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업의 추세 강력한 소매상의 등장 “경쟁적인 전략수립을 통해 고객들에게 월등히 뛰어난 만족을 제공해주는 소매기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할인점시장 현황과 성장전략. “ 할인점은 유통구조의 합리화를 통해 저가 다품목, One-stop Shopping 전략을 추구하는 형태 ” - 할인점은 소비자들에 대해 폭 넓은 상품구색을 통한 원스톱쇼핑의 편리함 과 저가구매의 Needs 를 만족시키는 대규모 점포로 정의.
기업형 슈퍼마켓(SSM)입지 관리방안. SSM 갈등발생 원인과 예방 대책 모색 방향 1  SSM 점포수 267개 ('05)  986개 ('10.10) : 269% 증가  SSM 입점 시 주변 소규모점포 1일 평균 매출액 34.1% 감소 SSM의 무분별한 진출로 영세상인들의.
유통환경변화와 영향분석 거시환경 과업환경 내부환경 공급자 규제자 고 객 경쟁자 유통환경변화와 영향분석 과업환경 준통제가능 이해관계자들 직접적으로 기회 / 위협 제공 통제불가능 간접적으로 기회 / 위협 제공 거시환경 내부환경 통제가능.
구소은 정사랑 까르푸의 브랜드 전략. INDEX 1. 까르푸 소개 2. 까르푸 한국 진출과 철수 3. 우리나라 대형마트의 외국진출.
컴퓨터학과 조순호 유통산업 및 기구. 차례 2 도매상 도매상의 성격과 기능 도매상의 유형 소매상 소매상의 성격과 기능 소매상의 유형 수직적 마케팅 시스템 수직적 마케팅의 성격과 기능 수직적 마케팅의 유형.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제품개선 농심라면 제품개선 농심라면 제품계열의 추가 및 확장 CJ 식물나라 ( 남성 화장품 ) 제품계열의 추가 및 확장 CJ 식물나라 ( 남성 화장품 ) 재포지셔닝 7-up(NO 카페인 ) 베이킹소다 ( 냉장고, 하수구 탈취제 ) 재포지셔닝 7-up(NO 카페인.
: 생활밀착형 결제수단인 T 머니 기반 T 머니는 6,000 만장이 발급된 대표적 선불결제수단 교통을 기반으로 금융, 모바일, 유통제휴 카드를 통한 보급 확대 4 선불 교통 점유율 ,000 카드 보급수 1,200 30% 40% 45% 50% 65%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SNS ! 건대 ▶ 오리 정보 제공 : 해당 지역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서비스, 제품의 기업에게 정보 제공.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마케팅원론 사례연구 1 조 조사자 경영 강대국 PPT 행정 강민호 답변자 영문 강경우 조장 경정 강창재 1 조 조사자 경영 강대국 PPT 행정 강민호 답변자 영문 강경우 조장 경정 강창재 과목명 : 마케팅 원론 교수명 : 정연근 교수님 발표일 : 2011/04/13 과목명.
‘ 독특하고 다양한 의류창고 ’ 많은 물건들을 간편하고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편의점 시스템을 의류매장에 적용하는 ‘ 의류편의점 ’ 을 표방. 91 년 ‘ 패스트 리테일링 ’ 으로 회사명 변경, ‘ 패스트푸드의 완전 시스템화 한 형태를 패션 산업에서 확립하고 캐주얼의.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2008 년 11 월 29 일 BSC 시뮬레이션 결과 보고서 박종국, 박철우, 서경석, 서승찬.
와인 소비 대중화로 동원와인플러스의 매출 증대
국내 조사 산업의 현황 장 재 섭 ACNielsen Korea.
기업의 CRM 사례 디지털 샵 마스터과 양휘석 교수님 김동현
CRM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6조 송혜정 신은수 원종환
Chap6. 유통경로설계 6.1 경로에 대한 고객욕구분석 1)입지의 편의성 2)대기시간 3)최소구매단위 4)구색(다양성)
회사소개서 주식회사 지바이알 서울 성동구 성수동 아차산로11가길 호(성수아스테리아)
LG전자 트롬을 위한 기획안.
Smart Retail을 통한 유통산업 경쟁력 강화 산업경영공학과 김애선( )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GNP/GDP 국민계정.
기업 경영전략의 의의 경영전략 기업경영전략의 요소 확인 전략수행과 달성 기업의 모든 자원인 물적, 인적자원과 능력, 환경적인
Strong Weak Opportunity Threanten SWOT analysis
10주차 유통관리 마케팅원론 - 1교시 유통의 성격과 도소매상의 유형 - 담당교수: 이재진 1교시 학습 목차 1. 학습개요
소매경영의 특성과 유통전략 1. 소매의 정의 “최종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행위”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제3절 인터넷 비즈니스 창업성공전략과 고려사항
기존점주용 파리바게뜨 (OOO) 영업지역 확인서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제14장 유통관리_소매상과 도매상 소매상의 정의와 기능 소매업의 유형 도매상.
4주차 도매상.
유통경로의 통합관리.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제3장 스포츠 산업.
3.4 WELLBEINGSALT식품안전경영시스템
마케팅 4. 우리회사의 마케팅,고객관리,홍보전략 MD상대-상품의 다양성 (3가지 포장방법 - 70여종 - 250개)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하이브리드 문화 현상 11조 윤주성, 이호, 허성녕.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2주차 유통이론.
2002 3/4분기 실적.
㈜엔프라넷.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Bizforms PowerPoint 영업, 마케팅 표준제안서_2 (제안서 작성방법 포함) 원본 PPT 바로가기 >
Bizforms PowerPoint 엔터테이먼트, 이벤트7 파워포인트 디자인
제 8 장  도매상 1. 도매상의 개념 2. 도매상 유형 3. 도매 기능 4. 도매 전략.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IT정보통신업) 원본 PPT 바로가기 >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기술보증기금】.
산타페 ㈜ 2008 영업 제안서 손미순 해외 영업 부회장 2008년 3월 24일 로고.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제 1장 유통경로의 이해.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SEPORA 창업계획서.
BCG Matrix 분석.
Presentation transcript:

소매업의 추세 강력한 소매상의 등장 “경쟁적인 전략수립을 통해 고객들에게 월등히 뛰어난 만족을 제공해주는 소매기관” 2. 소매점의 양극화 현상 - Hi Touch: 제한된 제품계열, 철저한 관리 노하우, 고도로 집중화되고 전문화된 소매형태 (전문화된 소매업, Category Killers, Toys ‘R’ Us, Circuit City) - High Tech: 대형점포, 보관기술 및 셀프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소매형태 (대량취급 소매업, Costco, Wal-Mart)

소매업의 추세 3. 경로지배력의 변화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한 가격파괴현상이 유통경로상의 지배력을 제조업에서 소매업으로 변화하게 함. 그 외 강력한 소매상의 등장, 소매기업간의 경쟁심화, 정보기술 도입에 의한 소매 정보의 위력, 제조업체의 외형위주의 상품관리로 인한 다양한 브랜드 양산  Pull Strategy의 영향 4. PB의 위력 소매업의 기업화로 자체개발상표의 개발이 가능해 짐.  낮은 공급가로 인한 운영효율, 점포충성도, NB 구매에 있어서 구매자의 영향력 증가  소매의 지배력 강화

소매업의 추세 5. 편의제공의 중요성 소비자의 편의추구 경향으로 소매업태가 가져야 할 유통서비스의 개념확대, 인터넷 쇼핑확산 6. 정보기술의 영향 재고관리, 상품의 보충, 발주 등의 업무 자동화  인력의존도 감소 판매 및 고객정보화로 인한 상품 기획력의 향상 및 매장공간의 최적화 달성

소매업의 추세 7. Position의 중요성 Positioning이 분명하지 못한 소매상은 실패가능성 높음. 고객에게 제공할 편익의 방향에 대한 정확한 명시 필요 8. 무점포 소매상의 성장 - Time Constraint - 무점포 소매상 기법의 다양화 - 관련 infrastructure의 확대 - 적극적인 마케팅 개념의 도입 9. 소매기업의 국제화 소비자의 사용욕구, 구매욕구 동질화 현상 유통시장 개방, 정보기술의 발전

소매상의 종류 백화점 - 소매업태중 가장 높은 수준의 서비스 제공 - 고급화, 차별화 전략 2. 슈퍼마켓 - 소매업태중 가장 높은 수준의 서비스 제공 - 고급화, 차별화 전략 2. 슈퍼마켓 - 저비용, 저마진, 대량판매, self-service - 할인점의 등장으로 성장 둔화, Chain Operation 필요 할인점과의 차별화 필요 (지역 밀착형 서비스 제공, 핵심 편 익 서비스, 배달서비스 등을 강화한 부가 서비스 필요) 3. 편의점 24/365 영업, 소규모 매장, 높은 가격대 다품종 소량

소매업의 추세 4. Category Killer 좁지만 (width, low variety) 깊은 (depth, high assortment) 상품군의 취급. 현재 미국에서 급신장 중. Office Max, Toys ‘R’ Us, Home Depot, etc.) 저가격 한정된 상품군 (규모의 경제, 저마진 고회전율 전략) 대형화 & 체인화 5. 대중 양판점 (GMS) 비식품 부문 상품을 다양하게 판매하는 종합소매점 백화점과 할인점 중간에 위치 (중저가 백화점, Sears, JC Penny) 소비의 양국화 현상으로 고전 (순수한 의미의 양판점은 존재 하지 않음)  한국, 가전 양판점 새로이 등장

소매업의 신업태

할인점시장 현황과 성장전략

“할인점은 유통구조의 합리화를 통해 저가 다품목, One-stop Shopping 전략을 추구하는 형태” - 할인점은 소비자들에 대해 폭 넓은 상품구색을 통한 원스톱쇼핑의 편리함과 저가구매의 Needs를 만족시키는 대규모 점포로 정의 (대규모 점포라 함은 매장면적 3,000㎡(909평) 이상인 점포를 의미 –유통산업 발전법) - 백화점과는 다품목은 동일하나 저가판매라는 점에서, 카테고리킬러와는 저가판매는 동일하나 다품목이라는 점에서 차별화 - Gross Margin이 낮은 대신 대량 판매를 통한 고회전과 저비용 운용, 유통구조의 합리화를 통해 수익성을 보전 (대량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대형 매장과 편리한 주차시설, 매장인원의 최소화(SELF-SERVICE방식), 임시직원 사용, 최소한의 시설투자/실내장식, 地價가 낮은 지역에의 입지 등)

다양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기대 할인점은 소비생활 전반, 유통구조, 물가 등 국민경제적으로도 많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통업태 - 할인점의 전반적인 가격인하 정책으로 소비자들이 제품과 가격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비교구매가 가능해져 합리적 소비문화가 확산 - 쇼핑의 개념을 단순한 물품구매 활용수단에서 보다 다양한 가치를 원스톱으로 충족시키는 고도의 문화행위로 승화 - 업체들은 경쟁격화로 비용절감의 필요성이 높아져 유통단계를 대폭 축소하는 등 유통구조의 합리화에 주력 (대형 할인점의 경우 중간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바로 연결, 농수산물도 직거래를 강화) - 유통업체가 마진율 축소나 내부효율화를 통해 판매가격 인하를 주도하고 있어 종국적으로는 소비자물가 안정에 기여 (할인점의 가격할인 등에 의해 1996~99년 중 소비자물가는 총 -1.79%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은행)

할인점 현황 1. 기업형 유통시장의 확대와 할인점의 고성장세 지속 - 서구식 쇼핑문화의 확산과 유통산업내의 경쟁 심화로 인해 기업형 유통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대 (아직까지도 국내 유통시장의 70% 가까이를 재래시장이 차지) - 기업형 유통 가운데서도 최근 할인점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조만간 국내시장에서 백화점을 제치고 1위의 소매업태로 등극할 전망 (2001년 할인점 13.8조원, 백화점 15.7조원 매출 전망) - 96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진출한 외국 유통업체들이 주로 할인점으로 진출하였고, 국내 대기업들도 기업형 유통 가운데 할인점을 강화하고 있어 국내 할인점시장은 연 30%이상의 고성장을 구가 중

2. 업태별로 선두업체들의 과점화가 심화 - 국내 유통시장은 업태별로 선두업체의 시장지배력이 점점 확대되는 과점화 현상이 심화 - 과점화는 유통시장에서 공급이 소비를 초과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 - 경기침체로 인해 소비증가세는 둔화되는 반면, 유통업체들은 대형화ㆍ기업화됨으로써 출점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 - 향후 상대적으로 영업력과 자금력이 우수한 선두업체들이 생존할 가능성 큼

3. 할인점은 원래 상품구색에 따른 세분류가 가능하나 국내에서는 아직 전통적인 분류방식을 적용하기는 힘든 상황 - 할인점은 상품구색에 따라 디스카운트 스토어, 수퍼센터, 하이퍼마켓, 회원제도매클럽, 홈센터, 아울렛 등으로 구분 가능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미국형 디스카운트 스토어는 거의 없고 수퍼센터와 하이퍼마켓으로 분류하기도 모호하여 할인점 세분류를 명확히 적용하기가 힘든 상황

4. 한국형 할인점으로 발전 - 한국형 할인점은 선진국의 할인업태가 국내에 도입되면서 국내업체들이 국내 소비자들에 맞는 방식을 적용하여 개발한 점포 컨셉을 의미 (미국의 수퍼마켓, 유럽의 하이퍼마켓, 일본의 슈퍼스토어 등을 모체로 한국식으로 변형) - 무조건 서구식의 할인점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적 실정에 맞도록 이를 변형ㆍ응용한 형태 (이마트의 경우 한국인의 평균 키와 눈높이에 맞는 천장 높이에 제품을 진열하였으며, 직접 만져보고 골라 사는 한국인의 취향에 맞도록 야채류를 비포장상태로 진열, 외자계할인점들은 천장이 높고 제품을 높게 쌓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한국소비자들은 그러한 부분에서 중압감을 느낌)

5. 할인점의 고급화 확산 - 최근에는 과거와 같은 창고형 할인매장에서 탈피하여 고급 매장과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고급 할인점이 확산 (홈플러스 안산점이나 영통점의 경우 1회 구입시 객단가(평균구매금액)가 6만원선으로 웬만한 백화점 수준을 능가)

6. 고속성장 할인점은 점포 수와 매출면에서 기록적인 고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어 향후 1~2년 내 백화점을 누르고 국내 최대의 소매업태로 될 전망 - 국내 할인점은 93년에 개점한 이마트 창동점이 효시이며, 96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외국계 할인점의 진출과 함께 비약적으로 성장 - 국내 할인점은 점포 수 기준으로 99년에 이미 백화점을 추월하였고, 3년 만에 다시 백화점의 2배를 초과 (2001년말에는 전국적으로 약 200여개 이상의 점포를 예상) - 시장규모로는 2000년말에 10.5조원으로 전체 소매시장의 약 10%, 백화점 총매출의 약 70%에 육박할 정도로 급성장 (2002~2003년경에 백화점 매출을 추월할 것으로 대다수 전문가들이 예상)

7.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출점은 가속 - 국내 할인점시장은 타업태와 마찬가지로 상위업체들의 과점화가 심화 ·상위 4개업체의 시장점유율 : 58.2%(2000년) → 72.2%(2001년 상반기) - 이마트, 마그넷, 킴스클럽과 같은 국내업체와 까르푸, 홈플러스, 월마트 등 외자계업체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가운데, 탑마트와 홀마트 등 지역 군소업체들이 가세하고 있는 구도 - 최근 이마트의 독주체제가 굳어지고 있는 가운데, 홈플러스의 약진으로 2위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8. 국내 할인점업계는 대형 점포 위주의 다점포화 전략을 추진 - 할인점 출점을 보면 국내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점포를 확장해 나가는 반면, 외국업체들은 점포 확장에 보다 신중을 기함 (이마트와 마그넷은 2001년에 10여개 이상의 점포를 출점할 계획이나, 월마트와 코스트코홀세일 등은 신규점포 다수 출점에는 신중한 태도를 견지) - 상위 6개사의 경우 점포수의 증가와 더불어 점포의 단위면적도 대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 (이마트, 까르푸, 홈플러스 등이 새로 개점하는 점포들은 대부분 2,500~3,000평에 이르는 대형점포)

9. 국내시장의 석권을 노리는 외자계업체 외자계업체들은 아직은 두드러진 실적을 보이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업체들의 강력한 경쟁상대가 될 전망 - 현재 세계 1, 2위를 다투는 유통업체인 월마트와 까르푸를 비롯하여 홈플러스, 코스트코홀세일 등 4개의 외자계업체가 국내시장의 Major Player로 부상 - 외자계 할인점들은 아직까지는 국내업체들에 비해 뚜렷한 경쟁우위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 (국내업체들과 비교해 점포수 대비 매출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점포당 매장면적도 넓게 나타나고 있음) - 그러나, 외자계업체들이 유통노하우, 브랜드, 자금력 등의 우위를 바탕으로 중소업체들을 인수할 경우 단기간에 선두권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큼 - 최근 외자계업체들은 연이어 공격적인 영업전략을 가동 (까르푸는 올해 사장과 점장 등을 대부분 한국인으로 교체하는 등 토착화 전략에 주력. 홈플러스는 영국 테스코의 지원아래 2005년까지 4조원을 투자하여 55개점을 개점할 계획)

할인점 성장배경 1. 소비자 Needs의 변화와 기업형 유통시장 확대 - 수요측면의 요인으로는 핵가족화, 자동차와 대형냉장고의 보급, 서구식 Lifestyle의 정착, 합리적 소비패턴 확산 등을 들 수 있으며, - 공급측면에서는 외국계 대형 할인업체들의 국내 진출과 국내 대기업의 다점포화 추진으로 인한 기업형 유통시장의 확대 등의 요인이 작용 - 기타 환경적 요인으로 신도시 개발에 따른 상권 발달, 정부의 대규모 점포 출점 관련 규제 완화 등이 있음.

할인점 경쟁 양상 1. 할인점의 경쟁양상이 가격경쟁에서 비가격 경쟁으로 확대 - 전통적으로 제품가격의 할인을 주요 경쟁력 요소로 내세워 온 할인점도 최근들어 비가격 경쟁력요소의 중요성을 인식 (다양한 상품구색, 편리한 매장 구조, 교통 및 입지, 매장 분위기, 다양한 편의시설 등) - 국내 할인점 고객들의 성향조사에서도 제품 가격외에 여러 가지 요소들이 점포선택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남 (다양한 구색(67.3%), 가격(55.5%), 편리한 매장(27.7%) 등)

2. 비가격경쟁력 요소 중 고객편의 서비스시설이 핵심적인 요소로 부각 - 최근 오프라인 유통산업에는 업태간 융합현상인 복합화와 엔터테인먼트 요소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는데, 할인점도 예외는 아님 ·홈플러스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가치점'이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표방 - 실제 이러한 고객편의 서비스시설은 상품 가격, 상품 품질, 서비스에 대한 지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촉진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