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주제 34 공동체 안에서 개인의 책임 에스겔 성경본문 에스겔 1:1~48:35.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구약의 맥 11 ( 바벨론 포로시기 : 주전 ). 1. 주전 587 년 이후의 유대인들의 상황 a. 유다에 남아있던 유대인 1) 예루살렘이 파괴된 후 시간이 지나면서 유다는 어느정도 안정을 되찾았다. 주변 나라들로 피신 갔던 주민들은 돌아와서 ( 참조. 렘.
Advertisements

주의 손에 나의 손을 포개고 주 보혈 날 정결케 하고 주 보혈 날 자유케 하니 주 앞에 나 예배하는 이 시간 나의 모든 것을 주께 드리네.
형제의 모습 속에 960 1/2 1. 형제의 모습 속에 보이는 하나님 형상 아름다와라 존귀한 주의 자녀 됐으니 사랑하며 섬기리.
1. 여호와께서 마므레의 상수리 나무들이 있는 곳에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시니라 날이 뜨거울 때에 그가 장막 문에 앉아 있다가 2. 눈을 들어 본즉 사람 셋이 맞은편에 서 있는지라 그가 그들을 보자 곧 장막 문에서 달려나가 영접하며 몸을 땅에 굽혀.
10 월 7 일 청년부가 섬기는 열린 찬양 예배 핸드폰 전원을 꺼주시기 바랍니다. 1. 우측 상단 폰트는 네이버에서 무료 다운로드하는 나눔 글꼴 입니다 ( 본문은 다음 무료 폰트 ) 2. 우측 상단은 찬양의 첫 페이지만 기입 3. 글간격 조정하여 어절 기준으로 줄이 변경되도록.
제자들의 발자취 - 수리아의 안디옥Ⅰ 본문 행 11: 그 때에 스데반의 일로 일어난 환난으로 말미암아 흩어진 자들이 베니게와 구브로와 안디옥까지 이르러 유대인에게만 말씀을 전하는데 20. 그 중에 구브로와 구레네 몇 사람이 안디옥에 이르러 헬라인에게도 말하여.
125. 사순절(2).
1 많은 사람들 참된 진리를 모른채 주님 곁을 떠나 갔지만 내가 만난 주님은 참 사랑이었고 진리이고 소망 이었소
< 두 가지 의 > 우리가 실패한 이유
3,000명 600명 VS 병거 30,000 마병 6,000명.
17. 시편 29편.
34. 시편 81편.
“믿음의 사람 라합”.
6. 시편 10편.
성 시 교 독 76. 요한복음 1장.
99. 나라 사랑 1.
26. 시편 50편.
찬양 드려요.
86. 요한계시록 14장.
성 시 교 독 79. 요한복음 15장.
125. 사순절 2.
722. 북이스라엘의 멸망 — 앗수르에 의해 니느웨(앗수르 수도) 바벨론에 의해 함락
1.
여러분은 누구의 것입니까? 이사야 43:1-4, 25.
교 독 문 48. 고린도전서13장.
47. 시편 105편.
“사사기의 배경” 이 윤 재 담임목사.
101. 나라 사랑 3.
52. 시편 119편.
117. 구주강림 3.
62. 시편 143편.
91. 성찬 1.
48. 시편 106편.
주 품에 품으소서 능력의 팔로 덮으소서 2. 주 품에 품으소서 능력의 팔로 덮으소서 2.
성 시 교 독 69. 이사야 40장(2).
102. 나라 사랑 4.
믿음으로 출발2 새총출석 주일 완벽 준비 주일 강사:박연훈목사 -순천교회 어린이전담목사 -어린이부흥사 -페북 : 박연훈
50. 시편 116편.
생각해봅시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예수님은 어떤 분이신가요?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오천명을 먹이신 예수님 요한복음 6장 1~15절.
115. 구주 강림(1).
설교 송, 하나님 말씀은 하나님 말씀은 능력이 있어요 좌우에 날이 선 검과도 같아요 우리의 심령을 찔러서 쪼개어
다윗과 골리앗 (사무엘상17장43~49) 43 그 블레셋 사람이 다윗에게 말하기를 "네가 막대기를 가지고 내게 오다니 내가 개냐?" 하고, 자기 신들의 이름으로 다윗을 저주하며, 44 다윗에게 말하기를 "내게 오너라. 내가 네 살을 하늘의 새와 들의 짐승들에게 주겠다."
109. 헌당예배.
113. 자연과 환경.
성 시 교 독 71. 이사야 55장.
110. 선교주일.
(찬미 530) 호산나 ! 호산나 ! 1. 호산-나 호산-나 호산나 높은 곳에서 호산-나 호산-나 호산나 높은 곳에서.
40. 시편 96편.
에스라.
즐거운 암송시간.
다윗과 골리앗 사무엘상 17 :
구원의 주제 43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 2 마가11:1~16:20.
창41:37 바로와 그 모든 신하가 이 일을 좋게 여긴지라 창41:38 바로가 그 신하들에게 이르되
제 2 장 소선지자 예언으로 언약 제 1 절 이스라엘 회복 예언 제 2 절 보수로써 승리 예언(요나 - 스바냐)
구원의 주제 38 성전 건립과 율법 갱신 에스라, 느헤미야 성경본문, 에 스 라 1:1~10:44 느헤미야 1:1~13:31.
8. 시편 14편.
24. 시편 46편.
무엇이 닮았나요? !!.
성 시 교 독 45. 시편 103편.
이삭을 번제로 드렸어요.
바벨탑을 만드는 사람들.
약속의 아들 이삭.
33. 시편 72편.
119. 성탄절(1).
칭찬받는 일꾼 사도행전 6장 2절.
하나님의 사랑 신명기 32:9-14.
7월 고등부 공과설교 나는 누구인가요? 민수기 14:1-10.
수풀에 걸린 양.
8월 고등부 공과설교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창세기 1:31.
Presentation transcript:

구원의 주제 34 공동체 안에서 개인의 책임 에스겔 성경본문 에스겔 1:1~48:35

엯역사적 배경

연대표 주전 587 주전 538 여호야긴(주전598-597) 고레스 칙령(주전538) 시드기야(주전597-587) 역사적 배경 연대표 여호야긴(주전598-597) 제1차 바벨론 포로(주전597) 시드기야(주전597-587) 제2차 바벨론 포로 남유다멸망(주전597) 고레스 칙령(주전538) 포로귀환 주전 587 주전 538 창세기 12장1-3까지를 함께 봉독합시다.

역사적 배경 에스겔의 적국들

1 신 바벨론의 등장 – 나보폴라살 (Nabopolassar)

역사적 배경 1. 신 바벨론의 등장 느브갓네살 2세와 그의 조력자들

역사적 배경 1. 신 바벨론의 등장

역사적 배경 1. 신 바벨론의 등장

역사적 배경 1. 신 바벨론의 등장

역사적 배경 1. 신 바벨론의 등장

2 남왕국의 정치적 상황

역사적 배경 2. 남왕국의 정치적 상황 느브갓네살 2세와 그의 조력자들

3 바벨론에 포로된 여호야긴과 상황

역사적 배경 3. 바벨론에 포로된 여호야긴과 상황

역사적 배경 3. 바벨론에 포로된 여호야긴과 상황

역사적 배경 3. 바벨론에 포로된 여호야긴과 상황

4 느부갓네살의 재침공 - 예루살렘과 성전파괴(주전 587년)

역사적 배경 4. 느부갓네살의 재침공

5 에스겔은 누구인가?

역사적 배경 5. 에스겔은 누구인가?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주전 597~593년 (겔 1:1~24:27)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주전 597~593년 (겔 1:1~24:27) 2. 두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에 대한 예언 (겔 25:1~32:32)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년 (겔 33:1~48:35)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episode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하나님의 영광의 환상 (겔1:1~28) 예언자로서의 부르심 (겔 2:1~3:27) 예루살렘 최후의 멸망을 통고하는 상징적인 행동들 (겔4:1~5:17) 이스라엘의 죄와 최후의 임박 (겔 6:1~7:27) 예루살렘의 죄와 멸망 (겔 8:1~11:25) 이스라엘의 범죄와 심판에 관해 계속되는 예언 (겔 12:1~19:14) 이스라엘의 죄와 예루살렘 멸망에 관한 최후 예언 (겔20:1~24:27)

하나님의 영광의 환상 (겔1:1~28) (1)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하나님의 영광의 환상 (겔1:1~28) .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

“서른째 해 넷째 달 초닷새에 ” (겔1:1) 서른째 해 넷째 달 초닷새에 내가 그발 강 가 사로잡힌 자 중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서른째 해 넷째 달 초닷새에 ” (겔1:1) 서른째 해 넷째 달 초닷새에 내가 그발 강 가 사로잡힌 자 중에 있을 때에 하늘이 열리며 하나님의 모습이 내게 보이니

“오 년 그 달 ” (겔1:2) 여호야긴 왕이 사로잡힌 지 오 년 그 달 초닷새라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오 년 그 달 ” (겔1:2) 여호야긴 왕이 사로잡힌 지 오 년 그 달 초닷새라

그 속에서 네 생물의 형상이 나타나는데 그들의 모양이 이러하니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네 생물의 형상이 ” (겔1:5) 그 속에서 네 생물의 형상이 나타나는데 그들의 모양이 이러하니 그들에게 사람의 형상이 있더라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2) 예언자로서의 부르심 (겔2:1~3:27) .

첫 번째 소명 (겔2:1~3:13) - 패역한 백성에게 보내는 소리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첫 번째 소명 (겔2:1~3:13) - 패역한 백성에게 보내는 소리 .

“이르시되 인자야 ” (겔2:1) 그가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네 발로 일어서라 내가 네게 말하리라 하시며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이르시되 인자야 ” (겔2:1) 그가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네 발로 일어서라 내가 네게 말하리라 하시며

“이 두루마리를 …달기가 꿀 같더라” (겔3:3)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이 두루마리를 …달기가 꿀 같더라” (겔3:3)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내가 네게 주는 이 두루마리를 네 배에 넣으며 네 창자에 채우라 하시기에 내가 먹으니 그것이 내 입에서 달기가 꿀 같더라

두 번째 위임 (겔3:14~21) - 이스라엘의 파수꾼으로 세움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두 번째 위임 (겔3:14~21) - 이스라엘의 파수꾼으로 세움 .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에스겔의 이상

“주의 영이 나를 들어올려” (겔3:14) 주의 영이 나를 들어올려 데리고 가시는데 내가 근심하고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주의 영이 나를 들어올려” (겔3:14) 주의 영이 나를 들어올려 데리고 가시는데 내가 근심하고 분한 마음으로 가니 여호와의 권능이 힘 있게 나를 감동시키시더라

“델아빕에 이르러” (겔3:15) 이에 내가 델아빕에 이르러 그 사로잡힌 백성 곧 그발 강 가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델아빕에 이르러” (겔3:15) 이에 내가 델아빕에 이르러 그 사로잡힌 백성 곧 그발 강 가에 거주하는 자들에게 나아가 그 중에서 두려워 떨며 칠 일을 지내니라

세 번째 위임 (겔3:14~21) 들로 나아가 벙어리가 되는 경험을 가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세 번째 위임 (겔3:14~21) 들로 나아가 벙어리가 되는 경험을 가짐 .

예루살렘 최후의 멸망을 통고하는 상징적인 행동들 (겔4:1~5:17)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3) 예루살렘 최후의 멸망을 통고하는 상징적인 행동들 (겔4:1~5:17) .

첫 번째 상징적 행동 (겔 4:1~3) 벽돌위에 예루살렘을 그리고 포위하는 상징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첫 번째 상징적 행동 (겔 4:1~3) 벽돌위에 예루살렘을 그리고 포위하는 상징 .

“사다리를 세우고” (겔4:2) 그 성읍을 에워싸되 그것을 향하여 사다리를 세우고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사다리를 세우고” (겔4:2) 그 성읍을 에워싸되 그것을 향하여 사다리를 세우고 그것을 향하여 흙으로 언덕을 쌓고 그것을 향하여 진을 치고 그것을 향하여 공성퇴를 둘러 세우고

또 철판을 가져다가 너와 성읍 사이에 두어 철벽을 삼고 성을 포위하는 것처럼 에워싸라 이것이 이스라엘 족속에게 징조가 되리라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철판을 가져다가 …철벽을 삼고” (겔4:3) 또 철판을 가져다가 너와 성읍 사이에 두어 철벽을 삼고 성을 포위하는 것처럼 에워싸라 이것이 이스라엘 족속에게 징조가 되리라

두 번째 상징적 행동 (겔4:4~8) - 좌와 우편으로 눕는 날수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두 번째 상징적 행동 (겔4:4~8) - 좌와 우편으로 눕는 날수 .

“삼백구십 일이니라” (겔4:5) 내가 그들의 범죄한 햇수대로 네게 날수를 정하였나니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삼백구십 일이니라” (겔4:5) 내가 그들의 범죄한 햇수대로 네게 날수를 정하였나니 곧 삼백구십 일이니라 너는 이렇게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담당하고

그 수가 차거든 너는 오른쪽으로 누워 유다 족속의 죄악을 담당하라 내가 네게 사십 일로 정하였나니 하루가 일 년이니라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사십일로” (겔4:6) 그 수가 차거든 너는 오른쪽으로 누워 유다 족속의 죄악을 담당하라 내가 네게 사십 일로 정하였나니 하루가 일 년이니라

세 번째 상징적 행동 (겔4:9~17) 밀, 보리, 콩, 팥, 조, 귀리로 만든 떡을 390일 동안 먹음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세 번째 상징적 행동 (겔4:9~17) 밀, 보리, 콩, 팥, 조, 귀리로 만든 떡을 390일 동안 먹음 .

네 번째 상징적 행동 (겔5:1~4) - 칼로 머리털과 수염을 깍아 저울에 달다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네 번째 상징적 행동 (겔5:1~4) - 칼로 머리털과 수염을 깍아 저울에 달다 .

다섯 번째 상징적 행동 (겔5:5~17) - 아비가 아들을 먹고, 아들이 아비를 먹음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다섯 번째 상징적 행동 (겔5:5~17) - 아비가 아들을 먹고, 아들이 아비를 먹음 .

이스라엘의 죄와 최후의 임박 (겔 6:1~7:27) (4)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4) 이스라엘의 죄와 최후의 임박 (겔 6:1~7:27) .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예루살렘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5) 예루살렘의 죄와 멸망 (겔 8:1~11:25) .

예루살렘의 죄악을 보다(겔 8:1~18) - 투기의 우상, 동물예배, 태양신 경배 등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예루살렘의 죄악을 보다(겔 8:1~18) - 투기의 우상, 동물예배, 태양신 경배 등 .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우상을 그 사방 벽에 그렸고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각양 곤충과 가증한 짐승과” (겔8:10) 내가 들어가 보니 각양 곤충과 가증한 짐승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우상을 그 사방 벽에 그렸고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제사 드리는 바로

“사반의 아들 야아사냐도” (겔8:11) 이스라엘 족속의 장로 중 칠십 명이 그 앞에 섰으며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사반의 아들 야아사냐도” (겔8:11) 이스라엘 족속의 장로 중 칠십 명이 그 앞에 섰으며 사반의 아들 야아사냐도 그 가운데에 섰고 각기 손에 향로를 들었는데 향연이 구름 같이 오르더라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으로 들어가는 북문에 이르시기로 보니 거기에 여인들이 앉아 담무스를 위하여 애곡하더라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여인들이 앉아 담무스를 위하여” (겔8:14)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으로 들어가는 북문에 이르시기로 보니 거기에 여인들이 앉아 담무스를 위하여 애곡하더라

예루살렘에 내릴 심판 (겔9:1~11)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예루살렘에 내릴 심판 (겔9:1~11) .

그룹들 머리 위에 보좌 형상 (겔10:1~22) - 불에 의한 멸망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그룹들 머리 위에 보좌 형상 (겔10:1~22) - 불에 의한 멸망 .

“그룹들에게는 각기 네 면이 있는데” (겔10:14) 그룹들에게는 각기 네 면이 있는데 첫째 면은 그룹의 얼굴이요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그룹들에게는 각기 네 면이 있는데” (겔10:14) 그룹들에게는 각기 네 면이 있는데 첫째 면은 그룹의 얼굴이요 둘째 면은 사람의 얼굴이요 셋째는 사자의 얼굴이요 넷째는 독수리의 얼굴이더라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성전 문지방을 떠나서 그룹들 위에 머무르니”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성전 문지방을 떠나서 그룹들 위에 머무르니” (겔10:18)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 문지방을 떠나서 그룹들 위에 머무르니

환상 중에… (겔11:1~25) 가증한 것을 제하고, 남은 자를 다시 회복한다.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환상 중에… (겔11:1~25) 가증한 것을 제하고, 남은 자를 다시 회복한다. .

이스라엘의 범죄와 심판에 관해 계속되는 예언 (겔 12:1~19:14)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6) 이스라엘의 범죄와 심판에 관해 계속되는 예언 (겔 12:1~19:14) .

흩어짐에 대한 예언(겔 12:1~28) - 남은 자를 두심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흩어짐에 대한 예언(겔 12:1~28) - 남은 자를 두심 .

거짓 예언자들 고발(겔 13:1~23)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거짓 예언자들 고발(겔 13:1~23) .

우상 숭배는 죄(겔 14:1~23)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우상 숭배는 죄(겔 14:1~23) .

“노아, 다니엘, 욥, 이 세 사람이” (겔14:14) 비록 노아, 다니엘, 욥, 이 세 사람이 거기에 있을지라도 그들은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노아, 다니엘, 욥, 이 세 사람이” (겔14:14) 비록 노아, 다니엘, 욥, 이 세 사람이 거기에 있을지라도 그들은 자기의 공의로 자기의 생명만 건지리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포도나무의 비유(겔 15:1~8)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포도나무의 비유(겔 15:1~8) .

음행하는 여인(겔 16:1~63)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음행하는 여인(겔 16:1~63) .

독수리와 포도나무 비유(겔 17:1~24)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독수리와 포도나무 비유(겔 17:1~24) .

각자가 하나님 앞에 책임적인 존재임 (겔 18:1~32)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각자가 하나님 앞에 책임적인 존재임 (겔 18:1~32) .

이스라엘 통치자들을 위한 애도의 시 (겔 19:1~14)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이스라엘 통치자들을 위한 애도의 시 (겔 19:1~14) .

이스라엘의 죄와 예루살렘 멸망에 관한 최후 예언 (겔20:1~24:27)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7) 이스라엘의 죄와 예루살렘 멸망에 관한 최후 예언 (겔20:1~24:27) .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우상 숭배를 되풀이 하는 이스라엘 (겔 20:1~44) .

불과 칼의 예언 (겔 20:45~21:32)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불과 칼의 예언 (겔 20:45~21:32) .

예루살렘의 죄와 악 (겔 22:1~31)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예루살렘의 죄와 악 (겔 22:1~31) .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두 여인, 예루살렘과 사마리아의 비유 (겔 23:1~49)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두 여인, 예루살렘과 사마리아의 비유 (겔 23:1~49) .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예루살렘의 함락, 에스겔의 아내가 죽다 (겔 24:1~27) 본문과 해석 1. 첫 번째 예언 – 이스라엘의 죄와 벌 – 예루살렘의 최후 심판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예루살렘의 함락, 에스겔의 아내가 죽다 (겔 24:1~27) .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겔 25:1~32~32)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episode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암몬, 모압, 에돔, 블레셋 (겔 25:1~17) 두로와 시돈 (겔 26:1~28:26) 애굽 (겔29:1~32:32)

암몬, 모압, 에돔, 블렛 (겔25:1~17) (1)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사건의 내용 &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암몬, 모압, 에돔, 블렛 (겔25:1~17) .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예루살렘의 적국들

두로와 시돈 (겔26:1~28:26) (2)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사건의 내용 &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2) 두로와 시돈 (겔26:1~28:26) .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예루살렘의 적국들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3) 애굽 (겔29:1~32:32) .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예루살렘의 적국들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겔 33:1~48:35) 사건의 내용 & episode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새 이스라엘 (겔 33:1~39:29) 새 성전 (겔 40:1~47:12) 땅의 경계와 분배 (겔 47:13~48:35)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새 이스라엘 (겔 33:1~39:29)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파수꾼 - 예언자 (겔 33:1~20) .

그 사람이 그 땅에 칼이 임함을 보고 나팔을 불어 백성에게 경고하되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그 땅에 칼이 임함을 보고” (겔33:3) 그 사람이 그 땅에 칼이 임함을 보고 나팔을 불어 백성에게 경고하되

예루살렘의 멸망 소식을 들은 포로들 (겔 33:21~3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예루살렘의 멸망 소식을 들은 포로들 (겔 33:21~33) .

“우리가 사로잡힌 지 열두째 해 열째 달 다섯째 날에”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우리가 사로잡힌 지 열두째 해 열째 달 다섯째 날에” (겔33:21) 우리가 사로잡힌 지 열두째 해 열째 달 다섯째 날에 예루살렘에서부터 도망하여 온 자가 내게 나아와 말하기를 그 성이 함락되었다 하였는데

“이스라엘의 이 황폐한 땅에 거주하는 자들이”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이스라엘의 이 황폐한 땅에 거주하는 자들이” (겔33:24) 인자야 이 이스라엘의 이 황폐한 땅에 거주하는 자들이 말하여 이르기를 아브라함은 오직 한 사람이라도 이 땅을 기업으로 얻었나니 우리가 많은즉 더욱 이 땅을 우리에게 기업으로 주신 것이 되느니라 하는도다

“그 땅이 황무지와 공포의 대상이 되게 하고” (겔33:28)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그 땅이 황무지와 공포의 대상이 되게 하고” (겔33:28) 내가 그 땅이 황무지와 공포의 대상이 되게 하고 그 권능의 교만을 그치게 하리니 이스라엘의 산들이 황폐하여 지나갈 사람이 없으리라

“네 민족이 담 곁에서와 집 문에서” (겔33:30) 인자야 네 민족이 담 곁에서와 집 문에서 너에 대하여 말하며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네 민족이 담 곁에서와 집 문에서” (겔33:30) 인자야 네 민족이 담 곁에서와 집 문에서 너에 대하여 말하며 각각 그 형제와 더불어 말하여 이르기를 자, 가서 여호와께로부터 무슨 말씀이 나오는가 들어 보자 하고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네 말을 들으나 그대로 행하지 아니하니” (겔33:31) 백성이 모이는 것 같이 네게 나아오며 내 백성처럼 네 앞에 앉아서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네 말을 들으나 그대로 행하지 아니하니” (겔33:31) 백성이 모이는 것 같이 네게 나아오며 내 백성처럼 네 앞에 앉아서 네 말을 들으나 그대로 행하지 아니하니 이는 그 입으로는 사랑을 나타내어도 마음으로는 이익을 따름이라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참 목자 되시는 여호와 하나님 (겔 34:1~31)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이스라엘 목자들에게 예언하라” (겔34:2) 인자야 너는 이스라엘 목자들에게 예언하라 그들 곧 목자들에게 예언하여 이르기를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자기만 먹는 이스라엘 목자들은 화 있을진저 목자들이 양 떼를 먹이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냐

내가 친히 내 양의 목자가 되어 그것들을 누워 있게 할지라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내가 친히 내 양의 목자가 되어” (겔34:15) 내가 친히 내 양의 목자가 되어 그것들을 누워 있게 할지라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는 내 종 다윗이라 그가 그들을 먹이고 그들의 목자가 될지라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내가 한 목자를 그들 위에 세워 …그는 내 종 다윗이라 ” (겔34:23) 내가 한 목자를 그들 위에 세워 먹이게 하리니 그는 내 종 다윗이라 그가 그들을 먹이고 그들의 목자가 될지라

내가 또 그들과 화평의 언약을 맺고 악한 짐승을 그 땅에서 그치게 하리니 그들이 빈 들에 평안히 거하며 수풀 가운데에서 잘지라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화평의 언약” (겔34:25) 내가 또 그들과 화평의 언약을 맺고 악한 짐승을 그 땅에서 그치게 하리니 그들이 빈 들에 평안히 거하며 수풀 가운데에서 잘지라

에돔의 심판 (겔 35:1~15)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에돔의 심판 (겔 35:1~15) .

귀환의 약속 – 빼앗긴 땅이 과실을 맺는다 (겔 36:1~38)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귀환의 약속 – 빼앗긴 땅이 과실을 맺는다 (겔 36:1~38)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마른 뼈들의 환상 (겔 37:1~14)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에스겔의 환상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에스겔의 환상

하나가 되는 두 나라 이스라엘과 유다 - 두 막대가 연합하여 하나가 됨 (겔 37:15~28)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하나가 되는 두 나라 이스라엘과 유다 - 두 막대가 연합하여 하나가 됨 (겔 37:15~28) .

마곡의 ‘곡'에 대한 예언 - 하나님의 최후 심판 (겔 38:1~39:29)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마곡의 ‘곡'에 대한 예언 - 하나님의 최후 심판 (겔 38:1~39:29) .

인자야 너는 마곡 땅에 있는 로스와 메섹과 두발 왕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마곡 땅” (겔38:2) 인자야 너는 마곡 땅에 있는 로스와 메섹과 두발 왕 곧 곡에게로 얼굴을 향하고 그에게 예언하여

이스라엘 성읍들에 거주하는 자가 나가서 그들의 무기를 불태워 사르되 큰 방패와 작은 방패와 활과 화살과 몽둥이와 창을 가지고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창을 가지고 일곱 해 동안 불태우리라” (겔39:9) 이스라엘 성읍들에 거주하는 자가 나가서 그들의 무기를 불태워 사르되 큰 방패와 작은 방패와 활과 화살과 몽둥이와 창을 가지고 일곱 해 동안 불태우리라

이스라엘 족속이 일곱 달 동안에 그들을 매장하여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일곱 달 동안에 그들을 매장하여” (겔39:12) 이스라엘 족속이 일곱 달 동안에 그들을 매장하여 그 땅을 정결하게 할 것이라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2) 새 성전 (겔 40:1~47:12) .

새 성전 (겔 40:1~42:20)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새 성전 (겔 40:1~42:20)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성전 예배의 회복 (겔 43:1~44:3) .

“그들이 그 문지방을 내 문지방 곁에 두며” (겔43:8)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그들이 그 문지방을 내 문지방 곁에 두며” (겔43:8) 그들이 그 문지방을 내 문지방 곁에 두며 그 문설주를 내 문설주 곁에 두어서 그들과 나 사이에 겨우 한 담이 막히게 하였고 또 그 행하는 가증한 일로 내 거룩한 이름을 더럽혔으므로 내가 노하여 멸망시켰거니와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제사장과 레위인 규례 (겔 44:4~31) .

“할례 받지 아니한 이방인을 데려오고” (겔44:7)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할례 받지 아니한 이방인을 데려오고” (겔44:7) 너희가 마음과 몸에 할례 받지 아니한 이방인을 데려오고 내 떡과 기름과 피를 드릴 때에 그들로 내 성소 안에 있게 하여 내 성전을 더럽히므로 너희의 모든 가증한 일 외에 그들이 내 언약을 위반하게 하는 것이 되었으며

땅의 구분 (겔 45:1~8)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땅의 구분 (겔 45:1~8) .

땅의 구분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땅의 구분

왕의 몫과 의무 (겔 45:9~17)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왕의 몫과 의무 (겔 45:9~17)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거룩한 절기와 제사 (겔 45:18~46:24)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생명수 샘의 환상 (겔 47:1~12)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

“동쪽으로 흐르다가 성전 오른쪽 제단 남쪽으로”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동쪽으로 흐르다가 성전 오른쪽 제단 남쪽으로” (겔47:1) 그가 나를 데리고 성전 문에 이르시니 성전의 앞면이 동쪽을 향하였는데 그 문지방 밑에서 물이 나와 동쪽으로 흐르다가 성전 오른쪽 제단 남쪽으로 흘러 내리더라

“엔게디에서부터 에네글라임까지” (겔47:10) 또 이 강 가에 어부가 설 것이니 엔게디에서부터 에네글라임까지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엔게디에서부터 에네글라임까지” (겔47:10) 또 이 강 가에 어부가 설 것이니 엔게디에서부터 에네글라임까지 그물 치는 곳이 될 것이라 그 고기가 각기 종류를 따라 큰 바다의 고기 같이 심히 많으려니와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새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회복, 주전 587~573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3) 땅의 경계와 분배 (겔 47:13~48:35) .

신학적 의미

1 출애굽 주제(Exodus Motif)로부터 포로 주제(Exile Motif)로 !

신학적 의미 1. 출애굽 주제(Exodus Motif)로부터 포로 주제(Exile Motif)로 !

2 포로 주제(Exile Motif)로부터 소망의 주제(Eschatological Motif)로 !

신학적 의미 2. 포로 주제(Exile Motif)로부터 소망의 주제(Eschatological Motif)로 !

. 기획 TBC 성서 연구원 제작 후원 학교법인 실천 신학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