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연구실 (Ubiquitous Network Lab) Since 1994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KAIST CS712 병렬처리 특강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및 보안 동향 Syllabus Network & Security Lab.
Advertisement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컴퓨터는 미래 지식 사회의 핵심 요인  지식 사회의 도래 : 매 50 년 마다 큰 기술, 사회적 변화 발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Ubiquitous Networks – 4 ( 보조자료 ) - WLAN, Bluetooth, UWB- Laboratory of Intelligent Networks Youn-Hee Han.
스마트세이프 신상품 출시 1. 분실보험 - 스마트세이프 50/40/19 3 가지 상품으로 구성 2. 기존 상품의 월정액과 최대보상한도 유사 3. 자기부담금 납부금액이 정액형에서 보상지원금 ( 손해액 ) 에 따른 비율형으로 변경 4. 단종 시, 유사.
무선충전 시장 현황 세계무선전력전송협회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WPC 에서는 ‘Qi’ 인증을 받은 무선충전기는 기기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 현재 표준은 전자기 방식이지만 자기공진방식 또한 곧 표준화가 이루어질 예정.
경 성 대 학 교. 경성대학교 학사관리팀 1 경성스마트체크 ( 전자출결 앱 ) 앱 설치하기 안드로이드폰 아이폰 스마트폰이 아닌 학생 출석인정 방법 경성대학교 교육연구처.
헬스케어용 웨어러블디바이스 개발 및 서비스 플랫폼 - ㈜메디코넥스 김태평 대표 회사명 : ㈜메디코넥스 (Mediconex), (2015 년 6 월 설립 )/ 2015 년 매출 101 백만원 사업분야 : 의료 ( 헬스케어 )/ 안전분야 모바일 App 및.
기술분야에너지 관리 연구과제명 Advanced Energy Mgmt. Algorithm 개발 필요성신재생 발전기기, 에너지 저장장치, 에너지 소비장치가 공존하는 Smart Grid Home 환경에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WLAN, WMAN, Cellular Internet Computing KUT Youn-Hee Han.
TE628 : Internet Server Context for Wireless. 2 Preliminary GSM (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 유럽의 주도하에 표준화된 디지털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 음성통화를.
이동통신 표준화 동향과 비젼 2008년 11월 수원대학교 정보통신 공학과 양윤기 1 참고문헌
IC DESIGN LAB 서강대학교 집적회로설계 연구실 SOGANG UNIVERSITY 2014 Since 1993
‘동아리 살림 마련 절호의 기회, 모이면 모일수록!’ 이벤트에 등록 신청합니다.
RFID 기술개발 현황 및 교통분야 활용방안 Ⅰ. 개요 Ⅱ. RFID 연구내용 Ⅲ. RFID 응용기술 개발
아이폰 & 아이팟터치 무선 인증 접속 세팅 단계 1 : 화면 아이콘 [설정]을 터치 합니다.
CS710 컴퓨터구조 특강 - 차세대 무선네트워크 및 보안 -
IT집중교육1 (Mobile Multimedia Service & System Design)
Desig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인지무선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무선자원관리 기법 연구
Yih-Chun Hu David B. Johnson Adrian Perrig
Ubiquitous Networks WLAN, Bluetooth, UWB-
대·중소기업 상생경영을 위한 SK텔레콤의 기술협력.
교육매체 컴퓨터 멀티미디어 인터넷활용교육 물리교육전공 홍승찬.
Be the First with the First
VoIP 이종규, 박혜선.
경력 개발을 위한 선배와의 만남 - (주) 휴넷 조영탁 대표이사 - ▶ 강의주제 : 창업을 위한 경력 개발
케이블 STB 발전 방향 Samsung Electronics Co. Ltd.
◆ 회사소개 회 사 현 황 성 은 E N G.
Battery-Dynamics Driven TDMA MAC Protocols for Wireless Body-Area Monitoring Networks in Healthcare Applications Hang Su, Student Member, IEEE, and Xi.
정보처리기사 신기술 동향 정보처리기사-신기술동향(핵심용어).ppt.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표준 기술 동향 한국정보화진흥원 정희창 연구위원 )
10장. 무선 LAN의 기본개념과 설정방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Wi-Fi 기반 NATE 서비스 제공 -설명회-
IPv6 도입과 동향.
IT R&D Global Leader [별첨 5] TVWS 무선링크 설계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Introduction to Networking
무선 인터넷 서비스 유비쿼터스 환경 유비쿼터스 적용
PART 01 개념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3 OSI 참조모델과 인터넷 임효택.
데이터 통신 (Data Communications)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데이터 전송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스마트폰을 사용한 수배송 차량 관제 시스템의 설계
16장 다른 무선망들 (Other Wireless Networks)
저전력 고효율 발열시트를 이용한 온실 자동화 시스템 제안서.
6장 무선과 이동 네트워크.
애플(아이폰, 아이패드) 단계 1 : 설정 -> Wi-Fi 터치 단계 2 : 네트워크 지우기를 터치
Chapter 3 3 모바일인터넷 구성 기술.
Underlying Technologies
For Security, For Stability, For Reliability
Embedded Software Technology - Mobile Terminal Management 제 3세부
PART 01 개념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3 OSI 참조모델과 인터넷 임효택.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컴퓨터 네트워크 실험실
6장 무선과 이동 네트워크.
Cognitive radio Either a network or a wireless node changes its transmission or reception parameters to communicate efficiently avoiding interference with.
9장 데이터링크층 소개 (Introduction To Data-Link Layer)
Ubiquit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IPv 이 동 주 HONGIK UNIVERSITY.
Wireless Network 최영진 김예일 김혜성.
10장. 무선 LAN의 기본개념과 설정방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Global LCT Leader! WI-FI 를 손쉽게 접속하자.
Advances in Optical Technology & FI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대평가 성적입력 방법 교무처 교무행정팀.
Ubiquitous Networks RFID & USN -
무선에너지 전송기술 (Wireless Energy Transfer Technology)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데이터 전송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CS712 병렬 처리 특강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및 보안의 최신동향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 채용 및 채용관리, 지원자 평가, 지원자 사후관리
Youth Hope Fund Foundation of Youngan church
CCNA 3 CHAPTER .1 LAN DESIGN 박명진, 문창호, 최성호.
(Virtual and Reality Classes)
IPv 이 동 주.
Presentation transcript: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연구실 (Ubiquitous Network Lab) Since 1994 지도교수: 박세웅 2016.08.26

NETLAB 지도교수: 박세웅 교수님 구성원 박사과정 11명 / 석사과정 4명 남학생 14명 / 여학생 1명

연구 분야 및 성과 연구 분야 참여과제 연구 성과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Bluetooth Low Energy (BLE) Sensor Networks LTE-A/5G Security 참여과제 국방생체모방자율로봇 (BMRR-32) 초경량 다중개체 전송제어기술 연구 [국방과학연구소] 주파수 센싱 기반의 스펙트럼 관리 및 미래전파통신 플랫폼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Bluetooth Low Energy (BLE) 기반 소방 방재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킹 및 실내 위치 인식 기 술에 관한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재난 음영지역에서 안정적인 망구성을 위한 재난통신 융합기술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ESL 센서노드용 알고리즘 및 실 환경 분석을 통한 무선간섭/동기화 문제 연구 [LG 이노텍] LTE/WLAN 지원 단말의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설계 연구 [삼성전자] Multi-RAT 선택 및 aggregation 기법 system 성능 평가 [삼성전자] 연구 성과 국제 저널(SCI/SCIE): 93편 국제학술대회: 133편 국내 저널: 35편 국내 학술대회: 142편 국제 특허: 27건 국내 특허: 62건

Next Generation WLAN Enhancing QoS in Highly Dense WLAN Adaptive CCA control for spatial reuse. Uplink MU-MIMO protocol. Adaptive CCA Control Inter-cell interference

Wi-Fi Pipelining Scenario Problem: low throughput Solution: pipelining Use case: streaming video in a disaster area using mobile devices Problem: low throughput Wireless interference among links  Some links cannot be activated simultaneously in time Medium access overhead Solution: pipelining Activating links in a pre-scheduled order Eliminating medium access overhead WiFi device Link 1 2 3 4 5 6 HD Video streaming 1 2 3 4 5 6

BLE Link layer parameter control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Low Energy (BLE) New Bluetooth protocol for low power communication Research Topic Link layer parameter optimization BLE multi-hop network protocol design BLE node BLE Link layer paramete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BLE testbed topology

Sensor Networks Achieving 100% of reliability Covering hundreds of sensor devices without loss Interference (mostly from Wi-Fi devices) avoidance GW TAG

Sensor Networks Achieving 100% of reliability Covering hundreds of sensor devices without loss Interference (mostly from Wi-Fi devices) avoidance GW Wi-Fi AP

LTE-assisted D2D communication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overlaying cellular network Increased spectral efficiency and spatial reuse Lower end-to-end transmission latency Offloading traffic from licensed band onto unlicensed band

테스트 베드를 통한 성능 평가 Implementation Sensor/BLE/WiFi nodes USRP

대학원 생활 연구/논문 세미나 축구 연구실 주요 행사 여름/겨울엠티 홈커밍 데이 송년회 회식

기타 졸업생 현황 학부 선수 과목 위치 Contact 박사졸업: 27명 석사졸업: 44명 취업현황: 교수, 삼성전자, SKT, LG, Google, 현대자동차, LS전선, Naver, ETRI등등 학부 선수 과목 데이터 통신망의 기초, 네트워크 프로토콜 설계 및 실습, 통신의 기초/ 통신 시스템, 프로그래밍 관련 과목, 영어/축구:) 위치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132동) 314호, Tel. 880-8434 신공학관 302동 511-3호, Tel. 880-1813 Contact Homepage: http://netlab.snu.ac.kr E-mail: webmaster@netlab.snu.ac.kr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