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8 가상 회선망 : 프레임 중계와 ATM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opyright © 2006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McGraw-Hill Technology Education Copyright © 2006 by The McGraw-Hill Companies,
Advertisements

1 Chapter 1-1 컴퓨터 네트워크. 2 요약  제 1 장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 통신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 프로토콜 (Protocol) 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  교환 네트워크 (Switching Network)  점대점.
16장 X.25 패킷 교환망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제 3 장 기반 기술 3.1 전송매체 3.2 근거리 통신망 3.3 교환 3.4 광역 통신망 3.5 연결 장치 3.6 요약.
Data Communications 제 7 장 기기간의 접속규격.
3 장 OSI 기본 참조 모델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Underlying Technologies
8-4. ATM 특 징 장 점 단 점 데이터를 53byte의 고정된 크기의 Cell단위로 전송.
20장 SONET/SDH 20.1 동기 전송 신호 20.2 물리적인 구성 20.3 SONET 계층 20.4 SONET 프레임
18장 SONET/SDH 18.1 동기 전송 신호 18.2 물리적 구성 18.3 SONET 계층 18.4 SONET 프레임
24 장 TCP/IP 24.1 개요 24.2 네트워크층 24.3 주소 지정 24.4 서브넷팅틍
19장 비동기 전송방식(ATM) 19.1 설계 목표 19.2 ATM 구조 19.3 교환 19.4 교환기 구조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17장 ATM 망 17.1 설계 목표 17.2 ATM 접속 형태 17.3 ATM 프로토콜 구조 17.4 요약.
9장 데이터 링크층 개요 (Introduction To Data-Link Layer)
Underlying Technologies
Chapter 8 교환 (Switching).
Chapter 8 교환 (Switching).
PPP (Point-to-Point Protocol)
제 15 장 점 대 점 프로토콜 15.1 천이상태 15.2 PPP 계층 15.3 링크 제어 프로토콜 15.4 인증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15장 X.25 패킷 교환망 15.1 X.25 계층 15.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5.3 요약.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제 19 장 TFTP 19.1 메시지 19.2 연결 19.3 데이터 전송 19.4 UTP 포트 19.5 TFTP 예제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3 장 광역 통신망(WAN) 13.1 점대점 WAN 13.2 교환형 WAN 13.3 ATM LAN 13.4 요약.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Frame Relay Prof. Choong Seon HONG.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Lab.
3장 OSI 기본 참조 모델과 TCP/IP 3.1 OSI 기본 참조 모델 3.2 계층별 기능 3.3 TCP/IP 프로토콜 그룹
Chapter 15 LAN 연결, 백본망과 가상 LAN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TFTP)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22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OSI Reference Model.
18 장 가상회선교환:프레임 중계와 ATM 18.1 가상회선교환 18.2 프레임 중계 18.3 비동기 전송 방식 18.4 요약.
21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18장 비동기 전송방식(ATM) 18.1 설계 목표 18.2 ATM 접속 형태 18.3 ATM 프로토콜 구조 18.4 요약.
OSI 7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 OSI 7계층 구조.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9 TCP의 이해 학습 목표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해한다.
McGraw-Hill Technology Education
Chapter 4 네트워크 계층 소개.
16 장 네트워크 보안 : 방화벽과 VPN 16.1 개요 16.2 기밀성 16.3 전자 서명 16.4 인터넷 보안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21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1.1 중계기(Repeaters) 21.2 브릿지(Bridges)
Data Communications 제 4 장 OSI 참조 모델 정보보호학과 양 계 탁.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2 네트워크 모델 학습 목표 모듈 개념을 알아보고 계층 구조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6.2.3 OSI 계층화의 개념 학습내용 (N) 접속(connection) 데이터단위(Data Unit)
3 네트워크 기술 학습 목표 회선 교환 시스템과 패킷 교환 시스템의 차이와 원리를 이해한다.
Chapter 18 Virtual Circuit Switching : Frame Relay and ATM
Chapter 26 IP over ATM.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ATM - 다양한 종류의 Service 가능 - LAN 과 WAN 에 모두 적합하다. - 전세계적으로 인정된 표준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Chapter 27 Mobile IP.
13장 유선 LAN: 이더넷 (Wired LANs: Ethernet)
LAN의 구성요소 학습내용 서버 클라이언트 NIC(Network Interface Card) 전송매체
7 IP 프로토콜의 이해 학습 목표 네트워크 계층의 필요성과 역할을 이해한다.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The OSI Model and TCP/IP Protocol Suite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4. IP 데이터그램과 라우팅 (6장. 인터넷과 IP) IP 데이터그램 : 특정 물리망에 종속되지 않은 가상의 패킷 형식.
빠른 인쇄하는 방법 등록정보를 클릭한다. 인쇄품질을 고속으로 한다.
ARP.
Presentation transcript:

Chapter 18 가상 회선망 : 프레임 중계와 ATM Copyright ©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18-1 프레임 중계 프레임 중계(frame relay)는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에 새로운 WAN 요구에 부응하여 설계된 가상회선 광역통신망기술이다.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Architecture Frame Relay Layers Extended Address FRADs VOFR LMI

공공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T-1 회선이나 T-3 회선 임대로 인한 단점 X.25 패킷교환망의 단점 64 kbps의 낮은 전송률 사용 데이터링크층과 네트워크층에 흐름/오류 제어 방식 사용으로 큰 오버헤드 공공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T-1 회선이나 T-3 회선 임대로 인한 단점 한 기관이 n개의 지점이 있으면 n(n-1)/2 개의 T1 또는 T3 회선 필요 제공 서비스가 항상 고정된 데이터 전송률이라 가정

프레임 중계망이 갖는 특성 높은 전송 속도(1.544Mbps 또는 44.376 Mbps) 물리층과 데이터링크 층에서만 동작 버스트 데이터(bursty data) 허용 기존의 다른 WAN 보다 저렴 데이터 링크층만 오류 검출

프레임 중계망

프레임 중계에서 VCI는 DLCI라고 불린다. VCIs in Frame Relay are called DLCIs. VCI(Virtual Circuit Identifier) DLCI(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영구 가상 회선(PVC, permanent virtual circuit) 단순하게 발신지 DLCI와 목적지 DLCI로 교환기에 의해 연결 설정 교환 가상 회선(SVC, switched virtual circuit) 일시적으로 만들어져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만 존재 교환기 프레임 경로를 위한 표를 가짐 입력 포트-DLCI 조합을 출력 포트-DLCI 조합으로 맞춤

프레임 중계 계층 구조

교환 가상 회선(SVC, switched virtual circuit) 프레임 중계 계층 구조 물리층 : ANSI에서 인정하는 모든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링크층 : 흐름제어와 오류제어를 제공하지 않는 프로토콜 사용, 오류 검출 절차만 가짐 교환 가상 회선(SVC, switched virtual circuit) 일시적으로 만들어져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만 존재 교환기 프레임 경로를 위한 표를 가짐 입력 포드-DLCI 조합을 출력 포트-DLCI 조합으로 맞춤

Frame Relay operates only at the physical and data link layers. 프레임 중계는 오직 물리층과 데이터 링크층에서만 동작한다. Frame Relay operates only at the physical and data link layers.

Frame Relay frame

by the upper-layer protocols. 프레임 중계는 흐름 제어 또는 오류 제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들은 반드시 상위계층 프로토콜에서 제공되어야만 한다. Frame Relay does not provide flow or error control; they must be provided by the upper-layer protocols.

3 가지 주도 형식

FRAD 다른 프로토콜로부터 오는 프레임 처리를 위해 사용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18-2 ATM 비동기 전송방식(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은 ATM 포럼에 의해 설계된 셀 중계(cell relay) 프로토콜이며 ITU-T(국제통신연합)에 의해 채택되었다.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Design Goals Problems Architecture Switching ATM Layers

ATM 설계 시 고려 사항 고속 전송률 매체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전송시스템 필요 기존 시스템 패킷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비용이 적게 들게 설계 다른 것과 호환성을 갖도록 기존의 전기통신 구조 체계 지원 정확성과 예측 가능한 배달을 보증하기 위한 연결 중심(connection-oriented) 하드웨어에 많은 기능을 부여하여 소프트웨어 기능 처리로 인한 감속 제거

패킷 네트워크 헤더와 트레일러 정보는 전송에 필요한 각종 정보로 전달하지만 많은 오버헤드를 갖는다.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복잡도를 갖는 패킷을 사용한다. 네트워크가 복잡해짐에 따라 헤더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다. 데이터 필드의 크기를 크게 늘린 프로토콜도 있다. 다양한 패킷의 크기(200~65,545 바이트) 제공

서로 다른 프레임 길이를 이용한 다중화

A cell network uses the cell as the basic unit of data exchange. 셀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교환의 기본단위로 셀을 사용한다. 셀은 작고 고정 크기의 블록 정보로 정의된다. A cell network uses the cell as the basic unit of data exchange. A cell is defined as a small, fixed-size block of information.

ATM 설계 시 고려 사항 셀 네트워크 : 고정된 크기(53 바이트)의 작은 데이터 단위인 셀(cell) 이용

다중화

ATM 망의 구조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간 인터페이스

TP(Transmission path) TP, VP, 와 VCs TP(Transmission path) VP(virtual path) VC(virtual circuit)

VP와 VCs의 예

가상 연결은 VPI와 VCI에 의해 표현되는 한 쌍의 번호에 의해 정의된다. Note that a virtual connection is defined by a pair of numbers: the VPI and the VCI.

연결 식별자

UNI와 NNI 에서 가상 연결 식별자

ATM 셀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

교환기를 이용한 라우팅

ATM 계층 구조

종단 장치와 교환기에 있는 ATM 계층

ATM 층

ATM 헤더

AAL1

AAL2

ALL3/4

AAL5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18-3 ATM LANs ATM은 대부분 WAN에 사용된다(WAN ATM). 그러나 이 기술은 LAN에 사용될 수도 있다. ATM의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155Mbps와 622 Mbps)은 LAN에서 보다 점점 더 빠른 속도를 내기 위해 연구하는 설계자들을 사로 잡았다.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ATM LAN Architecture LAN Emulation (LANE) Client/Server Model Mixed Architecture with Client/Server

ATM LANs

Pure ATM LAN 교환기는 LAN 상에서 지국 연결에 사용

Legacy ATM LAN 기존의 LAN을 연결하기 위한 백본으로 사용

혼합형 구조 ATM LAN

LANE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LANE을 이용한 혼합형 ATM LAN 구조

요 약 Q & A

Report 연습 문제 풀이 다음주 이 시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