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EG Amplifier 9조 : 하민욱 한성연 윤철한
Advertisements

1.4 EMC 문제와 EMC 설계의 개념 EMC 문제의 예
MEDICAL INSTRUMENTATION I Bio-potential Amplifiers
Biomedical Instrumentation 6주차
MEDICAL INSTRUMENTATION I Bio-potential Amplifiers
응용전자회로 강의록# 생체의공학과 최준민 제출일 (월)
생체계측 강의록 Medical instrucmentation#7
EEG 회로 설계 7조 1등 이건우 2등 조영선 3등 홍윤호 4등 전진웅 5등 정다운 Biomedical Engineering.
Medical Instrumentation. H.W #9
컴퓨터 계측 및 실습 D/A-converter
MEDICAL INSTRUMENTATION I
483(W) x 88(H) x 260(D) / 19(W) x 3.5(H) x 10.2(D)
장 비 사 양 서 제품특징 제품사양 제조국 브랜드 KEVIC 모 델 KA2224 품 명 POWER AMPLIFIER
Multi – Disc CD Receiver
Progress Seminar 신희안.
Medical Instrumentation #7
임피던스 측정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MEDICAL INSTRUMENTATION
6조 Op-Amp 응용 함수발생기 설계 예비제안발표
JPA-1360B/1480B ATT 5-ZONE AMPLIFIER JPA-1360B JPA-1480B 입력 감도 / 임피던스
483(W) x 88(H) x 260(D) / 19(W) x 3.5(H) x 10.2(D)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어지럼증 기타 임상시험 설계 및 준비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실험 10 OP Amp 연산회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어지럼증 기타
Progress Seminar 양승만.
장애부위검사 객관적인 청력검사.
JDC-200/400/600 1CH DIGITAL P.A POWER AMPLIFIER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Xproject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양승만.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X-Project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권치헌.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권치헌.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이준녕.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손 장 재.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이준녕.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Progress Seminar 권순빈.
Progress Seminar 권순빈.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esentation transcript: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개발 완료 및 전달 의료기기 허가 반기보고 준비 논문 투고 전자석 수정 제작 연구 결과 Sleep mode 전류 문제 해결 완료 (50~100uA) Sleep mode off 조건 1. 버튼 클릭 2. RTC IRQ (기초 주입) 6/30일 의료기기평가원 방문 반기보고서 작성 예산 실적 및 계획 작성 문제점 및 대책 PCB 수정 필요 (Pull-down 저항, 스위치) 목표 및 계획 PCB 수정 후 7/7까지 전달 디바이스 6대 제작 임상시험 진행 예산 및 보고서 제출 완료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AEP X-Project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임피던스 측정 F/W Test 저전력 / 소형화 AFE test 완료 Oz, 귓속 신호 비교 (SSVEP, AEP, Alpha)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임피던스 측정 F/W Test (~7/8) 저전력 소형화 H/W Version.1 제작

Test version H/W verification 실험 환경 및 Setting Test device : #1, #2 실험 장소 : 국제관 2층 청각교육센터 내 Shield room LLR (100Avr, 1~100Hz, 12,000V/V), ABR(500Avr, 300~3,000Hz, 120,000V/V) [TEST #1] AEP Device 기능 성능 검증  (Oz, 귓속 신호 Quality 비교) 소리 검증 : 600Hz, 1kHz, 8kHz / 10, 30, 50dB HL Test signal : Electrode short noise level, LLR, ABR, EEG, SSVEP [TEST #2] 저전력 / 소형화 AFE Test Xproject target signal : evoked potential Test signal : LLR(w/ Prep.), LLR(w/o prep, Battery), SSVEP

[Test #1] Test version H/W 검증 결과 summary Board #1 Board #2 Sound Left O Right Electrode Short LLR setting 0.3720(μVp-p) 0.0818(μVrms) 0.3018(μVp-p) 0.0629(μVrms) ABR setting 0.1362(μVp-p) 0.0267(μVrms) 0.1330(μVp-p) 0.0261(μVrms) LLR 측정 ABR 측정 EEG 측정 (alpha wave test) Ch. 1 Ch. 2 Ch. 3 SSVEP

[Test #2] Test version H/W 저전력 / 소형화 AFE Test AFE #1 AFE #2 Buffer의 Input impedance 영향 INA 증폭 시 Saturation 여부 Buffer HPF Active INA Reference Amp LPF ADC INA Amp HPF LPF ADC Active Reference

[Test #2] Test version H/W AFE #3 AFE #4 AFE #5 INA Amp HPF ADC Active Reference LPF 제거  Aliasing effect에 의한 신호 왜곡 여부 INA Amp ADS1299 50 10 24 206.8 1 INA HPF ADC Active Reference Amp 제거 / 증폭률 감소  신호 측정 여부 INA ADC Active Reference HPF 제거  신호 Saturation 여부

[Test #2] Test version H/W 검증 결과 summary Electrode short (100Avr.) (μV p-p / μVrms) Raw data > 6min. (μVrms) LLR (w/ Prep) (w/o prep, Battery) SSVEP AEP 0.3720 0.0818 0.7045 O AFE #1 0.4816 0.0849 0.8766 AFE #2 0.1971 0.0359 0.3895 AFE #3 0.2283 0.0377 0.3748 AFE #4 0.2280 0.0370 0.4336 AFE #5 0.2146 0.0375 0.6488 소모전력 비교 (1ch. 기준) AEP AFE #1 AFE #2 AFE #3 AFE #4 AFE #5 13.5mA 0.48mA 0.32mA 0.28mA 0.24mA 0.2mA

[Test #2] Test version H/W Electrode short (AEP : 0.3720μVp-p / 0.0818μVrms / 0.7045μVrms ) LLR setting AFE #1 AFE #2 Noise level 100 Avr. (μV p-p) (μVrms) Raw data Test 1 0.5342 0.088 0.8795 0.2451 0.0441 0.3777 Test 2 0.4549 0.0805 0.8766 0.1674 0.0297 0.4029 Test 3 0.5433 0.0889 0.8737 0.1811 0.0358 0.3880 Test 4 0.4764 0.0840 0.2179 0.0372 Test 5 0.4196 0.0849 0.1353 0.0334 Test 6 0.4612 0.0834 0.2358 0.0352 Averaging 0.4816 0.1971 0.0359 0.3895 AFE #3 100 Avr. (μV p-p) (μVrms) Raw data 0.2050 0.0379 0.3819 0.2303 0.0377 0.3781 0.2583 0.0402 0.3645 0.2461 0.0424 0.2318 0.0346 0.1986 0.0337 0.2283 0.3748 AFE #4 AFE #5 0.2295 0.0365 0.4289 0.2353 0.0437 0.9291 0.2267 0.0413 0.4336 0.2200 0.0394 0.5977 0.1998 0.0337 0.4385 0.2184 0.0385 0.4196 0.1867 0.0344 0.1860 0.0323 0.2608 0.0415 0.1891 0.0353 0.2648 0.0346 0.2391 0.0359 0.2280 0.0370 0.2146 0.0375 0.6488

[Test #2] Test version H/W Electrode short 결과 분석 AEP Board setting (Chip만 변경) AEP : 0.7045μVrms  저전력 : 0.8766μVrms (증가) INA 전 Buffer / HPF 영향 0.8766μVrms  0.3748μVrms (큰 폭 감소, AEP 보드보다 성능↑) LPF 제거  Aliasing effect 고주파 성분 증가(aliasing 발생) (첨부 자료의 파형 참조) Amp 제거 / 증폭률 감소  신호 측정 여부 0.3748μVrms  0.4336μVrms (Noise 증가  초단 증폭률↑ 유리, ADC noise 대비 신호↑) HPF 제거  신호 Saturation 여부 0.4336μVrms  0.6488μVrms로 Noise level 증가 Offset : 3.5μV  60μV로 증가 & Baseline이 흔들림으로 인해 Noise가 크게 측정됨

[Test #2] Test version H/W LLR 측정 (권치헌, w/ Prep) 초단 Buffer, HPF 제거 Buffer의 Input impedance 영향 비교 INA 증폭시 Saturation 여부 Noise level 결과와 같이 AFE #2의 신호가 더 깨끗 초단 Buffer와 HPF 제거! AFE #1 AFE #2

[Test #2] Test version H/W LLR 측정 (권치헌, w/ Prep) LPF 제거 영향 비교 고주파 Noise 증가 (aliasing) Digital LPF로 해결 가능? AFE #3 AFE #2 AFE #3 - LRF

[Test #2] Test version H/W LLR 측정 (권치헌, w/ Prep) Amp 제거  증폭률 감소(4800 V/V) HPF 제거  신호 Saturation 확인 AFE #3 대비 AFE #4와 AFE #5의 noise level 도 컸고 신호도 Noisy : 증폭률 클수록 유리 신호 Saturation 안됨 AFE #4 AFE #3 AFE #5

[Test #2] Test version H/W LLR 측정 (안중우, w/o Prep, Battery) Impedance = Active(38.8k), Reference(20.5k), Ground(8k) AFE #1 AFE #2 AFE #3 AFE #4 AFE #5

[Test #2] Test version H/W 최종 AFE 선정 HPF, LPF 유지 INA 증폭률을 500V/V로 증가시켜 전체 증폭률 12,000V/V 유지 전체 소모전류 : 0.24mA (1ch. 기준) INA LPF HPF ADC Active Reference 전체 AFE Noise 비교 Noise level 100 Avr. (μV p-p) (μVrms) Raw data AEP 0.3720 0.0818 0.7045 AFE #1 0.4816 0.0849 0.8766 AFE #2 0.1971 0.0359 0.3895 AFE #3 0.2283 0.0377 0.3748 AFE #4 0.228 0.037 0.4336 AFE #5 0.2146 0.0375 0.6488 AFE FIN 0.1550 0.0285 0.2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