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ng Chong KAIST song@ee.kaist.ac.kr FIF Wireless WG 연구기획 Song Chong KAIST song@ee.kaist.ac.kr.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hapter Internet Telephony 39. Contents Background: The Integrated Digital Telephone Network IP Telephony Software IP Telephony Hardware and Systems Legal.
Advertisements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 ▶ 제키톡 서비스 - 제키톡 서비스 ∙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무료 메시지, 무전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중 ∙ 현재 안드로이드폰을 대상으로 서비스 중이며, 아이폰을.
ICT 기반의 융합산업 활성화 방안 기업가정신과 벤처창업 1 조 First Line 유동규, 정호준, 여진모, 최수빈, 이창현 지도교수 : 문계완 교수님.
Proprietary ETRI OOO 연구소 ( 단, 본부 ) 명 1 IoT 미들웨어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IT R&D Global Leader [ 별첨 5] 박동환.
Proprietary ETRI OOO 연구소 ( 단, 본부 ) 명 1 모바일 IPTV 방송 서비스 가이드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IT R&D Global Leader.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Proprietary ETRI OOO 연구소 ( 단, 본부 ) 명 1 채널코덱 ( 부호화 / 복호화 )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IT R&D Global Leader.
Proprietary ETRI OOO 연구소 ( 단, 본부 ) 명 1 CDN 을 위한 캐시 시험 모듈 소프트웨어연구부문 빅데이터 SW 플랫폼연구부 분석소프트웨어연구실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ETRI Technology Marketing.
신입생 Study 커리큘럼 OneScore. Contents 후니의 시스코 네트워킹 (4 주 ) 01/ Network 생활코딩 – 웹 서비스 만들기 (4 주 ) Wowhacker 웹 게임 (4 주 ) 02/ Web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 시스템 프로그래밍 (4 주 ) 리버싱.
Real Time Systems Lab. rtlab.knu.ac.kr 무인 헬리콥터 자율비행 소프트웨어의 실시간 성능 개선을 위한 CAN 기반 센서 네트워크 경북대학교 실시간 시스템 연구실 이재신.
Database & Distributed Computing Lab. in Wonkwang UNIV. ’97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목 차  서 론  객체그룹  객체그룹 모니터링 시스템  객체그룹 모니터링  결 론.
미래인터넷 연구 국내 현황 최양희 서울대학교 미래인터넷포럼.
Mobile 모바일 싱크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류재희, 이호성, 김소영.
LHC 데이터 처리 Grid computing
펌핑노드 성능평가 RTLAB 김병철 08/09/25.
The Value Chain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
일반 요구 사항 비즈니스 요구사항 고객/정보/위치/상태 탐색방법 제품/서비스 홍보 및 광고 방법
캡스톤 디자인 졸업논문 중간보고서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빛의전사.
Chapter 8. 인터넷 연결공유와 개인네트워크 구축
CS710 컴퓨터구조 특강 - 차세대 무선네트워크 및 보안 -
Chapter 6 목차 Personal network 6.1 개요 Wireless 6.2 무선 링크 특징
네트워크 기술을 통한 현재와 미래 소개.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축 + 활용 네트워크 구성도.
Network Lab. Young-Chul Hwang
무선 personal area network(WPAN)
2011년도 건설IT 융합협력 과제개발 사 업 설 명 회
중소규모 WAN의 구성 지도교수님 : 김정배 교수님 박명윤 박종수.
무선인터넷 보안기술 컴퓨터공학부 조한별.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HomeNetWork의 개념과 실생활의 예
IOT Products and Services : Case Study
모바일 자바 프로그래밍 JDBC / WAP Ps lab 오민경.
13 장 광역 통신망(WAN) 13.1 점대점 WAN 13.2 교환형 WAN 13.3 ATM LAN 13.4 요약.
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설명
SK Telecom 매출 통계 시스템의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 적용사례
Wireless Java Programming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소규모 IPTV 사업자용 실시간 미디어 플랫폼 기술
Term Project 수행 안내 2007 컴퓨터공학실험(Ⅰ).
기능안전 설계 지원 프로세서 코어(알데바란) 06
고속 모바일 매니퓰레이션 시스템의 개발 KAIST 오준호 교수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적 성과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자율주행 차량용 드라이빙 컴퓨팅 하드웨어 플랫폼 05
McGraw-Hill Technology Education
Chapter 01. OSI 계층 모델.
Mobile IPv6 Term Project
16 장 네트워크 보안 : 방화벽과 VPN 16.1 개요 16.2 기밀성 16.3 전자 서명 16.4 인터넷 보안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네트워크 관리 개요 및 SNMP 프로토콜 동작과정
인천대학교 웹과 인터넷 수업 개요 및 내용 소개.
3 네트워크 기술 학습 목표 회선 교환 시스템과 패킷 교환 시스템의 차이와 원리를 이해한다.
Self Introduction Template PowerPoint
Distributed Multimedia System Lab.
홈 네트워크 시스템 Home Network System.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Chapter 27 Mobile IP.
LAN의 구성요소 학습내용 서버 클라이언트 NIC(Network Interface Card) 전송매체
지능 로봇 연구회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모바일(폰)메일 서비스 정흠수 최동훈.
Map Designer Solution 소개자료
(High-speed Internet Traffic Control and Analysis Platform)
HybridDMB 모바일 망 연동 수신플랫폼 설계 기술
Part 05 TCP/IP 1. 네트워크 2. 포트번호.
학부 컴퓨터공학부 교육과정 (학부) 2학년 4학년 3학년 1학년 1학기 2학기 IPP 자격과정 전공트랙
CDMA / LTE LoRa /CAT.m/NbIoT LTE 기지국 STA 모드 WiFi / 유선 네트워크 SKT
IT R&D Global Leader 윈도우 서버 기반 가상 웹 캠 장치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바스 엔지니어링 통합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TTM/TTC) BAS-2001 (SMS 문자,음성 실시간 전송)
홈 네트워크 시스템 Home Network System.
Presentation transcript:

Song Chong KAIST song@ee.kaist.ac.kr FIF Wireless WG 연구기획 Song Chong KAIST song@ee.kaist.ac.kr

목적 The FI Wireless WG has three functions: Envision the future wireless world Predict technologies that create discontinuous innovation Define the roadmap for futur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its impact on adjacent industries

큰 그림

미래무선의 키워드 Cognitive radio network Multi-hop wireless network Autonomic (self-organizing, fully distributed, self-managed) network Cross-layer control Mobility management Service-aware overlay/transport Opportunistic networking Cooperative networking Disruption-tolerant networking Software-defined radio & networking

미래무선 분석보고서 (작업중) Cognitive radio network (최성현 외) Multi-hop network (정송 외) Disruption-tolerant network (권태경 외) Sensor network (전화숙 외) Mobility management (백상헌 외) Overlay/transport (모정훈 외)

미래기술 기획과제 (진행중) 과제명: 무선 자율 네트워크 기술 개념: 통신 객체의 수, 네트워크 크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및 무수한 이종 기술의 출현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및 관리의 복잡도(complexity) 문제와 무선 네트워크이 가지는 서비스 범위 (coverage) 및 용량 (capacity)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무선 네트워킹 기술 기술원리: 편재성 (ubiquity) 자율성 (autonomy) 분산 협력성 (distributed cooperation) 재구성성 (reconfigurability/programmability) 가상화 (virtualization)

무선 자율 라우터 개념도

미래기술 기획과제 (진행중) 연구개발 내용 무선 자율 네트워크 아키텍쳐 및 프로토콜 스택 개발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clean-slate & breakthough) 계층간 최적화 프로토콜  개발 (MAC, 라우팅, 트랜스포트, 오버레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clean-slate & breakthough) 위치 및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 개발 자율성 (self-organization, self-optimization, self-diagnosis, self-healing) 기술 개발 평면 네트워크 아키텍쳐 (flat network architecture)를 위한 셀간 분산 협력 기술 개발  상황인지 (context-aware) QoS 관리 기술 개발 적응형 실시간 트래픽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라우터 이동성/휴대성 지원 기술 개발 무선 자율 라우터 플랫폼 및 원형 개발 무선 엑세스 노드, 무선 메쉬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 기능 통합 상기 자율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 및 기술 구현 프로그래머블 라디오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기술 지원 기능 (plug/download and play) 이종 오버레이 네트워크, 이종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이종 프로토콜의 동시 지원을 위한  virtualization 기능 편재성을 위한 다양한 셀 크기 (femto, pico, micro, macro) 지원 기능  센서 네트워크과의 연동 기능 무선 자율 네트워크 테스트베드 구축 옥내, 옥외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캠퍼스 규모 테스트베드 개발 센서 네트워크과의 연동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측정 방법 및 툴 개발

미래기술 기획과제 (진행중) 연구 결과물 파급 효과 현재의 셀룰라 네트워크 기술이나 무선 인터넷 기술이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원천 IPR 및 프로토콜 스택 조기 확보 국가 차원에서 미래 인터넷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데 핵심이 되는 플랫폼 기술 확보 파급 효과 셀룰라 네트워크 기술과 무선 인터넷 기술의 융합에 자율 네트워킹 개념과 가상화  개념을 더함으로서 미래 무선 네트워크 기술 및 장비의 새로운 모델 제시 자율성, 편재성 및 재구성성의 부재로 기술적 난항을 겪고 있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의 미래 모델 제시 한계 극복 기술의 부재로 이론적 용량에 비해 매우 낮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무선  LAN, 무선 메쉬 네트워크 기술 등 무선 인터넷 기술의 미래 모델 제시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한 새로운 미래 인터넷 기술 및 서비스 연구의 활성화 및 검증  기술 제공 국가 차원의 미래 인터넷 테스트베드 조기 구축에 필수적인 프로그래머블 라우터 플랫폼 제공 장기적으로 WLAN, 메쉬 라우터, WiMAX, CDMA, WCDMA 등 각종 무선 인터넷 및  셀룰라 기지국 시장 대체 모바일 컴퓨팅, 편재형 컴퓨팅, 센서 네트워크 응용, ITS, u-healthcare, u-city 등  관련 산업 및 연구 개발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