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05 김 형 진 (kim@jbnu.ac.kr)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인터넷의 활용 Chapter 05 2013. 05 김 형 진 (kim@jbnu.ac.kr)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4 장 인터넷 창병모 네트워크 구성 2 LAN(Local Area Network) LAN  근거리 통신망으로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이 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 이더넷 (Ethernet)  제록스 PARC.
Advertisements

01 학습 내용 : 준비학습 : 인터넷 과 웹 01 장. 인터넷 이해하기 02 장. 홈페이지를 만들기 전에.
정보기술의 기본 CAD/CAM Lab 석사 1 학기 김종규. 0. Data vs Information vs Knowledge data information knowledge 단편적 사건 의사결정에 필요한 data 의 교환이 되어야 정보 시너지 효과 Info + info.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 2. 컴퓨터 통신 2.1 컴퓨터 통신 장비 ~ 고성능 컴퓨터. 전화선이나 전용선, 모뎀이나 통신카드, 통신용 프로그램 컴퓨터 IBM AT (286) 호환 기종 – 문자 서비스만 IBM AT (486-RAM 16MB) 급 호환 기종이상.
학습목표 통신과 네트워크의 개념 컴퓨터 통신망 인터넷 정의 및 역사 인터넷 주소 체계 웹 서비스의 정의 및 특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IP 네트워크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이 상 정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제 09 장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한국대학교 홍길동 교수.
조준희 (Cho, Junhee) TCP/IP 조준희 (Cho, Junhee)
Domain Name System.
PC와 인터넷 정강수 컴퓨터 구조와 웹의 이해 PC와 인터넷 정강수
HTML5 웹 프로그래밍 입문 (개정판) 1장. 인터넷과 웹환경의 발전.
6장 인터넷 서비스와 활용 6.1 인터넷의 역사와 사용환경 6.2 웹(WWW)과 홈페이지 6.3 인터넷/웹 기반 서비스
2 장 인터넷의 구성 및 접속.
3장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Chapter 7 Networking.
정보활용 능력과정 경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김 현성
7.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의 이해 임순범.
전자상거래 보안입문.
Switching 기술 II(L4, L5, L7).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nam Univ. Won Goo Lee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Chapter 04. 웹 보안 : 웹, 그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성장한 해킹
Network 네트워크 이론 및 실습 TCP / IP 4장.
ARP TARM PROJECT 1조 신영민.
1장. JSP 및 Servlet을 활용한 동적 웹 프로그래밍 소개 제1장.
2 장 인터넷의 개요.
Domain Name System 중앙대학교 안봉현
PART 01 개념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3 OSI 참조모델과 인터넷 임효택.
10. About TCP / IP SPARCS 08 우성필.
웹과 PHP를 이해하고 APM 설치 방법을 알아보자!
Internet 및 EC 관련 기술들.
제 16 장 DNS 16.1 네임공간 16.2 도메인 네임공간 16.3 네임공간의 분포 16.4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DNS
Domain Name System (DNS)
Chapter 02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4주 : 정보통신 네트워크 인터넷정보원 및 학술정보자원의 활용 담당교수 : 박 양 하 정보통신시스템 – 정보전송/처리시스템
7장: 원격 통신 인터넷과 온라인 자원의 사용.
인터넷의 작동 원리 PARSONS/OJA 인터넷.
도메인 이름 서비스 (Domain Name Service)
11장 사이버 가버넌스: 자유와 공유.
한국마사회 ADSL 장애처리 방법 2003년 5월 16일.
JAVA 프로그래밍 12장 네트워킹(Networking).
제3장 인터넷과 정보통신.
정보처리개론 IV. 인터넷.
인터넷 보안 정보 보안 개론 5장.
DASR-288 및 D-3000 Easy Manual 작성일자 : 2015년 12월 24일 INTER-M C/S팀 김인호
제 14 장 도메인 네임 시스템 정보통신연구실.
웹서버와 설치에 필요한 것 WWW ( world wide web )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인터넷의 활용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PART 01 개념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3 OSI 참조모델과 인터넷 임효택.
DHCP 김영석 박대혁 신영주.
04장 웹 보안: 웹, 그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성장한 해킹
시스템 운영계획 통신 케이블 제작 엑세스 포인트, 스위치, 라우터 설치 및 환경구성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인터넷 서비스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인터넷.
1강_web과 html Web이란? HTML이란? CSS란? Lecturer Kim Myoung-Ho Nickname 블스
Ipv6 네트워크 프로토콜.
<정보 활용 능력> 담당 교수: 박용대
<정보 활용 능력> 담당 교수: 박용대
연구책임자용 충남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홈페이지 연구 책임자&담당자 매뉴얼 Date version 1.0.
초기화면 인터넷의 이해 Ⅳ. 컴퓨터와 생활> 2. 인터넷의 활용> 기술·가정 2학년 2학기
컴퓨터 개론 √ 원리를 알면 IT가 맛있다 쉽게 배우는 컴퓨터 기본 원리 한빛미디어 교재출판부.
Ⅳ. 컴퓨터와 생활.
웹 기획 강의(8) PowerYouth.
컴퓨터활용능력 필기 2급 정리.
Virtual Private Networks,
Internet 인공지능연구실
HTML 1강 웹의 개념 이해 홈페이지 제작교실 다음카페 – 아이시 - 이시형 -.
웹 서비스 서버 구축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Windows 운영체계에 포함됨
제2부 3장 인터넷 인터넷 ( a global network of networks )
Presentation transcript:

2013. 05 김 형 진 (kim@jbnu.ac.kr)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인터넷의 활용 Chapter 05 2013. 05 김 형 진 (kim@jbnu.ac.kr)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1-1 인터넷 정의 인터넷(internet) 1. 인터넷이란? 어떠한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정의를 내릴 수 있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라고 정의 전 세계에 퍼져 있는 컴퓨터 간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컴퓨터와 통신망을 연결해놓은 최대의 컴퓨터 네트워크

1-1 인터넷 정의 인터네트워킹과 인터넷의 정의 1. 인터넷이란? 인터네트워크(Internetwork) LAN 또는 WAN 등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여 만들어진 복잡한 네트워크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인터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과정 또는 방법. 하나의 통신 기준을 바탕으로 종류가 다른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므로 다양한 하드웨어 기술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요함 관련 장비는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 인터네킹으로 구성된 대표 네트워크는 인터넷(Internet)

1-1 인터넷 정의 인터넷의 기반 프로토콜 1. 인터넷이란? TCP/IP 기술 가정과 대학 캠퍼스, 학교, 기업, 정부 연구기관 등을 서로 연결하여 전 세계적 규모의 인터넷을 구성하는 기반을 만듦 4계층(네트워크 접근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 계층, 응용 계층)으로 구성 OSI 7계층과 비교하면 네트워크 접근 계층은 1, 2계층에, 인터넷 계층은 3계층에, 전송 계층은 4계층에, 응용 계층은 5~7계층에 대응

1. 인터넷이란? 1-1 인터넷 정의 인터넷의 계층별 대표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4계층으로 구성

1-1 인터넷 정의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하는 과정 1. 인터넷이란? 1-1 인터넷 정의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하는 과정 송신 측 최상위 계층(응용 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는 하위 계층으로 차 례로 전달. 각 계층에서는 헤더 정보에 전달 받은 데이터에 헤더 정보를 추가해 바로 아래 계층으로 전달 한 단계 낮은 계층에서는 전달받은 데이터(헤더1+데이터)를 하나의 데 이터로 취급하고 또 다시 새로운 헤더(헤더2)를 추가해(헤더2+헤더1+ 데이터) 다시 바로 아래 계층으로 전달. 이 과정을 거쳐 최하위 계층(네 트워크 접근 계층)에 도달 송신 측에 있는 최하위 계층의 데이터는 원래의 데이터에 여러 개의 헤 더가 씌어진 형태(캡슐화) 수신 측 최하위 계층(네트워크 접근 계층)에서의 데이터는 헤더가 여러 개 씌어진 형태. 각 계층의 헤더에 해당되는 부분을 벗겨내며 수신측의 최상위 계층으로 전달(캡슐 해제)하여 송신 측 최상위 계층에서 보낸 원래의 데이터(헤더 가 없는 데이터)가 수신 측 최상위 계층(응용 계층)에 정확하게 전달

1. 인터넷이란? 1-1 인터넷 정의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하는 과정

1-1 인터넷 정의 미국의 연방 네트워크 위원회(FNC: Federal Networking Council)의 인터넷 정의 1. 인터넷이란? 1-1 인터넷 정의 미국의 연방 네트워크 위원회(FNC: Federal Networking Council)의 인터넷 정의 IP(Internet Protocol)에 기반을 둔 유일한 주소체계로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범 세계적인 정보시스템(Global Information System) TCP/IP를 사용하여 상호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시스템 누구나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과 관련 인프라 구조에 기초를 둔 고차원의 서비스 (High level service) 크롤과 호프만(Krol & Hoffman)의 인터넷 정의 TCP/IP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A network of networks based on the TCP/IP protocol)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의 공동체 (A community of people who use and develop those networks)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하게 되는 정보자원의 집합 (Collection of resources that can be reached from those networks) 사람들 간의 관계를 맺어주는 가상공간

1-1 인터넷 정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일들 1. 인터넷이란? 쉽고 빠르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쉽게 찾을 수 있고 만날 수 있다. 자기의 관심 분야에 대한 최신 정보를 받아 볼 수 있다. 자기의 정보를 인터넷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치나 거리에 관계없이 공동연구 및 작업을 할 수 있다. 전 세계의 수많은 정보에 접근하고 획득할 수 있다. 컴퓨터 간에 데이터의 처리 및 전송을 할 수 있다. 혼자 혹은 여러 사람과 같이 게임과 오락을 즐길 수 있다.

1-2 인터넷 역사 최초의 네트워크, ARPANET(1969) 1. 인터넷이란? 1-2 인터넷 역사 최초의 네트워크, ARPANET(1969) 미국 국방성의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는 일정지역에 대한 폭탄 폭격과 같은 긴급 사태에도 장애를 받지 않고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통신망 구축을 연구하여 네트워크를 개발 연구기관에도 보급되면서 기능이 확대되고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사이에 적용하는 일정한 약속이나 규정인 표준 규약이 만들어짐 ARPANET 이후 연구 목적의 미 과학재단 네트워크인 NSFNET(National Science Foundation Network)이 연결(1986) 일반 상업적인 목적의 네트워크가 연결(1990년 이후)되면서 현재의 인터넷으로 발전

1. 인터넷이란? 1-2 인터넷 역사 인터넷의 초기에는 E-mail, FTP(File Transfer Protocol), 뉴스그룹(newsgroup) 등으로 학자들이나 전문인들이 사용하는 등 소규모로 사용 1991년 유럽 입자물리연구소(CERN, Conseil Europeen pour la Recherche Nucleaire)의 WWW(World Wide Web) 서비스가 개발되어 일반인들도 쉽게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됨 인터넷 기술에 있어 최근에 나타난 두 가지 변화는, 인트라넷(intranet)과 엑스트라넷(extranet)이며, 이들 역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

1-2 인터넷 역사 TCP/IP 1. 인터넷이란? 인터넷의 기본적인 통신 프로토콜 2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

1-2 인터넷 역사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1. 인터넷이란? 기업 내에 속해 있는 사설 네트워크 회사의 정보나 컴퓨팅 자원을 직원들 간에 서로 공유하고, 여러 그룹 간의 업무나 화상회의 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엑스트라넷 일부 비즈니스 정보를 고객 또는 다른 비즈니스 업체들과 안전하게 공유하기 위해, IP와 공중전화망을 사용하는 사설망 인트라넷을 마치 외부에 있는 사용자들에게까지 확장한 형태

1-2 인터넷 역사 웹 브라우저(web browser) 1. 인터넷이란? 웹 서버에서 쌍방향 통신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나 파일과 연동하고 출력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의미 웹 서버를 통해 보이는 HTML 문서들은 상호 링크된 형태로 제공 링크된 문서들의 가장 큰 집합은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

정의 인터넷 홈페이지들이 저마다 갖는 주소 원하는 사이트들을 찾아 다닐 때 사용 이름 내용 2. 인터넷 주소 정의 인터넷 홈페이지들이 저마다 갖는 주소 원하는 사이트들을 찾아 다닐 때 사용 이름 내용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들이 가지는 주소로서 4개~6개의 숫자로 구성 예) 교육과학기술부 192.245.250.35 도메인 네임(domain name) IP 주소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문자로 구성된 고유한 이름 예) 교육과학기술부 www.mest.go.kr

2-1 IP 주소 IP 주소 2. 인터넷 주소 TCP/IP 체계의 인터넷에서 각각의 컴퓨터들을 구분해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 IP 주소를 읽기 편하도록 1byte마다 점(.)을 찍어서 4개 부분으로 나누어 표기 IP 주소는 2진수로 표현된 것을 읽기 편하도록 또다시 10진수로 바꾸어 표기 교육과학기술부의 홈페이지에 접근하기 위한 IP 주소는 192.245.250.35와 같은 방식

2-1 IP 주소 IP 주소의 구성 IP 주소 = 네트워크 넘버 + 호스트 넘버 2. 인터넷 주소 Pv4를 기준으로 할 때, 네 개의 숫자 중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넘버고 어디까지가 호스트 넘버냐에 따라 IP 주소는 세 개의 Class로 나뉨 IP 주소 = 네트워크 넘버 + 호스트 넘버

2. 인터넷 주소 2-1 IP 주소 IP 주소 체계 IP 주소는 네트워크 번호와 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부여되는 호스트 번호로 구성 IP 주소 체계는 클래스 A~E까지 5종류며, 첫 번째부터 세 번째 비트까지 번호를 할당하여 클래스 구분

2-1 IP 주소 IP 주소 체계 2. 인터넷 주소 A 클래스 B 클래스 C 클래스 D 클래스 E 클래스 첫 번째 비트가 0인 주소로, 범위는 1.X.X.X~127.X.X.X 64.X.X.X라면 64.0.0.0과 64.255.255.255은 특수 목적, 나머지는 망에 있는 호스트 주소. 호스트 주소는 16,777,214(256*256*256-2)개. 64.0.0.0은 서브망 주소 B 클래스 첫 번째와 두 번째 비트가 각각 1, 0인 주소로, 범위는128.0.X.X~191.255.X.X 149.11.X.X라면 149.11.0.0와 149.11.255.255은 특수 목적, 나머지는 망에 있는 호스트 주소. 호스트 주소는 65,534(256*256-2). 149.11.0.0은 서브망 주소 C 클래스 첫 번째~세 번째 비트가 각각 1, 1, 0인 주소로, 범위는 192.0.0.X~255.255.255.X 249.11.1.X라면 249.11.1.0과 249.11.1.255은 특수 목적. 나머지는 망에 있는 호스트 주소. 호스트 주소는 254(256-2). 249.11.1.0은 서브망 주소 D 클래스 첫 번째~네 번째 비트가 각각 1, 1, 1, 0인 주소로, 나머지 28비트를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 범위는 224.X.X.X~239.255.255.255 E 클래스 첫 번째~네 번째 비트가 각각 1, 1, 1, 1인 주소로, 향후 사용하려고 남겨둔 예비/실험용 주소. 범위는 240.X.X.X~247.255.255.255

2-1 IP 주소 Class A Class B 2. 인터넷 주소 주소 범위 : 0.0.0.0 ~ 127.0.0.0 256*256*256개의 IP를 자유로이 할당 Class B 근거리 통신망과 호스트를 포함한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앞의 두 숫자가 네트워크 넘버고 뒤의 두 숫자가 호스트 넘버 주소 범위 : 128.0.0.0 ~ 191.255.0.0 256*256개의 IP를 자유로이 할당

2. 인터넷 주소 2-1 IP 주소 Class C 일반적으로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처음 세 숫자가 모두 네트워크 넘버고 나머지 하나만 호스트 넘버 주소 범위 : 192.0.0.0 ~ 223.255.255.0 256개의 IP를 자유로이 할당

2-1 IP 주소 Class D Class E 2. 인터넷 주소 멀티캐스팅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멀티클래스라고도 불리며, 실생활에는 사용되지 않음 주소 범위 : 24.0.0.0 ~ 239.255.255.0 Class E 장래에 사용하기 위한 예비 목적용 혹은 실험용 클래스

2-1 IP 주소 익명연결(anonymous)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IP 주소 2. 인터넷 주소 클래스 B 네트워크에 속하는 IP 주소 중 61. 50. 0. 0과 61. 50. 255. 255는 특수한 용도로 사용 익명연결(anonymous) 마지막 숫자가 0인 주소네트워크 내의 호스트의 주소를 특별히 밝히지 않을 때 사용되는 주소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마지막 숫자가 255인 주소네트워크 61. 50. 255. 255라는 주소로 어떤 데이터를 보내면 61. 50. x. x에 물린 모든 호스트로 해당 데이터가 전송

2-1 IP 주소 특수한 IP 주소(private address) Class IP Class A 10. 0. 0. 0 2. 인터넷 주소 2-1 IP 주소 특수한 IP 주소(private address) 익명연결과 브로드캐스트 주소 이외에도 각 클래스의 외부로는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주소 데이터 패킷(packet)이 게이트웨이(gateway)를 거쳐서 외부로 나가지 않고 해당 네트워크 안에서만 머무는 주소 루프백(Loopback) 컴퓨터 자신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특수한 IP 주소 http://127.0.0.1이라고 입력하거나 http://localhost라고 입력 Class IP Class A 10. 0. 0. 0 Class B 172. 16. 0. 0 ~ 172. 31. 0. 0 Class C 192. 168. 0. 0 ~ 192. 168. 255. 0

2-1 IP 주소 DOS 모드에서 내 컴퓨터의 IP 주소 알아보기 2. 인터넷 주소 시작 버튼을 눌러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 입력란에 “cmd”를 입력, 실행 까만 콘솔 모드의 DOS 창이 나타나게 되면 “ipconfig”라고 입력 후 Enter를 치고 자신의 컴퓨터의 IP를 확인

2-1 IP 주소 Windows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활용한 IP 주소 알아보기 2. 인터넷 주소 [시작] → [제어판]을 클릭

2-1 IP 주소 Windows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활용한 IP 주소 알아보기 2. 인터넷 주소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클릭

2-1 IP 주소 Windows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활용한 IP 주소 알아보기 2. 인터넷 주소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서 “로컬 영역 연결”을 클릭

2-1 IP 주소 Windows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활용한 IP 주소 알아보기 2. 인터넷 주소 로컬 영역 연결 상태 창에서 [속성]을 클릭

2-1 IP 주소 Windows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활용한 IP 주소 알아보기 2. 인터넷 주소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서 “Internet Protocol Version 4(TCP/IPv4)”을 선택하고, [속성] 버튼을 클릭하면 IP를 확인

2-1 IP 주소 IPv6(IP Version 6) 2. 인터넷 주소 호스트 주소 자동 설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순간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주소를 부여 패킷 크기 확장 특정 호스트 사이에 임의로 큰 크기의 패킷을 주고받는 것이 가능 효율적인 라우팅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확장 및 옵션기능의 확장이 용이한 구조로 정의 플로우 레이블링(flow labeling) 특정 트래픽은 별도의 특별한 처리(실시간 통신 등)를 통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 인증 및 보안 기능 패킷 출처 인증과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 보장 기능을 IP 프로토콜 체계에 반영 이동성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같은 주소를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이동

2-2 도메인 네임 정의 도메인 네임의 구조 2. 인터넷 주소 인터넷을 사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 숫자 대신 그에 대응하는 단어를 사용 도메인 네임의 구조 도메인 네임은 영문 알파벳, 숫자, -(dash, hyphen) 등으로 구성

2-2 도메인 네임 인터넷의 주소 체계 2. 인터넷 주소 도메인 네임 서비스(DNS, Domain Name System) 인터넷 도메인명과 IP 주소와 대응시켜 주는 거대 규모의 분산 시스템 인터넷 도메인명에서 IP 주소로의 변환을 해주는 프로토콜이 예 URL(Uniform Resources Locator) 인터넷에서 자원의 위치를 통일적으로 표현하는 주소 웹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면 그 URL이 가리키는 웹 서버에 있는 하이퍼미디어들의 문서를 찾는 주소로 사용

2. 인터넷 주소 2-2 도메인 네임 도메인 네임의 체계 도메인은 루트(root)라 불리는 도메인 이하에 역 트리(inverted tree)모양을 이루어 계층적으로 구성 1단계 도메인 또는 최상위 도메인(TLD, Top Level Domain) 2단계 도메인(SLD, Second Level Domain)

도메인 종류 일반 최상위 도메인 : 현재 총 17개가 존재 2. 인터넷 주소 .com : Commercial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나 회사 .net : Network 네트워크에 관련된 기관 .org : Organization 비영리 목적의 기관이나 단체 .gov : Government 미국연방정부 관련 기관 .edu : Education 학위를 수여하는 교육기관 .mil : Military 미국연방정부 군사기관 .int : International 유엔 등의 국제기관 .biz : Business 일반 범용 도메인,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회사 또는 기업 .info : Information 일반 범용 도메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name : 일반 개인용 도메인, 개인의 성이나 이름 .aero : 영리 도메인, 등록제한 항공물류를 제공하는 산업 .coop : 비영리 도메인, 등록제한 비영리 협동조합 .museum : 비영리 도메인, 등록제한 박물관 등의 예술활동에 관련된 기관

도메인 종류 일반 최상위 도메인 : 현재 총 17개가 존재 국가 최상위 도메인 2. 인터넷 주소 .pro : Professional 전문직 개인용 도메인, 등록제한 의사, 변호사 등의 전문직 종사자 .cat : 카탈로니아 언어/문화 jobs : 취업 관련 사이트 .mobi : 휴대 장치를 위한 사이트 .travel : 여행사, 항공사, 호텔 등 .tel : 전화 네트워크와 인터넷 사이의 연결을 관장하는 서비스 .asia : 아시아 지역을 대표 .eu : 유럽 연합의 회사 국가 최상위 도메인 각 나라별 도메인이 정해져 있고, 현재 총 248개가 사용 우리나라의 경우 .kr 도메인을 사용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