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STOR 기술자료 ㈜ 하 이 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기술가정 Ⅲ. 전기전자기술〉  1. 전기회로와 조명 2. 전기회로의 기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Advertisements

Ch.2 다이오드 응용.
2015 학습성과발표회 포스터 ISA법을 이용한 MCFC 성능측정 지도교수 : 이충곤 교수님 이기정 화학공학과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Chapter 9 정현파와 페이저.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근접센서(condet 시리즈) ▣ 물을 많이 사용하거나 순간 물 분사압력이 강한 산업 현장에서는 기존의 IP68 방수등급의 제품을 사용하시는 경우 침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격거리 10~15cm에서 80℃온도하에 80~100bar의.
정전유도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콘덴서의 접속 정전 에너지 정전기의 흡인력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점검 판정 기준표 구분 점검 항목 소요 장비 조건 판정 기준 판정 비교 엔진 2,500rpm 유지 충전불량 전류(A) 전류계 전압계 엔진 2,500rpm 유지 상태에서 하기와 같이 FULL.
Chapter 13 기타 연산 증폭기회로.
Pspice를 이용한 회로설계 기초이론 및 실습 4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실험 8. 연산증폭기 특성 목적 연산증폭기의 개관, 특성 및 사용법 이해 입력저항, 개루프 이득, 출력저항, 슬루레이트 등
Ohm’s Law (오옴의 법칙) V = I ∙ R.
전기공학실험 함수발생기 설계.
실험 11.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부하선 해석 방 기 영.
28장 전기회로.
정의 (정의) 레지스턴스 (Resistance) -저항의 영어 표현의 부품명으로 레이스터(Resister, 저항)의 값.
제 5장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ield Effect Transistor)
2015년 2학기 PULSE 4 전자물리실험 04-LED 조명 회로 - DSU 메카트로닉스 융합공학부 -
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화초등학교 조원석.
실험 3 - 비선형 연산 증폭기 회로와 능동 필터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 기 영.
실험1. 연산 증폭기 특성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기영.
Chapter 8 FET 증폭기.
제 10 장 다이오드(Diodes) 10.1 다이오드의 선형 모델 10.2 전원장치 10.3 기타 다이오드
컴퓨터 응용과 3학년 1반 조장 김영조 조원 구본건 , 임선택
기초 이론 윤석수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DC POWER SUPPLY의 소개”.
IV. 제조 기술과 자동화.
1장 전기 (Electricity) 전기 저항과 옴의 법칙 직렬 및 병렬 결합 전원 전력 종속 전원
pH-20N 사용방법 측정항목 pH 보정 (자동보정) Sensor 보관방법 기타 조작방법
Electronic Engineering 2
전 자 공 학 교재 : 그림으로 배우는 전자회로(신윤기)
RLC 회로의 공진 현상 컴퓨터 응용과학부 홍 문 헌.
VARISTOR 기술자료 ㈜ 하 이 엘.
임피던스 측정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Register, Capacitor.
실험4. 키르히호프의 법칙 실험5. 전압분배회로 실험6. 전지의 내부저항
Lab #2(Re). Series/parallel circuits
실험 12. Op Amp 응용회로.
DMX 통신선에 전원(24V) 연결 시 보호 회로 내장 ( 통신-IC 파괴되지 않음 )
Ⅰ. 전기와 자기 전압.
Copyright Prof. Byeong June MIN
5-9. 전기 에너지가 편리한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Flexible transparent electrode (FTE)
TFT-LCD 구조 동작원리 응용분야.
Lab #5. Capacitor and inductor
Chapter 5 트랜지스터 바이어스 회로.
Chap.5 Varistor.
Op-amp를 이용한 함수발생기 설계 제안서발표 이지혜.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Thevenin & Norton 등가회로 1등 : 임승훈 - Report 05 - 완소 3조 2등 : 박서연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전자회로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rory
홍수추적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Slide wire형 Wheatstone Bridge에 의한 저항 측정
Hall-Effect in Semiconductors
Loop and Nodal Techniques
3. 가전 기기의 선택과 관리(194P). 날이 갈수록 종류, 성능 및 기능이 다양함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실험 13. MOSFET 소스 공통 증폭기 1 조 방 기 영.
전하량 보존 항상 일정한 양이지! 전류의 측정 전하량 보존.
5-8. 전기 제품에 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Applied Electronic Circuit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교류 회로 AC circuit 1855 년 Duchenne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보다 근육을 자극하는데 효과적
Cuk LED driver output current ripple calculation
Ohm의 법칙, 에너지, 전력 전자 교육론 발 표 자 유 지 헌 발 표 일 2009년 09월 11일 E- mail
전기와 안전.
Presentation transcript:

VARISTOR 기술자료 ㈜ 하 이 엘

목 차 바리스터의 개요 1. 정의 2. 구성 3. 미세구조 및 전기전도 매커니즘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1. 주요용어 설명 목 차 바리스터의 개요 1. 정의 2. 구성 3. 미세구조 및 전기전도 매커니즘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1. 주요용어 설명 2. V-I 특성 3. 제한전압 특성 4. Surge 수명 특성 바리스터의 선정 시 고려사항 1. 바리스터전압 및 회로전압 2. 제한전압 3. 고장모드 4. 바리스터 병렬연결

바리스터의 개요 1. 바리스터(VARISTOR)의 정의 바리스터란 Variable Resistor의 약어로 인가전압에 따라 저항이 변하여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며 MOV(Metal Oxide Varistor), VDR(Voltage Dependent Resistor)로 불리기도 한다. 바리스터는 보호하고자 하는 부품이나 회로에 병렬로 연결하여 과도전압이 증가하면 낮은 저항 회로를 형성하여 과도전압이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막아준다.

바리스터의 개요 주 성 분 2. 바리스터의 구성 산화아연 (ZnO) 기타 특성개선 결정립계 형성 전기전도도 결정립 제어 향상 (Al 등) 결정립계 형성 (Bi) 결정립 제어 (Sb) 전기전도도 향상 (Co)

바리스터의 개요 3. 바리스터의 미세구조 및 전기전도 매커니즘 바리스터의 미세구조에서 ZnO 결정립(grain)은 매우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 입계면을 형성하고 있는 다른 산화물은 매우 큰 저항을 갖는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전류는 입계면이 적은 방향으로 흐르게 되며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은 수많은 미세 결정립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것은 바리스터의 물리적인 치수를 조절하여 전기적 특성을 컨트롤 할 수 있다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 입계의 직렬수 – 바리스터 전압 결정 제품의 두께를 높이면 바리스터 전압 상승 입계의 병렬수 – 서지내량 결정 제품의 면적을 넓히면 서지전류내량 상승 저항 매우 낮음 저항 매우 높음 5

(Max. continous Voltage)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1. 주요 용어 설명 바리스터 전압 (V1mA) 바리스터에 1mA의 전류를 흘렸을 때 양단에 걸리는 전압  바리스터 동작개시 전압 (SVR220D10B : 22V) 최대 정격 전압 (Max. continous Voltage) 바리스터에 연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최대 전압 (SVR220D10B : DC 18V, AC 14V) 클램핑 전압 (Vc) 1mA 이상의 서지 전류가 바리스터에 흐를 때 바리스터에 걸리는 전압 (바리스터에 의해 제한되는 전압, SVR220D10B : Max. 43V (5A)) 누설전류 (Leakage current) 바리스터 동작개시 전압 미만에서 바리스터에 흐르는 전류로 최대정격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측정한다. (SVR220D10B 누설전류 관리 기준 : 100㎂ (18VDC 인가) 서지전류내량 (Peak current) 서지전류는 과전압에 의해 순간적으로 흐르는 전류이며 바리스터가 버 틸 수 있는 서지전류의 최고치를 서지전류내량이라 한다. (SVR220D10B 서지전류내량 규격 : 500A (8/20㎲, 1회))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2. 바리스터의 V-I 특성 바리스터는 동작전압 이하에서는 저항이 매우 높아 절연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고 동작전압 이상에서 저항이 급격히 낮아져 전류를 흐르게 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여 V-I Curve는 비직선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폭넓은 범위에서의 특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Log-Log scale의 그래프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Voltage(V) 소전류 영역 (누설전류특성) 중전류 영역 (정상동작영역, 비직선성특성) 대전류 영역 (서지내량 특성) 1,000 100 ρ = 1012 ~ 1013 Ωcm 누설전류 측정 I=KVα 제한전압 측정 ρ = 1 ~ 10 Ωcm 서지내량 측정(내구성) K : 세라믹상수 α : 비직선형 상수 전압에 따라 전류 크게 변화 10-7 10-6 10-5 10-4 10-3 10-2 10-1 100 101 102 103 104 Current(A)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3. 바리스터의 제한전압 특성 제한전압(Clamping Voltage)이란 1mA 이상의 서지 전류가 바리스터에 흐를 때 바리스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말하며 이는 서지전압이 바리스터에 의해 제한됨을 의미한다. 최대 제한전압 (Max. Clamping voltage)은 V-I curve상에서 중전류영역(정상동작영역) 끝부분 직선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지점으로 바리스터가 정상동작할 수 있는 최대값을 의미한다. Voltage(V) 1,000 100 Vc V1 Vc / V1 = 1 에 근접할 수록 성능 우수 10-7 10-6 10-5 10-4 10-3 10-2 10-1 100 101 102 103 104 Current(A)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4. 바리스터의 Surge 수명 특성 바리스터는 Surge Energy에 반복해서 노출되게 되면 저항이 높은 결정립계 부분 중 취약한 부분이 차츰 파괴되어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데 바리스터 전압(V1mA)이 초기치에 대하여 ± 10% 이상 변화하였 경우 수명이 다한 것으로 본다. 수명이 다한 바리스터를 계속해서 사용하여 바리스터 전압이 입력전압의 최고치까지 저하하면 누설전류 증가로 인한 발열이 발생하는데 이는 바리스터 전압을 가속적으로 저하시켜 결국 바리스터의 단락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바리스터에 규정치 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누설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바리스터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Surge 결정립계 파괴 누설전류 증가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4. 바리스터의 Surge 수명 특성 Part No. Impulse life (1) X 104 times (8/20㎲) X 105 times (8/20㎲) SVR180D05B ~ 680D05B 8 A 5 A SVR180D07B ~ 680D07B 25 A 15 A SVR180D10B ~ 680D10B 50 A 35 A SVR180D14B ~ 680D14B 90 A SVR180D20B ~ 680D20B 130 A 65 A SVR820D05A ~ 471D05A 40A 25A SVR820D07A ~ 471D07A 100A 60A SVR820D10A ~ 112D10A 150A 85A SVR820D14A ~ 112D14A 200A 110A SVR820D20A ~ 112D20A 250A 120A

바리스터의 선정 시 고려사항 직류전압 (DC) VIN(DC) ≤ V1mA Min. * 0.9 교류전압 (AC) 바리스터전압은 최대 회로전압에 의하여 결정된다. 직류전압 (DC) VIN(DC) ≤ V1mA Min. * 0.9 교류전압 (AC) VIN(AC) ≤ V1mA Min. / √ 2 Ex) SVR220D10B V1mA : 20 ~ 24 V (22 ± 10%) VIN(DC) ≤ 18VDC (=20*0.9) 적정입력전압 : 12 ~ 14 VDC (최대입력전압의 70 ~ 80%) Ex) SVR220D10B V1mA : 20 ~ 24 V (22 ± 10%) VIN(AC) ≤ 14VAC (=20 / 1.414) 적정입력전압 : 10 ~ 11 VAC (최대입력전압의 70 ~ 80%) 11

바리스터의 선정 시 고려사항 제한전압 < 피보호부품(회로) 내압 제한전압⇩ 바리스터 사이즈⇧ 2. 제한전압 바리스터의 최대제한전압은 보호하고자 하는 부품이나 회로의 내압보다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제한전압 < 피보호부품(회로) 내압 제한전압⇩ 바리스터 사이즈⇧ Ex)SVR220D10B 최대제한전압 : 43V(5A, 8/20㎲) 피보호부품(회로)의 내압 > 43V D10B  D20B : 43V(5A)  43V(20A) Voltage (V) D05 D07 D10 D14 D20 43 1 2.5 5 10 20 Current(A) 12

바리스터의 선정 시 고려사항 3. 고장모드 회로 SHORT 바리스터 동작 불능 적용 인자 Failure Mechanism Failure Mode 정격 이상의 과도한 SURGE 유입 소성체 내부 결정립계의 파괴 정격 이상의 반복적인 SURGE 유입 소성체 내부 결정립계의 열화 회로 SHORT 정격 온도 이상에서의 지속적인 사용 도장재 부식 신나 및 아세톤 분위기 에서의 지속적인 사용 KINK부 의 단선 진동이 심한곳에서의 지속적인 사용 바리스터 동작 불능 Soldering부 Melting에 의한 단선 정상전압 이상에서의 지속적인 사용 13

바리스터의 선정 시 고려사항 3. 고장모드 바리스터의 고장모드는 간혹 단선에 의한 바리스터 동작불능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SHORT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SHORT 형태의 고장에 대비하기 위하여 Fuse를 아래의 기준에 준하여 바리스터와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바리스터 사이즈 D05 D07 D10 D14 D20 적용 Fuse (A) 1 ~ 2 2 ~ 3 3 ~ 5 3 ~ 10 5 ~ 15 14

바리스터의 선정 시 고려사항 0.7 병렬회로에서의 서지전류내량 4. 바리스터의 병렬연결 바리스터의 서지전류 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바리스터의 사이즈(면적)를 증가 시키면 되지만 구조물의 공간 문제등으로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힘들 경우에는 바리스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병렬회로 구성 시 서지전류 내량은 동일면적의 단품 바리스터의 70% 수준으로 효율이 떨어지는데 이는 서지전류가 분할되는 과정에서 저항이 낮은 바리스터 쪽으로 전류가 집중되는 현상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때문에 병렬회로 구성 시에는 바리스터 전압이 비슷한 제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병렬회로에서의 서지전류내량 Ip = 0.7 * Is * n (Is : 단품서지내량, n : 병렬 연결수) Ex) SVR220D10B 2EA 병렬 연결  0.7 * 500A/EA * 2EA = 700A 0.7 (전체면적 동일)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