훈민정음 창제: 세종이 창제하신 훈민정음 28자가 뛰어남. -훈민정음의 우수성: 훈민정음은 뛰어난 점이 많아 활용하기에 편리함.

58 한글의 특성과 이를 설명한 내용 한글의 특성 설명한 내용
과학적임 -상형해서 만들고 소리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음은 칠조에 맞고, 삼재의 뜻과 이기의 묘가 모두 포함됨 배우기 쉬움 -스물여덟 글자를 가지고도 전환이 무궁하여 간단하고도 요긴하고, 정(精)하고도 통(通)하는 까닭에, 슬기로운 사람은 하루아침을 마치기도 전에 깨우치고, 어리석은 이라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음. 우리말을 잘 표현함 -훈민정음으로 쓴 글은 이해하기가 쉽고, 훈민정음으로 송사를 하면 그 실정을 잘 알 수 있음. 어떤 소리라도 적을 수 있음 -한자음은 청탁을 구별할 수 있고, 악가는 율려가 고르게 되며, 바람소리, 학의 울음, 닭의 홰치며 우는 소리, 개 짖은 소리도 적을 수 있음.

59 기존 문자 사용 상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 문자 사용 상황 문제점 우리말을 표현할 마땅한 글자가 없음
- 일반 백성들은 한문으로 쓰인 글의 뜻을 알 수가 없고, 옥사를 다스리는 이는 다른 사람의 복잡한 사정이나 까닭을 알기가 어려움. 신라의 설총이 이두를 처음 만들어서 관청이나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음 - 이두는 한자를 빌려 쓰는 것이어서 우리의 실정에 맞지 않고, 일상적인 언어를 적는 데 있어 그 뜻이 두루 통하지 않음.

60 이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훈민정음은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 ② 훈민정음으로는 한자음을 정확히 적을 수 없다. ③ 많은 백성들이 우리 문자가 없어 불편을 겪고 있었다. ④ 당시 다른 나라들도 중국어를 빌려 문자 생활을 하였다. ⑤ 계해년 겨울에 임금(세종)이 스물여덟 자의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 훈민정음은 한자음의 청탁(淸濁)을 능히 구별할 수 있다고 하여, 한자를 적는데 어려움이 없음을 밝히고 있다.

61 이 글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송사를 심리하기 위해 새로운 문자가 필요하였다. ② 이두라는 문자가 있었지만 사용하기가 불편하였다. ③ 훈민정음은 소리의 원리를 바탕으로 창제된 문자이다. ④ 우리말과 한자는 달라 뜻을 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⑤ 음을 기록할 글자가 없어서 중국의 글자를 빌려와 사용하였다. -송사를 심리하기 위해 새로운 문자가 필요했던 것이 아니라 한자로 우리말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었기 때문에 문자가 필요했다.

62 이 글에서 드러나는 훈민정음 창제 정신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글에서 드러나는 훈민정음 창제 정신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새롭게 문자를 만드는 창조 정신 ② 백성들의 어려움을 헤아리는 애민 정신 ③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실용 정신 ④ 자연의 소리까지 염두에 두는 자연 합일 정신 ⑤ 우리말이 외국 문자와 통하지 않음을 인식한 자주 정신 - 바람 소리, 학의 울음, 닭의 홰치며 우는 소리, 개 짖는 소리 같은 자연의 소리까지도 훈민정음으로 적을 수 있다고 하여 훈민정음의 우수성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이것을 자연 합일 정신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할 수 없다.


Download ppt "(2) 훈민정음."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