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장 상수와 변수 khlee@dsc.ac.kr.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03 변수와 자료형 세종대학교 최옥경 교수 참고 : 한빛미디어 뇌를 자극하는 C, INFINITY Perfect C.
Advertisements

기본 자료형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이 상 정. 자료형의 선언 컴퓨터프로그래밍 1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이 상 정 3 자료형 선언 기본 자료형문자형 char 정수형 int 실수형 float double 형없음 void.
멘토링 2 주차 장 프로그래밍을 위한 자바의 자료형  값이 변하지 않는 상수  메모리 기억공간인 변수.
YES C 제 1 장 C 언어의 개요 1/34 제 1 장 C 언어의 개요 문봉근. YES C 제 1 장 C 언어의 개요 2/34 제 1 장 C 언어의 개요 1.1 프로그램과 C 언어의 특징 1.2 C 언어의 프로그램 구성 1.3 비주얼 C++ 통합 환경 들어가기.
제6장 조건문.
프로그래밍1 및 실습 (C언어) - 3장 기본자료형 (3.6부터 끝까지) -
제 3 장 변수와 자료형.
제 11 장 구조체.
슬라이드 1~21까지는 각자 복습! 슬라이드 22부터는 수업시간에 복습
C++ Espresso 제1장 기초 사항.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11장 포인터 C Express.
프로그래밍실습 제 7 강.
제 1장 C 언어의 소개.
C++ Espresso 제2장 제어문과 함수.
2014 ITA 8월 강의 C Programming -1주차- C언어 기초 정대진 ( )
C 프로그래밍.
4장: 자료형과 수식.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17장 동적 메모리와 연결 리스트 C Express.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4장 변수와 자료형 C Express.
제5장 제어명령
컴퓨터의 기초 제 4강 - 표준 입출력, 함수의 기초 2006년 4월 10일.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9장 함수와 변수 C Express.
제 18 강 데이터 타입 타입, 변환, 캐스팅 shcho.pe.kr.
7. while 문의 흐름 제어.
연산자 대입 연산자 산술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비트 연산자 콤마 연산자 축약 연산자 sizeof 연산자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17장 동적메모리와 연결리스트 C Express.
명품 Java Programming.
C 9장. 구조체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num;
기초C언어 제3주 C프로그램 구성요소, 변수와 자료형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2016년 봄학기 담당교수 : 이형원
7장 배열 배열의 정의 배열의 초기화 1차원 배열 2차원 및 다차원 배열 문자 배열 배열과 구조.
Chapter 06. 선택문.
내용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 C 언어란?? C 언어 역사 C 언어 특징 C 프로그램의 구조
제 2 장 변수와 상수.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7장 반복문 C Express.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4장 변수와 자료형 C Express.
4장 제어문 선택문: if 문, if – else 문, switch 문
4주차: Data Types and Functions
5장. 상수와 기본 자료형. 5장. 상수와 기본 자료형 5-1 C 언어가 제공하는 기본 자료형 자료형(data type) 기본 자료형 사용자 정의 자료형 int val; "선언할 변수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키워드" 기본 자료형 기본적으로 제공이 되는 자료형 사용자.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4장 변수와 자료형 C Express.
adopted from KNK C Programming : A Modern Approach
Chapter 2 Lexical Elements, Operators, and the C System
제2장 데이터형과 표준 입출력문 문봉근.
2019년 2월 24일 오후 4시 59분 제2장 표준 입출력 함수
3장 상수 변수 기본 자료형 키워드와 식별자 상수와 변수 기본 자료형 형변환 자료형의 재정의.
컴퓨터의 기초 제 2강 - 변수와 자료형 , 연산자 2006년 3월 27일.
제2장 제어구조와 배열 if-else 문에 대하여 학습한다. 중첩 if-else 문에 대하여 학습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 4th : 수식과 연산자 -
함수와 변수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2016년 봄학기 담당교수 : 이형원 E304호,
제어문 & 반복문 C스터디 2주차.
3장. 변수와 연산자. 3장. 변수와 연산자 3-1 연산자, 덧셈 연산자 연산자란 무엇인가? 연산을 요구할 때 사용되는 기호 ex : +, -, *, / 3-1 연산자, 덧셈 연산자 연산자란 무엇인가? 연산을 요구할 때 사용되는 기호 ex : +, -, *, /
4장 자료형.
실습과제 1(조건문, ) 표준입력으로 수축기 혈압을 입력 받아 그에 따른 적당한 표현을 화면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if-else 문을 이용하여 작성.
제 3장 데이터형과 연산자 Hello!! C 언어 강성호 김학배 최우영.
Fflush 사용이유 및 방법 [이유] 키보드에서 입력된 내용은 입력버퍼에 저장되었다가 Enter 키가 들어오면 프로그램으로 전달됨 이 때 입력버퍼에 있는 Enter 키도 프로그램으로 전달됨 그러므로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문자 하나를 입력해도 Enter키도 입력된 것으로.
6장 반복제어문 for 문 while 문 do while 문 기타 제어문.
C89(C++03) 프로그래밍 (Part 2) 7 배열 8 변수 범위 9 포인터 10 유도 자료형.
-Part1- 제6장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Part1- 제8장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교재 199페이지 ~ 224페이지)
토론을 위한 질문 배열의 이름에는 무엇이 저장되는가? C언어에서 배열 추상데이터의 store는 어떻게 구현 되는가?
1학기 정리 지난 학기에 배운 내용을 복습해 본다..
C언어 프로그래밍의 이해 Ch03. 기본 자료형, 변수와 상수.
반복문의 기능 반복문 반복문 특정 영역을 특정 조건이 만족하는 동안에 반복 실행하기 위한 문장 while문
제5장 디버깅과 추적 문봉근.
어서와 C언어는 처음이지 제16장.
C 13장. 입출력 라이브러리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num;
C.
printf("Global Korea\n");
개정판 누구나 즐기는 C언어 콘서트 제3장 변수와 자료형 출처: pixabay.
Presentation transcript:

제 3 장 상수와 변수 khlee@dsc.ac.kr

제3장 수행준거 1. C 프로그램에서의 상수의 종류와 표현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각종 변수를 지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 유형(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3. 프로그램에서 변수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5. 데이터 형의 변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프로그램에서 일반변수, define, enum 의 사용상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이 장에서 설명은? 3.1 상수 3.2 변수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3.4 상수변수의 정의

3.1 상수 상수는 프로그램 실행을 끝낼 때까지 그 값이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말한다.

3.1 상수 정수 실수 형태 표현 예 설명 수치 상수 10진수 123 8진수 0123 16진수 0x123F 소숫점형 3.1 상수 [표3-1] C에서 사용하는 상수의 형태 형태 표현 예 설명 수치 상수 정수  10진수 123 유효숫자로 시작해야만 한다.  8진수 0123 유효숫자 앞에 0(zero) 을 붙여 표현한다.  16진수 0x123F 유효숫자 앞에 0x 를 붙여 표현한다. 실수  소숫점형 345.67 소수점으로 표현한다.  지수형 3.4567E+02 지수형태로 표현한다.  문자 상수 아스키문자 'A' 단일인용부호(')로 감싸 표현한다.  문자열 상수 "ABCDE" 이중인용부호(")로 감싸 표현한다.

3.1 상수 잠깐!!! (각 진수에 대한 수의 비교) 10진수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8진수 0 1 2 3 4 5 6 7 10 11 12 13 14 15 16 17 20 21 22 23 24 ... 16진수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10 11 12 13 14 ...

3.1 상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 10; 3.1 상수 ◀3-1.C▶ 10진 상수의 사용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 10; printf("10진 정수 값으로는 %d \n", a); printf("8진 정수 값으로는 %o \n", a); printf("16진 정수 값으로는 %x \n", a); } 변수 a 에 10진수로 10값을 기억시키는 문장이다. 실행결과                           10진 정수 값으로는 10 8진 정수 값으로는 12 16진 정수 값으로는 a

3.1 상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 010; 3.1 상수 ◀3-2.C▶ 8진 상수의 사용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 010; printf("10진 정수 값으로는 %d \n", a); printf("8진 정수 값으로는 %o \n", a); printf("16진 정수 값으로는 %x \n", a); } 변수 a에 8진수로 10값을 기억시키는 문장이다. 실행결과                          10진 정수 값으로는 8 8진 정수 값으로는 10 16진 정수 값으로는 8

3.1 상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 0x10; 3.1 상수 ◀3-3.C▶ 16진 상수의 사용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 0x10; printf("10진 정수 값으로는 %d \n", a); printf("8진 정수 값으로는 %o \n", a); printf("16진 정수 값으로는 %x \n", a); } 변수 a에 16진수로 10값을 기억시키는 문장이다.  실행결과                           10진 정수 값으로는 16 8진 정수 값으로는 20 16진 정수 값으로는 10

3.1 상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float a = 123.4; 3.1 상수 ◀3-4.C▶ 실수형 상수의 사용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float a = 123.4; float b = 1.234E+02; printf("a= %f \n", a); printf("b= %E \n", b); } 변수 a에 소수점형태의 실수 값을 기억시키는 문장이다. 변수 b에 지수형태의 실수 값을 기억시키는 문장이다. 실행결과                     a= 123.400000 b= 1.234000E+002

3.1 상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a = 'A’; 3.1 상수 ◀3-5.C▶ 문자 및 문자열 상수의 사용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a = 'A’; char b[10] = "ABCDE“; printf("a= %c \n", a); printf("b= %s \n", b); } 변수 a에 문자 A를 기억시키는 문장이다. 변수 b에 문자열 ABCDE를 기억시키는 문장이다. 실행결과                     a= A b= ABCDE

3.1 상수 퀴즈 풀어보기 교제 65 쪽 ( 1번~9번 )

3.2 변수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값을 기억시키기 위한 기억장소의 이름이다. 3.2 변수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값을 기억시키기 위한 기억장소의 이름이다. 변수의 역할은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일을 담당한다. 변수에 기억된 값은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그 값이 변경될 수 있다.  변수를 사용할 때에는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유형(종류)을 반드시 선언 명시해 주어야 한다.

3.2 변수 데이터형 변수; int a; char b; float c; double d; [변수 선언 형식] 3.2 변수 [변수 선언 형식] 데이터형 변수; 데이터형(data type)은 변수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 값을 기억시킬 것인지를 명시하는 곳이다. 변수는 변수작명규칙에 근거하여 원하는 이름을 작명하여 지정한다. [사용 예] int a; char b; float c; double d;

3.2 변수 아버지가 술 마시고 지었다는 이름들

3.2 변수 C에서 제공되는 기본 데이터 유형 4가지  char  문자형 변수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3.2 변수 C에서 제공되는 기본 데이터 유형 4가지  char  문자형 변수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int  정수형 변수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float  단정도 실수형 변수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double  배정도 실수형 변수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3.2 변수 변수명 작명 규칙 변수명은 영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 아라비아숫자, 밑줄만 사용해야 한다. 2019년 1월 17일 오후 8시 52분 3.2 변수 변수명 작명 규칙 변수명은 영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 아라비아숫자, 밑줄만 사용해야 한다.  변수명의 첫 번째 글자는 영문자나 밑줄만으로 시작해야 한다.  하나의 변수명에는 공백을 넣으면 안 된다.  예약어(키워드:명령어)를 사용하면 안 된다.  교재 p.67의 표3-2 참조 [표3-2] C언어에서의 예약어 auto      break      case      char       continue    default     do       double     else       enum      extern       float     for       goto        if          int        long         register     return    short        signed    sizeof      static        struct   switch    typedef    union     unsigned    void        while 잠깐!!! C 또는 C++ 언어에서는 영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는 서로 다른 문자로 판단하여 처리한다.

3.2 변수 (1) 변수의 기본 데이터 유형 C 프로그램에서 변수는 반드시 그 변수를 사용하기 이전에 3.2 변수 (1) 변수의 기본 데이터 유형 C 프로그램에서 변수는 반드시 그 변수를 사용하기 이전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 값을 기억시키는 변수인지 선언되어 있어야만 된다. 이때 변수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 값을 기억시킬 변수인지를 결정하는 데이터 유형 지정자에는 표3.3와 같은 종류들이 있다.

3.2 변수 구분 종류 의미 문자형 char unsigned 무 부호 문자형 정수형 int unsigned int 3.2 변수 [표3-3] 기본 데이터형의 종류 구분 종류 의미 문자형 char unsigned 무 부호 문자형 정수형 int unsigned int short (int) unsigned short (int) long (int) unsigned long (int) 무 부호 정수형 짧은 정수형 무 부호 짧은 정수형 긴 정수형 무 부호 긴 정수형 실수형 float double 단정도 실수형 배정도 실수형

3.2 변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3.2 변수 ◀3-6.C▶ 지정된 데이터형에 따른 할당하는 메모리공간의  크기 #include <stdio.h> void main() { printf("char형: %d 바이트 \n", sizeof(char) ); printf("int형: %d 바이트 \n", sizeof(int) ); printf("float형: %d 바이트 \n", sizeof(float) ); printf("double형: %d 바이트 \n", sizeof(double) ); } 실행결과                       char 형 : 1 바이트 int 형 : 4 바이트 float 형 : 4 바이트 double 형 : 8 바이트 Sizeof() 함수는 괄호 속에 지정된 데이터 종류에 따라 사용되어지는 메모리 용량을 확인해주는 함수이다.

3.2 변수 ① 문자형 변수의 선언 [사용 예] char a; char b; char a, b; [변수 선언과 초기화 예] 3.2 변수 ① 문자형 변수의 선언 - 사용하는 키워드는 char 이다. - 하나의 영문자를 기억시켜 처리할 때 사용한다. 문자형 변수에 기억시킬 문자는 단일인용부호( ‘ 와 ’ )로 감싼 하나의 문자이다.   [사용 예]   char a;        char b;   char a, b;   [변수 선언과 초기화 예]   char a='A';           char b='B';  char a=‘A’, b=‘B’;

3.2 변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a, b; a = 'A'; 3.2 변수 ◀3-7.C▶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a, b; a = 'A'; b = 'B'; printf("a=%c \n", a); printf("b=%c \n", b); } 변수 a와 b가 1개의 문자를 기억하는 변수라고 정의한 문장이다. 실행결과                 a=A b=B

3.2 변수 ② 정수형 변수의 선언 [사용 예] int a; int b; int a, b; int a=10; int b=20; 3.2 변수 ② 정수형 변수의 선언 - 사용하는 키워드는 int 이다. - 하나의 정수 값을 기억시킬 때 사용한다.   [사용 예]   int a;       int b;   int a, b;  [변수 선언과 초기화 예]  int a=10;         int b=20;  int a=10, b=20;

3.2 변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b, c; a = 10; 3.2 변수 ◀3-8.C▶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b, c; a = 10; b = 20; c = a+b; printf("결과: %d \n", c); } 변수 a, b, c가 정수 값을 기억하는 변수라고 정의한 문장이다. 실행결과            결과: 30

3.2 변수 ③ 단정도 실수형 변수의 선언 [사용 예] float a; float b; float a, b; 3.2 변수 ③ 단정도 실수형 변수의 선언 - 사용하는 키워드는 float 이다. - 소수점이나 지수형을 포함하는 실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사용 예]   float a;       float b;  float a, b; float a=1.2, b=34.56; [변수 선언과 초기화 예] float a=1.2;         float b=34.56; 

3.2 변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float a, b, c; a=1.2; 3.2 변수 ◀3-9.C▶ #include <stdio.h> void main() { float a, b, c; a=1.2; b=34.56; c=a+b; printf("결과: %f \n", c); } 변수 a, b, c가 단정도 실수 값을 기억하는 변수라고 정의한 문장이다. 실행결과                    결과: 35.760000

3.2 변수 ④ 배정도 실수형 변수의 선언 double a; double b; double a, b; double a=1.2; 3.2 변수 ④ 배정도 실수형 변수의 선언 - 사용하는 키워드는 double 이다. - 소수점이나 지수형을 포함하는 실수 데이터 처리할 때 사용한다. - float형에 비해 2배도 기억장소를 할당 받아 이용하기 때문에 float형 변수에 비해 정밀도가 높은 숫자를 표현 할 수 있다. [사용 예] double a;    double b;  double a, b; double a=1.2, b=34.56; [ 변수 선언과 초기화 예] double a=1.2;           double b=34.56; 

3.2 변수 #include <stdio.h> void main() { double a, b, c; a = 1.2; 3.2 변수 ◀3-10.C▶ #include <stdio.h> void main() { double a, b, c; a = 1.2; b = 34.56; c = a+b; printf("결과: %f \n", c); } 변수 a, b, c가 배정도 실수 값을 기억하는 변수라고 정의한 문장이다. 실행결과                     결과: 35.7630000

3.2 변수 (2) 변수의 사용 범위 지역변수 정적변수 전역변수 만원권 10달러권 신용카드 3.2 변수 (2) 변수의 사용 범위 만원권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화폐) 지역변수 신용카드 (우리나라에서 만들어 사용하고, 필요하면 해외에서도 사용) 정적변수 10달러권 (세계 공용 화폐처럼 사용되는 화폐) 전역변수

3.2 변수 ① 지역(local) 변수 지역변수는 어떤 함수의 몸체(body)부분 안에 선언하여 사용되는 변수이다. 3.2 변수 ① 지역(local) 변수 지역변수는 어떤 함수의 몸체(body)부분 안에 선언하여 사용되는 변수이다. - 지역변수는 자신을 포함하는 함수가 동작하기 시작 할 때 만들어져 사용된다. 그리고 함수의 동작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소멸하는 변수이다. - 지역변수를 자동변수라고도 한다.

3.2 변수 #include <stdio.h> void hellow(); void main() { 3.2 변수 ◀3-11.C▶ #include <stdio.h> void hellow(); void main() { int aaa=100; printf("main 함수에서 aaa : %d \n", aaa); hellow(); } void hellow() int aaa=300; printf("hellow 함수에서 aaa : %d \n", aaa); main 함수 안에 정의된 지역변수 aaa 이다. main 함수의 몸체(body)부분 hellow 함수 안에 정의된 지역변수 aaa 이다. hellow 함수의 몸체(body)부분 실행결과                             main 함수에서 aaa : 100   hellow 함수에서 aaa : 300   

3.2 변수 ② 전역(global) 변수 전역변수는 어떤 함수의 외부에 선언되어 이용되는 변수를 말한다. 3.2 변수 ② 전역(global) 변수 전역변수는 어떤 함수의 외부에 선언되어 이용되는 변수를 말한다. - 전역변수는 프로그램에 정의된 모든 함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변수이다. - 전역변수는 프로그램의 전체적으로 종료할 때에 소멸하는 변수이다.

3.2 변수 #include <stdio.h> void hellow(); int bbb=500; 3.2 변수 ◀3-12.C▶ #include <stdio.h> void hellow(); int bbb=500; void main() { int aaa=100; printf("main 함수에서 aaa : %d \n", aaa); printf("main 함수에서 bbb : %d \n", bbb); hellow(); } void hellow() int aaa=300; printf("hellow 함수에서 aaa : %d \n", aaa); printf("hellow 함수에서 bbb : %d \n", bbb); 어떤 함수에도 속하지 않은 변수 즉, 전역변수 bbb 을 선언한 문장이다. main 함수 안에 정의된 지역변수 aaa이다. 실행결과                            main 함수에서 aaa : 100 main 함수에서 bbb : 500 hellow 함수에서 aaa : 300 hellow 함수에서 bbb : 500 hellow 함수 안에 정의된 지역변수 aaa이다.

3.2 변수 #include <stdio.h> int abc=500; void main() { 3.2 변수 ◀3-13.C▶ 전역변수명과 지역변수명이 동일한 경우 #include <stdio.h> int abc=500; void main() { int abc=100; printf("main 함수에서 abc: %d \n", abc); } 여기서 변수 abc 는 전역(global)변수이다. 여기서 변수 abc 는 지역(local)변수이다. 실행결과                           main 함수에서 abc : 100

3.2 변수 ③ 정적(static) 변수 static int a; - 정적변수는 정적변수를 포함하는 함수가 처음 실행될 때에 3.2 변수 ③ 정적(static) 변수 - 정적변수는 정적변수를 포함하는 함수가 처음 실행될 때에 그 변수가 생성된다. - 정적변수의 값은 그 함수가 실행을 종료하더라도 소멸되지 않고, 그 변수의 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정적변수의 동작형태는 전역변수처럼 동작하지만 선언되는 위치는 어떤 함수 내부에 정의된다. - 정적변수는 다음의 사용 예에서처럼 키워드 static 을 이용하여 변수를 정의한다. [사용 예] static int a;

3.2 변수 #include <stdio.h> void aaa(); void main() { hellow(); } 3.2 변수 ◀3-14.C▶ #include <stdio.h> void aaa(); void main() { hellow(); } void hellow() static int a=1; printf("a=%d \n", a); a=a+1; 여 문장은 hellow 함수를 호출하여 실행시키라는 문장이다. main 함수에서 hellow 함수는 모두 3번 호출되고 있다. 여기서 변수 a는 정적변수로 정의되어 있다. 실행결과      a=1 a=2 a=3

3.2 변수 퀴즈 풀어보기 교제 79 쪽 ( 10번~21번 )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 데이터 유형 변환이란? 원래 정의한 데이터 형을 원하는 다른 데이터 형으로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 데이터 유형 변환이란? 원래 정의한 데이터 형을 원하는 다른 데이터 형으로 변환시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 데이터 유형 변환에는 강제형변환, 자동형변환 2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1) 자동 형변환 - 강제형변환 없이 자동적으로 데이터 유형의 변환이 발생되는 연산을 말한다.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1) 자동 형변환 - 강제형변환 없이 자동적으로 데이터 유형의 변환이 발생되는 연산을 말한다. 예를 들어, 문자와 정수 사이에는 강제형변환 연산을 수행시키 지 않아도 스스로 아스키코드 값으로 데이터 유형의 변환이 일어나게 되는 형태를 말한다.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3-15.C▶ 단정도 실수형 값을 정수형으로 자동 형변환이 발생하는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float b=12.345; a = b; printf("a= %d \n", a); printf("b= %f \n", b); } 변수 b에 기억된 12.345 를 변수 a에 대입시키기 전에 자동적으로 데이터 형변환이 일어나 소수점 이하 값인 .345 를 없애고 정수 12 값만 변수 a에 기억시킨다. 실행결과               c=12 d=12.345000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a; a = 65;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3-16.C▶ 정수를 문자로 자동 형변환이 발생하는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a; a = 65; printf("숫자 65에 대한 아스키 문자 : %c \n", a); a = a + 1; printf("숫자 66에 대한 아스키 문자 : %c \n", a); } 정수 65을 문자형 변수 a에 기억시키기 전에 아스키코드 표에 가서 65에 해당하는 문자 A를 변수 a에 기억 시킨다. 실행결과                     숫자 65에 대한 아스키 문자 : A 숫자 66에 대한 아스키 문자 : B    이 문장은 a=65+1;로 수행된다. 따라서 a=66;이므로 아스키코드 표에 가서 66에 해당하는 문자 B를 변수 a에 기억시킨다.`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a = 'A';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3-17.C▶ 문자를 정수로 자동 형변환 시키는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a = 'A'; printf("문자 A에 대한 아스키코드 값 : %d \n", a); a = ‘A’ + 1; printf("문자 B에 대한 아스키코드 값 : %d \n", a); } 아스키코드 표에서 문자A에 해당하는 숫자 65를 변수 a에 기억 시킨다. 실행결과                     문자 A에 대한 아스키코드 값 : 65 문자 B에 대한 아스키코드 값 : 66 아스키코드 표에서 문자 A에 해당하는 숫자 65에 1를 더한 66을 변수 a에 기억 시킨다.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2) 강제 형변환 [사용형식] ( 데이터형 ) 변수; [사용 예] ( float ) a;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2) 강제 형변환 강제형변환을 캐스팅형변환이라고도 한다. - 강제형변환을 지정하는 방법은 변환시키고자 하는 변수 혹은 값 앞에 괄호를 두고, 그 안에 변환시키기 원하는 데이터 유형을 다음과 같은 사용형식으로 지정하면 된다.  [사용형식]  ( 데이터형 ) 변수;  [사용 예]  ( float ) a;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7, b=2;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3-18.C▶ 강제형변환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7, b=2; float c, d; c = a / b; d = (float) a / b; printf("c=%f \n", c); printf("d=%f \n", d); } 변수 c=7/2; 의 형태로 계산된다. 따라서 우측 항의 7/2의 결과는 정수/정수 형태의 계산이기 때문에 정수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우측 항의 7/2의 결과는 3이 되고, 이 3 값이 3.0으로 자동형변환이 일어나 좌측 항 변수 c에 대입되어 진다. 변수 a의 값 7 이 강제로 실수 값 7.0 으로 변환되어 처리된다. 따라서 이 문장은 d=7.0/2; 에서 d=3.5; 로 처리 되어 변수 d 에는 3.5 값이 기억되어진다. 실행결과               c=3.000000 d=3.500000

3.3 데이터 유형의 변환 퀴즈 풀어보기 교제 85 쪽 ( 22번~29번 )

3.4 상수 변수의 정의 - 상수변수는 프로그램에서 한번 지정한 어떤 값을 프로그램 3.4 상수 변수의 정의 - 상수변수는 프로그램에서 한번 지정한 어떤 값을 프로그램 수행 중에 다른 값으로 변경시킬 수 없도록 지정할 때 사용 하는 변수를 말한다.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 #define 이라는 선행처리명령으로 지정하는 방법과 enum 라는 열거형 지정자를 이용하는 방법 2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 일반변수의 경우 int a=10; int b=20; int c=30; int d=40; 3.4 상수 변수의 정의  일반변수의 경우 int a=10; int b=20; int c=30; int d=40; int e=50; (설명) 언제든지 a,b,c,d,e 의 변수 값을 바꿀 수 있다.  #define 의 경우 #define a 10 #define b 20 #define c 10 #define d 40 #define e 50 (설명) a,b,c,d,e 상수변수 값을 바꿀 수 없다. 만약 바꾸면 프로그램 에러이다. 그러나 #undef 명령을 이용하면 바꿀 수 있다.  Enum 의 경우 enum {a=10,b=20,c=30,d=40,e=50}; (설명) a,b,c,d,e의 상수변수 값을 바꿀 수 없다. 만약 바꾸면 프로그램 에러이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1) #define을 사용하는 방법 #define 심벌이름 상수 #define SIZE 100 3.4 상수 변수의 정의 (1) #define을 사용하는 방법 - 선행처리 명령 중에 하나이다. - 어떤 상수 값을 원하는 심볼 이름으로 정의할 때 사용한다. #define 은 선행처리 명령이기 때문에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 을 붙이지 않는다. [사용형식] #define 심벌이름 상수 [사용 예] #define SIZE 100 #define NAME "나는 홍길동이다." #define PRINT(a) printf("나는 %d 살이다.\n", a)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define SIZE 20 void main() { 3.4 상수 변수의 정의 ◀3-19.C▶ #define 선행처리 명령을 이용하여 상수를 정의한 경우 #include <stdio.h> #define SIZE 20 void main() { int a; a=SIZE; printf("a=%d \n", a); a=SIZE*3; } 이 문장은 숫자 20 을 SIZE 라는 심볼이름(상수변수)으로 정의하라.는 선행처리 문장이다. 실행결과               a=20 a=60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define SIZE 20 void main() {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0.C▶ 실행 중에 #define으로 정의한 심벌 값을 임의로 변경한 경우 #include <stdio.h> #define SIZE 20 void main() { int a; a=SIZE; printf("a=%d \n", a); SIZE=300; a=SIZE*3; } 여기서 에러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define에 의해 상수변수로 지정된 SIZE의 값은 프로그램 도중에 임의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행결과                                                                      이 예제는 컴파일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실행결과를 볼 수 없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define SIZE 20 void main() {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1.C▶ #define과 #undef 선행처리 명령을 이용한 경우 #include <stdio.h> #define SIZE 20 void main() { int a; a=SIZE; printf("a=%d \n", a); #undef SIZE #define SIZE 300 a=SIZE*3; } define에 의해 SIZE의 값은 20으로 정의하라는 선행처리 문장이다. 앞에서 정의된 SIZE에 기억된 상수 값을 취소시키라는 문장이다. 심볼 SIZE에 다시 300으로 재정의시키라는 문장이다. 실행결과            a=20 a=900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2.C▶ 프로그램 코드를 심벌로 정의한 경우 #include <stdio.h> #define PRINT(nai) printf("내 나이는 %d 살이다.\n", nai) void main() { int nai = 19; printf("나는 %d 살이다. \n", nai); PRINT( nai ); } 실행결과                              나는 19 살이다. 내 나이는 19 살이다. 이 문장에서 printf("내 나이는 %d 살이다.\n", nai); 문장을 수행하게 된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2) enum을 이용하는 방법 - enum은 열거 상수 값을 갖는 변수리스트를 만들 때 사용한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2) enum을 이용하는 방법 - enum은 열거 상수 값을 갖는 변수리스트를 만들 때 사용한다. - 이때 나열되는 리스트를 열거형상수라고 한다. - 열거형상수는 정수형 상수의 일종으로 동일한 용도로 쓰이는 상수들에게 그들을 대신할 수 있는 이름을 부여하여 열거해 둔 것이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enum 열거형명 { 상수명1=상수값, 상수명2=상수값, ... } 열거형변수; 3.4 상수 변수의 정의   [사용형식]   enum 열거형명 { 상수명1=상수값, 상수명2=상수값, ... } 열거형변수;   [사용 예]   enum NUMBER {  A=11, B=12, C=13, D=14, E=15, F=16 } counter; [설명]    ∙열거형명 : 열거해둔 상수가 어떤 상수들인지 그 상수들 전체에 대한 이름이다.  이  열거형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상수명 : 상수를 대신할 이름입니다. 변수명 같은 것이다. ∙상수값 : 열거형 상수명에 대한 실재 값을 지정하는 곳이다.          이 상수값 지정도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열거형변수 : 열거형상수 목록을 대표하는 변수를 선언하는 곳이다.               열거형변수 지정도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또 다른 사용 예] enum { A, B, C, D, E, F }; 3.4 상수 변수의 정의   [또 다른 사용 예]   enum { A, B, C, D, E, F };                  enum NUMBER {  A, B, C, D, E, F  };        enum {  A, B, C, D, E, F  } counter;         enum NUMBER {  A, B, C, D, E, F } counter; [설명] 위와 같이 열거형상수를 지정하면 프로그램 내에서 A에는 0, B에는 1, C에는 , D에는 3, E에는 4, F에는 5로 지정된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enum { A, B, C, D, E, F };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3.C▶ 상수 값 지정을 모두 생략한 경우 #include <stdio.h> enum { A, B, C, D, E, F }; void main() { int sum; sum=A+B+C+D+E+F; printf("합계: %d \n", sum); } 열거형 상수변수 A에는 0, B에는 1, C에는 2, D에는 3, E에는 4, F에는 5 값이 각각 지정된다 실행결과                   합계 : 15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enum { A=10, B, C, D, E, F };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4.C▶ 처음의 상수변수에만 상수 값을 지정한 경우 #include <stdio.h> enum { A=10, B, C, D, E, F }; void main() { int sum; sum=A+B+C+D+E+F; printf("합계: %d \n", sum); } 열거형 상수변수 A에는 10, B에는 11, C에는 12, D에는 13, E에는 14, F에는 15 값이 각각 지정된다 실행결과               합계 : 75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5.C▶ 모든 상수변수에 각각 상수 값을 지정한 경우 #include <stdio.h> enum { A=10, B=20, C=30, D=40, E=50, F=60 }; void main() { int sum; sum=A+B+C+D+E+F; printf("합계: %d \n", sum); } 열거형 상수변수 A에는 10, B에는 20, C에는 30, D에는 40, E에는 50, F에는 60 값이 각각 지정된다 실행결과             합계 : 210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6.C▶ 임의의 상수변수에만 상수 값을 지정한 경우 #include <stdio.h> enum { A=10, B, C=30, D, E=50, F }; void main() { int sum; sum=A+B+C+D+E+F; printf("합계: %d \n", sum); } 열거형 상수변수 A에는 10, B에는 11, C에는 30, D에는 31, E에는 50, F에는 51 값이 각각 지정된다 실행결과                  합계 : 183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7.C▶ 열거형명과 열거형 변수를 동시에 지정한 경우 #include <stdio.h> enum HAHA{ A=10, B, C=30, D, E=50, F } NUMBER; void main() { int sum; NUMBER=C; sum=A+B+C+D+E+F; printf("NUMBER: %d \n", NUMBER); printf("합계: %d \n", sum); } HAHA는 열거형명이다. NUMBER는 열거형변수이다. 실행결과                         NUMBER : 30 합계 : 183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8.C▶ 열거형명을 지정한 후에 열거형 변수를 지정한 경우 #include <stdio.h> enum HAHA{ A=10, B, C=30, D, E=50, F }; void main() { int sum; enum HAHA NUMBER; NUMBER=C; sum=A+B+C+D+E+F; printf("NUMBER: %d \n", NUMBER); printf("합계: %d \n", sum); } 열거형명 HAHA를 이용하여 열거형변수 NUMBER를 선언한 문장이다. 실행결과                     NUMBER : 30 합계 : 183

3.4 상수 변수의 정의 #include <stdio.h> 3.4 상수 변수의 정의 ◀3-29.C▶ 열거형 상수 값을 변경하는 경우(프로그램 에러 발생) #include <stdio.h> enum HAHA { A=10, B, C=30, D, E=50, F }; void main() { int sum; enum HAHA NUMBER; C = 333; NUMBER=C; sum=A+B+C+D+E+F; printf("NUMBER: %d \n", NUMBER); printf("합계: %d \n", sum); } 이 문장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프로그램 실행이 멈추게 된다. 그 이유는 한번 지정된 열거상수변수의 값을 프로그램 도중에 임의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행결과                          이 예제는 컴파일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실행결과를 볼 수 없다.

C 언어에서 일반변수와 상수변수 정의 시에 차이점은? 3.4 상수 변수의 정의 C 언어에서 일반변수와 상수변수 정의 시에 차이점은?

3.4 상수 변수의 정의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정수인 경우)  일반변수의 경우 int a=10; 3.4 상수 변수의 정의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정수인 경우)  일반변수의 경우 int a=10; int b=20; int c=30; int d=40; int e=50; (설명) 언제든지 a,b,c,d,e 의 변수 값을 바꿀 수 있다.  #define 의 경우 #define a 10 #define b 20 #define c 10 #define d 40 #define e 50 (설명) a,b,c,d,e 의 상수변수 값을 바꾸려면 #undef 명령을 이용해야만 한다.  Enum 의 경우 enum {a=10,b=20,c=30,d=40,e=50}; (설명) a,b,c,d,e 상수변수 값을 바꿀 수 없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소수점수인 경우)  일반변수의 경우 float a=10.1; 3.4 상수 변수의 정의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소수점수인 경우)  일반변수의 경우 float a=10.1; float b=20.2; float c=30.3; float d=40.4; float e=50.5; (설명) 언제든지 a,b,c,d,e 의 변수 값을 바꿀 수 있다.  #define 의 경우 #define a 10.1 #define b 20.2 #define c 10.3 #define d 40.4 #define e 50.5 (설명) a,b,c,d,e 의 상수변수 값을 바꾸려면 #undef 명령을 이용해야만 한다.  enum 의 경우 enum {a=10.1, b=20.2, c=30.3, d=40.4, e=50.5}; (설명) enum 에서는 위와 같이 실수 값을 상수변수로 표현할 수 없다. 그래서 위의 문장은 사용할 수 없는 잘못된 문장이다. 즉, 프로그램 에러이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문자인 경우)  일반변수의 경우 char a=‘A’; 3.4 상수 변수의 정의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문자인 경우)  일반변수의 경우 char a=‘A’; char b=‘B’; chat c=‘C’; char d=‘D’; char e=‘E’; (설명) a,b,c,d,e 의 변수 값을 바꾸려면 strcpy()라는 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해야만 한다.  #define 의 경우 #define a ‘A’ #define b ‘B’ #define c ‘C’ #define d ‘D’ #define e ‘E’ (설명) a,b,c,d,e 의 상수변수 값을 바꾸려면 #undef 명령을 이용해야만 한다.  Enum 의 경우 enum {a=‘A’, b=‘B’, c=‘C’, d=‘D’, e=‘E’}; (설명) a,b,c,d,e 상수변수 값을 바꿀 수 없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문자열인 경우)  일반변수의 경우 3.4 상수 변수의 정의  C 언어에서는 상수변수를 정의할 때(문자열인 경우)  일반변수의 경우 char a[5]=“aaa”; char b[5]=“bbb”; chat c[5]=“ccc”; char d[5]=“ddd”; char e[5]=“eee”; (설명) a,b,c,d,e 의 변수 값을 바꾸려면 strcpy()라는 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해야만 한다.  #define 의 경우 #define a “aaa” #define b “bbb” #define c “ccc” #define d “ddd” #define e “eee” (설명) a,b,c,d,e 의 상수변수 값을 바꾸려면 #undef 명령을 이용해야만 한다.  Enum 의 경우 (설명) enum 에서는 문자열을 기본적으로 상수변수로 표현할 수 없다.

3.4 상수 변수의 정의 퀴즈 풀어보기 교제 94 쪽 ( 30번~40번 )

제2장 연습문제 풀이 교제 97 쪽

Question and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