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장 부 록 < 6.1> 초전도(Super conductivity) <6.2> 熱電效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주기율표 제 8장제 8장 Copyright ©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Advertisements

Chap.2 금속의 전기전도와 열전도.
29장 자기장.
회절·간섭을 이용한 빛의 파장 측정 D 실험실.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흑체 복사 강도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산화막 (Oxide, SiO2)란?.
Compton Effect (컴프턴 효과)
정전유도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콘덴서의 접속 정전 에너지 정전기의 흡인력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전기공학실험 함수발생기 설계.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프로젝트 8. Electron Spin Resonance
실험1. 연산 증폭기 특성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기영.
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물리현상의 원리 12조.
제 10 장 다이오드(Diodes) 10.1 다이오드의 선형 모델 10.2 전원장치 10.3 기타 다이오드
To-do list 강의 목차 강의할 내용 이론/실습 시간 1. 센서 일반 이론 온도 센서 - 서미스터 온도 센서 - 열전대
초전도체를 적용한 전류제한기의 연구 Study on fault current limiter using superconductor 김 원 용석진 왕순욱.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과 광센서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전기 전자 통신 교육론 1. 자계 2. 전자기 3. 전자기 장치 4. 자기이력 5. 전자기 유도 6. 자기 유도의 응용
임피던스 측정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Proj.4 X-ray diffraction of powders
Hydrogen Storage Alloys
Register, Capacitor.
센서 12. 자기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Ch. 8. 시변장(Time Varying Electromagnetic Field)
빛의 이중성 빛의 이중성 By kwang SEO.
전류에 의한 자기장 B < B’ 자기장(magnetic field)
생체전기 방사선과 2학년 김경대.
실험 12. Op Amp 응용회로.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연속적 띠(continuous band)
실험장치 광전효과 현대 물리 실험 발표 금동용.
★금속, 반도체, 초전도체의 전도 도와 온도의존성★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우홍배, 윤성수
Prepared by Han, Jae-Woo
LUMINESCENT MATERIALS
고체의 전도성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Lab in Physics,
3M Crystalline window film
물질의 자성 자성 – 물질이 자석에 반응하는 성질 자성의 원인 1. 운동하는 전자에 의한 자기
Electromagnetics (전자기학) Electricity (전기학) Magnetics (자기학)
빛의 흡수와 방출 스펙트럼(spectrum) 1. 방출스펙트럼(emission spectrum)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1. 순수(pure)반도체 ex) Ge, Si 2. 불순물(impurity)반도체
6. 에너지 사용 신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 태양 전지.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전자와 시편의 상호작용(비탄성산란) 2θ Incident Beam (Primary electron)
MODERN PHYSICS(2).
양자상태수(Density of states)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나노분석을 위한 현미경 주사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1-5 용해도.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의 스펙트럼(Spectrum)
Hall-Effect in Semiconductors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제 8 장 발전기와 전동기 8.1 교류발전기 8.2 3상 교류 발전기 8.3 직류발전기 8.4 직류전동기 8.5 교류전동기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1. 화학 결합 … 01. 분자 구조의 다양성 02. 화학 결합의 성질 03. 이온 결합
광물과 광물학.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제16강 전기에너지와 전기용량 보존력: 중력, 정전기력 ↓ 포텐셜 에너지 전기 포텐셜 에너지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컴퓨터는 어떻게 덧셈, 뺄셈을 할까? 2011년 10월 5일 정동욱.
Prof. Seewhy Lee Presents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저온지구시스템화학 및 실험 Ch.6 용해도도 JYU.
Presentation transcript:

제 6장 부 록 < 6.1> 초전도(Super conductivity) <6.2> 熱電效果 제 6장 부 록 < 6.1> 초전도(Super conductivity) <6.2> 熱電效果 <6.3> 電子의 放出

< 6.1> 초전도(Super conductivity) [1] 초전도 현상  1911 Onnes : Hg가 4.15K에서 전기 저항이 급격히 소멸되어 전기전도도가 무한대 (전기저항 0) * 천이온도 or 임계온도 Tc : 초전도 상태가 되는 온도  상온에서 전도성이 좋지 않는 원소가 초 전도체  상온에서 양도체이거나 강자성 금속은 초전도성을 나타내지 않음 T R 4.15ºK Hg Pt * Onnes : 1913년 노벨상

[2] 초전도의 성질  임계온도와 임계 자장 : 초전도 상태에 있는 초전도체에 강한 자장을 걸어 주면 상전도 상태로 환원 상전도 상태로 환원 * 입계자장 0°K에서의 임계자장 초전도체의 반자성(反磁性)  1933 Meissner & Ochsenfeld : Meissner effect : 초전도체를 임계자장 이하의 자장속에 넣으면 자력선은 초전도체를 피하여 형성 자속밀도 B = 0 (완전반자성) (  by Maxwell eq ,  = 0 , )

[3] 임계전류밀도 Jc : 임계전류밀도 보다 높으면 초전도체는 상전도상태로 J T B (or H) Hc Jc Tc * 초전도성에 요구되는 특성 ① Tc, Hc, Jc 가 높은 것 ② 재료의 가공성이 양호할 것 ③ 기계적 강도가 높을 것 ④ 선재(線材)가 가능할 것

[4] 초전도현상의 이론  B. C. S 이론 : 1957 Bardeen, Cooper, Schrieffer 격자진동( lattice vibration)을 매개로 두개의 전자가 서로 끌어 당기어 쌍을 이룸으로써 (Cooper pair ) 전자쌍들의 집합적으로 움직임 (collection motion)  Cooper쌍 : 격자에 왜(歪)가 생겨 전자 주위의 potential이 저하하기 때에 다른 전자끼리 가까워 짐 임계온도와 동위원소 효과 : 1950 Maxwell & Raynolds Hg의 여러 동위원소에 대해 Tc는 원소의 질량의 1/2승에 역비례 

[5] Josenphson 효과  1960 Giaever : 두 전도체 사이에 절연 산화물을 입히고 전자가 tunneling 해서 통과하는 실험고안 energe gap 존재 증명 1962 Josephson 효과 : 전자쌍이 직접 tunneling 할 때 파동함수의 간섭에 의해 전류에 ossillation 이 생기는 것을 발견 전자쌍(Cooper pair) 존재를 실험적으로 확인   Josephson 효과 : 2개의 전도체가 얇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접했을 때 Cooper쌍이 tunnel 효과에 의해 절연막을 통과하여 전류가 생김 (절연막도 초전도체 처럼 거동 )

① 직류 Josephson 효과 : 일정치 이하의 직류전류(Ic)을 흘리면 두 초전도체의 상호작용으로 전위차가 없는 영구전류 ( : Cooper쌍파의 위상차) ② 교류 Josephson 효과 : if 직류전압 V를 가하면 V에 비례하는 주파수의 교류발생 I V Ic

[6] 고온 초전도  1973 Tc = 23ºK 인 Nb3Ge 발견 1986 IBM의 Bednorz 와 Müller : 희토류 산화물인 La2-xBaxCuO4 에서 Tc = 35ºK 1987 Houston 대학 Chu : Y - Ba - Cu - O 계에서 Tc = 90 ºK ( cf 질소의 액화온도 : 77 ºK )  고온 초전도체 ① La2-xAxCuO4- 계 (A=Ba, Sr, Ca) ② RBa2Cu3O4- 계 (R=Y, La, Nd, Sm, Eu, Gd, Dy…..) ③ 1-2-3 조성 관련의 고용체계 - R1-xB2-xCu3O4- ④ 그외 : Bi-Sr-Ca-Cu-O계, Cu-O판 * 대상물질이 종래의 금속이나 금속화합물에서 산화물로 (관심학자 : 고체물리학자 재료분야, 전기전자분야, 화학자까지)

[7] 초전도의 응용 ① 초전도 magnet : 초전도 물질의 선재(線材)로서 coil 대전류를 흘릴 수 있다 큰 전력 손실없이 고자계 발생(발생가능 자계는 임계자계Hc까지) 예) 부상전철 ② 초전도 송전 : 입계온도가 Tc, 입계자장 Hc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저손실 송전 Nb ~ pb if Ta와 Nb (혹은 pb) 모두 초전도 상태 coil에 전류 자계발생 상전도상태 on ~ off : 전자계산기 스위치 소자 Ta ③ Cryotron

<6.2> 熱電效果 : 열현상과 전기현상의 상호작용에 의한 제효과 [1] Seeback 효과  : 열현상과 전기현상의 상호작용에 의한 제효과 [1] Seeback 효과 A B Q (저온) P (고온)  2종의 금속 혹은 반도체를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그 집합점의 온도차 T = T1 - T2 열기전력(熱起電力) 발생  if 좌측을 고온 우측에 비해 보다 많은 전자가 donor준위에서 여기 전자밀도가 증가 케리어 밀도 기울기로 인한 확산전류

2종의 금속 혹은 반도체를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전류 Joule 열 이외의 열이 발생 or 흡수  Seeback 전압 Seeback 계수 여기서 <ex> thermo - couple ex) Pt - Pt - Ph (PR), Chromel - Alumel (CA) [2] Peltier 효과  2종의 금속 혹은 반도체를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전류 Joule 열 이외의 열이 발생 or 흡수 (발열) (흡열) - +

 좌측 : 금속에 있는 전자는 열energy를 얻고 (eVF) 반도체로 이동 흡열 우측 : 전자는 열energy를 방출하고 금속으로 이동 발열   Seebeck 계수와 Peltier 계수 :  = T : 켈빈관계 <응용> : 전자냉동

[3] Thomson 효과 : 동일한 금속에서 부분적인 온도차 (온도의 기울기)가 있을때 전류를 흘리면 발열 or 흡열 ① 負(- ) Thomson 효과 : if 고온에서 저온부로 전류 흡열 ex) Pt, Ni, Fe ② 正(+) Thomson 효과 : if 고온에서 저온부로 전류 발열 ex) Cu, Sb

<6.3> 電子의 放出 [1] 일함수  일함수 : 전자 1개가 금속으로부터 이탈하는데 필요한 최소 energy  영상력 (Image force) :  전자를 잡아 두기 위한 힘 : ① x  전체의 일함수 ②  일함수 ③

[2] 熱電子放出 ( thermioniemission)  1883 Edison 발견 1902 Richardson & Dushman : mechanism 규명  일함수와 전자밀도 분포 : EB EW EF N(E) E (eV) 0ºk 2500ºk EB 보다 큰 energy 를 가진 전자는 금속을 탈출

 Richardson - Dushman 식 ④ ⑤ if 투과계수를 D (이론적으로 계산된 전자 모두가 방출되지 않음, 일부 금속내부로 반사) ④´  일함수가 작을 것 융점이 높을 것 고온에서도 기계적 강도가 클것  열음극 재료의 조건 : ex) Th ~ W 음극 ( 토륨, 텅스텐 ) , 산화물 피복 음극 , 텅스텐 음극

< 열전자방출에 수반되는 현상 > (1) Schottky 효과 : if 전계를 가하면 energy 장벽이 낮아짐 실질적인 일함수가 작아짐 열전자방출이 증가 Ef EW EW 외부전계가 없는 경우 외부전계에 의한 potential energy 합성 potential energy ⑥ X에 대해 미분 에서 최대치 ⑦ ④

(2) 산사효과(散射效果 : shot effect) 열음극에서 튀어나오는 전자의 속도가 불균일 함으로 인한 열전자류 변동  진공관의 shot noise (3) 플러커효과(Flicker effect) 음극의 물리적 화학적인 변화로 인한 열전자류 변동  Flicker noise

[3] 광전자방출(光電子放出 : Photo - electrion emission ) : 외부광전효과 if E = h > EW 전자방출 ⑧ if 입계주파수 ⑨  광전자방출의 특징  방출전자의 초속도의 최대값은 주파수에 비례 ( 빛의 세기에 무관 ) 방출전자의 흐름은 빛의 세기에 비례 광전감도는 빛의 주파수에 따라 선택성

[4] 2차 전자방출 (2次 電子放出 : Secondary electron emission) 1次 電子 충돌 2次 電子放出 (1/2mv2 > EW)  2차 전자방출비 1차 전자 energy, 금속의 종류, 표면상태, 입사각에 따라 <응용> Image orthicon, 광전자 증배관

[5] 電界放出 (field - emission) or 냉음극방출 (cold cathod emission) EW 전계가 없을 때 전계에 의한 potential Tunnel 효과 if E = 109 [v/m] 장벽의 폭 100 [Å] 온도에 무관 (R –D식의 kT 대신 E에 관계) [a, b : 정수(일함수 포함)] 전자가 전위 장벽을 뛰어넘어서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아님 <응용> 전계방출 현미경

[6] Luminescence 온도와 관계없는 모든 발광현상 ( cf 온도에 의해 빛 방출 온도 방사 or 열방사 )  형광 (fluorescence) : 외부에너지 전달후 10-8초 이내 빛 소멸 인광 (phosporescence)  광 luminescence 음극선 luminescence 전장 luminescence luminescence * Stokes´ low : 발광 파장은 여기광의 파장보다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