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진화 학점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태양계 행성들의 특징. 수성 (Mercury) 첫번째 행성 지구의 1/3 크기 수성의 1 년 - 88 일 하루 - 59 일 수많은 분화구로 덮여있음 밤낮의 기온차 큼.
Advertisements

 과학  10 학년  Ⅴ. 지구 > 3. 태양계와 은하 > 4 / 9 행성의 표면과 대기의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 행성의 표면과 대기의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원소 별이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I-2. 우주의 진화.
목차  1. 태양계 구성요소  2. 태양계의 의미 태양 지름은 지구보다 109 배, 질량은 약 33 만 배로 태양계 질량에 99% 를 차지하며 2 억년 주기로 은하계 중심을 공전하는 항성이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과 열은 생명체에게 도움을 주어서 옛날엔 신 ( 아폴론,
공학작문공학작문 한신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류승택 Spring. 2 강의 소개 ■ 대상 : 한신대학교 컴퓨터공학부 1 학년 ■ 기간 : ~ ■ 담당교수  류승택교수 (18407 호 ): Tel ,
우주론의 역사 5조5조. 우주 초단파 배경 복사 1964 년 우주 초단파 배경복사의 검출은 20 세기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 였다. 그러나 이발견은 우연적으로 발견되었다.
우주론 과 입자물리학 우주론 과 입자물리학 KAIST 물리학과 최기운. 우리가 볼 수 있는 전체 우주 (10 26 m ) : 우주 배경복사 온도분포 현재까지 관측된 세상.
대폭발 우주론을 지지하는 관측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과거의 우주론과 대폭발 우주론의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빅뱅의 증거에는 무엇이 있을까 ? 우주가 팽창하는 비율로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 면 우주는 원래 아주 작은 크기로 될 것인데 지금 우 리가 볼 수 있는 우주는 150 억년 전에는 작은 한 점으 로 모여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다가 어떤 힘 에 의해서 대폭발을.
2011 학년도 1 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07 우주 배경 복사와 빅뱅 우주론의 확립.
풍선의 팽창 도플러 (Doppler) 효과 – 기차의 경적, 빛의 색 변화 우주팽창 (E XPANSION O F U NIVERSITY )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1. 우주의 기원 1. 허블 법칙과 우주의 팽창. 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 Gauguin, Paul 1897.
Our Universe and BigBang 최 승 연. Theory of BigBang as a cosmology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 절대적인 시간과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외계행성과 생명 Extraterrestrial Planets and Life 년 1 학기 교수 : 이 상 각 25-1 동, 413 호 : 조교 : 신영우 25-1 동, 409 호 :
2010 서 희 명 ) 시스템 아키텍처 감리 - 강의계획서 -
2015 년 1 학기. 김 진 욱 김 진 욱 ( 金 振 郁 ; Gene Uhc Kim) 강의실 : 상허관 221 호 연구실 : 상허관 626 호 Office Hour : 월 15:00-16:30/ 수 10:30-12:00
2015 년 1 학기. 김 진 욱 김 진 욱 ( 金 振 郁 ; Gene Uhc Kim) 강의실 : 상허관 219 연구실 : 상허연구관 626 호 Office Hour : 월 15:00-16:30/ 수 10:30-12:00
미래정보통신기술 박 흠 성심관 1329 호 (055) 메일 : 홈페이지 :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김한준
게임프로그래밍 입문 멀티미디어공학과 이재문.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2009-1학기 프로젝트 수업 프로젝트 I, III, V, VII 학기.
초끈이론의 탄생과 현재 박정목 ( 물리학과 ) 이용한 ( 물리학과 )
C 프로그래밍 I.
우리 은하, 너희 은하 복불복 폭탄게임!!!.
<학습 목표> 시간과 공간의 상대성 원리에 대해 안다.
로봇 소프트웨어.
2006년 컴퓨터공학실험(I) 강의 소개 002, 004분반 인공지능 연구실.
SZ547 인공지능 2006년도 제 2학기.
지구화학 분석학 및 실험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유재영.
우주의 진화 학점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프로그래밍 언어 (C 언어) 기초 과목 개요 문양세 강원대학교 IT대학 컴퓨터과학전공.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인간의 고향 - 별 : 별의 탄생.
자연과학의 이해 (화학) 개념으로 엮은 자연과학개론 (화학)
컴퓨터소프트웨어설계및실험 년 1학기 실험계획 -.
우주의 진화 학점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정성훈 (연219호) 웹서버프로그래밍 강의 소개 정성훈 (연219호)
2018학년도 1학기 JUMP-UP ORIENTATION
별의 일생(Star Lives) 발표조: 9조.
인간과 우주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조교 : 정일교 (물리.천문학부)
1단원. 우주의 기원 1. 우주의 기원 | 2. 우주의 진화.
연습문제 숙제1(2~6장): 중간고사때 제출 9th edition: 2장: 23, 45, 47, 65, 97.
유기지구화학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Ch.2. 지구: 물과 생명의 행성 From
인간의 고향 - 별 : 별의 종말.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컴퓨터 소프트웨어 설계 및 실험 년 1학기 실험계획 -.
최초의 3분 Chapter 2. 우주의 팽창 Prepared by: <1조> 김경준
컴퓨터공학실험 (I) 년 1학기 실험계획 -.
시멘틱 웹 [semantic web] SETI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3-5. 태양계와 행성(2).
교수님 : 채종철 교수님 ) 2011년 1학기 천문학 실험 ( ) 교수님 : 채종철 교수님 ) 출석 30, 과제 70 조 교 : 송동욱.
컴퓨터 소프트웨어 설계 및 실험 년 1학기 실험계획 -.
보건교육방법론 1주.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빅뱅 직후의 우주 물질의 생성.
우주의 진화 학점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C 프로그래밍 I.
Copyright Prof. Byeong June MIN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팽창하는 우주 The Expanding Universe
멀티미디어 활용 -플래시 CS3 류 정 남.
서산여고 김광욱  VI. 지 구  태양계 탐사와 별 끝.
2015년 가을학기 강의소개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이형원, 장영실관304호,
?newsId= &seriesId= SMSS J 136억 살 거리는 약 6000 광년 우리은하 안
3-8. 성단과 성운.
Presentation transcript:

우주의 진화 006.004 3학점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sanggak@astrosp.snu.ac.kr 006.004 3학점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sanggak@astrosp.snu.ac.kr 조교 : 강원석 (wskang@astro.snu.ac.kr) 윤영주(yyzoo@astro.snu.ac.kr )

개요 지구로 부터 은하에 이르는 천체의 이해 우주 대폭발부터 오늘에 이르는 진화의 이해 우주관의 역사적 변화 우주에서의 우리의 위치 우주를 이해하는 다양한 방법 천체들의 상호 관련에 대한 이해 우주관의 성립

참고 문헌 우주로의 여행 I, II by Franknoi, Morrison, Wolf( 윤홍식외 8인 번역) Astronomy : Journey to the Cosmic Frontier by J. D. Fix Horizons : Exploring the Universe by M. A. Seeds (8th edition) Universe : Martin Rees

평가 중간 + 기말 고사 : 50% 별자리 각도 측정 과제 : 10% (보고서 마감일= 11월 14일) 별자리 사진 관측 과제 : 10% (보고서 마감일 = 11월 14일) 독후감 :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빠피용” 과 로벗트 제스트로의 “우주 탐험의 미래” (마감 :10월 31일) 10% 오늘의 이메지 5분 발표 (발표날 보고서 제출) 5% 비디오 관람 요약 + 질문횟수 (참여도평가) : 5% 강의내용 요약 및 질문 : 5% 출석 : 5%

실습 과제 1. 별자리 각도 측정과제 “ 자신의 손, 손가락의 각크기 결정 이를 이용한 별자리의 각도 측정 2. 별자리 사진 관측 (ISO-400 노출 5-15초) 독후감 (~5 페이지) 오늘의 이메지 발표 및 요약 보고서 제출 비디오 관람 내용 요약 천문학과 홈페이지 : http://astro.snu.ac.kr 에서개설교과목 -> 우주의 진화 게시판 항시 점검. 오늘의 이메지 참고 웹페이지 : http://antwrp.gsfc.nasa.gov/apod/archive.html 또는 www.kasi.re.kr 참조

오늘의 이메지 샘플

우주 토네이도

유성우

파노라마

마이라 꼬리

초음속 붐

강의 내용 다양한 창문 : 우주 관측 밥하늘에 대한 이해 가장 가까운 항성 : 태양 별(항성) 우리 은하 및 외부은하 우주 구조 및 우주론 우주론의 변화 태양계

빈센트 반 고호의 별이 있는 밤

Where did we come from? How today’s Universe of galaxies(은하), Stars(별, 항성), and Planets( 행성) came to be How stars and planetary systems form and evolve

천문학의 크기 -1 지구의 크기 1.3  107 m 10-2 태양의 크기 1.5  109 m 1 천문학의 크기 -1 지구의 크기 1.3  107 m 10-2 태양의 크기 1.5  109 m 1 지구-태양 거리 1.5  1011 m 102 = 8 광분

천문학의 크기 -2 태양-Proxima 거리 4.1  1016 m 1 = 4.3 광년 천문학의 크기 -2 태양-Proxima 거리 4.1  1016 m 1 = 4.3 광년 우리은하의 크기 1  1021 m 105 = 수십만 광년 (참고) 1 광년(Light Year) = 1016 m

천문학의 크기 -3 우리은하-M31 안드로메다 2  1022 m 1 200만 광년

1억광년 지름의 국부 초은하단에 분포하는 은하들

우주의 과거 - 표준우주진화모형 시간 140억년 현재 10억년 은하와 별 생성 50만년 수소원자생성 및 빛의 분리 2만년 3분 1초 10-11초 10-34초 10-43초 현재 은하와 별 생성 수소원자생성 및 빛의 분리 물질우세시기. 중력수축시작 핵합성 중성미자분리 전자기력과 약한힘 분리 급팽창 강한힘의 분리 시공간의 혼돈. 중력의 분리

우주 속에 인간의 존재? 우주가 지구 크기 정도 : 원자의 크기 달 착육 (1969 :미국, 2008: 중국) 달 착육 (1969 :미국, 2008: 중국) 화성 탐사 계획(선진국) 우주에 외계인과의 교신 (SETI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t) 외계 행성 발견 (1995 – 현재 ~250개) 우리의 존재 알림 –라디오 전파 방출, 보에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