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2차 국기본(안) 공개토론회 국가에너지기본계획(안) 2008. 8. 7 에너지경제연구원.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2차 국기본(안) 공개토론회 국가에너지기본계획(안) 2008. 8. 7 에너지경제연구원."—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2차 국기본(안) 공개토론회 국가에너지기본계획(안) 에너지경제연구원

2 목 차 Ⅰ.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 개요 Ⅱ. 에너지 수급 실적 Ⅲ. 에너지 수요 전망 Ⅳ. 에너지 수요 목표안
목 차 Ⅰ.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 개요 Ⅱ. 에너지 수급 실적 Ⅲ. 에너지 수요 전망 1. 유가 100불(164불) 시나리오 2. 유가 119불(186불) 시나리오 Ⅳ. 에너지 수요 목표안 Ⅴ. 분야별 대책 2

3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 개요

4 1. 개요 계획명 :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계획기간 : 2008~2030 수립근거 수립체계
2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 (에너지기본법 제6조1항) 수립체계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의 협의와 국가에너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 (에너지기본법 제6조2항) 에너지정책전문위원회에서 위원회 상정안건 검토 (시행령 제4조2항)

5 2. 기본계획의 의의 및 성격 미래지향적 에너지정책 방향의 제시 에너지정책 관련 최상위 국가전략 중장기적 관점의 기본방향 설정
에너지자원의 확보 국내 수급안정 및 공급 인프라 확충 에너지 이용 합리화 등 미래지향적 정책방향 제시 환경 피해요인 최소화 관련기술 개발촉진 에너지정책 관련 최상위 국가전략 관련 전분야 대상 다른 에너지 관련 계획과 체계적 연계 및 거시적 조정 에너지원별, 부문별 등 에너지 관련 계획에 원칙 및 방향을 제시하는 상위계획

6 국민참여형 기본계획 작성단계부터 범부처, 에너지공급자, 시민단체의 참여 및 공론화를 거쳐 다양한 의견 수렴 및 계획 실현 과정에서의 정당성 확보 제1차 공청회 (’07.12) 제1차 공개토론회 (’08.6.) 제1차~제4차 워크샵 (’ ’08.8.) 제2차 공개토론회 (’08.8.) 제2차 공청회 (’08.8. 예정)

7 3. 기본계획의 효력 법령상 규정 분야별 계획 및 일반 정책과의 관계 에너지 기본법 제5조(적용범위)
에너지에 관한 법령을 제정 또는 개정하는 경우 에너지 기본법의 목적과 기본원칙에 맞도록 하여야 함 분야별 계획 및 일반 정책과의 관계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은 장래 20년간 에너지정책을 효율적, 체계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본 철학, 전체 목표를 제시 원별 계획 및 일반 정책은 동 계획의 字句 그대로 구속되지 않고, 목표를 실현시키는 수단 및 방법은 경제상황 및 정책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음 따라서 원별 계획 및 일반 정책은 동 계획의 철학 및 기본원칙에는 구속되나, 구체적 내용에 구속되지 않음

8 에너지 분야 중장기 계획

9 국기본(안)의 주요 내용

10 1. 3대 기본 방향 3대 기본 방향

11 2. 5대 비전 에너지자립사회 구현 에너지 저소비사회로 전환
자주개발률: % (’05) % (’30) 신재생에너지보급률: % (’05) 9%, 11% (’30) 에너지 저소비사회로 전환 에너지 효율 개선 : ‘06 –’ % *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 (’06) , (’30) 탈석유사회로 전환 석유의존도: % (’06) % (’30) 더불어 사는 열린 에너지사회 구현 에너지빈곤층 비율: % (’05) 0% (’30) 에너지설비 및 기술수출국 도약 에너지기술 수준: % (’04) % (’30)

12 3. 분야별 대책 에너지 사용 효율의 개선 에너지 시장의 효율화 및 합리적 가격체계 해외자원개발의 역량 확충
신재생에너지 개발보급 확대 및 성장동력화 원자력 정책방향 안정적 에너지 공급 차세대 에너지기술 선점 에너지 산업 해외 진출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에너지복지 확충 및 에너지 안전

13 에너지 수급 실적

14 1. 총 에너지소비 관련 주요지표 총에너지 소비(‘81-’06) 1인당 에너지소비(‘81-’06) 에너지원단위(‘98-’06)
연평균 6.7% 증가 연평균 5.8% 증가 연평균 1.3% 개선 총에너지소비 관련 주요지표 변화 5.7% 759.2 320.7 7.2% 523.0 487.2 9.0% 147.5 48.3 GDP(조원) (‘00년불변시장가격) 46.0 46.3 0.5% 42.9 1.0% 38.7 1.1% 233.4 인 구(백만명) 180.6 165.9 4.4% 93.2 45.7 9.9% 총에너지 (백만TOE) 8.2% 3.8% 4.83 8.8% 3.93 3.58 1.18 1인당 에너지소비 (TOE/인) 8.2% 2.17 0.345 0.341 0.307 -1.3% 에너지원단위 (TOE/백만원) 0.310 0.291 2.5% -0.7% ’81 ’90 ’97 ’98 ’06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15 천연가스, 원자력 소비는 높은 증가세, 석유 소비증가세는 급격히 위축
2.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소비 천연가스, 원자력 소비는 높은 증가세, 석유 소비증가세는 급격히 위축 300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소비추이 * 단위 : 백만 TOE 280 260 233 240 ’81 ’90 ’97 ’98 ’06 1.9 220 181 200 166 15.9 0.7 0.6 180 10.7 0.9 13.7 160 0.7 13.5 140 8.2 0.9 93 120 신재생 43.6 8.3 100 원자력 0.9 14.2 60.4 54.6 80 LNG 46 60 수력 5.5 1.7 1.6 40 석유 3.2 1.5 19.3 21.7 24.3 20 석탄 53.8 58.1 33.3 26.2 % % % % %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16 3. 부문별 최종 에너지 소비 최종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3.5%(’98~’06) 증가, 외환위기 이후 증가율 둔화 174
외환위기 이후 산업부문 비중 감소 경제성장율 둔화, 에너지저소비형 산업구조 전환, 에너지효율 향상에 기인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실적 * 단위 : 백만 TOE 200 180 174 2.2 160 144 20.7 140 1.9 132 공공기타 1.9 120 22.9 21.0 20.8 100 가정ㆍ상업 21.3 75 19.8 80 3.7 수 송 60 29.3 56.0 39 4.8 40 40.7 53.9 18.9 57.5 산 업 9.6 20 44.9 48.1 % % % % % ’81 ’90 ’97 ’98 ’06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17 에너지 수요 전망(기준안)

18 1. 에너지 수요 전망 주요전제 GDP 및 인구 전제 경제성장(KDI) 인 구 국제유가 산업구조 ’06 ’10 ’15 ’20
(통계청) 국제유가 (미국 DOE ’07, ’08) 산업구조 (KIET) 국내총생산 (2000년 불변가격) 연평균 3.7% 연평균 0.03% 증가, 2018년 이후 인구 감소세 2030년 100 US$/bbl(‘05년기준) (164 US$/bbl,명목가격) 119 US$/bbl(‘06년기준) (186 US$/bbl,명목가격) 제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 서비스업(52.1% %) 비중 증가, - 제조업(33.5% %) 비중 축소 미미 GDP 및 인구 전제 3.7 % 4.8 % 4.3 % 2.8 % 0.0 % 0.3 % 0.1 % - 0.1 % 1,836.0 1,634.3 1,396.2 1,142.1 GDP(조원) 916.4 759.2 인 구(천명) 48,875 49,277 49,326 48,297 49,108 48,635 ’06 ’10 ’15 ’20 ’25 ’30

19 장기 유가 전망(시나리오 1) 우리나라는 EIA 유가시나리오 중 고유가안에 따라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작성 2006 2010
(단위: US$/배럴, 2005년 가격기준) 2006 2010 2015 2020 2025 2030 기준가 69.1 57.5  49.9  52.0  56.4  59.1  고유가 (명목가격) (71.2) 69.2 (77.2)  79.6  (97.1) 89.1  (119.3) 94.4  (139.2) 100.1  (163.6) 저유가 49.2  34.0  34.1  34.9  35.7                                                                                     < 장기 유가 전망 > *명목가격의 물가지수는 2006년 기준 * 자료 : DOE/EIA, Annual Energy Outlook 2007

20 장기 유가 전망(시나리오 2) 우리나라는 EIA 유가시나리오 중 고유가안에 따라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작성 2006 2010
(단위: US$/배럴, 2006년 가격기준) 2006 2010 2015 2020 2025 2030 기준가 66.0 74.0 60.0 59.7 64.6 70.6 고유가 (명목가격) (66.0) 79.0 (85.7) 90.4 (107.5) 102.1 (132.1) 109.3 (154.5) 118.7 (185.7) 저유가 71.5 44.1 39.1 40.2 42.5 *명목가격의 물가지수는 2006년 기준 * 자료 : DOE/EIA, Annual Energy Outlook 2008

21 산업구조 전망 산업부문별 부가가치 비중 전망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2030년까지 연평균 3.5% 증가
- 첨단기술 및 IT산업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 성장 유지 서비스업의 부가가치는 2030년까지 연평균 4.2% 증가 - 지식서비스 부문, 특히 문화서비스와 사업관련 서비스의 성장이 두드러짐 산업부문별 부가가치 비중 전망 (단위: %) 2006 2010 2015 2020 2025 2030 농림어업 3.7 3.2 2.6 2.2 2.0 1.8 광공업 33.8 33.4 33.5 33.3 32.6 31.4 (제조업) (33.5) (33.2) (33.3) (32.5) (31.3)  SOC 10.4 10.6 10.3 10.0 9.7 9.3 서비스업 52.1 52.9 53.6 54.4 55.7 57.4 총부가가치 100.0 주: 1. 서비스업은 도소매/음식숙박, 운수창고/통신, 금융보험, 부동산/사업서비스, 교육        서비스, 보건/사회복지사업, 기타서비스업으로 구성 2. 실질가격 기준 부가가치 비중 3. (  )안은 제조업 비중(%) * 자료 : 산업연구원

22 제조업 업종별 성장 전망 제조업 업종별 부가가치 비중 전망
ICT, 자동차, 조선 등 주력제조업은 산업고도화를 통해 전체 경제성장을 주도 - 조립금속업은 가장 높은 연평균 4.4%의 성장률 - 석유화학 2.8%, 1차금속업 1.6%, 비금속광물업 1.9% 제조업 업종별 부가가치 비중 전망 (단위: %) 구분 2006 2010 2015 2020 2025 2030 음식료 5.0 4.4  4.1  3.8  3.4  3.1  섬유의복 3.7 2.9  2.3  1.9  1.6  1.4  나무제지 3.0 2.7  2.4  2.2  2.0  3대 다소비업종 27.2 26.1  24.4  23.0  22.1  20.8   - 석유화학 17.3 16.9  16.1  15.4  15.0  14.2   - 비금속광물 2.9 2.5  2.1  1.8   - 1차금속 7.0 6.4  5.8  5.3  5.0  4.7  조립금속 59.9 62.7  65.8  68.4  70.1  72.2  기타제조 1.2 1.1  0.9  0.8  0.7  0.6  제조업계 100.0 100.0  주: 실질가격 기준 부가가치 비중임(자료 : 산업연구원)

23 2. 에너지 수요 전망 방법론 경제활동 수준, 에너지이용기술, 이용기기 보급률, 에너지원단위 등의 변수
현재 집행되고 있는 정책 내용 (Business As Usual)이 지속될 것을 가정 부문별, 업종별, 용도별로 구분

24 3. 에너지수요 주요지표 전망 2006년 2010년 2015년 2020년 2025년 2030년 증가율 (%) 06-20
20-30 06-30 GDP (‘00년 불변 조원) 760.3 916.4 1,142.1 1,396.2 1,634.3 1,836.0 4.4 2.8 3.7 총에너지수요 (백만TOE) 시나리오1 233.4 255.9 286.7 316.1 340.2 350.7 2.2 1.0 1.7 시나리오2 258.7 286.6 311.6 334.3 342.8 2.1 1.6 1인당 에너지소비 (TOE) 4.83 5.24 5.82 6.41 6.93 7.21 2.0 1.2 5.29 6.32 6.81 7.05 1.9 1.1 에너지원단위 (TOE/천불) 0.347 0.316 0.284 0.256 0.235 0.216 -2.1 -1.7 -2.0 0.319 0.252 0.231 0.211 -2.3 -1.8

25 수요 전망 시나리오 1(100$)

26 3. 에너지 수요 주요지표 전망(1) 총에너지 소비(‘06-’30) 1인당 에너지수요 에너지원단위 연평균 1.7% 증가
연평균 1.9% 개선 기준안 에너지수요 관련 주요지표 전망 1,836.0 1,634.3 1,396.2 1,142.1 352.0 341.1 916.4 316.9 GDP(조원) 760.3 290.8 7.21 261.0 6.93 6.41 233.4 총에너지 (백만TOE) 5.82 5.24 4.83 1인당 에너지소비 (TOE/인) 0.307 에너지원단위 (TOE/백만원) 0.285 0.255 0.227 0.209 0.192 ’06 ’10 ’15 ’20 ’25 ’30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27 4.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수요 전망(1) 천연가스 (2.3%), 원자력 (2.5%)은 석 유 석 탄 신재생(수력제외)
높은 증가세, 수송용 및 산업용 수요의 꾸준한 증가, 연평균 증가율 0.8% 발전용 유연탄 수요의 꾸준한 증가로 연평균 증가율 1.7% 연평균 6.2% 증가 석유 소비증가세는 급격히 위축 * 단위: 백만 TOE,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28 5. 1차 에너지원별 수요 비중 전망(1) 천연가스,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등의 수요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
청정연료 선호 증가, 네트워크 중심의 소비패턴 확대, 전력수요 증가에 따른 발전용 수요 증가, 정부의 보급확대 등 석유의존도 8.0%p 감소 신고유가로 인한 연료대체, 산업구조(첨단기술 및 정보통신 주도) 변화 등 * 단위: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29 6. 부문별 최종에너지 수요전망(1) 최종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1.6%(’06~’30) 증가, 경제성장율 연평균 3.7%
최종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1.6%(’06~’30) 증가, 경제성장율 연평균 3.7% 산업부문 : 연평균 1.4%, 부가가치 성장 연평균 3.5% 수송부문 : 연평균 1.4%, 높은 연료가격, 자동차 보급 포화 수준 근접 등 가정/상업 : 연평균 2.2%, 인구 및 가구수 정체되나 서비스업(연평균 4.2%)의 빠른 성장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30 수요 전망 시나리오 2(119$)

31 3. 에너지 수요 주요지표 전망(2) 총에너지 소비(‘06-’30) 1인당 에너지수요 에너지원단위 연평균 1.6% 증가
연평균 2.1% 개선 기준안 에너지수요 관련 주요지표 전망 1,836.0 1,634.3 1,396.2 1,142.1 342.8 334.3 916.4 311.6 GDP(조원) 760.3 286.6 7.05 258.7 6.81 6.32 233.4 총에너지 (백만TOE) 5.82 5.29 4.83 1인당 에너지소비 (TOE/인) 0.307 에너지원단위 (TOE/백만원) 0.282 0.251 0.223 0.205 0.187 ’06 ’10 ’15 ’20 ’25 ’30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32 4.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수요 전망(2) 천연가스 (2.2%), 원자력 (2.5%)은 석 유 석 탄 신재생(수력제외)
높은 증가세, 수송용 및 산업용 수요의 꾸준한 증가, 연평균 증가율 0.6% 발전용 유연탄 수요의 꾸준한 증가로 연평균 증가율 1.7% 연평균 6.2% 증가 석유 소비증가세는 급격히 위축 * 단위: 백만 TOE,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33 5. 1차 에너지원별 수요 비중 전망(2) 천연가스,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등의 수요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
청정연료 선호 증가, 네트워크 중심의 소비패턴 확대, 전력수요 증가에 따른 발전용 수요 증가, 정부의 보급확대 등 석유의존도 9.4%p 감소 신고유가로 인한 연료대체, 산업구조(첨단기술 및 정보통신 주도) 변화 등 * 단위: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34 6. 부문별 최종에너지 수요전망(2) 최종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1.4%(’06~’30) 증가, 경제성장율 연평균 3.7%
최종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1.4%(’06~’30) 증가, 경제성장율 연평균 3.7% 산업부문 : 연평균 1.3%, 부가가치 성장 연평균 3.5% 수송부문 : 연평균 1.0%, 높은 연료가격, 자동차 보급 포화 수준 근접 등 가정/상업 : 연평균 2.1%, 인구 및 가구수 정체되나 서비스업(연평균 4.2%)의 빠른 성장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35 에너지 수요 목표안

36 목표안 시나리오 1(100$)

37 1. 목표안 주요 전제(1) 국가에너지원단위 신재생보급률 석유의존도 45% 향상(0.19Toe/천불) 9% 달성 33%로 축소
에너지원단위(’05) 석유의존도(’05) 신재생에너지공급비중(’05) 단위 : Toe/천불 단위 : % 단위 : % 미국 0.213 미국 40.7 미국 4.4 일본 0.106 일본 47.4 일본 3.0 프랑스 0.193 프랑스 32.5 덴마크 15.1 영국 0.144 독일 35.3 영국 1.6 한국(’06년) 0.347 한국(’06년) 43.6 한국(’06년) 1.9 0.190 33.0 8.7 2030년 2030년 2030년

38 2. 에너지 수요 목표안 주요 지표(1) 에너지원단위 총에너지 소비(‘06-’30) 1인당 에너지수요
연평균 2.5%(기준안 1.9%)개선 연평균 1.2%(기준안 1.7%)증가 연평균 1.1%(기준안 1.7%)증가 ’06년 대비 45.2% 개선 목표안 에너지수요 관련 주요 지표 1,836.0 1,396.2 308.5 290.9 760.3 GDP(조원) 6.34 5.90 총에너지 수요 (백만TOE) 233.4 4.83 1인당 에너지소비 (TOE/인) 0.347 기준안에너지GDP (TOE/천불) 0.257 0.347 0.217 목표안에너지GDP (TOE/천불) 0.236 0.190 ’06 ’20 ’30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39 3. 목표안 (1) : 1차 에너지 수요(1) (원전설비비중 37%)
석 유 원자력 신재생(수력제외) 연평균 0.0% 증가, 의존도 43.6%(‘06)에서 33.0%(’30)로 감소 연평균 3.3% 증가, 수요비중 15.9%(‘06)에서 26.0%(‘30)로 증가 연평균 7.9% 증가, 수요비중 1.9%(‘06)에서 8.7%('30)로 증가 수력(양수 제외) 포함 신재생에너지의 2030년의 수요비중은 9.0%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40 최종에너지수요 : 4. 목표안 (1) :최종 에너지 수요(1) (원전설비비중 37%) 연평균 0.9%(기준안 1.6%) 증가
- 석유(0.2%), 석탄(-1.6%), 전력(1.7%), 도시가스(2.1%), 신재생(7.0%), 열에너지(3.8%)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41 5. 목표안 (2) : 1차 에너지 수요(1) (원전설비비중 42%)
석 유 원자력 신재생(수력제외) 연평균 0.0% 증가, 의존도 43.6%(‘06)에서 33.0%(’30)로 감소 연평균 3.7% 증가, 수요비중 15.9%(‘06)에서 28.9%(’30)로 증가 연평균 7.9% 증가, 수요비중 1.9%(‘06)에서 8.7%(’30)로 증가 수력(양수 제외) 포함 신재생에너지의 2030년의 수요비중은 9.0%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42 최종에너지수요 : 6. 목표안 (2) : 최종 에너지 수요(1) (원전설비비중 42%) 연평균 0.9%(기준안 1.6%) 증가
- 석유(0.2%), 석탄(-2.0%), 전력(1.7%), 도시가스(2.1%), 신재생(7.0%), 열에너지(3.8%)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43 7. 기준안과 목표안의 비교(1) 총 에너지 수요 (‘30): 기준안 대비 12.0% 개선 최종 에너지 수요 (‘30):
목표안 1: 37.1 (14.7%) 감소 목표안 2: 38.7 (15.3%) 감소 도시가스 4.2 (12.0%) 감소, 전력 6.1 (12.0%) 감소 기준안 목표안 1 목표안 2 차이 총에너지 (에너지원단위, TOE/천불) 350.7 (0.216) 308.5 (0.190) 42.1 (12.0%) 감소 석탄 (비중,%) 84.5 (24.1) 60.0 (19.4) 51.3 (16.6) 24.5 (29.0%) 감소 33.2 (39.3%) 감소 석유 (비중,%) 124.7 (35.6) 101.8 (33.0) 22.9 (18.4%) 감소 LNG (비중, %) 55.9 (15.9) 37.1 (12.0) 36.9 (12.0) 18.7 (33.5%) 감소 19.0 (34.0%) 감소 원자력 (비중, %) 66.8 (19.1) 80.3 (26.0) 89.2 (28.9) 13.4 (20.1%) 증가 22.3 (33.4%) 증가 신재생 (비중, %) 18.5 (5.3) 26.8 (8.7) 8.3 (45%) 증가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44 목표안 시나리오 2(119$)

45 1. 에너지 수요 목표안 주요 전제(2) 국가에너지원단위 신재생보급률 석유의존도 47% 향상(0.185TOE/천불)
11% 달성 33%로 축소 에너지원단위(’05) 석유의존도(’05) 신재생에너지공급비중(’05) 단위 : Toe/천불 단위 : % 단위 : % 미국 0.213 미국 40.7 미국 4.4 일본 0.106 일본 47.4 일본 3.0 프랑스 0.193 프랑스 32.5 덴마크 15.1 영국 0.144 독일 35.3 영국 1.6 한국(’06년) 0.347 한국(’06년) 43.6 한국(’06년) 1.9 0.185 33.0 10.7 2030년 2030년 2030년

46 2. 에너지 수요 목표안 주요 지표(2) 에너지원단위 총에너지 소비(‘06-’30) 1인당 에너지수요
연평균 2.6%(기준안 2.1%)개선 연평균 1.1%(기준안 1.6%)증가 연평균 1.0%(기준안 1.6%)증가 ’06년 대비 46.7% 개선 목표안 에너지수요 관련 주요 지표 1,836.0 1,396.2 300.4 288.0 760.3 GDP(조원) 6.18 5.84 총에너지 수요 (백만TOE) 233.4 4.83 1인당 에너지소비 (TOE/인) 0.347 기준안에너지GDP (TOE/천불) 0.252 0.347 0.211 목표안에너지GDP (TOE/천불) 0.233 0.185 ’06 ’20 ’30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47 3. 목표안 (3) : 1차 에너지 수요(2) (원전설비비중 36%)
석 유 원자력 신재생(수력제외) 연평균 0.1% 감소, 의존도 43.6%(‘06)에서 33.0%(’30)로 감소 연평균 2.9% 증가, 수요비중 15.9%(‘06)에서 24.7%(‘30)로 증가 연평균 8.7% 증가, 수요비중 1.9%(‘06)에서 10.7%('30)로 증가 수력(양수 제외) 포함 신재생에너지의 2030년의 수요비중은 11.0%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48 최종에너지수요 : 4. 목표안 (3) :최종 에너지 수요(2) (원전설비비중 36%) 연평균 0.8%(기준안 1.4%) 증가
- 석유(0.1%), 석탄(-3.5%), 전력(1.6%), 도시가스(2.0%), 신재생(7.5%), 열에너지(3.7%)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49 5. 목표안 (4) : 1차 에너지 수요(2) (원전설비비중 41%)
석 유 원자력 신재생(수력제외) 연평균 0.1% 감소, 의존도 43.6%(‘06)에서 33.0%(’30)로 감소 연평균 3.4% 증가, 수요비중 15.9%(‘06)에서 27.8%(’30)로 증가 연평균 8.7% 증가, 수요비중 1.9%(‘06)에서 10.7%(’30)로 증가 수력(양수 제외) 포함 신재생에너지의 2030년의 수요비중은 11.0%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50 최종에너지수요 : 6. 목표안 (4) : 최종 에너지 수요(2) (원전설비비중 41%) 연평균 0.7%(기준안 1.4%) 증가
- 석유(0.1%), 석탄(-4.2%), 전력(1.6%), 도시가스(2.0%), 신재생(7.5%), 열에너지(3.7%)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51 7. 기준안과 목표안의 비교(2) 총 에너지 수요 (‘30): 기준안 대비 12.4% 개선 최종 에너지 수요 (‘30):
목표안 3: 36.1 (14.7%) 감소 목표안 4: 37.6 (15.3%) 감소 도시가스 4.2 (12.4%) 감소, 전력 6.2 (12.4%) 감소 기준안 목표안 3 목표안 4 차이 총에너지 (에너지원단위, TOE/천불) 342.8 (0.211) 300.4 (0.185) 42.3 (12.4%) 감소 석탄 (비중,%) 84.6 (24.7) 56.2 (18.7) 47.2 (15.7) 28.3 (33.5%) 감소 37.3 (44.1%) 감소 석유 (비중,%) 117.2 (34.2) 99.1 (33.0) 18.0 (15.4%) 감소 LNG (비중, %) 54.0 (15.8) 36.3 (12.1) 36.2 (12.0) 17.7 (32.8%) 감소 17.8(33.0%) 감소 원자력 (비중, %) 66.8 (19.5) 74.2 (24.7) 83.4 (27.8) 7.4 (11.1%) 증가 16.6 (24.8%) 증가 신재생 (비중, %) 18.6 (5.4) 32.1 (10.7) 13.5 (72.4%) 증가 * 단위: 백만 TOE, %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52 수요전망 종합(기준안, 목표안)

53 8. 목표안 에너지수요 주요지표 전망 2006년 2020년 2030년 증가율 (%) 06-20 20-30 06-30 GDP
(‘00년 불변 조원) 760.3 1,396.2 1,836.0 4.4 2.8 3.7 총에너지수요 (백만TOE) 시나리오1 233.4 290.9 308.5 1.6 0.6 1.2 시나리오2 288.0 300.4 1.5 0.4 1.1 1인당 에너지소비(TOE) 4.83 5.90 6.34 1.4 0.7 5.84 6.18 1.0 에너지원단위 (TOE/천불) 시나리오1 (기준안) 0.347 0.256 0.216 -2.1 -1.7 -2.0 시나리오1 (목표안) 0.236 0.190 -2.7 -2.5 시나리오2 (기준안) 0.252 0.211 -2.3 -1.8 시나리오2 (목표안) 0.233 0.185 -2.8 -2.6

54 9. 기준안과 목표안의 비교(종합) 시나리오 1(100$) 시나리오 2(119$) 기준안 목표안 1 목표안 2 차이 총에너지
기준안 목표안 1 목표안 2 차이  총에너지 (원단위,TOE/천불) 350.7 (0.216) 308.5 (0.190) 42.1 (12.0%) 감소 석탄 (비중,%) 84.5 (24.1) 60.0 (19.4) 51.3 (16.6) 24.5 (29.0%) 감소 33.2 (39.3%) 감소 석유 (비중,%) 124.7 (35.6) 101.8 (33.0) 22.9 (18.4%) 감소 LNG (비중, %) 55.9 (15.9) 37.1 (12.0) 36.9 (12.0) 18.7 (33.5%) 감소 19.0 (34.0%) 감소 원자력 (비중, %) 66.8 (19.1) 80.3 (26.0) 89.2 (28.9) 13.4 (20.1%) 증가 22.3 (33.4%) 증가 신재생 (비중, %) 18.5 (5.3) 26.8 (8.7) 8.3 (45%) 증가 목표안 3 목표안 4 차이 총에너지 (에너지원단위, TOE/천불) 342.8 (0.211) 300.4 (0.185) 42.3 (12.4%) 감소 84.6 (24.7) 56.2 (18.7) 47.2 (15.7) 28.3 (33.5%) 감소 37.3 (44.1%) 감소 117.2 (34.2) 99.1 (33.0) 18.0 (15.4%) 감소 54.0 (15.8) 36.3 (12.1) 36.2 (12.0) 17.7 (32.8%) 감소 17.8(33.0%) 감소 66.8 (19.5) 74.2 (24.7) 83.4 (27.8) 7.4 (11.1%) 증가 16.6 (24.8%) 증가 18.6 (5.4) 32.1 (10.7) 13.5 (72.4%) 증가 시나리오 2(119$)

55 분야별 대책

56 1. 에너지 사용효율의 개선 기본 목표 : 국가에너지효율 45% - 47% 향상,
에너지원단위 개선(연평균 2.5 – 2.6%) 부문별 추진계획 (산 업) 고효율시설 투자확대(ESCO, 정책자금 융자 등 활용) 자발적 협약을 단계적으로 정부협약으로 전환 전사적 에너지관리시스템인 “에너지경영” 보급 (수 송) 자동차 연비 개선 및 경차․하이브리드 차 보급 확대 철도, 버스급행체계 등 대량수송망 확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확충

57 1. 에너지 사용효율의 개선 부문별 추진계획 (기반구축) 에너지공급자별 절감목표 부여
(가정․상업) 가전기기 효율관리 강화로 고효율제품 보급 최저소비효율제 대상품목 확대로 기준 미달 제품 퇴출 모든 가전제품 대기전력 1W 달성 에너지효율 높은 LED조명 보급 확대(15년까지 전체 조명의 30% 이상) 건물에너지효율등급표시 확대(현 공공기관 건설 아파트 → 전 건물) (기반구축) 에너지공급자별 절감목표 부여 ⇒ 달성도에 따라 인센티브 제공(EERS) EERS :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 (미, 일 등 도입) 에너지효율이 높은 열병합발전 및 집단에너지 보급 확대

58 2. 에너지 시장의 효율화 및 합리적 가격 체계 기본방향 전력 에너지산업의 경쟁 촉진을 위해 진입규제를 단계적으로 완화
에너지요금은 에너지소비의 합리화 등을 위해 원가주의 요금체계로 단계적으로 전환 전력 전력산업의 효율 제고 및 소비자 후생 증대를 위해 민간부문의 진입 촉진 등을 통해 실질적인 경쟁 여건 조성 현행 용도별 요금체계를 전력소비의 합리화를 위해 공급원가에 기초한 전압별 요금체계로 단계적으로 전환

59 2. 에너지 시장의 효율화 및 합리적 가격 체계 천연가스 집단에너지 연탄
자가소비용 직도입 등 민간역할 확대를 통해 가스산업 효율성 제고 수요패턴에 따른 적정요금 부과 등 천연가스 요금체계의 합리적 개선 집단에너지 기존 규제와 지원을 통한 시장운영에서 자율적 시장 환경 조성 및 공정 경쟁 구조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전환 집단에너지사업 보급 확대, 자발적 비용절감 유도 등을 위한 열요금 제도 개선 등 연탄 연탄가격은 단계적으로 현실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최고가격제 폐지 추진

60 3. 해외자원개발 역량 확충 (현황) 해외자원개발 역량 부족으로 자주개발률 저조
해외자원개발 정책 로드맵 (1): 추진체계 정비 프로젝트 관리·기업애로 해소 지원 : 자원개발 프로젝트 지원협의회 운영 참여기관 : (정부) 지경부, 외교부, 기재부, 국해부 등 (지원기관) 수은, 수보, KOTRA, 자원개발공기업 등 자원개발 전문기업 육성 : 석유공사 대형화 추진 석유공사 생산규모 : ('07) 5만B/D → ('12) 30만B/D

61 3. 해외자원개발 역량 확충 해외자원개발 정책 로드맵 (2): 전략적 자원개발 추진
해외자원개발 정책 로드맵 (3): 인프라정비·신규 에너지원 개발 61

62 4.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신성장 동력화 정책목표 및 추진전략 신·재생에너지에 기반한 지속가능 에너지 시스템 구현
목표-I : 203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9-11% 달성 목표-II : 신 · 재생에너지 신성장 동력 산업화 5대 중점보급분야*를 중심으로 대량 보급체제 구축 보급확대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확충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자생력 확보 를 위한 시장메커니즘 도입 산업파급효과가 큰 4대 핵심분야를 중심으로 한 전략적 R&D 강화 수출산업 육성을 통한 세계 시장 주도권 확보 수소공급 인프라 구축을 통한 수소 경제로의 이행 촉진 * 5대 중점 보급분야 : 4대 핵심분야 +바이오에너지 62

63 4.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신성장 동력화 신재생에너지 보급 장기전망
2030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은 33,027천TOE로서 1차에너지 비중 11% 달성 전망 (유가 100불 시 27,808천TOE, 9.0%) 시나리오 I (유가 100불):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9% 시나리오 II (유가 119불):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11%

64 4.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신성장 동력화 목표/기본전략 및 실행계획, 정책수단 목표 기본전략 정책수단 양 적 목 표
대량공급체제구축 절대 공급량 기준 공급비율 기준 시장기능 도입 민간주도 추진체제 구축 FIT vs RPS Green Pricing RECs Trading Net Metering 에너지소비세 감면 소비자 보조/리베이트 판매세 리베이트 제3자금융(project finance) 성장동력화 기술수준 향상 경제성 제고 산업화 촉진 국산화율 제고 해외시장 진출 (SWOT 분석) 설비투자 보조금 발전차액지원 세제지원 관세감면 RD&D 보조지원 생산세 감면

65 4.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신성장 동력화 지속 또는 강화 신규 검토 중 기 장 기 (2008- 2012) (2013-
지속 또는 강화  신규 검토 중 기 (2008- 2012) 핵심분야 전략적 R&D 지원 강화 및 산업화 촉진 법제도 정비를 통한 수소 연료전지의 상업화 기반 조성 발전차액지원제도의 개선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안정 적 원료확보 목질계 및 자원순환형 바이 오에너지의 이용 확대 추진 해상풍력 및 석탄IGCC 기술 개발 및 보급 촉진 장 기 (2013- 2030) 4대 핵심분야의 해외시장 진출 및 주도권 확보 수소 제조, 운반, 저장 및 이용 인프라 구축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RPS) 제도 도입 Green Power Market 도입 배출권거래제와 연계한 신 규시장 창출 해양에너지, 해조류 등 공급 잠재량이 큰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66 5. 원전 적정비중 및 정책방향 전원구성 주요 고려사항 에너지안보 측면 : 연료의 물량위험 및 가격위험이 낮은 전원의 확대
• 원자력은 연료공급 및 가격 위험도가 가장 낮은 발전원 - 정광연료가격 2배 상승시 연료비 상승 (원/kWh) : 원자력 1.7, 유연탄 21, LNG 74 경제성 측면 : 저비용 전원의 확대 • 원전은 가장 경제적 발전원 - '07년말 기준 발전원가(원/kWh): 원자력 34.0, 석탄 35.7, LNG 86.8 • 최근 유가상승으로 편차 확대, 향후 탄소배출 비용 반영시 원전의 경제성 더욱 제고 - 탄소배출권 가격 톤당 €20 부과시 석탄 발전원가 27.2원/kWh 상승 기후변화대응 측면 : 온실가스 저배출 전원의 최대한 확대 • 원전은 CO2 , 매탄, 아산화질소 등의 배출이 없음(채광, 변환과정에서 미량 발생) - 발전원별 CO2 배출량(g/kWh) : 유연탄 991, 석유 782, 가스 549, 원자력 10 • 신재생에너지 : 기후변화협약 대응에 유리 - 산업기반 취약, 토지기후 등 잠재력 제약, Back-up 전원 필요 등 한계점 부하 측면 : 부하형태를 고려한 적정 전원구성 필요 • 연중 최대부하 대비 최저부하 비율 : 41% 수준 (특수일 제외시 55% 내외)

67 5. 원전 적정비중 및 정책방향 수요전망 및 분석의 주요 전제 수요전망 Ⅰ 수요전망 Ⅱ 시나리오 전제 신재생발전 비중(‘30)
유가 $100 (불변) 신재생발전 비중(‘30) 4.2% 수요전망 Ⅰ 원전사후처리비 원전연료비 탄소비용 시나리오 전제 수요전망 Ⅱ 유가 $119 (불변) 9.5%

68 5. 원전 적정비중 및 정책방향 장기 전력수요 전망 2006 2010 2020 2030 -
전력수요(2030년) : 완만하나 꾸준한 증가세 - 수요전망 Ⅰ : 521,021 GWh (연평균 증가율 1.69%) - 수요전망 Ⅱ : 513,014 GWh (연평균 증가율 1.62%) 2010 2020 2030 2006 348,720 395,249 3.18 521,021 0.93 1.69 474,748 1.85 2.23 - 수요전망Ⅰ 전력수요 (GWh) 증가율 (%) 평균 증가율(%) 392,483 3.00 513,014 0.84 1.62 471,706 1.86 2.18 수요전망 Ⅱ 68 68

69 5. 원전 적정비중 및 정책방향 원전비중 (수요전망Ⅰ)
원전 설비비중 : 26.0% (‘07) → 29.0% (‘20) → 37~42% (’30) • 원전 발전비중 : 35.5% (‘07) → 43.4% (‘20) → 56.0~62.2% (’30) 2030년 원전 설비비중 37% 원별 가스 유연탄 원자력 설비비중 (%) 17.8 34.8 37.0 발전비중(%) 1.8 36.5 56.0 2030년 원전 설비비중 42% 원별 가스 유연탄 원자력 설비비중 (%) 17.7 29.9 42.0 발전비중(%) 1.6 30.5 62.2

70 5. 원전 적정비중 및 정책방향 원전비중 (수요전망Ⅱ)
원전 설비비중 : 26.0% (‘07) → 29.0% (‘20) → 36~41% (’30) • 원전 발전비중 : 35.5% (‘07) → 43.4% (‘20) → 52.5~59.0% (’30) 2030년 원전 설비비중 36% 원별 가스 유연탄 원자력 설비비중 (%) 18.0 35.8 35.5 발전비중(%) 1.1 35.2 52.5 2030년 원전 설비비중 41% 원별 가스 유연탄 원자력 설비비중 (%) 17.9 30.9 40.6 발전비중(%) 1.0 28.8 59.0

71 5. 원전 적정비중 및 정책방향 주요 정책과제 원전부지 확보 방사성폐기물 관리 원전연료의 안정적 확보 대국민 수용성 제고
• 기존부지 확장시 신규원전 최대 6기 수용 가능 (예비용 2기 포함) • 원전비중 확대시 신규원전부지 확보 필요 방사성폐기물 관리 • 경주 방폐장 건설의 차질없는 추진 • 사용후연료 임시저장시설 포화('16년 전망) 대처방안 마련 - 중간저장시설 공론화 우선 추진 필요, 최종처리방안 점진적 공론화 원전연료의 안정적 확보 • 장기계약 증대 및 수입선 다원화 • 해외 광산개발 적극 참여 및 지분확보 추진 대국민 수용성 제고 • 원전운영의 투명성 제고, 설비개선, 우수인력 확보 등 지속 추진 •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을 개선하여 주민참여형, 지역공존형 원전 추진

72 6.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석유 원유 장기도입 계약 비율 확대, 비축유 추가 구입, 정제시설 고도화 설비 신규 건설, 석유대체연료 보급 확대 등 가스 중장기 도입계약 확대, 도입국․도입방법(PNG) 다양화, 국내 공급기반 확충(제4 LNG기지 건설, 공급 배관망 증설 등) 전력 경제적 타당성을 고려한 신규 발전소 건설, 안정적 송․배전망 확충, 하절기 부화관리 등 수요관리 강화 등 석탄 해외 유연탄 개발 활성화, 유연탄 수요기업간 수급협력시스템 구축, 발전용 무연탄 공급물량을 연탄용으로 탄력적 조정 등

73 7. 차세대 에너지기술 선점

74 7. 차세대 에너지기술 선점 기술기획시스템 고도화 전략적인 기술개발 프로그램 추진 클린에너지산업 육성전략 마련
에너지․자원 기술개발 기본계획(06~15)에 근거한 연도별 R&D 실행계획 수립 과제 기획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업계의 관심도 고려 전략적인 기술개발 프로그램 추진 THE-7 Runners Program 지속 추진 IT, NT 등과의 융복합 기술개발 확대 클린에너지산업 육성전략 마련 온실가스 감축에 효과적인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R&D 및 사업화에 재원을 집중투자하는 신성장동력화 전략 기술개발을 위한 인프라 강화 APP등의 국제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선진국과의 기술교류 추진 에너지․자원기술 전문인력을 육성하여 R&D의 인적기반 구축

75 내수 중심의 에너지산업을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전환
8.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석유·가스 가스공사 LNG 구매력 활용, 고부가가치 액화플랜트 부문 신규 진출 ‘08년중 가스분야 R&D 기술로드맵 수립, ‘13년까지 LNG 액화공정개발 및 플랜트 설계기술 확보 LNG 터미널 건설사업 진출 확대 및 생산국과 공동저장사업 추진 중계 수출형 오일물류서비스사업 육성을 통한 동북아 석유제품의 공급거점화 시범사업: 석유공사 여수비축기지內 유휴부지(32만㎡)에 외자유치 등을 통해 탱크터미널 건설(‘08~’10) 내수 중심의 에너지산업을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전환 에너지플랜트(시장점유율) : ‘07년 5.6%(393억불) ⇒ ’30년 10%(1,700억불) 전력회사 해외발전사업(IPP) (설비용량) : 07년 2,645MW ⇒ ’30년 20,000MW

76 8.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전력 전력그룹사의 해외독립발전사업자(IPP) 진출 확대 (’30년 20,000MW)
한전의 브랜드가치를 활용, 건설업체․기자재업체와 컨소시엄 구성 진출 장기적으로 전력분야 해외투자를 전담하는 수출전문 독립법인 설립 검토 (진출지역) 중국, 필리핀 중심 ⇒ 아프리카, 중동, 중앙아시아, 러시아 등으로 확대 (사업영역) 화력발전 위주 ⇒ 원자력․수력․신재생에너지 및 송배전 사업 등으로 확대

77 8.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해외 발전사업 수주 경쟁력 제고 해외 시장정보 및 인적네트워크 강화
전력수출산업화사업을 통한 사업타당성조사 등 사업 초기단계 지원 강화 공적 대외원조자금의 전략적 활용 및 중장기 수출금융 (수보․수은) 규모 확대 해외 시장정보 및 인적네트워크 강화 전력산업 국제 전시회 개최 및 해외 유망지역 전시회 참가 지원 해외 전력시장 정보 확보 및 발주처와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

78 8.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원자력 터키․루마니아 등 유망국가에 대한 맞춤형 한국형 원전 진출전략 추진
터키․루마니아 등 유망국가에 대한 맞춤형 한국형 원전 진출전략 추진 현지 유력업체와의 파트너쉽을 통한 공동 수주 추진 터키원전사업 수주를 위해 한전과 현지 유력업체(터키엔카그룹)간 Joint Venture 설립 추진 웨스팅하우스, 캐나다원자력공사 등 세계 메이저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추진 루마니아 원전사업 수주를 위해 한수원과 캐나다원자력공사과 제휴 공동 주계약자로 참여 미국, 중국 등 원전교체, 신흥건설시장 중심으로 원전 기자재․ 용역 수출 확대 두산중공업은 중국 산먼, 하이양의 AP1000(웨스팅하우스) 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2억불 상당 공급계약 2015년까지 해외의존기술의 완전 자립화를 통한 원전 수출경쟁력 제고 원전기술선진화계획(Nu-tech2015)을 통해 제어계측장치, 원자로냉각재펌프 개발 세일즈 외교를 통한 원전도입 희망국 정부와의 협력채널 구축

79 9.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여건 높은 에너지효율 등으로 감축여력은 많지 않음
‘05년 591백만톤으로 ‘90년 대비 98.7% 증가 에너지(84.3%)와 산업공정(11.0%) 부분이 총 배출량의 95.3% 차지 높은 에너지효율 등으로 감축여력은 많지 않음

80 9.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81 9.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탄소시장 활성화 산업계 감축역량 제고 신성장동력 창출 81

82 9.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감축 문화 확산 탄소중립 프로그램 활성화 우선 공공기관 중심 시행, 민간영역으로의 이행 확산
탄소마일리지(mileage) 제도 도입 개인·기업이 감축한 온실가스 실적을 현금화하여 사용 기후변화 리더쉽(leadership) 지수’ 발표 감축실적이 우수한 기업 대상, 브랜드 가치 제고 추진

83 10. 에너지복지 확충 및 에너지 안전 에너지복지 확충 정책목표 기본 시책 고효율 기기보급을 통한 에너지비용 절감
기초에너지 이용 보장 ㅇ 에너지빈곤층(’16년)  제로화 ㅇ 차상위계층(’30년)으로 복지프로그램 확대 기본 시책 고효율 기기보급을 통한 에너지비용 절감 사회적 형평성을 고려한 에너지 가격구조 정비 천연가스 등 상대적 저가에너지의 보급 확대 에너지빈곤층에 대한 최소한의 에너지이용보장

84 10. 에너지복지 확충 및 에너지 안전 에너지 안전 정책목표 : 에너지안전 선진국가 건설 정책목표 달성방안
전기화재 점유율 : '06년 25.4% ⇒ '30년 10% 가스사고 발생건 : '06년 35건/1천만톤 ⇒ '30년 15건/1천만톤 정책목표 달성방안 “기초안전권” 보장 취약계층 전기안전긴급출동 고충처리(Speed Call) 지원 확대(‘30년 190만 가구) 안전관리시스템 전환을 위한 차세대 국가안전시스템 개발 사후관리 ⇒ IT기술을 융ㆍ복합한 사전예방시스템 구축 수소ㆍDME 등 신규에너지원 보급 ⇒ 관련 안전관리 대책 수립 범국민적 선진 안전문화 확산 및 가치혁신 안전 모니터링ㆍ안전문화 영향평가제도 도입, On-Off 안전체험관 설치 등

85


Download ppt "제2차 국기본(안) 공개토론회 국가에너지기본계획(안) 2008. 8. 7 에너지경제연구원."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