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ML개요를 한번 더 소개 계명대학교 교양과정부 “인터넷 활용” 강좌 XML 특별강의 / 손 창 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3Ksoft Xstyler 교육자료. 일반 웹 브라우저에서 XML 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Webform( 데이터 입력양식 ) 을 WYSIWYG GUI 환경에서 손쉽게 제작 가능한 프로그램. 제작한 Webform 을 X-DRP 서버 시스템에 손쉽게 등록가능 X-DRP 서버에.
Advertisements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 생성 과정 프로젝트 생성 프로그램 실행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주어진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것은 ? – 컴퓨터에 설치 혹은 저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재 소개 도 서 명 | IT CookBook, XML 원리와 응용: XML, DTD, XML 스키마, XSLT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난이도 : 초급 제1장 앱 인벤터 소개 및 준비.
XHTML Basic 제 13 장 1. XHTML Basic의 개요 2. XHTML Basic 기본 문법 3. 표 만들기
컴퓨터와 인터넷.
컴퓨터 운영체제의 역사 손용범.
목 차 C# 언어 특징 .NET 프레임워크 C# 콘솔 프로그램 C# 윈도우 프로그램 실습 프로그래밍세미나 2.
박용수 XML 박용수
XML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이상정.
URLink 팀명: S.B.S. 팀원: 김보성, 박지수.
네트워크 기술을 통한 현재와 미래 소개.
피티라인 파워포인트 템플릿.
Power Java 제3장 이클립스 사용하기.
Ch.07-5 xml-rpc 사용하기 김상엽.
XML 개념.
FTP 프로그램 채계화 박재은 박수민.
제 2 장 WML 시뮬레이터 및 무선인터넷 서버 설치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MicroStrategy6 컴퓨터학과 석사 2학기 진수경.
NJM Messenger 박상원 박연호.
홈페이지용 그림 활용법 그림 삽입 태그 <IMG> 배경 그림 다루기 그림과 문자열의 어울림
학습목표 학습목차 다른 홈페이지의 HTML 파일 코드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XML이 왜 필요한가 ? 1.문서 교환의 문제점 2.웹 기술의 발전과정 3.XML 이란 무엇인가? 4. XML과 SG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Chapter 03 : 서블릿 ( Servlet ) 개요. chapter 03 : 서블릿 ( Servlet ) 개요.
제 01 장 인터넷 프로그래밍 개요 학기 인터넷비즈니스과 강 환수 교수.
Wireless Java Programming
P2P시스템에 대해서 (peer to peer)
Transmission & Analysis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2018년 11월 05일 박성진 Web & Internet [08] 레이아웃 P1 2018년 11월 05일 박성진
HTTP 프로토콜의 요청과 응답 동작을 이해한다. 서블릿 및 JSP 를 알아보고 역할을 이해한다.
정보화 사회의 실생활 사례 컴퓨터개론 과제 모바일 인터넷과 차성오.
Adobe 제품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 안내 Adobe Creative Cloud Adobe License 권한을 받으신 분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개정판) 뇌를 자극하는 Red Hat Fedora 리눅스 서버 & 네트워크
ASP.NET AJAX / AJAX Control Toolkit 응용 2008 컴퓨터공학실험( I )
웹디자인
MAIL CLIENT 김창우 윤성훈 이경재.
자바로 만든 채팅 프로그램 임경진 조주경 지도교수님 : 이광세 교수님.
15강. 폼 데이터 값 검증 Validator를 이용한 검증 ValidationUtils 클래스
웹사이트 분석과 설계 (화면 설계) 학번: 성명: 박준석.
X M L 의공학 송인상.
14강. 세션 세션이란? 세션 문법 Lecturer Kim Myoung-Ho Nickname 블스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Teaming pms.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개요
웹(WWW).
OpenCV 설정 2.21 만든이 딩딩.
암호학 응용 Applied cryptography
Introduction to JSP & Servlet
모바일(폰)메일 서비스 정흠수 최동훈.
Chapter01 HTML 시작하기
멀티미디어시스템 제 4 장.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정보환경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Map Designer Solution 소개자료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9 브라우저 객체 모델.
슬라이드 쇼의 설정 슬라이드 쇼의 실행 파일과 폴더의 관리 글꼴을 포함해서 저장 웹 페이지로 게시 압축 파일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문서 관리 인터넷 활용
In-house Consultant Training
Chapter01 HTML 시작하기
1장 C 언어의 개요 C 언어의 역사와 기원 C 언어의 특징 프로그램 과정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예제.
CCIT 네트워크 발표 정보보호학과 평문 사이트와 SSL 사이트, SSL strip과 데이터 변조를 이용한 로그인 취약점
피티라인 파워포인트 템플릿.
8주 실습강의 학기, 소프트웨어 설계 및 실험(Ⅰ).
AJAX? Cho Hyun Min.
소리가 작으면 이어폰 사용 권장!.
리더 코딩 스토리 디자인 박찬준 이근영 박동현 박나영
Presentation transcript:

XML개요를 한번 더 소개 계명대학교 교양과정부 “인터넷 활용” 강좌 XML 특별강의 / 손 창 호

1. XML 소개 2 1-1. XML의 어원적 뜻 1-2. 마크업 언어 1-3. 확장 가능의 의미 1-5. SGML과 XML 비교 1-6. W3C에서 하는 일 1-7. W3C의 XML 권고안 (Recommendation)

1-1. XML의 어원적 뜻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이다. + 확장 가능한 XML = 마크업 언어 확장 가능 기존에 없던 것을 새로 만들 수 있다. 마크업 언어 문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보 표시 언어이다. (예: HTML의 각종 태그) XML은 “기존에 없던 것을 새로 만들 수 있는 마크업 언어”이다. XML은 새로운 마크업 언어를 개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1-2 마크업 언어 마크업 언어란 문서의 내용에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언어를 의미한다. 문서의 내용과 마크업 언어와의 관계 마크업을 사용하여 문서의 내용을 구조적으로 구분함으로써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마크업 언어는 문서의 내용을 조직화 하고 구조화 시켜 문서의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한다. 문서의 내용 문서 내용 + 마크업 언어 XML 기초 홍길동 프리렉 100 <title>XML 기초</title> <author>홍길동</author> <publisher>프리렉</publisher> <price>100</price> 마크업 + 마크업 언어 = 내 용

1-3 확장 가능의 의미 “확장 가능” 이란 “기존에 없던 것을 새로 만들 수 있다.”는 의미이다. 사용자 정의 DTD, Schema 고정 DTD HTML 문서의 작성 예 <html> <body> <table> <tr> <td>XML 기초</td> <td>홍길동</td> </tr> </table> </body> </html> XML 문서의 작성 예 <?xml version=”1.0”?> <booklist> <book> <title>XML 기초</title> <author>홍길동</author> </book> </booklist> 정해진 태그만 사용할 수 있음 새로운 마크업을 개발하여 문서를 작성할 수 있음

1-4 XML은 메타 언어 XML은 메타언어(Meta-Language)로써 마크업 언어를 개발하기 위한 언어이다. 대표적인 메타언어는 SGML(Standard Generated Markup Language)이며, HTML은 SGML로 개발된 웹 문서 작성용 마크업 언어이다. XML은 SGML과 같은 메타언어이므로 새로운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도구로 사용된다. “XML로 문서를 작성한다”라는 말은 XML로 개발된 특정 마크업 언어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1-5. SGML과 XML 비교 < W3C의 XML 개발 목표 > SGML은 1986년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에서 표준으로 발표. 문법이 복잡하고, 응용 S/W를 구현하기 어려워 주로 공공기관 및 출판업체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1996년 W3C의 SGML Work Group에서 SGML의 부분집합(Subset)으로서 SGML의 장점을 취하고, 복잡성을 배제한 XML을 개발 < W3C의 XML 개발 목표 > XML은 인터넷에서 곧바로 사용 할 수 있어야 한다.. XML은 폭넓은 application을 지원해야 한다. XML은 SGML과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 XML 문서들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XML의 선택적 성능(feature)들이 최소화 하거나 가능하면 없어야 한다. XML 문서들은 사람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XML 디자인을 빨리 할 수 있어야 한다. XML 디자인은 특정 양식에 따르고 함축적이야 한다. XML 문서들은 생성하기 쉬워야 한다. XML 작성(markup)에서의 간결성(terseness)은 중요하지 않다.

Candidate Recommendation Propose Recommendation 1-6. W3C에서 하는 일 1994년 10월 Tim Berners-Lee(web의 창시자) 설립. W3C에서는 각종 스펙(Spec)을 연구하고 발표하는 일을 한다. 국제표준화기구 (ISO)에서 정한 규격  표준(standardization) W3C에서 정한 규격  권고안(Recommendation) < W3C에서의 스펙 발표 진행 단계 > Submission W3C 회원에 의해 제출 Note 제출안의 공식화 Working Draft 표준화 과정이 진행 중인 상태 Candidate Recommendation 안정화된 Working Draft Propose Recommendation 구현을 통해 사용 가능이 증명되고 현재 심의 중인 상태 Recommendation 널리 이용할 수 있는 상태

1-7. W3C의 XML 권고안(Recommendation) 1997년 9월 노트(Note)로 시작 1997년 12월 후보 권고안(Propose Recommendation) 발표 1998년 2월 XML 1.0 권고안(Recommendation) 발표(한글화) 2004년 2월 XML 1.0 세 번째(Third Edition) 권고안 발표 http://trio.co.kr/webrefer/xml/xml10.html

2. XML 문서 사용 용도 2-1. 데이터 전달용 문서 2-2. HTML에 대한 잘못된 오해

2-1. 데이터 전달용 문서 웹 서버가 데이터의 내용과 표현 형식을 HTML 문서에 함께 담아서 클라이언트로 보내면 웹 브라우저는 태그가 의미하는 표현 방법으로 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해준다. HTML 문서를 표현 중심이 아닌, 정보 전달용으로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  HTML 문서 내용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는 있지만, 데이터의 의미는 알기 어려움

2-1. 데이터 전달용 문서(HTML의 한계점) HTML 문서는 순수 데이터를 추출하기 어렵다. 데이터 추출에는 성공 했지만, 데이터가 의미하는 내용은 알 수 없다. HTML 문서를 데이터 처리용 응용프로그램에서 이용한다면 추출한 데이터를 적절히 이용할 수 없다. HTML 문서 <html> <head> <title>가족 내역</title> </head> <body> <h3>가족 내역</h3> <table border="1" width="400"> <tr> <td>홍삼원</td> <td>홍길동</td> </tr> <tr> <td>김순이</td> <td>박희선</td> </tr> </table> </body> </html>

2-1. 데이터 전달용 문서(계속) < 해결 방법 > ① HTML에서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태그를 만든다.  불가능(이미 태그들이 고정되어 있음) ② HTML 문서의 문제점을 극복한 XML 문서를 사용한다. XML 문서 <?xml version="1.0"?> <가족관계> <아버지>홍삼원</아버지> <어머니>김순이</어머니> <아들>홍길동</아들> <며느리>박희순</며느리> </가족관계> 조직화, 구조화된 데이터 전달  XML 문서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쉽고 정확하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조직화되고 구조화 시킨다.

2-1. 데이터 전달용 문서(계속) 데이터를 처리하는 응용프로그램도 XML 문서가 Text형식의 유니코드(Unicode)로 작성되기 때문에 유니코드를 인식하는 모든 운영 체제상의 응용 프로그램과도 호환성 있는 문서가 된다.

2-2. XML 문서의 적용 분야 XML 문서의 핵심은 시스템 통합 이기종 시스템 정보 교환 분야 웹 서비스 분야 유비 쿼터스(Ubiquitous) :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존재한다”. Anywhere, Anytime, Any device  3A

2-3. HTML에 대한 잘못된 오해 XML이 HTML을 대신하지는 않는다. XML은 HTML의 대체 언어가 아니며, 이 두 가지 언어는 상호 보완적인 언어로 앞으로도 계속 사용될 것이다. XML은 HTML을 확장한 것이 아니다. XML이 데이터 전달용으로 사용될 경우 HTML 문서 보다 더욱더 좋은 해결책일 뿐이다. 전송용 데이터는 XML로 개발된 마크업 언어에 의해 XML 문서로 조직화, 구조화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전송하면 좋다. 표현 중심의 문서를 작성할 때는 HTML이 가장 좋은 언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