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 영 체 제 실 습 6. 네트워크 관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Advertisements

7 장. 원격지에서 리눅스서버를 관리하자. 텔넷서버를 설치 / 운영한다. SSH 서버를 운영한다. VNC 서버를 설치 / 운영한다.
정보 보안 개론과 실습 네트워크 해킹과 보안 3부 해킹 전 정보 획득 Chapter 10. 목록화.
Part TCP / IP(계속) 3. IP 주소 4. IP 라우팅 5. 응용 프로토콜.
Chapter 8. 인터넷 연결공유와 개인네트워크 구축
조준희 (Cho, Junhee) TCP/IP 조준희 (Cho, Junhee)
CH7. 데비안에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
김태원 심재일 김상래 강신택. 김태원 심재일 김상래 강신택 인터넷 통신망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의 자원 및 정보는 NIC가 관리 IP주소 또는 도메인으로 정보 검색 이용자 및 통신망 관한 정보를 제공.
DHCP Service April
DNS(Domain Name System)
Chapter 6. 리눅스 백도어 황 선 환.
1. Windows Server 2003의 역사 개인용 Windows의 발전 과정
Network Lab. Young-Chul Hwang
1장. 실습 환경 구축.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Chapter 2. IP Address IP Address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인 서브넷팅, 수퍼넷팅, VLSM 등에 대해서 단계별로 접근할 수 있다. 몇가지 예제를 통해서 서브넷팅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PHP입문 Izayoi 김조흔.
제 7장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24 장 TCP/IP 24.1 개요 24.2 네트워크층 24.3 주소 지정 24.4 서브넷팅틍
Network 네트워크 이론 및 실습 TCP / IP 4장.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DPR-1630&1615 IP공유기 셋팅 방법 고객지원팀 작성자 : 정청석.
18장. 방화벽 컴퓨터를 만들자.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Lecture #
4 Whois와 DNS 조사.
(개정판) 뇌를 자극하는 Red Hat Fedora 리눅스 서버 & 네트워크
네트워킹 CHAPTER 13 Section 1 네트워킹의 개요와 java.net 패키지 Section 2 인터넷 주소와 URL
강 명 수 LINUX 설치 강 명 수
Linux서버를 이용한 채팅프로그램 지도 교수님 : 이형원 교수님 이 름 : 이 은 영 학 번 :
8장. 원격지 시스템 관리하기.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16장. DHCP 서버의 설치와 운영.
01. DHCP의 개념 조직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워크스테이션의 TCP/IP 설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
DHCP 박윤환 윤준호.
시스템 운영계획 통신 케이블 제작 엑세스 포인트, 스위치, 라우터 설치 및 환경구성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장. 장애 조치 클러스터.
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1 . TCP/IP 개요
(개정판) 뇌를 자극하는 Red Hat Fedora 리눅스 서버 & 네트워크
시스템 인터페이스 Lab3 Unix 사용법 실습.
Chapter 03 Whois와 DNS 조사.
소리가 작으면 이어폰 사용 권장!.
Day-04(mon_9.6) Host_PC Router NAT NIC Switch ISP NAT Host Only
제 15 장 BOOTP와 DHCP BOOTP 15.2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인터넷보안 실습 2012년 1학기.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장. 원격 접속 서버.
(개정판) 뇌를 자극하는 Red Hat Fedora 리눅스 서버 & 네트워크
CGI란 무엇인가? CGI(Common Gateway Interface)의 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TCP/IP 인터네트워킹 INTERNETWORKING with TCP/IP <vol
Network 네트워크 이론 및 실습 TCP / IP 4장.
-네트워크 관리 개요 및 SNMP 프로토콜 동작과정
DHCP 조지훈 김대성 이정민 용석중.
01.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의 개요 라우팅은 패킷을 송신지부터 수신지까지 어떠한 경로를 통해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법
통신프로토콜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01. DHCP의 개념 조직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워크스테이션의 TCP/IP 설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
01. 개요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와 그룹에 대한 NetBIOS 이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찾아주는 서비스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미디어 트랜스코딩 부하분산 정책
Chapter 27 Mobile IP.
라우터의 이해 (보충자료) TCP/IP구성 Ping명령어를 이용한 연결검사 비트와 바이트 10진수/2진수/16진수
Part 05 TCP/IP 1. 네트워크 2. 포트번호.
D H C P 김민섭 박영운.
소리가 작으면 이어폰 사용 권장!.
소리가 작으면 이어폰 사용 권장!.
Network Lab. Young-Chul Hwang
소리가 작으면 이어폰 사용 권장!.
ARP.
소리가 작으면 이어폰 사용 권장!.
Presentation transcript:

운 영 체 제 실 습 6.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의 방식 P2P (Peer-to-Peer) “peer : 또래” 혼합형 P2P 시스템(Hybrid P2P) 서버의 개입 없이 성능이 비슷한 컴퓨터들이 직접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 비슷한 성능을 가진 컴퓨터들을 peer로 간주 혼합형 P2P 시스템(Hybrid P2P) 사용자의 접속과 검색단계만 서버가 개입 파일공유는 사용자 시스템간 직접 연결 저작권법상 ISP의 책임문제 소지 순수형 P2P 시스템(Pure P2P) 각 Peer 상호간 IP 주소를 공유하여 직접 연결 정보검색 어렵고, 네트워크 부하 증가 6.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의 방식 Client-Server 1계층(1-tier) Client-Server 시스템 전용서버 구축 비용 소요 다양한 서비스 제공 가능, 높은 네트워크 확장성 1계층(1-tier) Client-Server 시스템 서버에서 모든 기능 담당, (더미 클라이언트) 2계층(2-tier) Client-Server 시스템 클라이언트에서 모든 기능 담당, 서버는 데이터만 관리 3계층(3-tier) Client-Server 시스템 서버 : 업무규칙의 구현, 자료 접근규칙 클라이언트 : 표현규칙의 운용 (적정수 사용자 이상시 효율) 6. 네트워크 관리

TCP/IP 프로토콜 6. 네트워크 관리

TCP/IP 네트워크 주소 IP (Internet Protocol) 주소 NIC : Network Information Center APNIC : Asia Pacific NIC KRNIC : KoRea NIC 6. 네트워크 관리

TCP/IP 네트워크 주소 6. 네트워크 관리

TCP/IP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주소 네트워크 (Network) 주소 동일 네트워크의 모든 시스템에 정보 전송 192.168.56.78 / 192.168.56.255 네트워크 (Network) 주소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방법으로 사용 192.168.56.78 / 192.168.56.0 게이트웨이 (Gateway) 주소 네트워크의 출입구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192.168.56.78 / 192.168.56.1 (일반적) 6. 네트워크 관리

TCP/IP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주소 하나의 네트워크를 하나 이상으로 나누는 것 6. 네트워크 관리

TCP/IP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할 6. 네트워크 관리

TCP/IP 네트워크 주소 DNS (Domain Name Server) 주소 루트 도메인(Root Domain) 최상위 도메인(Top Level Domain) : .com, .kr 2단계 도메인(Second Level Domain) : .ac, .co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VMware 에서의 IP 할당 내 컴퓨터(실제 컴퓨터) 기본 운영체제 : Windows 7 MAC : aa-aa-aa-aa-aa-aa (실제 MAC 주소) IP : 111.111.111.111 (실제 네트워크 할당 주소) VMware(가상머쉰) 운영체제 : Linux MAC : bb.bb.bb.bb.bb.bb (가상 MAC 주소) IP : 222.222.222.222 (사설 네트워크 주소) ※ Window로부터 NAT 형태로 IP 할당 받음 (Network Address Treanslation)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VMware 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개념 Windows7 Linux 로칼영역설정 IP : 111 eth0 MAC : aa MAC : 임의할당③ VMnet1 IP : 임의할당① MAC : 임의할당 ① VMnet8 IP : 임의할당② MAC : 임의할당 ②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Windows7 로컬영역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Windows7 VMnet1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Windows7 VMnet8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Bridged 방식 NAT 방식 Host-only 방식 vmware 가상머신이 vmware host 머신과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똑같이 real ip 상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방식 NAT 방식 vmware가 자체적으로 내부네트워크대역을 할당하고 자체 DHCP 서버도 띄워서 NAT 기능을 지원하는 방식 Host-only 방식 자신의 컴퓨터와 가상머신(vmware) 사이에만 통하는 네트워크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내부 IP를 숨겨서 방화벽 역할을 한다. - 다수의 내부 IP를 외부 IP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 인터넷 공유기와 같은 기능이다.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Linux Netwok Device [시스템]-[관리]-[네트워크] # system-config-network 6. 네트워크 관리

TCP/IP 설정 Linux Network Connetions 6.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 # cat /etc/sysconfig/network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 /ifcfg-eth0 # ping -c 5 kr.yahoo.com # ping -c 3 -i 2 kr.yahoo.com # ping -c 3 -q kr.yahoo.com 6.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오류 메시지 6.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 # ifconfig # ifconfig eth0 # ifconfig eth0 down # ifconfig eth0 up # ifdown eth0 # ifup eth0 # ifconfig eth0 210.xxx.xxx.xxx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210.xxx.xxx.255 up 6. 네트워크 관리

# route -n ☜ Destination 등을 IP로 표현 네트워크 관리 # route # route -n ☜ Destination 등을 IP로 표현 # route del default # route add default gw 212.114.166.1 dev eth0 6.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 # netstat -r ☜ route 명령보다 더 자주 사용 # netstat | more # netstat -i # netstat -ic 6.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 State 상태 6.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 # nslookup naver.com ☜ 비대화형 # nslookup ☜ 대화형 > set type = any > naver.com > set type = mx ☜ 메일서버 정보 > set type = ns ☜ 네임서버 정보 > exit 6. 네트워크 관리

# traceroute kr.yahoo.com 네트워크 관리 # traceroute kr.yahoo.com 6. 네트워크 관리

데몬(daemon) 데몬 이란? 백그라운드 란? 리눅스가 부팅될 때,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에서 요구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해 주는 프로그램 백그라운드 란? 쉬는 상태로 대기 하고 있다가 요청이 들어오면 처리 하는 프로세스 포트(Port) 0 ~ 65,534 httpd 80번 ftp 21번 telnet 23번 6. 네트워크 관리

데몬(daemon) 데몬(daemon) 종류 Standalone 방식 inetd 방식 6. 네트워크 관리

데몬(daemon) 데몬(daemon) Standalone inetd 항상 준비 중 메모리 부하 증대 /etc/rc.d/init.d sendmail, httpd, mysql, nfs 등 요청시 준비 메모리 효율 응답속도 느림 /etc/xinetd.d telnet, ftp, pop3 등 6. 네트워크 관리

# /etc/rc.d/init.d/xinetd start 데몬(daemon) 데몬의 설치 유무 파악 # rpm -qa | grep xinetd 수행결과가 없으면,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 # yum install xinetd # /etc/rc.d/init.d/xinetd start 6. 네트워크 관리

yum(Yellow dog Update Manager) yum list :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출력 yum check-update :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 목록 중 업데이트 가능한 목록을 출력 yum install [패키지이름] : 지정한 패키지를 설치 yum update [패키지이름] : 지정한 패키지를 업데이트 yum remove [패키지이름] : 지어한 패키지를 삭제 6. 네트워크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