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사고 예방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여름철 산업현장 감전재해 주의보 - 감전 사망재해 46%, 7 ~ 8 월에 집중 발생 - 산업안전공단, 감전재해예방을 위한 3 대 기본 안전수칙 강조 “7 월부터 8 월까지 월요일 오후 4 시에서 6 시경 전기관련 작업을 할 경우, 감전재해를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 O.
Advertisements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그린에너지설비과 용접의 기초 및 방법 한국폴리텍 1 대학 서울정수 캠퍼스. 그린에너지설비과.
타워크레인 사고사례 및 안전대책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33 경 2 명이 사망하고, 1 명이 경상.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건설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중대재해사례[건설] 천공작업 중 항타기해머 낙하.
건 설 안 전 협 의 회 Construction Safety Manager Committee
Ch.2 다이오드 응용.
감전재해사례 및 사고예방대책.
하절기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Alert 최근 하절기 질식재해 사례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증가하고 있습니다. O 밀폐공간작업 재해의 발생원인
건물관리업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
천장크레인-본체 재해예방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기업경기 및 소비동향 전망조사 현황 통 계 청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리감독자의 직무 부산지방노동청.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소개 광주지역본부.
정전유도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콘덴서의 접속 정전 에너지 정전기의 흡인력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점검 판정 기준표 구분 점검 항목 소요 장비 조건 판정 기준 판정 비교 엔진 2,500rpm 유지 충전불량 전류(A) 전류계 전압계 엔진 2,500rpm 유지 상태에서 하기와 같이 FULL.
(압력용기-비래) 용기 기밀시험 중 볼트 파단으로 뚜껑 비래.
( Bulk Head 및 Ballast Water Tank)
불꽃 감지기 설치 방법 P형 1급 수신기 배선도 예 UV/IR Flame Detector ( P형 1급 수신기 ) R1 C1
HKMC 부품품질통신 사례 협력사 전파 혁신과 도전 2012 Innovation & Challenges 2012
Chapter 14 특수 목적 연산 증폭기 회로.
1장 전기 (Electricity) 전기 저항과 옴의 법칙 직렬 및 병렬 결합 전원 전력 종속 전원
(Wire & Wireless Anemometer)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준비없는 대출금 창업 – 교육강화 ㆍ 재취업할 일자리제공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내역서 작성 매뉴얼 2018년 10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RPS사업실.
압축천연가스자동차 연료용기 (CNG Cylinder)
안전규정 협력업체 및 방문자용 안전환경팀 2014.
Ⅱ.감전재해사례 크레인 위 용접작업 중 감전 활선 작업등 교체 중 감전 휴대용 전동공구 작업 중 감전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 2007 한국산업안전공단 서울지역본부.
덤프트럭 작업시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 ㈜미도정밀 (제 7,400호 인정) 『CLEAN 사업』추진현황 한국산업안전공단 포항지도원.
안전 보호구.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또 한 번의 인재(人災)! 지하철 공사장 사고 직업안전.
고소작업대 & 이동식크레인.
한국소방기술인협회 Fire Protection.
제3장 스포츠 산업.
1-3. 가전기기의 이용과 점검(120p) *가전 기기는 날이 갈수로 종류가 다양해지고 기능이 복잡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능력을 숙지하고 -유사시 간단한 점검능력 숙지 1)가전기기의 선택 *가전기기-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전자기기.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덕신산업 (제7,000호 인정) 『CLEAN 사업』추진현황 한국산업안전공단 광주지역본부.
사무직 일반 안전교육 시설안전의 기술.
수율관리를 위한 POP시스템 목적과 용도 시스템과 구성 POP의 효과
수력에너지.
감전재해 사례 및 대책 -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2010년도 가평지점 안전관리 중점추진계획
폐업·도산 사유로 고용보험을 상실한 근로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23.8 % 기 타 36.8 % %
Ⅰ 줄걸이작업 안전기준 아차사고 사례 전파 빔클램프(안전학카) 사용기준 와이어로프 사용기준 와이어로프 단말가공법
• 사업주는 아래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함
신소재 장비개발 [공기충전기] 하안119안전센터.
3. 가전 기기의 선택과 관리(194P). 날이 갈수록 종류, 성능 및 기능이 다양함
TPM 추진 목표설정 * 구체적인 목표는 지도 개시후 간부 워크샵을 통해 확정함
제품의 특장점 3상 UPS의 기술 (성능 비교) 가격 경쟁력 국제통신공업㈜ KJU-3000Series UPS Others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위험도 인식 Munch - The scream.
안전공학 연계전공/연계부전공 정기효 교수 울산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電氣,設備 安全敎育 전기설비안전 建設安全講師 : 丁 淳 南.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전기와 안전.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첨부#2] 검토일: 년 월 일  구 분 내 용 공 사 명 업 체 명 공사예정 기간 견적안내부서 확 인 사 항 견적부서(견적)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Presentation transcript:

감전사고 예방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감전재해현황과 대책 전기의 위험성 및 감전사고 형태 감전재해분석(미국, 일본, 한국) 감전사고의 근원적 대책

전기의 위험성 전기는 작업장 및 생활 주변에 상존 전기의 위험성 미숙지 세계 최초의 감전사고 전기는 작업장 및 생활 주변에 상존 전기의 위험성 미숙지 어느 정도 위험한 지 정확히 인식 못함 110볼트용 7.5와트 꼬마 전구에도 사망 가능 세계 최초의 감전사고 1879년, 프랑스에서 교류 250볼트에 의해 목수 사망 이후 수 많은 사람이 전기 사용 중 재해 발생

감전시의 영향 1㎃ 이하 : 감지 못함 16㎃ : 성인남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전류 20㎃ : 호흡 곤란 (사망 우려) 1㎃ 이하 : 감지 못함 16㎃ : 성인남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전류 20㎃ : 호흡 곤란 (사망 우려) 100㎃ : 심실 세동 전류 2A : 심장 마비 및 장기 손상 15/20A : 일반적인 퓨즈/차단기 작동전류

감전사고의 형태 충전부 직접 접촉/안전거리 이내 접근 누전된 전기기기 등에 접촉 지락전류 등의 인근 도전체 전위경도 고전압 송전선의 정전유도/전자유도 오조작/역송전에 의한 가압 낙뢰의 진행파

감전 ·화상재해의 형태 저압에 의한 감전 고압 · 특별고압에 의한 감전 아크에 의한 화상 유도에 의한 감전 고전압 유도 전파 유도

감전발생원의 분류 전로 또는 누전된 물체

감전발생원의 분류 공기 또는 절연파괴된 고전압기기

감전발생원의 분류 정전유도에 의해 전압이 유기된 물질

감전발생원의 분류 전자유도에 의해 전류가 유기된 물체

감전재해분석 미국 : 1980∼1992년 일본 : 1986∼1995년 한국 : 1997년(`92~`99.6)

미국의 감전재해 분석 I : 감전사고 과거기록 조사 II : 산재관리시스템(NTOF) 자료 활용 * NTOF : National Traumatic Occupational Fatalities

대상 자료 대 상 기 간 : 1980년∼1992년 (13년간) 감전 사망자수 : 5,348명 (평균 411명/년) 대 상 기 간 : 1980년∼1992년 (13년간) 감전 사망자수 : 5,348명 (평균 411명/년) 감전 사망율 : 전체 사망자의 7% (5번째)

재해평가 프로그램 분석 NIOSH에 의해 수행 : FACE 프로그램(1982) 사고분석 대상 사고분석방법 FACE : Fatality Assessment and Control Evaluation 사고분석 대상 1982년 ∼ 1994년 224건의 감전사고, 244명의 사망자 사고분석방법 에너지 변환상태 사망자 주변 환경 사고전, 사고시, 사고후 상태 규명

분석 방법 연도별 건수 / 재해율 분류 업종별 / 직종별 분류 연령별 분류 월별 분류 전압별 분류

건수/재해율 분석 연도별 재해건수 및 재해율 5,180건/ 5,348명 감전사망(1980년∼1992년)

연령별 분석 35세 이하에서 60%( 남성 99% 차지), 백인(86%), 흑인(7%) <재해율> <재해건수> 500 1000 35세 이하에서 60%( 남성 99% 차지), 백인(86%), 흑인(7%) 500 1000 1500 2000 65+ 55-64 45-54 35-44 25-34 20-24 16-19 0 0.1 0.2 0.3 0.4 0.5 0.6 0.7 <연령> <재해건수> <재해율> 재해건수 사망자/10만명

업종별 분석 건설업 : 40% , 운수/통신 : 16% , 농·어업 : 11% 건설업 재해율 : 광업 재해율 보다 높음 건설업 : 40% , 운수/통신 : 16% , 농·어업 : 11% 건설업 재해율 : 광업 재해율 보다 높음 500 1000 1500 2000 2500 기타 부동산업 무역업 공공사업 소매업 광업 서비스업 농어업 제조업 운수/통신 건설업 재해건수 사망자/10만명 <재해건수> <재 해 율> 0 0.5 1 1.5 2 2.5

직종별 분석 전기 기술자 : 46% , 일반 작업자 : 15%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기타 비서 전기 기술자 : 46% , 일반 작업자 : 15%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기타 비서 판매원 보조기술자 전문기술자 A/S기사 운전원 작업관리자 운전기사 농부 일반작업자 전기기술자 0 0.2 0.4 0.6 0.8 1 1.2 1.4 1.6 <재해건수> <재 해 율> 재해건수 사망자/10만명

기인물별 분석 크레인 붐대와 전력선 혼촉 : 337명(6%) 사다리/비계와 전력선 혼촉 : 270명(4%) 크레인 붐대와 전력선 혼촉 : 337명(6%) 사다리/비계와 전력선 혼촉 : 270명(4%) 기기절연 손상으로 인한 감전 : 153명(3%) 트럭, 일반차량과 전력선 혼촉 : 129명(2%)

기 타 보호장구 미사용 감독자 미배치 교육 이수 유무 사업장 규모 * 경력 : 1년 이하가 100명(41%) 기 타 보호장구 미사용 감독자 미배치 감독자 사망건수(42명 - 17%) 교육 이수 유무 194명(80%) : 전기안전교육(102명 : OJT추가교육) 39명(16%) : 교육 전무 * 경력 : 1년 이하가 100명(41%) 사업장 규모 500인 이상 사업장 : 51건(23%) 50인 이하 사업장 : 85건(38%)

일본의 산업재해 현황 전체 산업재해 감전 사망자수 재해자수 : 48만 명(`61년) 감소 추세 재해자수 : 48만 명(`61년) 감소 추세 사망자수 : 2078명(`97년, `61년의 30%) 감전 사망자수 482명(61년)에서 37명(95년)으로 크게 감소

일본의 감전재해 발생추이

일본의 감전사망자 발생추이

국내의 감전재해 분석 I : 중대재해조사표 분석 한국산업안전공단 자료 II : 전기재해분석 자료 한국전기안전공사

감전 재해 분석 월별 분류 재해장소별 분류 재해 설비별 분류 재해자 직업별 분류 통전경로별 분류

월별 분석 최다재해 월 : 6월∼8월(40%) * 기후 조건 : 옥외 작업시 사고 우려 높음

장소별 분석 산업현장 : 270명(28%), 공사장 : 187명(19%), 철탑 등 : 99명(10%) * 사망율이 가장 높은 곳은 낚시터, 논, 밭 등 야외(55.6%)

설비별 분석 전기배선 : 228명(23%), 송배전선 :188명(19%), 수전설비 : 128명(13%) 전기배선 : 228명(23%), 송배전선 :188명(19%), 수전설비 : 128명(13%) * 활선 및 활선 근접작업시 감전재해 높음

경로별 분석 손/팔 경로 599(61.6%), 얼굴/머리 접촉 49명(5%) 손/팔 경로 599(61.6%), 얼굴/머리 접촉 49명(5%) * 절연장갑이나 안전모 등의 개인장구 착용시 많은 재해 방지 가능

감전사고 방지대책 미국 감전사고 시나리오 및 대책 일본 감전사고 방지대책 한국 감전사고의 근원적 대책

전기사고 시나리오 활선과의 직접 접촉 (28%) 전기설비의 충전부 접촉 (21%) 크레인 붐대와 전력선 접촉 (18%) 전기설비의 손상 (17%) 도전성 장비와 전력선과의 접촉 (16%)

시나리오별 대책 가공선로에 노출되는 작업자 전기설비의 충전부 접촉 붐대와 전력선 접촉 전기설비의 손상 절연 방호구 및 이격거리 확보 전기설비의 충전부 접촉 절연판 설치, 정전작업 절차 준수(Lockout / Tagout) 붐대와 전력선 접촉 이격거리 확보 및 감시인 배치 전기설비의 손상 접지선 및 차단기 설치 도전성 장비와 전력선과의 접촉 감독자 배치 및 사전 위험성 제거

사고예방대책 안전작업절차 수립 및 시행 안전보호장비 확보 정전작업절차(Lockout / Tagout) 관련 규정/규격 준수 전기 전문교육 강화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청(OSHA)의 산업안전기준 미국 전기설비기술기준(NEC) 미국 전기안전기준(NESC) 전기안전 : Subpart S 29 CFR 1910.302∼1910.399 건설안전 : Subpart K 29 CFR 1926.402∼1926.408 미국 전기설비기술기준(NEC) 전기재해 예방 기준 (전기설비 위주) 미국 전기안전기준(NESC) 전기재해 예방 기준(설치 작업 위주)

일본의 감전사고 방지대책 충전부분의 절연·격리 사용 전압의 저감, 기기조작의 안전화 전기설비의 이상 현상의 검출 충전부분의 절연·격리 사용 전압의 저감, 기기조작의 안전화 전기설비의 이상 현상의 검출 유지보수 및 점검 철저 전기작업용 안전장구의 정비 작업표준의 확립 / 안전교육의 실시 비상시의 대책 수립

근원적 재해예방대책 기술적 대책 관리적 대책 교육적 대책 안전의식 제고, 안전작업기술 향상 보호구 · 안전장치 등의 성능 향상 표준작업절차 / 안전수칙 준수 교육적 대책 안전의식 제고, 안전작업기술 향상

기술적 대책 절연용 방호구/보호구의 성능 향상 활선작업용 안전장치의 개발 · 보급 경보장치 류의 개발 · 보급 사업장 자율안전대책 강구 감전재해 집중 분석 및 대책 수립

관리적 대책 안전작업절차 수립 및 시행 절연용 방호구 / 활선작업용기구 품질시스템 구축 지원 / 유도 안전규칙, 코드 등의 제·개정 절연용 방호구 / 활선작업용기구 불량/미검정품의 유통 및 사용 억제 사용전 · 정기점검/검사 실시 유도 품질시스템 구축 지원 / 유도 안전인증/품질인증 등

교육적 대책 전문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실시 시청각교재(비디오)개발 작업 표준매뉴얼 제작 및 배포 중대재해 사례집 배포

감전사망 발생추이

주요 국의 감전사망율 비교

결 론 작업자 : 위험원 파악 사업주 - 안전관련 정기회의 개최 / 프로그램 운영 결 론 작업자 : 위험원 파악 사업주 - 안전관련 정기회의 개최 / 프로그램 운영 - 안전작업절차 규정 수립 / 준수 여부 확인 - 작업시작전 점검 철저 - 개인보호구 등의 지급 철저 - 전기 작업자 전문교육 강화 * 규정대로 업무 수행 → 사고는 예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