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네트워크 모델 학습 목표 모듈 개념을 알아보고 계층 구조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컴퓨터와 인터넷.
Advertisements

Part TCP / IP(계속) 3. IP 주소 4. IP 라우팅 5. 응용 프로토콜.
6 데이터 링크 계층.
3 장 OSI 기본 참조 모델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Network Lab. Young-Chul Hwang
PHP입문 Izayoi 김조흔.
24 장 TCP/IP 24.1 개요 24.2 네트워크층 24.3 주소 지정 24.4 서브넷팅틍
Load Balancing L4와 L7은 어떻게 동작할까?.
ARP의 실험 발표자 : 이직수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9장 데이터 링크층 개요 (Introduction To Data-Link Layer)
제 14장 Multicast & Broadcast
네트워킹 CHAPTER 13 Section 1 네트워킹의 개요와 java.net 패키지 Section 2 인터넷 주소와 URL
15장 X.25 패킷 교환망 15.1 X.25 계층 15.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5.3 요약.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Chapter 06. UDP 서버/클라이언트.
TCP/IP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소켓 옵션을 이해하고 활용한다.
ARP Project 조 충 호 교수님 김 세 진 조교님 조 진 형 변 익 수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3 장 광역 통신망(WAN) 13.1 점대점 WAN 13.2 교환형 WAN 13.3 ATM LAN 13.4 요약.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Chapter 5 UDP Socket 소켓 프로그래밍.
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1 . TCP/IP 개요
U D P 전공 : 정보보호 학번 : 이름 : 배 지 태.
3장 OSI 기본 참조 모델과 TCP/IP 3.1 OSI 기본 참조 모델 3.2 계층별 기능 3.3 TCP/IP 프로토콜 그룹
제 11 장 UDP 11.1 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 11.2 사용자 데이터그램 11.3 검사합 11.4 UDP 동작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TCP/IP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소켓 옵션을 이해하고 활용한다.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22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5 MAC 계층 학습 목표 LAN 환경에서 MAC 계층과 LLC 계층의 차이와 역할을 이해한다.
HTTP 프로토콜의 요청과 응답 동작을 이해한다. 서블릿 및 JSP 를 알아보고 역할을 이해한다.
Contents 통신 프로토콜의 필요성 OSI의 7계층 참조 모델 계층적 프로토콜의 동작 TCP/IP 프로토콜
OSI Reference Model.
21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OSI 7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 OSI 7계층 구조.
6 데이터 링크 계층 학습 목표 오류 제어, 흐름 제어의 원리와 동작 방식을 이해한다.
9 TCP의 이해 학습 목표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해한다.
Chapter 01. OSI 계층 모델.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네트워크의 기본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TCP/IP TCP/IP의 이해 TCP UDP IP 한빛미디어(주).
TCP/IP 인터네트워킹 INTERNETWORKING with TCP/IP <vol
16 장 네트워크 보안 : 방화벽과 VPN 16.1 개요 16.2 기밀성 16.3 전자 서명 16.4 인터넷 보안
Network 네트워크 이론 및 실습 TCP / IP 4장.
Data Communications 제 4 장 OSI 참조 모델 정보보호학과 양 계 탁.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6.2.3 OSI 계층화의 개념 학습내용 (N) 접속(connection) 데이터단위(Data Unit)
10 기타 전송 계층 프로토콜.
01.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의 개요 라우팅은 패킷을 송신지부터 수신지까지 어떠한 경로를 통해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법
3 네트워크 기술 학습 목표 회선 교환 시스템과 패킷 교환 시스템의 차이와 원리를 이해한다.
은행에 가지 않고도 컴퓨터를 이용해 편하게 은행일을 처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 볼까요?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Chapter 27 Mobile IP.
통신프로토콜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DK-128 직렬통신 실습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7 IP 프로토콜의 이해 학습 목표 네트워크 계층의 필요성과 역할을 이해한다.
제 13 장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정보통신연구실.
제 6 장 IP 패킷 전달과 라우팅 6.1 연결형 서비스와 비연결형 서비스 6.2 직접 전달과 간접 전달 6.3 라우팅 방법
학습내용 프로토콜 계층화 OSI 모델의 용어 및 기능 개체 서비스 접근점 (N) 프로토콜과 (N) 서비스 서비스 프리미티브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The OSI Model and TCP/IP Protocol Suite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Part 05 TCP/IP 1. 네트워크 2. 포트번호.
Wake On Lan 발표자: 김 홍 기 김홍기 조성오
네트워크란? Onescore 네트워크팀.
ARP.
Presentation transcript:

2 네트워크 모델 학습 목표 모듈 개념을 알아보고 계층 구조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프로토콜을 설계할 때 고려할 사항을 알아본다.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필요성과 동작원리를 살펴본다. OSI 7 계층 모델의 동작 원리와 데이터 전달 방법을 이해한다. TCP/IP의 계층 구조와 관련 프로토콜을 알아본다. 2 네트워크 모델

1절. 계층 구조의 개념 계층적 모듈 구조 모듈화 [그림 2-1] 계층 구조의 장점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기능별로 여러 개의 작고 단순한 모듈로 나누어 독립화 모듈 사이의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필요 예: C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 개념, 로고 블록 연결 계층 구조의 장점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쉽고, 설계 및 구현이 용이 모듈간의 표준 인터페이스가 단순하면 모듈의 독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장점이 됨 대칭 구조에서는 동일 계층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프로토콜을 단순화시킬 수 있음 특정 모듈의 외부 인터페이스가 변하지 않으면 내부 기능의 변화가 전체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1절. 계층 구조의 개념 계층적 모듈 구조 계층 구조 [그림 2-2] 상위 모듈이 하위 모듈에게 서비스를 요청 하위 모듈은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위 모듈에 통보

1절. 계층 구조의 개념 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 사항 주소 표현,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데이터 전달 방식 주소 표현 주소의 역할: 서로를 구분(학번, 주민등록 번호, 집 주소 등) 주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구조적 정보를 포함 전화번호: 국가 코드 – 지역 코드 - 번호 주민번호: yymmdd-abcdefg 1:다 통신을 지원 브로드캐스팅: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 전달 멀티캐스팅: 특정 호스트에게 데이터 전달

1절. 계층 구조의 개념 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 사항 오류 제어 [그림 2-3] 데이터 변형 오류: 데이터가 깨져서 수신자에게 도착 데이터 분실 오류: 데이터가 수신자에게 도착하지 못함 오류 제어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으로 재전송 방식을 사용함

1절. 계층 구조의 개념 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 사항 흐름 제어 [그림 2-4]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데이터 처리능력 차이 수신자의 처리 능력에 비해 너무 빨리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제어 수신 버퍼가 부족하면 수신자는 데이터를 분실 처리함 데이터 전달 방식 단방향(Simplex): 데이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 예) 전이중(Full Duplex): 데이터를 양쪽에서 동시에 전송. 예) 반이중(Halh Duplex):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지만, 특정 시점에서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 예)

2절. OSI 참조 모델 OSI 7 계층 모델 [그림 2-6]

2절. OSI 참조 모델 OSI 7 계층 모델 용어정의 헤더 정보 계층n 프로토콜: 계층 n 모듈끼리 사용하는 통신 규칙 동료 프로세스: 동일 계층에 위치한 통신 양단 프로세스 인터페이스: 상하위 계층 사이의 접속 방법 서비스: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을 사용하는 방법 헤더 정보 송신 호스트: 데이터가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갈수록 헤더 추가 수신 호스트: 데이터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갈수록 헤더 제거

2절. OSI 참조 모델 OSI 7 계층 모델 중개 기능 [그림 2-7]

2절. OSI 참조 모델 계층별 기능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전송 속도, 클록 동기화 방법, 물리적 연결 형태 등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의 물리적 전송 오류 문제를 해결 프레임: 전송 데이터의 명칭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결정 호스트 구분을 위한 주소 개념 필요 (예: IP 주소) 패킷: 전송 데이터의 명칭 혼잡 제어: 데이터 전송 경로의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 혼잡에 영향을 미침

2절. OSI 참조 모델 계층별 기능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의 단대단 통신 기능을 지원 프로세스 구분을 위한 주소 개념 필요 (예: 포트 번호) 세션 계층 송수신자 사이에 상위적 연결 개념인 세션을 지원 표현 계층 데이터의 의미와 표현 방법을 처리 암호화/압축 기능도 처리 응용 계층 대표적인 인터넷 서비스: FTP, Telnet, 전자 메일

3절. TCP/IP 모델 구현 환경 [그림 2-8] 시스템 공간(계층 1 ~ 4): 운영 체제에서 동작 사용자 공간(계층 5 ~ 7):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동작 TCP/IP 계층 구조 [그림 2-9]

3절. TCP/IP 모델 프로토콜 TCP/UDP: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ARP와 RARP ARP: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 RARP: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ICMP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IP 프로토콜에 캡슐화되어 전송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