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ing Protocol (EIGRP)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Routing 이론. 1 목 차목 차목 차목 차 목 차목 차목 차목 차  Routing 의 개념  Routing Protocol 소개 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s  Link-State Routing Protocols  Static.
Advertisements

HTTPS Packet Capture Tutorial
Part TCP / IP(계속) 3. IP 주소 4. IP 라우팅 5. 응용 프로토콜.
2장. TCP/IP, 서브넷팅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Routing.
제 10 장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제 6장 라우팅과 라우팅 프로토콜.
Part 라우터(계속) 4. 라우터 서비스 설정 5.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개요 1. 라우팅이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영역의 통신을 가능하게 이어주는 것 라우팅 프로토콜
Computer Network ( Routing Technology )
Chapter 2. IP Address IP Address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인 서브넷팅, 수퍼넷팅, VLSM 등에 대해서 단계별로 접근할 수 있다. 몇가지 예제를 통해서 서브넷팅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라우팅 기술 - RIP, OSPF 고병찬 이광재.
제 7장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제 13 장 라우팅 프로토콜 13.1 내부와 외부 라우팅 13.2 RIP 13.3 OSPF 13.4 BGP
24 장 TCP/IP 24.1 개요 24.2 네트워크층 24.3 주소 지정 24.4 서브넷팅틍
LOGO 네트워크 운용(2).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Routing Technology Computer Network Computer Network Team Project
라우팅의 기술 RIP과 OSPF의 개요 및 동작과정 1조 : 박지훈, 최정연, 추태영 RIP과 OSPF의 개요 및 동작과정.
Routing Protocol (RIP)
Routing Protocol (OSPF)
라우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축 실습.
ARP의 실험 발표자 : 이직수
라우팅의 기술 RIP과 OSPF의 개요 및 동작과정 1조 : 박지훈, 최정연, 추태영 RIP과 OSPF의 개요 및 동작과정.
5장. 라우팅프로토콜 RI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Chapter 11 Unicast Routing Protocols.
Routing Protocol (EIGRP)
9장 데이터 링크층 개요 (Introduction To Data-Link Layer)
제 14장 Multicast & Broadcast
라우팅 기술 (RIP, OSPF) 컴퓨터공학과 강지훈 윤인선 이고운
Routing Protocol - Router의 주 목적 중 하나는 Routing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6장. EIGR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Routing Protocol (OSPF)
컴퓨터 네트워크 II - 기말고사 토폴로지 발표자료
컴퓨터 공학 전공 이상신 컴퓨터 공학 전공 성주형 멀티미디어 공학 전공 박성재
5장. 라우팅프로토콜 RI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Network 네트워크 이론 및 실습 라우팅 프로토콜 - 1 5장.
IP.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6장. EIGR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7장. OSPF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4장. 정적 경로 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6장. EIGRP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컴퓨터 네트워크 기말고사 실습 김리화.
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1 . TCP/IP 개요
네트워크 기말고사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종화.
5장. 라우팅프로토콜 RI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2장. TCP/IP, 서브넷팅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6장. EIGR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2장. TCP/IP, 서브넷팅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Part 라우터 1. 라우터 장비의 이해 2. 라우터 네트워크 환경 설정 3. 라우팅 테이블 설정과 점검.
ACL(Access Control List)
6장. EIGR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21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1.1 중계기(Repeaters) 21.2 브릿지(Bridges)
01.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의 개요 라우팅은 패킷을 송신지부터 수신지까지 어떠한 경로를 통해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법
3 네트워크 기술 학습 목표 회선 교환 시스템과 패킷 교환 시스템의 차이와 원리를 이해한다.
Chapter 26 IP over ATM.
Ping Test.
Addressing the Network – IPv4
Chapter 27 Mobile IP.
5장. 라우팅프로토콜 RI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제 13 장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정보통신연구실.
제 6 장 IP 패킷 전달과 라우팅 6.1 연결형 서비스와 비연결형 서비스 6.2 직접 전달과 간접 전달 6.3 라우팅 방법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6장. EIGR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ARP.
4장. 정적 경로 설정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Presentation transcript:

Routing Protocol (EIGRP) - Cisco에서 만든 Cisco 전용 Routing Protocol - RIP과 동일하게 Split-Horizon이 적용되고, Major 네트워크 경계에서 auto-summary가 된다. - Routing 정보 전송을 위해 IP 프로토콜 88번 사용 - IGRP가 발전된 Routing protocol - DUAL(Diffusing Update Algorithm) 알고리즘 사용하여 Successor (최적 경로)와 Feasible Successor(후속 경로)를 선출 - Convergence time이 빠르다.  Feasible Successor가 존재할 경우 Best path에 이상이 생기면 Feasible Successor의 경로를 Best path로 올린다.

Routing Protocol (EIGRP) - AD(Administrative Distance)값은 내부(Internal) 90, 외부(external)170. - AS (Autonomous System)단위로 구성 * AS (Autonomous System) 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Router의 집단, 하나의 관리 전략으로 구성된 Router의 집단 . (한 회사, 기업, 단체의 Router 집단) - Classless Routing protocol  VLSM과 CIDR을 사용할 수 있다. - 멀티캐스트 주소 (224.0.0.10)을 사용해서 정보를 전달

Routing Protocol (EIGRP) <장점> - Fast Convergence (빠른 수렴)  DUAL 알고리즘 사용 - Unequal cost 부하분산(load balancing) 지원 - OSPF에 비해 설정이 간단하다. <단점> - Cisco전용 Routing protocol이기 때문에 Cisco Router에서만 동작 - 중,소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잘 돌아가지만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관리가 힘들다. (SIA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EIGRP

Routing Protocol (EIGRP) EIGRP는 5개의 Packet을 사용하여 인접한 Router끼리 Neighbor 관계를 맺고 라우팅 정보를 서로 교환한다.

Routing Protocol (EIGRP)

Routing Protocol (EIGRP) 1) Hello packet  Neighbor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packet.  멀티캐스트(224.0.0.10)를 목적지 IP로 전송.  EIGRP는 인접 Router에게 주기적으로 Hello packet을 전송.  기본적으로 Hello interval의 3배에 해당하는 시간(Hold time)안에 상대방의 Hello packet을 받지 못하면 Neighbor를 해제 Encapsulation 헬로 주기 (초) 홀드 시간 (초) Ethernet, HDLC, F/R의 point-to-point 서브 인터페이스 5 15 T1 이하의 NBMA 인터페이스, F/R의 멀티포인트 서브 인터페이스 60 180

Routing Protocol (EIGRP) 2) Update packet  라우팅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packet.  경우에 따라 유니캐스트 혹은 멀티캐스트(224.0.0.10) 주소를 사용 3) Querty packet (라우팅 정보요청 패킷)  라우팅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되는 packet.  경우에 따라 유니캐스트 혹은 멀티캐스트(224.0.0.10)주소를 사용  자신의 Routing table에 있는 경로가 다운되거나 Metric 값이 증가한 경우 Feasible successor(대체 경로)가 없을 시 인접Router들에게 해당 경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

Routing Protocol (EIGRP) 4) Reply packet  Query packet을 수신한 Router가 요청받은 라우팅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  항상 유니캐스트로 전송 5) Acknowledgement packet (라우팅 정보요청 패킷)  Ack packet은 Update packet, Query packet, Reply packet의 수신을 확인할 때 사용  Ack packet과 Hello packet에 대해서는 수신을 확인하지 않는다.

Routing Protocol (EIGRP) 1) Hello packet을 인접 Router가 서로 교환한 후 Neighbor 관계를 맺고 Neighbor table을 생성한다. 2) Update packet을 통해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고 Topology table을 생성한다. 3) Topology table 정보를 종합해서 라우팅 경로를 계산하고 Best path를 Routing table에 저장한다.

Routing Protocol (EIGRP) - 특정 네트워크로 가는 경로 또는 인접 Router가 다운되었을때 - 1) Query packet으로 다운된 네트워크의 라우팅 정보 요청 및 응답상태 테이블 생성 2) Reply packet으로 라우팅 정보 수신 및 Topology table 저장 3) 수신한 라우팅 정보들로 라우팅 경로를 계산하고 Best path를 Routing table에 저장한다.  경우에 따라 위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Topology table에서 바로 새로운 경로를 찾아 Routing table에 올릴 경우도 있다. (Feasible Successor가 있는 경우)

Routing Protocol (EIGRP) EIGRP Table 1) Neighbor Table EIGRP가 설정 된 Router들은 서로 Hello packet을 교환해서 Neighbor 관계를 형성. Neighbor 관계가 시작되면서 Neighbor Table을 생성하고 인접 Router 목록이 저장. 2) Topology Table Neighbor에게 Update 받은 모든 네트워크와 그 네트워크의 Metric 정보를 저장하는 DataBase. Topology table에는 현재의 Router에서 목적지 네트워크 까지의 Metric 값과 Next-hop Router에서 목적지 네트워크까지의 Metric 값이 모두 저장되어 있다. R1 R3 R2 S 0/0 S 0/1 fa 1/0 190.10.7.0/30 162.10.3.0/24 200.120.5.0/30 162.10.1.0/24 162.10.2.0/24 AS 100

Routing Protocol (EIGRP) EIGRP Table Neighbor Table 2) Topology Table

Routing Protocol (EIGRP) Router(config)#router eigrp <AS-Number> Router(config-router)#network <Network-Number> <Wildcard mask>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Routing Protocol (EIGRP) EIGRP Metric - Bandwidth(대역폭), Delay(지연), Reliability(신뢰성), load(부하), MTU를 기준으로 경로를 결정  각각의 Metric을 Vector Metric이라 한다.  특정 공식에 각각의 값을 대입하여 최적의 경로를 결정한다.  계산에서 사용되는 Bandwidth (B/W)값은 목적지까지 가는 중의 모든 인터페이스의 대역폭 중 가장 낮은 값으로 10^7을 나눈값. (즉, B/W = 10^7/가장 느린 대역폭)  계산식에서 사용되는 Delay값은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 중에 있는 모든 delay값을 더한 후 10으로 나눈 값. (즉, 경로상의 모든 delay를 합한 값/10)  Reliability(신뢰도)는 Interface의 에러발생률  load는 Interface의 부하를 나타낸다.  MTU는 기본적으로 가장 작은 값을 사용

Routing Protocol (EIGRP) * Metric 공식 - 기본적인 K상수 값  K1 = K3 = 1 K2 = K4 = K5 =0 1) K5 = 0인 경우 [ K1 * (B/W) + K2 * (B/W)/(256 - load) + K3 * DLY ] * 256 2) K5 = 0 이 아닌 경우 [ K1 * (B/W) + K2 * (B/W)/(256 - load) + K3 * DLY ] * 256 * K5/ (reliability + K4)  K 상수는 명령어도 변경이 가능하나 기본적으로 K5 = 0. 즉, 기본적인 Metric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 1 * (B/W) + 0 * (B/W)/(256 - load) + 1 * DLY ] * 256 = ((B/W) + DLY) * 256 * 주의!!! 여기서 (B/W)는 10^7/가장 느린 bandwidth (소수점 이하는 버림), DLY는 경로상의 모든 delay를 합한 값/10 즉, ((10^7/가장 느린 bandwidth) + (모든 delay를 합한 값/10)) * 256 K1 = Bandwidth, K2 = Load K3 = Delay, K4 = Reliability K5 = MTU

Routing Protocol (EIGRP) * Metric 공식 B/W 8000000 DLY 5000 Lo 0 S 0/0 S 0/1 R2 B/W 1544 DLY 20000 B/W 1544 DLY 20000 S 0/0 S 0/0 B/W 8000000 DLY 5000 AS 10 Lo 0 R1 R4 Lo 0 S 0/1 S 0/1 B/W 512 DLY 40000 B/W 1544 DLY 20000 S 0/1 S 0/0 R3 Lo 0 B/W 8000000 DLY 5000

Routing Protocol (EIGRP) DUAL (Diffusing Update Algorithm) - Fast convergence(빠른 수렴)이 가능하다. R1 R2 R3 R4 ① 2,809,856 ② 6,663,936 ③ 2,297,856 ④ 2,297,856 목적지

Routing Protocol (EIGRP) DUAL (Diffusing Update Algorithm) 1) FD(Feasible Distance) – 출발지 Router에서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계산한 EIGRP Metric 값 (최적 Metric) 2) AD(Advertised Distance) – 출발지 Next-hop 라우터에서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계산한 EIGRP Metric 값 (RD라고도 한다.) 3) Successor – FD값이 가장 낮은 경로상의 Next-hop 라우터 (즉, 최적 경로상의 Next-hop 라우터) 4) Feasible Successor – 최적 경로(Successor)가 동작하지 못할때 Query 나 계산 없이 바로 Routing table에 등록되는 경로. (후속 경로상의 next-hop 라우터) 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FD값이 가장 낮은 경로가 Successor(최적경로)로 선출되고 남아있는 경로 중 AD값이 FD값보다 작은 경우 Feasible Successor(후속 경로)로 선출된다. 즉, Successor가 아닌 라우터 중 AD(RD) < FD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next-hop 라우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