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교육목표 (졸업 2~3년 후에 갖출 능력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목표) 프로그램 학습성과 (졸업시에 갖출 능력과 자질)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심화컴퓨터공학 ” 공학교육인증 (ABEEK) 프로그 램 설명회 2011 년 3 월 심화컴퓨터공학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Advertisements

R 프로그래밍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2012 학년도 편입생 오리엔테이션 학사 및 학점 취득 설명. 1. 학점인정 가. 일반 / 학사 편입 (1) 전적대학 학점인정 학과별 최소졸업학점의 1/2 (2) 교양과목 전적대학 최대 48~39 학점 인정 ( 표 참조 ) 단, 성경개론 (2 학점 ), 채플 (1 회.
수강신청절차 ( ~1.30) 자동차선박기술대학원 교학행정실. 수강신청 일정 구 분구 분기 간기 간비고 전공별 개설 예정과목 접수 ( 목 ) ~ ( 금 ) 전공주임교수 → 행정실 운영위원회 ( 교과목확정 ) (
KWU CEIE 광운대학교 전자정보공과대학 KWU College of Electronics & Information Engineering 2014 학년도 “SW 인력양성을 위한 LG 전자 - 광운대 고용계약형 프로그램 ” 1.
2014 하반기 대졸 신입 / 인턴 / 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분류세부직무신입인턴장학생관련전공 R&D 설계 전기, 전자, 전파, 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물리 CAE 전기, 전자, 전파, 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물리 소자 반도체,
1 분야계열기초 교양 Track ITrack II 전공선택 Internship 총계 학점 What do we study in UNIST? 1 st Year 2 nd Year 3 rd Year 4 th Year SDM (System.
학생 포트폴리오 가이드라인 본 문서는 학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며 반드시 이 양식을 따라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 양식에 있는 내용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 라 구성을 수정하고 추가로 작성할 수 있는 내용을 작성하면 좋은 포트폴리오를.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구분 HY-WEP 전공현장실습개인인턴십국제현장실습 운영부서현장실습지원센터국제협력팀 교과구분비교과교과영역비교과 형태장기 / 단기단기 - 학점인정 부분 폐지, 인턴십 의 무이수제 이수내 역으로만 인정 운 영 장기 / 단기 학점인정전공심화 또는 일반선택전공심화단기 – 일반선택.
산학장학생 채용 안내 1. 채용 부문 2. 자격요건 3. 산학장학생 지원 내용 4. 지원방법 5. 접수기간 6. 기타
서강대-하이닉스『SoHy II』프로그램
2015 전공배정 설명회 전기전자통신공학부 목, 인문관 401 학부장 임 재 열.
2015년 ★ 연수대상자 ★ 연수기간 (1일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1주 총 20시간 초과불가)
2011학년도 영어능력 향상 프로그램 인하공업전문대학 as of April 2011 월 대상 비용 담당 월 4월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소개 자료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연구실 안전교육센터 교육안내.
대진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학부모 특강
서강대학교 – LG이노텍 산학 Track 모집 안내.
국민대학교 – LG전자 산학협력프로그램 2014 산학장학생 모집안내
석오문화재단 장학생 이력서 학 력 가 족 사 항 봉사활동/교내외 활동 외 국 어 ∙ 기 타
컴퓨터응용기계계열 졸업인증제 시행공고 컴퓨터응용기계계열
생명나노화학과 졸업논문제 규정
연수프로그램 실시계획서 1. 신청부서 CTO 미래 IT 융합 연구소 기획팀 2. 연수프로그램 실시 목표 / 내용
삼육대학교 대학원 오리엔테이션 주요 학사 안내 Primary Academic affairs Guide 대학원
의료경영학과 졸업 요건 Glocal 사회인이 되기 위한 자격.
2014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2014 하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분류 세부직무 신입 인턴 장학생
2013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 학과별 진행(자세한 심사 일정은 학과사무실 문의) · 논문제목수정, 심사위원 변경, 심사취소 신청은 해당자에 한함
화학공학프로그램의 공학교육인증용 로드맵 전공인증필수(전필)
로봇 소프트웨어.
2017학년도 기계공학부 하계방학 프로그램 안내 (월) 18:30~19:00 / 소강당.
조선해양플랜트공학과사무실 공대1호관 304호(S ) 월-금 09:00 – 17:00.
2009년 제2회 교내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BEEK (Ah – Big! )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심화프로그램 1.
컴퓨터과학 전공탐색 배상원.
현장실습(Co-Operation) 소감 발표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2014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명지대학교 화학공학심화 프로그램 이수체계도 [2018년 변경]
컴퓨터소프트웨어설계및실험 년 1학기 실험계획 -.
KAI 장학생 모집 요강 선발개요 선발일정 지원내역 문 의 처
외국인 유학생 졸업예정자 교육자료 청주대학교 국제교류팀
공학입문설계 2008년도 1학기 임성국 공학입문설계
졸업 요건 충족을 위한 추가 이수 학점에 대해서는 ‘졸업요건‘ 규정 확인 바람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홈페이지 │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2018-동계 해외전공연수프로그램 신청 안내 전자정보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장
신입생 ot 유통물류학부 유통경영과.
· 논문제목수정, 심사위원 변경, 심사취소 신청은 해당자에 한함
2018학년도 2학기 상담심리대학원 학위청구논문 진행 절차
나노 소재 ∙ 공정 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특성화학과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장 목 표
· 학과별 진행(자세한 심사 일정은 학과사무실 문의) · 논문제목수정, 심사위원 변경, 심사취소 신청은 해당자에 한함
[자세한 사항은 전자정보대학 홈페이지( 열린광장/공지사항 참조]
글로컬 특화관광 인재 양성의 허브 ◉ 관광경영학과 체계도 관광경영학 글로벌 특화인력 양성 관광혁신 인력 양성 특화인력 양성
금속재료공학전문전공 교과목 이수체계 (KEC2005)
SW FESTIVAL 전시작품 모집 경희대 학생을 대상으로 전공 수업, 비교과과정 프로그램, 동아리 및 개인적으로 개발한 우수 SW작품을 전시하여, 학술적 토론과 우애를 다질 수 있는 축제의 장을 마련합니다. 우수 작품 시상 및 다양한 SW중심대학 사업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니.
· 학과별 진행(자세한 심사 일정은 학과사무실 문의) · 논문제목수정, 심사위원 변경, 심사취소 신청은 해당자에 한함
제12회 KHU 봄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경희대학교 학생들의 졸업 후 국내외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의 비전 아래, 프로그래밍 실력 향상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를 개최합니다. 본 대회는 경기남부 6개 대학 프로그래밍 경시대회(SHAKE)의 예선을.
KOREA NAZARENE UNIVERSITY
전문교양 MSC 전공 2015년도 기계설계공학전문프로그램 선이수체계도
안전공학 연계전공/연계부전공 정기효 교수 울산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2017학년도 자율전공학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Jangan university 2019학년도 물류경영과 신입생 oT ALL RIGHT RESERVED ⓒ EZ WORLD.
만나교회 장학생 프레젠테이션 지침 및 평가 방안
15년 KAI 장학생 모집 선발개요 선발일정 지원내역 문 의 처
교직이수 2학년 학기 초(3월) 선발 선발 기준 교직적성, 인성 및 학업성적 선발 인원 당해 입학정원의 10% 이내
[인증과정-기계공학전공] 2011~2014학년도 입학자 기준 기계공학부 교과과정 이수체계도
(Global Expert Education for Korea-Belgium Future Innovation)
Presentation transcript:

프로그램 교육목표 (졸업 2~3년 후에 갖출 능력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목표) 프로그램 학습성과 (졸업시에 갖출 능력과 자질) 13. 인증대상 프로그램 소개 기계공학심화 프로그램 구 분 프로그램명 학위명 (국문/영문) 인증 기계공학 심화 공학사(기계공학심화) BS in Mechanical Engineering 비인증 공학사 BS in Engineering 이 름 직 위 전화번호 이 메 일 연 구 실 박문식 교수 PD 629-8278 ms.park@hannam.kr 공대 90902 프로그램 교육목표 (졸업 2~3년 후에 갖출 능력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목표) 1. 창의적 공학설계기술을 익히고, 기계공학 기반 융합전공까지도 종합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계발한다. 3. 인성과 개방적 사고를 갖춘 전문직업인으로서 평생 자기 혁신을 통해 사회적, 도덕적 책임의식을 다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4. 더불어 사는 글로벌사회에서 민감한 시대감각과 팀워크정신을 갖춘 공학인으로 양성한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졸업시에 갖출 능력과 자질) 1.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2.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3. 공학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4. 공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적절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6. 공학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7.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 소통 할 수 있는 능력 8. 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9. 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10.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1-

학점(23)-강의시간(27)-설계학점(0)-실습시간(0) 학점(30)-강의시간(26)-설계학점(0)-실습시간(8) ◈기계공학과 교과과정 (2021년 졸업년도 기준) 1) 전문교양 ▣ 교양필수 (단, SW와컴퓨팅사고 : 심화프로그램 이수자는 특별학점 인정받음 고전읽기와토론, 창업의이해 : 개설학기가 변경 될 수 있음) 2) MSC (수학, 과학, 전산학 – 30학점 이상 이수, 단, 전산학 6학점 이하)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강-설-실 구분 비고 1 채플 현대인과성서 자기계발과미래설계 기초글쓰기 Communicative English I P-1-0-0 3-3-0-0 1-1-0-0 인필 학사운영지침에따름 <균형교양> ① 문학.예술 ② 역사.철학.종교 ③ 정치.경제.사회.심리학.문화학 ④ 자연과학 ⑤ 글로컬문화.언어 ⑥진로와직업윤리 (영역별 과목은 수강편람 참조) 이학.공학계열 : ① ~ ⑤영역 중 3개 영역 (자연과학 영역 미포함)에서 각 2~3과목 이수하여 총 7학점 이상 필수이수 ⑥ 영역 창업의 이해+진로와경력관리 필수 이수 2 독서와소통 Communicative English II P-1-0-0 3-3-0-0 3 고전읽기와토론 창업의 이해 SW와컴퓨팅사고 2-2-0-0 진로와과경력관리 총 계 학점(23)-강의시간(27)-설계학점(0)-실습시간(0)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강-설-실 구분 비고 1 대학수학 I 일반물리학및실험 I 일반화학개론 3-3-0-0 3-2-0-2 인필 2 대학수학II 일반물리학및실험 II 생명과학 공학수학 I 프로그래밍실습 공학수학 II 전산학과목 3 응용프로그래밍실습 총 계 학점(30)-강의시간(26)-설계학점(0)-실습시간(8) -2-

◈ 기계공학과 교과과정 (2021년 졸업년도 기준) 3) 전 공 (60학점 이상 - 설계 12학점 이상 이수) -3- 학년 ◈ 기계공학과 교과과정 (2021년 졸업년도 기준) 3) 전 공 (60학점 이상 - 설계 12학점 이상 이수)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강-설-실 구분 비고 1 ME비전세미나 1-1-0.0-0 인필 Team teaching 2 창의적공학설계 정역학 2-1-1.0-2 3-3-0.0-0 인선 학년소계 학점(6)-강의시간(5)-설계학점(1.0)-실습시간(2) 열역학 재료역학 공학그래픽스 설계및제작실습 전기전자공학기초 3-2-1.0-2 2-1-0.5-2 (2015년 변경) 유체역학 동역학 첨단제조공정및설계 메카트로닉스및실습 3-3-1.0-0 3-2-0.0-2 학점(26)-강의시간(23)-설계학점(2.5)-실습시간(6) 3 기계설계 I 열전달 기계진동 응용재료역학 기구학 기계공학실험 I 3-2-2.0-2 2-1-0.0-2 자동제어 유체기계 CAD/CAM 재료와설계 에너지변환 기계설계 II 기계공학실험 II 3-2-1.5-2 3-3-2.0-0 학점(37)-강의시간(33)-설계학점(13.5)-실습시간(8) 4 캡스턴디자인프로젝트 응용유체역학 소음진동제어 내연기관 HVAC 유압공학 3-2-3.0-2 로봇공학개론 자동차공학 FEM/CAE 생산관리및기술 ME캡스턴세미나 2-2-0.0-0 학점(32)-강의시간(31)-설계학점(7.0)-실습시간(2) 총 계 학점(101)-강의시간(92)-설계학점(24.0)-실습시간(18) -3-

◈ 교과목 이수체계 및 설계교과목 이수체계도 (2021년 졸업년도 기준) 구 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2학기 1학기 교 양 (필수/ 지정선택) 채 플 채 플 채 플 채 플 고전읽기와 토론 진로와 경력관리 Communicative English I Communicative English II 창업의 이해 현대인과 성서 독서와 소통 기초글쓰기 SW컴퓨팅 사고 자기계발과 미래설계 MSC (수학,과학, 전산학) 일반화학 개론 생명과학 프로그래밍 실습(C) 응용프로그 래밍실습(C) 대학수학I 대학수학Ⅱ 공학수학 I 공학수학 Ⅱ 일반물리학 및실험 I 일반물리학 및 실험 II 전 공 • 역학/재료 • 열/유체 • 진동/제어 • 설계/생산 전기전자 공학기초 메카트로 닉스및실습 자동제어 유압공학 기구학 로봇공학 개론 동역학 기계진동 소음진동 제어 기계공학 실험 I 기계공학 실험 II 캡스턴디자 인프로젝트 종합설계 창의적 공학설계 유체역학 유체기계 응용 유체역학 기초(입문)설계 열전달 에너지변환 HVAC 자동차공학 ME비젼 세미나 열역학 내연기관 정역학 재료역학 응용 재료역학 FEM/CAE 기계설계I 기계설계II 공학 그래픽스 ME캡스턴 세미나 CAD/CAM 첨단제조 공정및설계 요소설계 설계및 제작실습 재료와설계 생산관리및 기술 필수 이수 순서 권장 이수 순서 -4-

◈ 기계공학심화 프로그램 선ㆍ후수 교과목 표 1) MSC 2) 전공 -5- 학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선수과목 1 14314 대학수학Ⅰ 12837 일반물리학및실험Ⅰ 19977 일반화학개론 2 14342 대학수학Ⅱ 15783 일반물리학및실험Ⅱ 11821 생명과학 10469 공학수학Ⅰ 17851 프로그래밍실습 10470 공학수학Ⅱ 3 20420 응용프로그래밍실습 2) 전공 학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선수과목 1 19999 ME비젼세미나 2 15085 정역학 18404 창의적공학설계 12396 열역학 15620 재료역학 20000 공학그래픽스 20098 설계및제작실습 18407 전기전자공학기초 12688 유체역학 일반물리학및실험 I 15069 동역학 20002 첨단제조공정및설계 15629 메카트로닉스및실습 -5-

◈ 기계공학심화 프로그램 선ㆍ후수 교과목 표 2) 전공 -6- 학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 선수과목 3 1 19839 기계설계Ⅰ 재료역학 12402 열전달 유체역학 15066 기계진동 15625 응용재료역학 18406 기구학 18400 기계공학실험Ⅰ 2 20251 자동제어 15081 유체기계 유체역학2014.4 15195 CAD/CAM 20099 재료와설계 18408 에너지변환 열역학 18401 기계공학실험Ⅱ 기계공학실험 I 19840 기계설계Ⅱ 4 16272 응용유체역학 20101 소음진동제어 18410 내연기관 18411 HVAC 23006 유압공학 21683 캡스턴디자인프로젝트 창의적 공학설계2014.4 15638 로봇공학개론 15639 자동차공학 16270 FEM/CAE 21666 생산관리및기술 23007 ME캡스턴세미나 -6-

◈ 졸업요건 (2021년 졸업년도 기준) -7- 기준항목 일반프로그램 졸업요건 심화프로그램 졸업요건 졸업기준 136학점 이상 이수 (단, 2011입학 이전은 140학점)  단일전공 60학점 이상 (다전공 36학점 이상) 단일전공 60학점 이상(다전공 불인정) 전공  전공필수과목을 포함하여 졸업인증제에서 지정된 다음 과목들을 반드시 이수해야 함  필수이수과목 - 기계공학실험Ⅰ, 캡스턴디자인프로젝트  선택이수과목 – 공학그래픽스, 메카트로닉스및실습, 창의적공학설계, 설계및제작실습, 기계공학실험Ⅱ 중 선택 일반프로그램 졸업요건을 만족하고, 추가로 인증필수 및 종합설계과목 이수 (인증필수과목 : ME비젼세미나, 창의적공학설 계, 기계공학실험Ⅰ, 캡스턴디자인프로젝트) 설계 12학점 이상 만족  이수체계준수 교양  계열기초 30 대학수학I/II(3/3), 생명과학(3), 일반화학개론(3), 일반물리학및실험I/II(3/3), 공학수학I/II(3/3), 프로그래밍실습(3), 응용프로그래밍실습(3)  MSC (30학점이상) 일반프로그램 졸업요건의 계열기초와 동일 전산학 교과목은 6학점까지만 인정  학사운영규정을 따름 <2017학년도 입학생 적용> 채플(P/F), 현대인과성서(3), 자기계발과미래설계(1), 기초글쓰기(3), Communicative English I(3), 독서와 소통(3), Communicative English II(3), 고전읽기와토론(3), 창업의이해(1), SW와컴퓨팅사고(2), 진로와경력관리(1) <균형 교양> ①~ ⑤영역 중 3개 영역 (자연과학 영역 미포함)에서 각 2~3과목 이수하여 총 7학점 이상 필수이수 ⑥영역 창업의이해+진로와경력관리 필수이수 좌동 비교과 영역 8학기 이상 성적취득, 전체평점 2.00이상 졸업논문심사 합격 – 졸업인증제 800점 만족, 채플4학기, 한남사회봉사인증 72시간 만족  일반프로그램 졸업요건을 만족하되, 졸업인증제 1000점 이상 만족해야 함 프로그램학습성과  요구조건 없음 10개 학습성과 성취 -7-

◈ 학습성과 달성 평가 √ √  비교과과정 : 일반적인 교양/전공 교과과정에서는 획득하기 힘든 인성개발, 국제화, 봉사 구분 졸업요건 항목 프로그램 학습성과 (PO) 와의 상관성 1 2 3 4 5 6 7 8 9 10 기초지식 분석실험 문제해결 실무도구 설계능력 팀워크 의사전달 공학영향 윤리책임 평생교육 교과  및 비교과 교과 이수학점 (교양,MSC,전공) √ 비교과 이수학점 프로그램학습성과 성취도 평가도구 Capstone design project/보고서   구술종합평가 에세이 √   비교과과정 : 일반적인 교양/전공 교과과정에서는 획득하기 힘든 인성개발, 국제화, 봉사 등의 학습성과의 획득 및 향상을 위한 교과외 활동 (외국어, 세미나, 특강, 봉사, 동아리/학과활동 등 참가 실적 증빙자료, 외국어 성적표 제출 )  에세이 제출 및 구술종합평가는 졸업직전 학기에 학과에서 지정한 시기에 실시  2016년도 입학생부터는 공학교육단일인증제를 적용! 반드시 공학교육인증을 이수해야 졸업이 인정. 단, 다음에 해당하는 학생의 경우는 예외 적용. 전입생(편입생, 전과생), 다전공 및 부전공자, 학-석사 연계과정 이수자, 해외유학생, 외 국인, 해외 교환학생(1개 학기 이상), 현장실습, 학군단(ROTC) 학생  본 안내자료의 졸업요건은 프로그램운영회의 결의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8-

◈ 학생 개인별 프로그램 학습성과(PO) 성취도 평가도구 * 설문조사(졸업예정자) 는 모든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를 위한 주관적(간접적) 평가도구임. 프로그램 학습성과 (PO) 수행준거 (Performance criteria) 평가도구* 1 수학,기초과학,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이론을 이용하여 기계공학 문제에 대하여 해석적 모델을 수립하고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Capstone design project 2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료수집 및 실험 (수치적방법 포함)을 계획하고 수행하며, 실험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결과의 타당성과 변수들의 중요성을 판단하고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3 공학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기계공학 관련 문제들을 적합한 지식과 이론을 적용하여 공식화하고 실험·해석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여 해결, 개선할 수 있다. 4 공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적절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실무에 필요한 시료제작 및 분석기기를 조작할 수 있고, 여러 최신 소프트웨어 및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5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주어진 기간, 비용, 자원 등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여 원하는 기계요소, 시스템, 생산공정을 설계할 수 있다. 6 공학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타 공학분야 및 융합기술을 포함한 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자신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및 리더쉽이 있고, 팀 구성원 사이의 토의 및 협의에 참여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다. 7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보고서, 논문, 발표자료를 작성하고, 제한된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발표할 수 있고 질의 응답을 원활히 할 수 있다. Capstone design project, 구술종합평가 8 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안전,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공학문제의 해결방법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기계공학전공 엔지니어로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고 봉사하며 환경보존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 9 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인믈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며 직업인으로서 맡은 직무를 성실히 수행할 수 있다. 에세이 10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 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현시대의 다양한 사회적 이슈 및 기계공학의 발전동향에 대한 기본 지식 및 통찰력을 갖추고 있다. 기술과 산업, 문화의 변화속도를 이해하여 전문분야에서의 자기계발에 대한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9-

◈ 졸업인증제 (필수 영역을 포함하여 일반 800점 , 심화 1000점 이상) ※ 모든 실적에 대한 증빙은 본인이 제출/관리하며 증빙서류 제출시 원본확인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 자세한 내용(항목별 세부 인정 기준 )은 학과 홈페이지 졸업인증제 내규집 및 학과 게시판 참고 구분 번호 영 역 세부 항목 배점 비 고 필수 영역 1 외 국 어 영어 능력시험 600 최소 이수점수: 200점 각 시험당 최고 점수만 인정 (변동가능) 일어 능력시험 중국어 능력시험 최소 이수점수: 300점 한국어능력시험(외국인) 최소 이수점수: 400점(4급) 2 취업활동 취업교육·훈련프로그램 (취업지원팀) 수강 300 최소 이수점수: 100점 -취업교육/특강 등 단기 프로그램 참석: 100점/회 -취업캠프, 취업훈련프로그램 수료: 300점 단, 취업관련 교과목 이수는 취업훈련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음 취업 확정 500 대학원 진학 확정 3 전공실무과목 이수 (필수과목 포함 네 과목 이상 이수) 필수이수 두 과목을 이수하고 선택이수과목 중 두 과목을 이수하면 기본 200점을 부여하며, 추가 과목 수강시 100점씩 부여함. -필수이수:기계공학실험1, 캡스턴디자인프로젝트 -선택이수:공학그래픽스, 기계공학실험2, 설계및제작실습, 메카트로닉스및실습, 창의적공학설계 선택 영역 4 학과활동 학과행사 참여 1건에 50점씩, 최대 300점까지 인정 (단, 신입생의 OT, MT 참가는 제외) 5 봉 사 봉사활동 400 ∙현행 ‘사회봉사 졸업인증제’의 72시간을 초과한 부분만 인정 ∙초과 12시간마다 100점 부여 ∙최대 400점까지 인정 학생회·학과 임원활동 200 전공동아리 임원활동 100 6 전공관련 자 격 증 공인 자격증 기사 500점, 산업기사 200점, 변리사, 항공정비사, 미국 기계기사 등 기타 국가/국제공인자격증 500점 민간 자격증 ATC(1급 300점, 2급 200점), CATIA 등 기타 300점 7 해외연수 학업 및 어학연수 교환학생을 포함한 학업연수, 어학연수 등 300점 부여 8 학술논문 학술지 게재 국내외 학술논문 게재시 500점 학술대회 발표 국내학술대회 논문 발표시 300점 9 수 상 특별 포상 교내외 수상, 용감한 시민상 등 경진대회 입상 전국 규모 대회 입상 300점, 그 외 입상 200점 10 현장실습 기업·현장 연수, 인턴 ∙전공관련 기업체만 인정 ∙학과에서 운영하는 실무인턴쉽은 최대 300점까지 인정

◈ 졸업인증 점수기록표 (일반 800점 , 심화 1000점 이상) 전기(2월)졸업자 :12월 / 후기(8월) 졸업자 : 6월 제출

기계공학 심화 프로그램 (인증) 기계공학 프로그램 (비인증) ◈ 전입생(전과(전공변경), 편입, 재입학) 의 수용절차 1) 기계공학심화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으로의 수용절차 2016 입학생 이후 취소 불가 ※ 전입생은 4학기이상 이수가능할 경우에만 심화프로그램으로 신청 가능함 ※ 편입생은 편입 후 1학기 이내에 심화프로그램의 이수여부를 최종 선택해야 함 ※ 심화과정을 선택하지 않은 학생은 일반과정에 소속됩니다 ※ 심화프로그램 신청 : 학과사무실 방문 ( 이수신청서, 학점인정서, 수업계획서, 전입전까지의 성적증명서 등 제출) 기계공학 심화 프로그램 (인증) 2005이전 입학 일반프로그램 모집 공학사 2006이후 입학 심화프로그램 편입/재입학/전과 복학 최종선택? (4학년 1학기 등록이전) (기계공학심화) Portfolio No Yes 해당학년 심화과정 존재? 심화신청 수락? (운영위원회) 기계공학 프로그램 (비인증) 취소(전환) 심화프로그램 신청 / 프로그램 주임교수 (PD)와 상담 -12-

◈ 전입생(전과(전공변경), 편입, 재입학) 의 수용절차 2) 전입생이 기존 프로그램 소속 재학생과 동등함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 전입 구분 전입생의 동등성 보장을 위한 제도 수용 원칙 •전적대학(학과)에서 취득한 학점과 본 프로그램의 학점이 상이한 경우, 최소 학점만큼 인정함. •전적대학(학과) 해당 교과목의 평가점수 C학점(2.0/4.5만점) 이상인 교과목에 대해서만 수용 여부 심사를 수행함. 편입 ①전적 대학에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 •본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동일명칭의 교과목 또는 유사교과목에 한하여, 해당 프로그램 운영위원회의 심사를 통하여 인정. •교과목명이 상이하나 내용이 동일한 경우는 해당 프로그램 운영위원회에서 동일여부를 결정. ②전적 대학에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하지 않은 경우 •전문교양, MSC에 유사한 계열기초 과목은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의 교과목에 한하여 심사를 통하여 인정. 단, 전공과목은 인정하지 않음 재입학, 전과 ※ 기 이수된 교과목의 학점을 인정하며 이수구분만 변경함. ①재입학 전 또는 전출 학과(학부)에서 공학교육인증제를 실시한 경우 •설계학점은 해당과목 담당교수가 학생이 제출한 학업 정도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의 설계과제 수행내용을 심사하여 인정. ②재입학 전 또는 전출 학과(학부)에서 공학교육인증제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이수한 교과목 중 본 학과의 교과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의 교과목에 한하여 심사를 통하여 인정. -13-

◈ 교 수 진 -14- 서영성 교수 심우건 교수 황철호 교수 박문식 교수 윤천석 교수 전공과목: 재료역학, 정역학, 응용재료역학, FEM/CAE 연구실 : 공과대학 90904호 전화 / 전자우편 : 042-629-7999 / suhy@hnu.kr 심우건 교수 전공과목: 유체역학, 유체기계, 응용유체역학, 유압공학 연구실 : 공과대학 90903호 전화 / 전자우편 : 042-629-8089 / wgsim@hnu.kr 황철호 교수 전공과목: 동역학, 기계진동, 소음진동제어 연구실 : 공과대학 90901호 전화 / 전자우편 : 042-629-8277 / cheolho@hnu.kr 박문식 교수 전공과목: 기계설계, CAD/CAM 연구실 : 공과대학 90902호 전화 / 전자우편 : 042-629-8278 / ms.park@hannam.kr 윤천석 교수 전공과목: 열역학, 에너지변환, 내연기관, 자동차공학 연구실 : 공과대학 91003호 전화 / 전자우편: 042-629-8283 / csyoon@hnu.kr -14-

◈ 교 수 진 -15- 강봉수 교수 성인하 교수 이용택 교수 정기남 교수 전공과목: 전기전자공학기초 ,자동제어, 메카트로닉스및실습, 로봇공학개론 연구실 : 공과대학 91002호 전화 / 전자우편: 042-629-7983 / bskang@hnu.kr 성인하 교수 전공과목: 첨단제조공정및설계, 재료와설계, 생산관리및기술, 설계및제작실습 연구실 : 공과대학 91001호 전화 / 전자우편: 042-629-8316 / isung@hnu.kr 이용택 교수 전공과목: 창의적공학설계 , 열전달, HVAC, 연구실 : 공과대학 91102호 전화 / 전자우편: 042-629-8276 / neotrin@hnu.kr 정기남 교수 전공과목: 기구학, 공학그래픽스 연구실 : 공과대학 91103호 전화 / 전자우편: 042-629-8431 / kinam.jung@hnu.k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