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과제 고차 뇌기능 측정 및 분석 연구 박 현 욱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전공.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Advertisement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컴퓨터는 미래 지식 사회의 핵심 요인  지식 사회의 도래 : 매 50 년 마다 큰 기술, 사회적 변화 발생.
Sogang e-Biz Outsourcing Seminar ASP Network Inc. 애경 산업의 ASP 를 통한 Outsourcing 사례 June, 2001 The following material was used by ASP Network Inc. during.
대장암의 검진과 예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 교육정보센터 전 이 구 목 차 대장암 이란 대장암 발생현황 발생원인 대장의 구조 대장내시경 검사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7 질의 및 응답.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목 차 I. 투자제안 II. 회사 소개 1. PDP화상검사장치 2. 3D Laser입력기 3. 원격검침장치 4. 계측기 사업 목 차 IV. 노광기 사업(신사업) 1. 사업 내용 2. 제품 특징.
입체영상 세미나 아주대 정보통신연구소 게임애니메이션 센터 김주철
The 15th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Magnetic
New Infrared Technologies의High Speed 열화상 스캔 시스템 소개
지구온난화란?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SAR 영상자료를 이용한 해양 파라미터 추출 기법 연구
이산시스템의 모델 담당교수 : 정보통신공학과 고경철 교수 (cp) ( ) 홈페이지 :
IOL Master Pf. 김만수/St. 변용수/R3 김재윤.
Brain-Computer Interfaces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세종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유도항법제어연구실
케이블 진동 저감을 위한 스마트 복합 감쇠 시스템의 성능평가
㈜영림원소프트랩
학습목표   첨단 영상 진단 장치의 종류 및 기능과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방사선과학 총론 (방사선과학 개론).
  사 용  설 명 서    (항온항습기) Ver. 09
Nondestructive Material Testing with Ultrasonics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페트병 및 캔 자동 분리 압축 파쇄기 페자원 회수비용 절감 안 2008年 03月20日 모션테크 재팬 주식회사.
사 업 계 획 서.
Operating Systems Overview
Prayer Attendance Homework.
DVR HD-1600M 1 제품 소개 시스템 구성도 H 채널 HD-SDI Stand Alone 타입 DVR
생체계측 및 의료기기 (2004, 3rd quarter)
소프트웨어 공학 (Software Engineering)
EPS Based Motion Recognition algorithm Comparison
Medical Instrumentation #1
BPMS의 이해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AFC-1500 FASTENING SYSTEM.
뇌에서의 언어 처리 학기 인지과학 입문.
B S C Balanced Scorecard System 구축 사례
유방암 환자에서 Breast-Specific Gamma Imaging(BSGI)의 유용성
A Survey of Affect Recognition Methods :
DVR HD-400H 1 제품 소개 시스템 구성도 H.264 4채널 실시간 HD-SDI Stand Alone 타입 DVR
강문경 · 박용욱 · 이훈열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문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High Performance Real-Time Motion Capture Systems
시험자(Investigator)의 역할
High Performance Real-Time Motion Capture Systems
Structural Dynamics & Vibration Control Lab., KAIST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1. 과학적 진단.
도덕, 윤리 권효은 남형욱 이병재 이정은.
세일즈분석/분석CRM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활용방안
정보 추출기술 (Data Mining Techniques ) : An Overview
뇌에서의 언어 처리 학기 인지과학 입문.
제4장 장애유형별 개념 및 특성.
AIMS 2016 설비.물류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Advanced Integrated Monitoring Solution
씨엔아이는 왜 무선데이터 통신사업에 특화했나?
세 번째 이야기 언어와 뇌 담당교수: 남 윤 주.
도덕, 윤리 권효은 남형욱 이병재 이정은.
습도변화에 따른 X-band GB-SAR 시스템의 위상지연
1. Folding 건축설계 : 최준오교수.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목차 변경 및 형상관리의 기초 개념 형상항목 확인 및 버전관리 변경관리 감사 및 감사보고 99_11
Challenging Issues 다양한 형태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어떻게 모으고 관리할 것 인가?
Neuronal populations in auditory cortex
PhoeniX Technologies Incorporated
2017년 상품전시회 시식코너 협력업체 안내 자료 2017년 3월 ㈜코리아세븐 상품부.
MR 댐퍼의 동특성을 고려한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반능동 신경망제어
2. 직무분석 1) 직무분석의 의의 직 무 분 석 재 설 계 인력계획 : 어떤 직무에 어떤 자격이 요구되는지?
청소년기 우울과 불안.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SCORE research exchange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Xproject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Graphene neural electrode array for electrophysiology, in vivo imaging
Presentation transcript:

단위과제 고차 뇌기능 측정 및 분석 연구 박 현 욱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전공

A. 시간적 공간적 고해상도 뇌기능 측정기술 확립 기술개발 목표 A. 시간적 공간적 고해상도 뇌기능 측정기술 확립 B. 뇌기능 측정자료의 분석 및 디스플레이 기술확립 C. 고차 뇌기능 및 신경망 특성 규명 D. 한국인 표준뇌와 뇌기능지도 개발

연구 체계 (조직) 고차 뇌기능 측정 시스템 그룹 뇌기능 그룹 가소성/재조직 김연희 fMRI, MEG Visualization Cross-modal 정관진 박현욱 강은주

사업단 연계 및 체계 사업단 뇌기능팀 행동 종합 청각 설계 시각 전문 인지 System Support (fMRI, MEG, EEG, Optical) 종합: cross-modality 전문: 가소성

공동연구기관 정 관 진 한국과학기술원 뇌과학연구센타 연구원: 책(3), 선(1), 원(4) 뇌기능 측정 시스템 fMRI 및 MEG 공동연구기관 정 관 진 한국과학기술원 뇌과학연구센타 연구원: 책(3), 선(1), 원(4)

fMRI Center 설립 동향

외국 예: MGH NMR Center Anders Dale (Principal Investigator), Project 1 - Intersubject Averaging and Registration          Anders Dale (Principal Investigator), Bruce Fischl, Doug Project 2 - Improved Analysis of fMRI Data           Emery Brown (Principal Investigator), Robert Weisskoff, Anders Dale, Patrick Purdon Project 3 - Multimodality Brain Imaging using MRI, EEG, MEG, and Optical data          Jack Belliveau (Principal Investigator), Giorgio Bonmassar, Denis Schwartz, Eric Halgren Project 4 - Functional Diffuse Optical Tomography of the Brain          Bruce Rosen (Principal Investigator), David Boas, Tom Gaudette

System Setup 설치완료: 7월 말

운영 방안 확립 Investigators Research proposal committee Review fMRI Schedule Train Investigators committee fMRI Support 지원/연구 인력 연구교수 석박사 학생 연구원 (1) 방사선사 (1)

1st (2001) 2nd (2002) 3rd (2003) 2단계 연도별 추진 계획 Year System Setup Real-time fMRI Physiology monitor Surface RF coil Multinuclear Imaging EPI ASL (FAIR) 3D imaging Spiral Advanced ASL Retino-topic Spectroscopy Continuous ASL Tono-topic Processing Visualization Brainvoyger, SPM Event related Surface imaging ICA Coregistration 3D surface New algorithms Standardi-zation Anatomical Cortex surface Template(Surface, anatomical) Advanced surface DB Brain map SW package DB accumulation Multi-modality MEG EEG (on site) Optical imaging (on site)

Real-time fMRI 실험이 쓸만큼 되었나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Magnet IFIS Console Spectrometer MRI Console Stimulation MRI data NMR signal Images Super computing

Stimulation time: msec Event-related fMRI Block Event-related rest active Stimulation time: msec Stimulation time: sec Reduced habituation and anticipation Temporal resolution 개선 (기존 3초 1초) Flexibility of a stimulus design Comparison with ERP

MEG 장치 (표준과학연구원) Planar 40 ch system Area: 10 x 10 cm2 Spatial resolution: 6 mm Spherical 37 ch system Arc length: 18 cm Spatial resolution: 4 mm

뇌자도 기술의 중요성 뇌자도 발생원리 Windows on the brain MEG : 비접촉비파괴적 높은 시간분해능 Blood flow (fMRI, PET) EEG MEG Head surface Feedback current Cellular current Magnetic field Brain Electrode SQUID Invasiveness None High 10 EEG 8 SPECT 6 Spatial resolution (mm) PET 4 MEG desirable fMRI 2 MRI CT 10-3 10-2 10-1 1 10 102 103 104 Temporal resolution (s) MEG : 비접촉비파괴적 높은 시간분해능 전기생리학적 변화측정 뉴런의 전기적 활동  뇌기능 유발  자기장 발생

연구 목표, 내용, 추진 계획 청각자극 제시기술 시각자극 제시기술 Gantry 구성 자기잡음 제거 MRI 데이터의 좌표화기술 1 차 년 도 청각자극 제시기술 시각자극 제시기술 Gantry 구성 자기잡음 제거 MRI 데이터의 좌표화기술 2 차 년 도 MEG와 fMRI 결합기술 역문제 해법연구 자극유발 MEG 측정 3 차 년 도 뇌활동부위의 이동패턴 표시기술 개발 인지자극유발 시간·공간적 뇌기능분석

연구내용 - (f)MRI와 결합 : 뇌활동부위 표시 (x, y, z, Q, ) 머리좌표계와 MRI의 결합 MEG 측정 전류원 계산 MRI에 표시 동적 표시기술 t4 t2 뇌활동부위의 시간·공간적인 이동과정 지도화 기술 ... t3 t1

기대 성과 MEG 결과 MEG와 fMRI의 결합 fMRI 결과 시간공간해상도 향상 정밀 뇌기능 측정기술확보 200350 ms t  1 ms 230600 ms 400780 ms 100 ms fMRI 결과 150400 ms 450720 ms 시간공간해상도 향상 정밀 뇌기능 측정기술확보

뇌기능 가시화 및 통계학적 특성 획득 주관연구기관 박 현 욱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전산학과 연구원: 책(1), 원(5)

Cortical Surface Visualization Flattening Intersubject normalization Talairach Surface

Intersubject Normalization

뇌기능 지도 구현 1차 년도 2차 년도 3차 년도 Segmentation Registration /Template More samples Surface rendering Cortex surface visualization 방법이용 Intersubject normalization 뇌기능지도

기대 성과 Talairach space 및 Cortex surface 상에 병변 표현 통계적 특성의 데이터 베이스화 Graphic하게 뇌의 구조 및 기능의 표현

한국인 표준뇌 표준뇌 Anatomical template Cortex template Functional map 한국인 독특 뇌기능 Normalization Inter-subject averaging 정서 언어 문자 후각 미각

교차 양상 상호작용 (cross-modal integration) 공동연구기관 강 은 주 서울의대 연구원: 원(7)

Cross-modal integration 통제 주의 시각 청각 이해 기억

Audio-visual interaction in speech hear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억제성 흥분성 Parietal 0.20 0.35 Frontal 0.30 0.35 0.10 0.30 Post Sup Temp G V5/MT 0.43 0.50 0.40 Visual 0.40 -0.35 Ant Sup Temp G Auditory -0.25 0.50

연구 목표, 내용, 추진 계획 Cross Modal Interaction Network Model 기존 연구 결과 fMRI, PET, 환자연구 Cross- modal Interaction 시각, 청각 자극 (언어처리, 기억형성) fMRI 측정 1년차 정상인의 기능 뇌지도 시공간, 언어자극 cross-modal plasticity 환자 vs. 정상인 fMRI /PET 측정 fMRI 측정 Network 검증 2년차 시각, 청각 자극 (언어처리, 기억형성) Connectivity분석 rTMS SEM 분석 3년차 Cross Modal Interaction Network Model

rTMS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장비와 Double 70mm Coil.

기대 성과 1. 청각/시각 정보 처리의 두뇌 기능 지도 2. Cross-modal정보처리 이해 V5/MT Auditory Post Sup Temp G Parietal Frontal Ant Sup Temp G -0.25 0.30 0.35 0.40 0.50 0.20 0.10 0.43 Visual -0.35 3. 수학적 network 모델 제시

신경망 가소성 및 재조직 기능 연구 (Neuronal Plasticity and Reorganization) 공동연구기관 김 연 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 연구원: 선임(2), 원(4)

연구 분야 : 뇌 가소성 및 재조직 운동신경망 감각신경망 주의신경망 고위뇌신경망 언어신경망 기억신경망

Examples of Hierarchical Architectures of Connectivity in Attentional Network 0.14 0.1 0.2 V1 V5 PFC LGN PP = V5 V1 V1xPP PP PP

현재의 연구 동향 (예)- 국외 연구 Control Trained ⊙ Karni et. al.; 1995; Nature Examples of Neuronal Plasticity in Human Motor Cortex: Expansion of Cortical Representation of Fingers after Training Control Trained

현재의 연구 동향 - 본 연구진 ⊙ 정상인에서 대단위 (large-scale) 주의신경망의 규명 연구 (Neuroimage 1999) Attentional network in normal person ⊙ 실어증 환자들의 언어재활 후 뇌 신경망의 재조직 양상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2000, 뇌학회지 2001) Reorganization of language network in aphasic patient: right frontotemporal subcortical areas showed activation during language task. (right=right)

현재의 연구 동향 - 본 연구진 ⊙ 장성호 등 (대한재활의학회지, 2000, 뇌학회지 2001) - MRI와 TMS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를 이용하여 동측 운동경로의 규명 과 운동신경망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Ipsilateral motor pathway showed by fMRI and TMS. Bilateral cortical activation in fMRI during left hand motion (left). TMS confirmed ipsilateral motor pathway by cortical stimulation (right)

fMRI, TMS, MEG 등 Multimodality 통합 연구 목표, 내용, 추진 계획 뇌 기능 변화에 따른 신경망 조직 변화 규명 운동장애 주의력장애 1차년도 뇌 신경망의 가소성 및 재조직 양상 규명 TMS, MEG 등 운동 신경망 감각 신경망 고차뇌기능장애 주의/언어/기억 2차년도 훈련 학습 각종 뇌기 능 촉진법 노화 신경생물학적 가소성 기전 뇌 신경망 가소성 및 재조직 촉진 기전 규명 fMRI, TMS, MEG 등 Multimodality 통합 3차년도 뇌 신경망 가소성 및 재조직 기전 규명

기대 성과 ⊙ 뇌 손상, 퇴행성 뇌 질환, 노화와 관련된 뇌기능 장애에서 뇌 가소성을 극대화하고 뇌 재조직을 촉진할 수 있는 기법 및 신약 개발. ⊙ 신경망 connectivity의 변화를 규명하여 뇌 가소성에 대한 수학적 모델 개발에 활용. ⊙ 효과적인 훈련과 학습 방법 등 뇌기능 촉진기법 개발에 활용

과제 예산 기관 책임자 과제비 (천원) KAIST 정관진 293,000 박현욱 73,000 서울대 강은주 35,000 전북대 김연희 합계 436,000

결 론 뇌기능의 수학적 모델을 수립 Temporal resolution (s) Spatial resolution (mm) 결 론 Temporal resolution (s) Spatial resolution (mm) 10-3 10-2 10-1 1 10 102 103 104 2 4 6 8 MEG fMRI PET EEG Invasiveness High None Desirable Optical imaging 뇌기능의 수학적 모델을 수립

Riken, Minnesota, Wisconsin 협동 체계 뇌신경 정보학 사업단 BSRC, fMRI Varian co. Varian sites Riken, Minnesota, Wisconsin 성균관의대 국내 대학 및 병원 생물학 MEG 표준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