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Smart IoT 설계 시스템 Lecture 09. Smart IoT 시스템 소개. Smart IoT 설계 시스템 2.
Advertisements

고출력 LED를 이용한 UV GUN 팀장:김동근 팀원:김중호 노현우 손주암.
for Low Voltage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HFC NMS 제품 설명 System 전체 구성도 NMS Software & Server FSK Mod/Demodulator
Sensor Node Circuits with Solar Energy Harvesting Team : SNEH Date : 2013/05/ Donghyeon-Seo.
Medical Instrument Team Project
DISPLAY Block diagram BASE BOARD CPU BOARD DDR-3 1GB (256MB X 4) CPU
EEG Amplifier 9조 : 하민욱 한성연 윤철한
Switched – Mode Power Supply
무정전전원장치 제작사양서 KPS600Series UPS 1Φ 5KVA KPS-605U ``
자동제어 개념2 1 1.
Technical Trends of Servo Drive and Performance
2013 스마트 컨트롤러 중간 프로젝트 김성엽 진종영 조유진
MEDICAL INSTRUMENTATION I Bio-potential Amplifiers
Biomedical Instrumentation 6주차
MEDICAL INSTRUMENTATION I Bio-potential Amplifiers
ATmega 128 MCU를 이용한 MP3 보드 제작 김태호 김소정.
응용전자회로 강의록# 생체의공학과 최준민 제출일 (월)
생체계측 강의록 Medical instrucmentation#7
자동제어 실험(2) 라인트레이서 제어.
EEG 회로 설계 7조 1등 이건우 2등 조영선 3등 홍윤호 4등 전진웅 5등 정다운 Biomedical Engineering.
1. 아두이노란 무엇인가? - 스마트 폰으로 제어하는 아두이노 -.
Medical Instrumentation 학습노트6
MEDICAL INSTRUMENTATION I
UNIT 02 Microprocessor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디지털 앰프의 기초 아날로그 앰프와 디지털 앰프의 차이 음질과 스펙과의 연관 관계
AVR - Chapter 2 황 지 연.
4족 로봇 삼식이팀 박명대.
1. 발명의 명칭 2. 발명의 분야 3. 발명의 기술적 배경 (종래 기술)
Medical Instrumentation #7
MEDICAL INSTRUMENTATION
무정전전원장치 제작사양서 KPS600Series UPS 1Φ 5KVA KPS-605U ``
6조 Op-Amp 응용 함수발생기 설계 예비제안발표
Distributed parameters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어지럼증 기타
Applied Electronic Circuit
장애부위검사 객관적인 청력검사.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Xproject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양승만.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X-Project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권치헌.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권치헌.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이준녕.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손 장 재.
Progress Seminar 양승만.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Progress Seminar 권순빈.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esentation transcript: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Sleep mode 전류 문제 해결 6월 말까지 임상시험 N = 60 데이터 정리 알고리즘 개발 시작 실험 진행 - 약물 주입량 재현성 검증 연구 결과 Sleep mode 전류 문제 해결 완료 데이터 정리 완료 (N=32/38) 초기 알고리즘 : 치열이형 자료 참조 디바이스 실험 논문 Figure 구성 완료 전자석 업체 방문 (최적화)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개발 완료 및 전달 의료기기 허가 반기보고 준비 논문 투고 전자석 수정 제작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AEP X-Project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임피던스 측정 F/W Test Test version H/W test 완료 연구 결과 Test version H/W - Oz, 귓속 신호 비교  완료 - 저전력 / 소형화 AFE test  진행 중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저전력 / 소형화 AFE test 완료 Oz, 귓속 신호 비교 (SSVEP, AEP, Alpha)

약물 주입 펌프

Insulin pump H/W block diagram Lithium polymer 1 cell (3.7V) Buck-Boost Regulator (LTC3531) Reference IC 2.5V (REF5025) Piezo buzzer ADC Reference Coin cell (for RTC / VBAT) Main MCU (STM32F103x) ADC MUX(Touch) (74HC4066) 2.4’ Touch LCD (KD024FM-1) Motor MCU (ATmega168) Photo Interrupt #2 (SG-211V) EXTI Comparator (LMV7275) RTC Crystal 32.768kHz (ABS) LED Driver (LDS8845) Crystal 7.3728MHz (ABMM) Control & Data pin Photo Interrupt #1 (SG-211V) MCU Reset IC (MIC811) UART UART SD_IO PWM Bluetooth 4.0 (BOT-CLE110) Micro SD (1040310811) Motor Driver (DRV8837) DC Motor

Insulin pump IC power dissipation PARTS DESCRIPTION CURRENT @sleep LTC 3531 Regulator Quiescent current : 16uA STM32F103VET6 Main MCU Stop mode : 25uA MIC811 MCU Reset circuit Supply current : 5uA VBAT Battery Monitoring (V divide) 3.3V / 200k = 16.5uA LDS8845 Touch LED driver Shutdown : 0.1uA REF5025 Touch ADC reference voltage Quiescent current : 0.8mA LMV7275 Comparator (EXTI, Sleep mode off) Supply current : 9uA 74HC4066 MUX (Touch X, Y) Supply current : 40uA + Touch power ON (5mA?) ATmega168 Motor MCU Power down : 1uA DRV8837 Motor driver Sleep mode : 30nA SG-211V Photo interrupters X

H/W block diagram (sleep mode test) 문제점 : Test 1 - MCU + LCD + SDcard (Touch 기능 제거) 이론 값 : 16uA + 800uA + 25uA + 5uA + 200uA + 0.1uA + 9uA + (40uA+Touch power) = 260uA 측정 값 : 2mA STM32F103x datasheet To further reduce power consumption in Sleep mode the peripheral clocks can be disabled prior to executing the WFI or WFE instructions The ADC or DAC can also consume power during the Stop mode Code 수정 결과 측정 값 : 400uA SD card 제거 : 180~210uA

X project Test version H/W 저전력 / 소형화 AFE Bluetooth 2.0 AEP device

Test version H/W summary AEP Device (+Lithium polymer, Bluetooth2.0, 저전력/소형화 AFE 3Ch.) Lithium polymer battery 11.1V(3cell) / mAh Bluetooth2.0 FB155BC (Firmtech 社.) 저전력 소형화 AFE Instrument Amp : INA826 OP-Amp : TSZ121  선정 근거 : 2nd meeting 발표자료 참고 Ch. 1 : Buffer – HPF – INA – HPF – LPF – Amp Ch. 2 : RC HPF – INA – HPF – LPF – Amp Ch. 3 : RC HPF – INA – HPG – Amp

Test version H/W verification 실험 환경 및 Setting Test device : #1, #2 실험 장소 : 국제관 2층 청각교육센터 내 Shield room LLR (100Avr, 1~100Hz, 12,000V/V), ABR(500Avr, 300~3,000Hz, 120,000V/V) [TEST #1] AEP Device 기능 성능 검증  (Oz, 귓속 신호 Quality 비교) 소리 검증 : 600Hz, 1kHz, 8kHz / 10, 30, 50dB HL Test signal : Electrode short noise level, LLR, ABR, EEG, SSVEP [TEST #2] 저전력 / 소형화 AFE Test Xproject target signal : evoked potential Test signal : LLR, SSVEP

[Test #1] Test version H/W 검증 결과 summary Board #1 Board #2 Sound Left O Right Electrode Short LLR setting (100 Avr.) 0.3720(μVp-p) 0.0818(μVrms) 0.3018(μVp-p) 0.0629(μVrms) ABR setting (500 Avr.) 0.1362(μVp-p) 0.0267(μVrms) 0.1330(μVp-p) 0.0261(μVrms) LLR 측정 ABR 측정 EEG 측정 (alpha wave test) Ch. 1 Ch. 2 Ch. 3

[Test #2] Test version H/W 저전력 / 소형화 AFE IC summary Instrument Amp OP-Amp Parts Offset voltage CMRR Input impedance Noise @1-10Hz (uVp-p) Supply current Size Notes INA118 50uV 110dB 10GΩ 0.28 0.7mA INA826 150uV 130dB 20GΩ 0.2 0.2mA Low B.W Parts Offset voltage CMRR Input impedance Noise @1-10Hz (uVp-p) Supply current Size Notes OPA2211 20uV 120dB 20kΩ 0.08 3.6mA Filter & Amp OPA192 5uV 140dB 100MΩ 1.3 1mA Buffer TSZ121 122dB ? 0.2 0.04mA

[Test #2] Test version H/W 저전력 / 소형화 AFE Test AFE #1 AFE #2 Buffer의 Input impedance 영향 INA 증폭 시 Saturation 여부 Buffer HPF Active INA Reference Amp LPF ADC INA Amp HPF LPF ADC Active Reference

[Test #2] Test version H/W AFE #3 AFE #4 AFE #5 INA Amp HPF ADC Active Reference LPF 제거  Aliasing effect에 의한 신호 왜곡 여부 INA Amp ADS1299 50 10 24 200 1 INA HPF ADC Active Reference Amp 제거 / 증폭률 감소  신호 측정 여부 INA ADC Active Reference HPF 제거  신호 Saturation 여부

[Test #1] Test version H/W Electrode short (AEP Board : 0.3720μVp-p, 0.0818μVrms) LLR setting AFE #1 AFE #2 Noise level (μV p-p / μVrms) 100Avr. Test 1 0.5342 0.088 0.2451 0.0441 Test 2 0.4549 0.0805 0.1674 0.0297 Test 3 0.5433 0.0889 0.1811 0.0358 Test 4 0.4764 0.0840 0.2179 0.0372 Test 5 0.4196 0.0849 0.1353 0.0334 Test 6 0.4612 0.0834 0.2358 0.0352 Averaging 0.4816 0.1971 0.0359 AFE #3 AFE #4 0.2050 0.0379 0.2295 0.0365 0.2303 0.0377 0.2267 0.0413 0.2583 0.0402 0.1998 0.0337 0.2461 0.0424 0.1867 0.0344 0.2318 0.0346 0.2608 0.0415 0.1986 0.2648 0.2283 0.2280 0.0370 AFE #5 0.2353 0.0437 0.2200 0.0394 0.2184 0.0385 0.1860 0.0323 0.1891 0.0353 0.2391 0.0359 0.2146 0.0375

[Test #1] Test version H/W Electrode short 결과 분석 AEP Board setting (Chip만 변경) AEP : 0.372μVp-p / 0.0818μVrms  저전력 : 0.4816μVp-p / 0.0849μVrms (증가) INA 전 Buffer / HPF 영향 0.4816μVp-p / 0.0849μVrms  0.1971μVp-p / 0.0359μVrms (큰 폭 감소, AEP 보드보다 성능↑) LPF 제거  Aliasing effect 고주파 성분 증가 (첨부 자료의 파형 참조) Amp 제거 / 증폭률 감소  신호 측정 여부 0.2283μVp-p / 0.0377μVrms  0.228μVp-p / 0.037μVrms (차이 없음) HPF 제거  신호 Saturation 여부 Noise level 차이 없음 Offset : 3.5μV  60μV로 증가, 신호 측정을 통해 확인

[Test #2] Test version H/W 검증 결과 summary Electrode short (LLR / 100Avr.) (μV p-p / μVrms) LLR SSVEP AEP 0.3720 0.0818 AFE #1 0.4816 0.0849 AFE #2 0.1971 0.0359 AFE #3 0.2283 0.0377 AFE #4 0.2280 0.0370 AFE #5 0.2146 0.0375

[Test #1] Test version H/W Electrode short LLR setting Board #1 Board #2 Noise level (μV p-p / μVrms) Test 1 0.3015 0.0670 0.3406 0.0698 Test 2 0.2990 0.0744 0.2839 0.0611 Test 3 0.3625 0.0730 0.3252 0.0645 Test 4 0.3945 0.0818 0.3162 0.0576 Test 5 0.3733 0.0707 0.2282 0.0473 Test 6 0.5016 0.1244 0.3170 0.0771 Averaging 0.3720 0.3018 0.0629 ABR setting Board #1 Board #2 Noise level (μV p-p/ μVrms) Test 1 0.1394 0.0258 0.1452 0.0246 Test 2 0.1184 0.0236 0.1138 0.0248 Test 3 0.1297 0.0295 0.1310 0.0267 Test 4 0.1266 0.1408 0.0291 Test 5 0.1637 0.0274 0.1416 0.0259 Test 6 0.0279 0.1259 0.0255 Averaging 0.1362 0.1330 0.0261

[Test #1] Test version H/W LLR 측정 (피험자 : 손장재) #1 #2

[Test #1] Test version H/W ABR 측정 (피험자 : 권치헌) #1 #2

[Test #1] Test version H/W Board #1 EEG 측정 (피험자 : 손장재) Open Close Open Close Open

[Test #1] Test version H/W Board #2 EEG 측정 (피험자 : 손장재) Open Close Open Close Open

[첨부] Test #1 Electrode short (LLR)

[첨부] Test #2 Electrode short (LLR) AFE #1 AFE #2 AFE #3 AFE #4 AFE #5

[첨부] Test #1 Electrode short (A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