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하반기 전망 2006. 5. 23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구미지역 제조업체 2016 년 1/4 분기 기업경기전망 조사보고 BSI(Business Survey Index) 조 사 팀 Research Team.
Advertisement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 10 월 주식시장 전망 개인고객부 자산관리팀 월 중 주요 변수 ( 긍정적 요인 )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지지선 확인 후 전 고점 돌파 기업실적 및 경제 호조 전망으로 상승 이중 바닥형성 후 상승 시도  서브프라임 이후 글로벌.
한국 섬유산업 및 해외투자 현황 통상마케팅팀 팀장 김부흥. 1 목 차 1 1 한국 섬유산업 현황 2 2 한국 섬유산업 해외투자 현황.
제목 :18 기 1 주차 과제 제출자 : 김기봉 SIMPAC METALLOY 기업 개요 : 철강 생산 필수 원료인 합금철 생산 기업. 현대제철 공급비중 약 40%~50%. 기업 가치 / 가격 지표 : 주가 :6960 원. 시가총액 :905 억원 (2013 년 9 월 6.
하반기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전망 이 달 석 (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현장에서 본 카자흐스탄 경제 동향 및 전망 알마티 무역관. 카자흐스탄 경제 관전포인트 ( 내부 )  정부 - 금년 4.26 일 대통령 선거 조기실시 => 차기 선거 2020 년 - 향후 5 년간 안정적 경제정책 추진 가능  개인 - 13 년까지는.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기 실적 분석과 하반기 전망  지난 7 월 대표 인터넷 기업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 기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3 社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지만 실제 사업.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0 교차헤지 포지션 변화 이종통화 교차헤지 (Cross Hedge)  개념 : 선물시장의 거래대상이 한정되어 있는데 비해 현물시장의 금융상품은 무수히 많기 때문에 현물시장 상품과 다른 선물상품을 헤지에 이용하는 것을 말함. ex) 엔 / 원의 경우 CME 의 엔선물과.
우리회사의 경영상태는 ? Ⅰ Ⅰ 4/ 주요 경영성과 지표 ’10 년 ’11 년 ’12 년 ’13 년비고 자기자본 별무변동 부채 ↑ 매년 점증 자산 성장세 미약 매출액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년 10 월 STS 통계 년 10 월 STS 생산, 판매동향  STS HR 을 제외한 냉연, 선재, 후판은 생산 및 판매 전년동월비 증가  STS CR 생산 (TCM 포함 ) : BNG, 대한전선의 생산증가, 중소업체.
재정적자 규모. 주요국 CPI 중국 수출에 밀접한 연관 경제지표일정 중국 2 월 물가지수 및 소매판매, 산업생산 미국 2 월 소매판매.
제 26 강 : 국제 수지 1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10. 국제 거래와 환율.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1 2. 시황 및 전망 ♦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급락후 반등 과정 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수급이동이 KOSPI, KOSDAQ 의 극명한 수익률 차이를 보임.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세계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I. 수요 동향 II. 공급 동향 III. 재고 동향 IV. 원유가 동향과 전망 차 례 1.
2003 년 ¼ 분기 경영실적 April, 본 자료는 2003 년도 ¼ 분기 실적에 대한 외부 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 서 투자자 여러분의 편의를 위하여 작성된 자료입니다. 본 자료의 내용 중 일부는 회계감사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음을 양지하여.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년 상반기 경영실적 설명회 ( 목 ).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기획조정실 요청 정유선 연구원 제작 2015년 1월 경기도 경제동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회사소개.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세계시장 탐방 제 1 강 Introduction 세계속의 우리나라 무역 무역학과 고중현 교수.
세계시장 탐방 제 1 강 Introduction 우리나라 수출입동향 무역학과 고중현 교수.
접수번호 : 스마트콘텐츠 중화권 전략 비즈니스 지원사업 참가 업체 사업계획서 - 프로젝트명(앱) : 업 체 명 :
주간 자산관리 전략( ) Wealthcare센터 서경덕 차장.
회사소개서 주식회사 지바이알 서울 성동구 성수동 아차산로11가길 호(성수아스테리아)
디지털전자/반도체 = 2006실적 & 2007전망 =
모바일 TV용 DT-RF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4 국내 수요 동향 수요 회복 및 고가담배 비중 확대 지속  고가담배 비중 꾸준한 증가세  국내 담배수요 전년동기대비 5.5% 증가  고가담배 비중 꾸준한 증가세 ( 억본) (억본) (%) 년 3분기.
간밤 뉴~스.
시장 진단 이 슈 추 세 - 미국 경기 부양 의지 확인 - 한국 증시 재평가 지속 - IT 업종 반짝 상승!
2005 1분기 경영설명회 ㈜ 세아베스틸.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2013년 3분기 IR Report 금호타이어 IR팀 2013년 11월.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수출 경쟁력
계량분석에 의한 중동부유럽 경제위기 진단과 시사점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foreign/others/newsview ?newsid= 보도 : 미국 뉴욕타임스(NYT)
2004년 무역환경 및 수출입 전망 한국무역협회.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전체 매출 추이 삼성전자 전체 매출 (년간) 년간 증가율 : 17.5 %
년 10월호 영업현황1p 주가동향 3p 알림 4p.
0000년 ¼분기 00영업부문 판매현황 및 목표 달성율 팀.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2002 3/4분기 실적.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엔프라넷.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3조 중독 팀 류성현 김현철 백영아 김용준 강윤호 조옥래 장재동 강효선
2. 경쟁사 판매동향<대리점 공급가 기준> (금액단위 : 원, vat포함)
인터넷인가? 모바일인가? 아직 기회는 남아있는가?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 원본 PPT 바로가기 >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업) 원본 PPT 바로가기 >
2002년 상반기 기업설명회 Investor Relations
수출입 물가지수와 경상수지 수출물가지수 경상수지(10억불) 수출액(10억불)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Presentation transcript: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하반기 전망 2006. 5. 23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목 차 1. 최근의 무역 환경 2. 수출과 무역수지 현황 3. 2006년 수출 전망 4. 대응방안 및 과제

최근 환율은 ’97년 이후 최저 수준 최근 환율은 과도하게 하락(Overshooting) 1. 최근의 무역환경 - 경제의 펀더멘털을 반영하지 못하고 ’05년 12월말 현재 6.6% 고평가 : ’06년 5/17일 현재 936.9원/달러를 기록(전년말 대비 7.4% 하락) - 원화 강세와 엔화약세로 원/엔 환율도 하락 * 일본은 자본수지 적자를 통해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 엔화안정 도모 <최근의 환율동향> <실질실효환율지수 추이> 800 825 850 875 900 925 950 975 1000 1025 1050 1075 1100 1125 1150 1175 1200 1225 98 101 104 107 110 113 116 119 122 ¥ / $ ₩ / $ \/100¥ 120 (1993=100) REERI 110 100 90 고평가 고평가 80 70 60 저평가 50 '93.1 95.1 97.1 99.1 01.1 03.1 05.1 04 05 06 04 05 06

손익분기점 환율 크게 하회, 하락세 지속 가능성 우세 1. 최근의 무역환경 손익분기점 환율 크게 하회, 하락세 지속 가능성 우세 손익분기점 환율은 중소기업기준 983원 (무역협회 조사, 2006.2월) - 대기업 973원, 중소기업 983원 / 중화학 981원, 경공업 985원 - 수출채산성은 ‘04.4/4분기 이후 6분기연속 악화 - 대부분 투자 은행은 원화 환율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 금년말 900-920원/달러 <수출채산성변동추이(전년동기비 증가율)> <주요 기관의 원화 환율 전망> (원/달러) 2004 2005 2006 -15 -10 -5 5 10 15 수출채산성 수출단가 생산비 1/4 (%) 2/4 3/4 4/4 전 망 기 관 전망 시점 ‘06년 6월 ‘06년 12월 ABN Amro 5. 5 920 900 Bank of America 950 Merrill Lynch 5. 3 945 940 Royal Bank of Canada 4.28 925 875 Lehman Brothers 4.27 Morgan Stanley 4.24 Detusche Bank 4.13 -

국제 유가는 배럴당 65달러 내외를 기록 1. 최근의 무역환경 � 국제유가는 원화절상과 함께 수출기업의 채산성을 크게 악화 시킴 - 두바이유는 4월말 현재 64.75달러/배럴 - 유가 15달러 상승시 국내 제조원가는 수송기계 0.58%, 섬유류 0.91% 상승 : 유가 15달러 상승시: 수출 -52억 달러, 수입 +122억 달러, 수지 -175억 달러 < 최근의 유가동향(두바이유) > < 유가15달러 상승시 원가상승 압력 (%) >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달러/bbl) 9/30 3/3 04.1월 8.30 06.4말 OPEC 총회 감산이행 합의 중동 정정 불안 美 석유공급 불안 카트리나 영향 이란 핵문제

무역업계의 수출채산성 악화 지속 � 수출채산성은 ‘04.4/4분기 이후 6분기연속 악화 1. 최근의 무역환경 - 환율 하락으로 원화표시 수출단가는 하락, 반면 유가 등 국제원자재 상승으로 생산비는 상승 - 대/중소기업 모두 채산성이 악화 되었으나, 특히 중소기업의 출혈수출이 심각 : 대기업의 경우 환율 하락으로 수익감소  연구개발비 축소 및 투자부진 우려  :환율 10원 하락시 수익감소(억원) : 삼성전자(3,000) , 현대차(1,200), LG 전자(1,000) - 중소기업의 경우 수출채산성이 한계 상황이거나 적자전환기업이 88%(무역협회. ‘06.2) < 무역업계의 수출채산성 현황 (응답구성비, %) > 규모별 대기업 중소기업 구 분 전체 11.2 44.1 9.9 일정수준마진확보 50.5 35.3 51.1 한계상황도달 적자전환 36.2 17.6 37.0 기타 2.1 2.9 2.1

< 중소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현황 (응답비율, %) > 1. 최근의 무역환경 중소기업의 환리스크 노출 심각 대기업 중소기업 환 위험관리 시스템 구축 수출가격 인상 수출시장 다변화 통한 결제통화 다양화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환율하락에 대응 - 환리스크 관리 하지 않는 비중이 73.8% : 전문인력 부족과 해당분야 지식 낮은 것이 주이유 - 비제조업, 수출규모 작을수록 환위험 관리를 하지 않는 비율이 높음 < 중소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현황 (응답비율, %) > 구분 전체 제조유무 연간수출규모 제조업 비제조업 5백만 달러 미만 5백만-천만달러 환 위험관리 안 함 85.7 80.0 31.3 내부관리기법 5.7 9.1 12.5 외부금융상품 8.6 10.0 56.2 내/외부 둘 다 이용 0.0 0.9 73.8 69.2 9.5 11.0 15.9 18.7 0.8 1.1

< 주요 기계 부품 류의 수입 동향 > 1. 최근의 무역환경 환율 하락으로 부품 국산화 지연 우려 � 환율하락(특히 원-엔환율) 하락으로 대일 부품수입 확대 가능성 - 일본으로부터 일반기계/정밀기계/수송기계 부품의 수입은 지난 해에 비해 증가세 확대 * 다만 전자부품은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등의 수출부진으로 감소세 지속 - 최근에는 원화 고평가의 영향으로 중국으로부터의 부품 수입도 급증세 < 주요 기계 부품 류의 수입 동향 > (백만달러, %) 대일 수입 대중 수입 2005년 2006.1/4 일반기계 부품 2,892 (18.3) 867 (28.6) 786 ( 41.0) 242 ( 52.8) 전기기계 부품 2,054 (15.6) 555 (14.4) 2,950 ( 30.4) 847 ( 31.6) 정밀기계 부품 1,686 ( 7.0) 427 ( 9.5) 226 ( 52.7) 62 ( 57.8) 수송기계 부품 1,163 ( 3.7) 305 ( 8.0) 221 (105.1) 76 (118.9) 전자 부품 7,339 (-3.1) 1,630 (-8.1) 4,238 ( 31.8) 1,282 ( 46.4) * ( )내는 증가율

수출활동 참여율 하락으로 수출저변 위축 우려 � 채산성 악화로 중소기업의 수출활동 참여율이 하락 1. 최근의 무역환경 - ’05년 수출실적을 기록한 업체는 28,542개사로 전년비 2,000여개사 급감 * ’05년 수출활동 참여율*은 31.0%로 2004년 33.0%에 비해 2%p하락 * 수출활동참여율 = (수출실적 있는 업체 수 / 전체 무역업체수) *100 - ’06년 1/4분기중 수출실적을 기록한 업체는 20,436개로 전년동기비 957개사 감소 < 수출활동참여율 추이 > (%) 무역업 등록업체수 (a) 수출실적 있는 업체수(b) 수출활동 참여율 (b/a*100,%) ’00 80,314 31,841 39.6 ’04 92,861 30,645 33.0 ‘05 92,098 28,542 31.0

수출입의 환율하락, 고유가 영향 가시화…무역흑자폭 축소 2. 수출과 무역수지 현황 수출입의 환율하락, 고유가 영향 가시화…무역흑자폭 축소 1-4월 중 수출은 11.0% 증가, 수입은 17.5%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 - 수출 :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선박 등 증가세 둔화 - 수입 : 원유수입과 자본재 수입 증가 - 무역수지 : 33억 달러 흑자로 전년동기대비 45억 달러 축소 향후 수출은 환율의 시차효과 등으로 낙관 곤란, 경상수지 흑자 축소 우려 * ’06.1/4분기 경상수지 -10.6억달러, 상품수지 +52.3억달러, 서비스수지 -49.9억달러 <최근 수출입 동향 (억 달러, %) > < 분기별 경상수지 추이(백만달러) > 2005년 2006년 ¼분기 4월 1~4월 수 출 2,844 (12.0) 739 (10.6) 256 995 (11.0) 수 입 2,612 (16.4) 721 (18.9) 242 (13.7) 962 (17.5) 무 역 수 지 232 (-62) 19 (-43) 15 (-2) 33 (-45) 1994 * ( )내는 증가율, 무역수지는 증감액

<품목별 수출동향 (억 달러, %)> 2. 수출과 무역수지 현황 품목별 수출동향 석유제품, 반도체 등은 호조이나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등은 부진 - 석유제품은 호조세, 반도체 및 자동차는 양호한 증가세 석유제품 반도체 자동차 수출증가요인 신차출시, 신흥시장 특수 (러시아, 터키 등) 고유가 지속 따른 수출가격 상승 반도체 경기 회복세, 중화권 수요 증가 - 무선통신기기, 선박, 컴퓨터는 부진 무선통신기기 선박 가전 고기능휴대폰 수요부진, 중국. 대만의 시장 잠식 수출둔화요인 계절적 요인으로 부진, 하반기 회복 전망 생산기지 해외이전, 중국 및 동남아와 경쟁심화 <품목별 수출동향 (억 달러, %)> 반도체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선박 석유제품 가전 2005 300 (13.1) 295 (11.0) 275 (4.9) 177 (13.2) 154 (50.6) 147 (-5.4) 2006.1/4 82 (13.9) 81 (10.7) 68 (1.5) 48 (-1.6) 37 (34.8) 37 (-3.6) ( )는 전년동기비 증감율

지역별 수출동향 수출지역별 양극화 현상 지속 2. 수출과 무역수지 현황 대중 수출 대미수출 수출 증가요인 수출 부진요인 중국의 고성장 지속 및 수출 호조 환율하락 따른 가격 경쟁력 약화, 미 현지 생산 확대, 중국 등지로의 우회수출 증가 수출 증가요인 수출 부진요인 대일 수출 특수요인이 작용(제외시 2.1% 감소) 1) 금년 ¼분기 LCD 수출 : 7.2억불 (전년 동기 5.4배 증가) * 한일 합작기업 국내 설립 및 대일 공급 2) 금년 ¼분기 석유제품 수출 : 12.6억불(전년 동기 33.3% 증가) * 대일 총수출중 석유제품 비중19.9% > 전체 수출중 석유제품 비중 5.0% <지역별 수출동향 (억달러, %)> 2005 2006.1/4 중 국 619 (24.4) 154 (12.8) E U 437 (15.4) 113 ( 7.3) 미 국 413 (-3.5) 103 ( 0.3) 일 본 240 (10.7) 64 (12.1) ASEAN 274 (14.2) 69 (10.4) ( )는 전년 동기비 증가율

최근 수출에 대한 평가 품질경쟁력 향상과 대기업 수출비중 증가 등으로 과거에 비해 수출이 환율 변동에 덜 민감 2. 수출과 무역수지 현황 최근 수출에 대한 평가 품질경쟁력 향상과 대기업 수출비중 증가 등으로 과거에 비해 수출이 환율 변동에 덜 민감 그러나, 환율변동 영향에 대한 시차 감안시, 향후 수출둔화 가능성 높음

하반기 세계경제 전망 최근 세계주요 연구기관들은 고유가에도 불구, 2006년 세계경제의 3. 2006년 수출 전망 하반기 세계경제 전망 최근 세계주요 연구기관들은 고유가에도 불구, 2006년 세계경제의 성장률을 상향 조정(2005년 4.8% 2006년 4.9~5.1%) 지역 전망 미국 경상적자 확대, 주택경기 부진 등이 우려되나 전반적으로 경기 회복세 유럽 기업들의 투자증가로 경기 호조세 지속 일본 고용확대와 기업의 경영실적 호조로 본격적인 회복세 진입

2006년 수출 전망 수 출 � 2005년 12월 금년 수출은 11.5% 증가한 3,175억 달러로 전망 3. 2006년 수출 전망 2006년 수출 전망 � 2005년 12월 금년 수출은 11.5% 증가한 3,175억 달러로 전망 � 그러나 유가 및 원화환율의 급변으로, - 금년 수출은 당초에 근접할 것으로 보이나 - 수입은 전망치 보다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수정 전망이 불가피) 수출입 전망 (억달러, %) 2004년 2005년 2006년(전망) 수 출 2,538(31.0) 2,844(12.0) 3,175(11.5) 수 입 2,245(25.5) 2,612(16.4) 2,950(12.9) 수 지 294(144) 232(-62) 225(-10) 주: ( )는 전년대비 증감율, 수지는 전년대비 증감액 / 한국무역협회

주요 품목별 하반기 수출 전망 3. 2006년 수출 전망 품목 수출기상도 내용 석유화학 자동차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선박 가전 242 (16.1) -공급과잉 -중국 수출 물량 감소가 관건 자동차 336 (12.7) 해외생산확대로 하향 조정 수출주력 정책 고수 반도체 354 (17.0) 달러 기준 반도체 수출액은 영향 없음 환율 및 유가의 수출 영향력 비교적 작음 무선통신기기 228 (18.0) -이머징마켓 중심으로 증가추세 -환율하락은 채산성 악화 요인 선박 201 (14.9) -지속적 수주 증가 예상 가전 149 (-1.3) -TV는 스포츠 특수로 수출 증가 예상되나 백색가전은 하향추세 이어감 전망치(억$) ’05년 말

품목별 수출 전망 / 자동차 3. 2006년 수출 전망 자동차 최근수출입동향(백만,%) 금년 수출 목표는 275만대이나 현재 환경 악화로 달성 어려움 - 신차 출시와 유가 상승은 수출의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 원-달러/원-엔 환율 하락, 일본의 전략적 경쟁차종 출시  미국 시장 10% 이상 감소 예상 - 대외이미지 하락 및 미국 현지 생산은 증가율 둔화 요인 최근수출입동향(백만,%) - 그러나 현재 국내 공장 풀가동 중이며 내수확대의 한계로 수출주력 정책 고수 - 업계가 보는 손익분기점 환율은 950-960원: 수출자체에 큰 악영향은 없으나 현재 출혈 수출 직면 : 수출의 달러 결제비중 62%, 환율 5% 하락시 원화수출 1조원 감소  R&D 투자 위축으로 국제경쟁력 약화 우려 주 : ( )는 전년대비 증감율

품목별 수출 전망 / 석유화학 3. 2006년 수출 전망 석유화학 수출전망 달성이 어려울 것 미주 및 일본 경기회복으로 수출 유지, 그러나 중국에 대한 수출은 부진 중국, 이란 등의 자체설비 신설로 공급과잉 (중) CNNOC&Shell, (이란) Marun : 다른 역외 국가의 수출로 만회 노력하나 제한적 원화강세로 인한 원가절감의 이익과 환율하락으로 인한 판매대금 수익 환차손으로 전체적 채산성은 약 15% 하락 : 현재 환율은 연초 사업계획 예상안보다 40-60원 낮음 수출지역의 다양화, 고부가가치 상품개발 및 내수확대를 위해 노력 중 최근수출입동향(백만,%) 주 : ( )는 전년대비 증감율

품목별 수출 전망 / 반도체 3. 2006년 수출 전망 반도체 최근수출입동향(백만,%) 금년 목표 354억 달러 수출은 달성 가능 반도체 - 수출은 환율변동보다 반도체 가격과 국제수급상황에 좌우되므로 달러 기준 수출액은 유지 : 수출단가는 국제 가격에 의해 결정되며 유가, 환율의 영향은 비교적 적음 : 현재 메모리 반도체 Dram 가격이 비교적 안정세 보이며 Nand 플래시 메모리 가격도 초과 공급 물량이 해소되면서 연초의 하락세가 둔화 최근수출입동향(백만,%) - 환율은 수출 자체보다는 채산성에 영향 : 전체 매출의 97%가 해외수출로 환율하락으로 원화기준 수출액은 감소 예상 : 현재 환율은 올해 사업계획 환율보다 30-40원 하락  반도체 제조장비, PCB 등의 수입원가절감에 기여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원화기준 채산성은 악화  수출 결제 통화를 다변화해가고 있는 상황 주 : ( )는 전년대비 증감율

품목별 수출 전망 / 휴대폰 3. 2006년 수출 전망 휴대폰 이머징 마켓 중심으로 수출 증가 그러나 채산성에는 영향이 큼 - 미국 등 선진국 시장의 부진은 지속되나 최근 이머징 마켓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 추세 : 핸드폰 수출은 계절적 요인이 작용하여 상반기는 사업자들의 재고조정 등으로 수출이 저조하나 하반기부터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 : 경쟁사의 공격적 마케팅이 성공을 거두면서 2/4분기까지는 수출물량이 기존 수준을 유지  모토로라, 노키아 등 저기능, 저가폰 위주의 기업들이 초슬림 고가폰 시장으로 제품군 확대 최근수출입동향(백만,%) 환율 및 유가의 수출에 대한 영향은 비교적 미미, 그러나 채산성에는 영향이 큼 주 : ( )는 전년대비 증감율

품목별 수출 전망 / 선박 3. 2006년 수출 전망 선 박 예년의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 금년 수출은 210억 달러(18.5% 증가) 예상 : 3년 이상의 충분한 조업량 확보, 노사관계 안정 등으로 성장세 이어갈 전망이며 최근 수주가 작년 말 전망보다 증가하고 있음 최근 건조공간 및 인력부족으로 필리핀, 중국 등지로 이전 - 수주와 동시에 환 위험을 헤징하여 환변동에 따른 위협은 중립적 : 다른 산업에 비해 선물환 거래를 통해 오히려 환차익을 내고 있는 기업이 많음 최근수출입동향(백만,%) 주 : ( )는 전년대비 증감율

품목별 수출 전망 / 가전 3. 2006년 수출 전망 가 전 최근수출입동향(백만,%) 하향 추세 지속 가 전 하향 추세 지속 - 디지털 TV의 경우 독일 월드컵 특수, 북경 올림픽 등의 스포츠 특수 : 최근 TV 수요는 대형화, 고급화 되고 있으며 PDP를 비롯, 디지털 TV는 전년의 수출 증가세를 이어갈 것 : 그러나 디지털 TV의 경쟁 격화로 인한 가격 하락 추세로 전체 수출 금액은 소폭 감소 전망 : 특히, 신시장에서는 중국과의 경쟁 심화 최근수출입동향(백만,%) - 백색가전은 기존의 하향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임 : 최근 중국제품의 가격 인하, 원화 절상으로 세계 시장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특히 엔화대비 원화 절상폭 확대로 대일본 수출경쟁력 약화될 전망 주 : ( )는 전년대비 증감율

환위험 관리 및 대/중소기업 협력강화로 경쟁력 제고 4. 대응 방안 및 과제 환위험 관리 및 대/중소기업 협력강화로 경쟁력 제고 중소기업 환리스크 대응 지원 강화 환율변동 속도조절 통한 대응력 제고 해외간접투자 활성화를 통한 외환수급 안정화 환위험 관리 여건 조성 및 환율안정 해외자원개발 지원 강화를 통한 안정적 원유 확보 에너지절감 시설투자 확대 위한 지원책 마련 고유가 대책 해외거래알선 협력 강화 지원: 해외거래알선센터 구축 중소기업 공동홍보관 운영 통한 해외마케팅 강화 수출인프라 및 브랜드 공동 이용 촉진 대중소기업 협력 강화 한-미 FTA 등 주요국과의 FTA 체결 확대 해외마케팅 강화를 통해 신규시장 지속 개척 시장확대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