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1 장 미시경제학의 성격 1.1 경제학과 미시경제이론 경제학이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1 장 미시경제학의 성격 1.1 경제학과 미시경제이론 경제학이란"—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1 장 미시경제학의 성격 1.1 경제학과 미시경제이론 경제학이란
경제학 : 경제주체가 제한된 자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생산 분배 교환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문제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 경제문제의 발생 원인 : 재화나 용역의 희소성 기회비용 : 어떤 것을 선택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가장 큰)편익

2 1.2 경제학의 방법론 미시경제이론과 거시경제이론 미시경제이론 : 개별경제주체의 경제행위를 분석 대상으로 함
효율성(자원배분, 분배) 거시경제이론 : 국민경제 전체의 관점에서 접근(안정과 성장) 1.2 경제학의 방법론 경제모형 경제모형 : 현실의 경제현상을 추상화 수준에서 파악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변수를 선별하여 변수간의 연관관계를 설정해 놓은 형태 모형 : 가정, 명제 바람직한 모형 : 일반성, 예측의 정확성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

3 1.3 최적화와 균형 합리성 목적, 일관된 행위 최적화 극대화, 극소화 균형 균형 : 일단 어떤 상태가 달성되면 새로운 교란이 없는 한 그대로 유지되려는 경향이 있는 상태(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상태)

4 제 2 장 시장과 수요공급 2.1 시 장 시장이란? 기업들의 모임 가격과 시장기구
2.1 시 장 시장이란? 시장 : 어떤 상품을 사고 팔기 위해 서로 접촉하는 개인들과 기업들의 모임 가격과 시장기구 시장기구(가격기구) : 시장을 통해 수요와 공급을 실현하는 체계 가격기능 : 배급기능, 배분기능 배급기능: 가격이 소비의 결정에 영향을 줌 배분기능: 가격이 생산의 결정에 영향을 줌(높은 이윤 -> 배분 확대) 시장 ∙ ∙ ∙ 효율성 지향적이며, 공평성을 실현하지 못함

5 2.2 시장수요 그 상품의 가격(P), 관련이 있는 다른 상품의 가격(PR),
2.2 시장수요 시장수요곡선 (1) 수요의 결정요인 그 상품의 가격(P), 관련이 있는 다른 상품의 가격(PR), 소득수준(M),소비자의 수(N), 기호(T), 소득분포, ∙ ∙ ∙ ∙ (2) 시장수요함수 QD = f ( P, PR, M, N, T ) 유량(folw) ∙ ∙ ∙ 소득, 투자, 수출입량 저량(stock) ∙ ∙ ∙ 재산, 통화량, 외환보유고 (3) 시장수요곡선 QD = f ( P; PR, M, N, T ) ∙ ∙ ∙ 가격만 변화고 여타의 변수는 일정 * 시장수요곡선 : 개별수요곡선의 수평합 (4) 수요곡선 위의 이동과 수요곡선의 이동 가격만 변할 때 ∙ ∙ ∙ 수요곡선을 따라 수요량이 결정됨(수요량의 변화) 가격을 제외한 요인이 변할 때 ∙ ∙ ∙ 수요곡선이 이동됨(수요의 변화) * 위치재 : 남들이 소비한 것과 상대적인 맥락에서 가치가 결정되는 재화(과외)

6 P0 P1 Q0 Q1 P0 P1 Q0 Q1 수요량의 변화 수요의 변화 가격 시장수요곡선 수요량 가격 D’(새로운 시장수요곡선)
Q1 수요량의 변화 수요의 변화 수요량 D(원래 시장수요곡선) 가격 P0 P1 Q0 Q1 D’(새로운 시장수요곡선)

7 수요의 탄력성 (2) 수요의 소득탄력성 (1) 수요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ep) = - (수요량의 변화율)/(가격의 변화율) ep>1 -> 탄력적, ep<1 -> 비탄력적 일반적으로 수요곡선 상에서 좌상방으로 이동할수록 탄력성이 증가함 예외적인 경우 ∙ ∙ ∙ 수요곡선의 형태가 수직, 수평, 직각쌍곡선인 경우 가격탄력성과 판매수입 가격탄력성의 결정요인 ∙ ∙ ∙ 상품의 성격, 대체재의 존재, 지출의 전체지출에 대한 비중 (2) 수요의 소득탄력성 수요의 소득탄력성 = (수요량의 변화율)/(소득의 변화율) eM>0 -> 정상재, eM<0 -> 열등재 (3) 수요의 교차탄력성 수요의 교차탄력성 = (X재의 수요량의 변화율)/(Y재의 가격의 변화율) eC>0 -> 대체재, eC<0 -> 보완재, eC=0 -> 독립관계

8 2.3 시장공급 시장공급곡선 공급의 결정요인 ∙ ∙ ∙ 상품의 가격(P), 생산요소의 가격(w), 생산기술(H), 공급자의 수(C), 미래에 대한 기대(E) 공급함수 ∙ ∙ ∙ 공급량과 공급의 결정요인 간의 관계를 나타낸 함수 QS = g ( P, w, H, C, E ) 시장공급곡선 ∙ ∙ ∙ 가격과 공급량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QS = g ( P ; w, H, C, E ) 공급의 탄력성 공급의 (가격)탄력성(es) = (공급량의 변화율)/(가격의 변화율) es>1 -> 공급곡선이 세로축을 통과 es<1 -> 공급곡선이 가로축을 통과 es=1 -> 공급곡선이 원점을 통과 공급탄력성의 결정요인 ∙ ∙ ∙ 생산량의 증가에 대한 생산비용의 상승 정도, 저장 가능성과 저장비용, 고려 대상 기간(길수록 탄력적)

9 f a c e b 공급의 가격 탄력성 es>1 es=1 es<1

10 제 3 장 시장의 균형 3.1 시장균형의 분석 균형의 의미 (1) 균형가격
3.1 시장균형의 분석 균형의 의미 (1) 균형가격 균형가격 ∙ ∙ ∙ 시장에 균형을 가져다 주는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가격 [그림 3-1] (다음 면) (2)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부분균형분석 ∙ ∙ ∙ 특정 시장의 균형만을 분석 대상으로 함 일반균형분석 ∙ ∙ ∙ 연관관계를 갖는 모든 시장의 동시적인 균형을 분석함. 균형의 변화 불변이라고 가정한 가격 이외의 요소들이 변할 경우 공급곡선 또는 수요곡선이 이동하게 되며, 균형 또한 변하게 된다. [그림 3-2] (다음면)

11 <시장의 균형> <균형의 변화> P2 P1 P3 Q 수량 가격 D(수요곡선) S(공급곡선) 초과수요
수량 가격 D(수요곡선) S(공급곡선) P2 Q P1 P3 초과수요 초과공급 <균형의 변화> 수량 가격 S P1 Q0 P0 Q1 P2 D0 D1 D2 Q2 E0 E2 E1

12 3.2 균형의 안정성 정적안정성 동적 안정성 정적안정성 ∙ ∙ ∙ 균형분석에 있어서 시간이 고려되지 않는 안정성
3.2 균형의 안정성 정적안정성 정적안정성 ∙ ∙ ∙ 균형분석에 있어서 시간이 고려되지 않는 안정성 왈라스적 조정과정 ∙ ∙ ∙ 가격의 변동에 의해 초과수요나 초과공급이 해소됨 왈라스적 안정조건 : 가격이 올라감에 따라 초과수요가 감소하면 왈라스적으로 안정적인 균형을 갖는다. 마샬적 조정과정 ∙ ∙ ∙ 생산량의 변화에 의하여 시장의 불균형이 조정됨 동적 안정성 동적 안정성 ∙ ∙ ∙ 시간의 흐름이 반영된 균형의 안정성 거미집모형의 의미 수요와는 달리 공급량의 변동은 조정속도가 느린 경우가 존재함 [그림 3-6] 마늘시장의 거미집 과정 동적균형의 안정성과 불안정성

13 3.3 균형분석의 응용 물품세 부과의 효과 (1) 가격상한제의 효과 물품세(excise tax)의 부과와 조세 부담
3.3 균형분석의 응용 물품세 부과의 효과 물품세(excise tax)의 부과와 조세 부담 물품세 부과 -> 생산자의 비용상승 -> 공급 감소 -> 가격상승 물품세 = 가격상승 부분(소비자 부담) + 나머지를 생산자가 부담([그림 3-8]) 가격규제의 효과 (1) 가격상한제의 효과 가격상한제 : 정부가 가격을 정하고 그 가격 이상으로 거래되는 것을 규제하는 가격제도([그림 3-9] 쇠고기시장의 가격상한제) 암시장(black market) 발생 가능성이 큼 (2) 가격하한제의 효과 가격하한제 : 정부가 정한 가격 이하로 거래되는 것을 규제하는 가격제도 ([그림 3-10] 미숙련노동시장에서의 최저임금제도)

14 제 4 장 소비자의 선호체계 4.1 선호체계의 성격 상품묶음
제 4 장 소비자의 선호체계 4.1 선호체계의 성격 상품묶음 상품묶음 ∙ ∙ ∙ 소비하고자 하는 상품들의 조합([그림 4-1]) 선호관계 (1) 선호관계의 의미 선호관계 ∙ ∙ ∙ A가 B보다 더 좋다. B가 A보다 더 좋다. A와 B 사이에 차이가 없다. 적어도 A가 좋다. 등의 관계 (2) 선호관계와 효용함수 효용함수 : 특정한 상품묶음이 소비자에게 주는 만족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 U = U(W))

15 (3) 선호체계의 공리 1) 완비성 A가 B보다 더 좋다. B가 A보다 더 좋다. A와 B 사이에 차이가 없다 2) 이행성 F를 최소한 G만큼 선호하고, G를 최소한 H 만큼 좋아하면 F를 최소한 H만큼 좋아한다. 3) 연속성 상품묶음이 끊임 없이 존재한다. 4) 강단조성(strong monotonicity) 두 상품묶음 F와 G 가운데 F 속의 개개의 상품 량이 적어도 G의 그것(상품)과 같으며 그 가운데 최소한 하나의 상품이 G보다 많은 경우 소비자는 F보다 G를 선호한다(多多益善).

16 4.2 효용함수 효용함수의 의미 U1(A) = 5, U1(B) = 15 ⇒ B를 선호함
* 큰 숫자(효용이 큼)를 선호한다고 전제함 * 서수적 효용과 기수적 효용 효용곡면 Û = x·y 효용곡면(utility surface) : 상품의 묶음이 소비자에게 주는 효용수준을 나타 내는 곡면([그림 4-3]) 무차별지도 무차별지도(indifference map) : 동일한 만족을 주는 효용선들로 이루어진 평면 무차별곡선(indifference curve) : 각각의 상품묶음이 소비자에게 똑 같은 수 준의 효용을 주는 점들의 집합을 나타낸 그림

17 4.3 무차별곡선 무차별곡선의 기본적 성격 한계대체율
ⅰ) 상품묶음을 나타내는 1상한 상의 모든 점은 하나늬 무차별곡선을 갖는다. ⅱ) 무차별곡선은 우하향한다. ⅲ) 원점에서 멀수록 효용수준이 높다. ⅳ) 두 무차별곡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ⅴ) 무차별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볼록하다. 한계대체율 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MRS) : 추가소비하는 상품과 포기하는 상품 간의 교환비율[그림 4-8] MRSxy = -(Δy/Δx) ΔU = MUx · x + MUy· y = 0 MRSxy = -(Δy/Δx) = MUx / Muy 한계대체율체감의 법칙 : 상품의 소비를 증가시킴에 따라 한계대체율이 체감한다.

18 예외적인 선호체계의 무차별곡선 (1) 두 상품이 완전한 대체재인 경우([그림 4-9-ⅰ])
(2) 두 상품이 완전한 보완재인 경우([그림 4-9-ⅱ]) (3) 하나가 비재화(비효용재)인 경우([그림 4-9-ⅲ]) (4) 하나가 중립재인 경우([그림 4-9-ⅳ]) (5) 그 밖의 경우

19 제 5 장 소비자의 최적 선택 5.1 예산제약 예산선 예산제약
제 5 장 소비자의 최적 선택 5.1 예산제약 예산선 예산제약 예산선 : 주어진 소득을 전부 사용했을 때 구입할 수 있는 상품묶음의 집합점들을 연결한 선([그림 5-1]) 소득과 가격의 변화와 예산선 (1) 소득의 변화 소득의 증가 ∙ ∙ ∙ 예산선이 바깥쪽으로 평행이동함 (2) 가격의 변화 예산선은 가격이 하락하면 바깥쪽으로 상승하면 안쪽으로 이동함

20 5.2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5.3 소득과 가격의 변화와 최적선택 효용극대화 조건의 의미 효용극대화의 조건
주어진 예산의 효용의 극대화 ∙ ∙ ∙ 예산선과 선호 수준이 가장 높은 무차별곡선과 만나는 점의 상품묶음 선택 효용극대화 조건의 의미 무차별곡의 성격이 충족되는 경우와 모서리해가 배제됨을 전제로 함([그림 5-4]) 5.3 소득과 가격의 변화와 최적선택 소득의 변화 (1)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 소득소비곡선 : 소득이 변할 때 소비자의 효용이 극대화되는 점(소비자균형점)들의 궤적([그림 5-5]) 엥겔곡선 : 소득수준과 상품 구입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21 가격의 변화 (2)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의 모양 정상재 ∙ ∙ ∙ 소득소비곡선(ICC)과 엥겔곡선은 우상향함
열등재(하급재) ∙ ∙ ∙ 엥겔곡선이 좌상향함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1이면 소득소비곡선(ICC)과 엥겔곡선은 원점을 통과하는 직선임 가격의 변화 (1) 가격소비곡선 가격소비곡선 : 가격이 변할 때 가격선과 무차별곡선이 접하는 점들을 연결한 곡선 ([그림 5-8])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이면 가격소비곡선은 수평임([그림 5-9]) (2) 수요곡선의 도출 x = d(Px ; Py, M), M : 소득(예산) 무차별지도 상에서 x재의 가격이 하락할 때 소비자균형점이 각각 E1, E2, E3인 것을([그림 5-10(ⅰ)]) x재만의 가격과 수요량으로 나타내면 [그림 5-10](ⅱ)와 같다. (3) 시장수요곡선 시장수요곡선 : 개별수요곡선의 수평합

22 5.4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가격 변화의 두가지 의미 가격이 하락하는 상품을 더 구매하고 다른 상품을 줄임(대체효과 )
가격이 하락함으로써 더 많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음(소득효과) 가겨격효과(price effect) =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 소득효과(income effect) ([그림 5-12]), 기픈재(giffen goods)([그림 5-13]) 슬러츠키방정식 보상수요곡선(compensated demand curve) 보상수요곡선 : 가격이 변할 때, 소득효과를 제거한 수요곡선 보상변화 : 가격이 변할 때, 실질소득이 종전과 같도록 하는 소득의 변화(compensating variation) 보상변화와 대등변화 대등변화 : 가격변화 없이 가격의 변화 때와 같은 효용을 유지하는 소득의 변화(equivalent variation)([그림 5-15])


Download ppt "제 1 장 미시경제학의 성격 1.1 경제학과 미시경제이론 경제학이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