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유진 위 Modified 8년 전
2
01 최근 조선산업 동향 및 전망 국 별 2009 점유율 (%) 2010.6 점유율 (%) 한 국 3.420.65.436.3 일 본 3.923.52.013.3 중 국 7.042.15.335.6 유 럽 0.53.00.74.8 총 계 16.6100.01.510.0 2010 년 상반기 세계 수주량 : 전년동기대비 331% 증가한 14.7 백만 CGT - 2003~2008 년간 최대 호황을 보였으나, 세계 금융위기 이후 발주량 감소, 다소 회복 중국의 시장 점유율 급증 : ‘08 년 35% →09 년 42% →‘10 년 상반기 35.6% - ’ 09 년의 경우, 선박금융 등의 정부지원 및 자국발주 물량으로 중국의 점유율이 40% 에 육박하나 전체물량이 워낙 작아 큰 의미는 없음 ( 단위 : 백만 CGT) 자료 : 로이드
3
01 최근 조선산업 동향 및 전망 구 분척 수백만 GT 백만 CGT Avg.1996-20091,91763.135.2 Avg.2010-20111,32555.327.4 Avg.2012-2019 Low Case Base Case High Case 1,047 1,526 2,163 36.3 52.4 73.0 22.2 31.6 43.5 구 분 실 적 ( 연평균 :‘96~‘09) 20102011 ‘12~‘15 ( 연평균 ) ‘16~‘19 ( 연평균 ) 탱 커 9.86.65.36.16.3 벌 커 9.513.67.84.85.7 컨테이너 7.03.46.77.69.8 가 스 선가 스 선 2.20.81.43.23.4 전체합계 35.227.926.930.233.1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 ( 단기 : 벌커, 컨테이너선 / 중장기 : 컨테이너선 부문 주로 확대 ) 금년 3 월 전망 대비, 2010 년 발주 전망치 1,390 만 CGT 에서 2,790 만 CGT 로 2 배 상당 확대 장기 (2016~2019 년 ) 전망 : 연평균 3,310 만 CGT 발주 전망 이는 1996-2009 년간 연평균 발주량 3,520 만 CGT 에 못 미치는 수준이나 초호황기 (2006~2008 년 ) 를 제외한 연평균 발주량 2,556 만 CGT 보다는 높은 수준
4
01 최근 조선산업 동향 및 전망 외환위기 이후 5 대 핵심수출산업으로 확고한 자리 매김 - 2008 년 수출 1 위 (432 억 $), 무역수지 흑자 1 위 (378 억 $) - 2009 년 수출금액 451 억불 기록하여 사상최대 실적 달성 구 분 수출현황 (A) 수입현황 (B) 무역수지 (A-B) 금액증가율금액증가율 선 박 42,2885.72,794-15.839,494 해양구조물 196-81.030-26.6166 선박용엔진 2,51820.7857-9.11,661 선박용부품 12723.51,19216.4-1,065 계 45,1284.64,872-8.540,256 구 분 2009 년 % 선 박 42,28811.6% 집적회로반도체 28,1587.8% 평판디스플레이 25,1236.9% 승 용 차승 용 차 22,3996.2% 무선전화기 18,1255.0% 전체수출 363,534100% ( 단위 : 백만불 ) 자료 : 지식경제부 무역통계 MTI 4 단위, 2009 년 기준
5
02 해양플랜트시장 특성 “ 고유가 -> 잠자던 자원 개발 욕구 깨움 -> 해양플랜트 수요 확대 ” 유전 개발의 평균 손익점 : 배럴당 50~60 달러 천해자원 고갈 기존 투자 유전 생산 재개 및 새로운 탐사 활발 심해 유전 개발 투자 확대 -> 다양한 설비 필요
6
02 해양플랜트시장 특성 경제적 중요성 세계경제의 흐름에 따라 신에너지 운송수요의 증대, 해상 물동량의 증가, 심해 유전개발 등으로 인한 해양 플랜트 수요증가 및 환경의 변화가 예상 유가가 배럴당 50 달러 이상을 상회한 2005 년 이후 플랜트의 발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 지속적인 해양플랜트 산업의 성장은 전. 후방 산업과 연계하여 그 발전가치가 높음
7
02 해양플랜트시장 특성 산업 및 기술적 중요성 개별 구조물의 주요기능을 담당하는 Topside 구역의 엔지니어링 기술과 설비의 설치 측면을 중심으로 살 펴보면 육상 플랜트 산업과 유사성이 있음. 조선 / 플랜트 / 엔지니어링 산업의 종합적 메커니즘 특성 기술적 특성상 설계. 생산이 통합된 대표적인 지식집약형 엔지니어링 기술 기반 조선산업 플랜트 엔지니어링 철강 해양플랜트
8
03 해양플랜트산업 경쟁력 분석 국가적 차원에서의 SWOT 분석 SWOT 분석을 통한 전략방향 도출 O( 기회 )T( 위협 ) ∙ 국내 조선소의 해양플랜트 신규 수주 증가 ∙ 심해용 해양플랜트의 발주에 따른 싱가폴, 중국 등의 생산시설 및 기술적 한계 노출 ∙ 세계시장의 지속적인 확대 및 에너지 신규수요 증가 ∙ 장기적인 호황에 따른 조선 및 기자재산업의 적 극적 구조조정 및 재무구조 개선 여력 확보 ∙ 한국선급의 CE Mark 인증기관 지위 취득 ∙ 국제적 보호무역 및 기술장벽 강화 ∙ 해양 및 조선 기자재 산업에 있어서 중국, 동남아, 인도, 남미 등 해외경쟁국가의 부상 ∙ 유럽 및 선진국의 설계 및 System Integration 장벽 강화 ∙ 지적재산권 등의 강화로 인한 국제통상 분쟁 우 려 S( 강점 )SO 전략 ST 전략 ∙ 조선산업의 세계 최고의 생산 건조 기술 우위 ∙ 전후방 연계 산업의 지역적 집적화 ∙ 기자재산업의 지역적 집적화 및 국산화 노력 ∙ 해외 선주의 조선소에 대한 높은 기술신뢰도 ∙ 수요산업인 해양플랜트 건조 시장에서의 지배적 시장점유율 ∙ 수요기업인 조선산업과 연계된 기술인지도 재고 전략 ∙ 전후방 연계산업과 연관되는 집중적 투자 및 산 업적 지역적 클러스터를 통한 생산성 및 기술집 약화 극대화 ∙ 유럽의 승인제도 활용 등을 통한 기술장벽 타파 전략 ∙ 조선소의 국산화 노력에 맞는 원천기술의 확보 및 기자재 국산화 전략 W( 약점 )WO 전략 WT 전략 ∙ 중소조선 산업 침체에 따른 산업적 투자 축소 ∙ 내수기반 취약 ∙ 기자재산업의 영세성 및 기술 취약 ∙System Integration 기술의 미확보 ∙ 기초설계기술의 미확보 ∙ 해외선주에 대한 수요기업인 조선소와 연계된 시 장 개척 전략 ∙ 국내 시운전 및 육상플랜트 시장기술 접목을 통 한 경쟁력 강화 전략 ∙ 국가적 산업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 및 평가 시 설의 집적화 전략 ∙ 개발과제의 사업화 연계 추진 전략 ∙ 조선기자재업체의 해양기자재업체로의 산업고도 화를 위한 집중 지원 시스템 구축 전략
9
03 해양플랜트산업 경쟁력 분석 제품 단위가 아닌 Package 형태의 납품 Oil Company 는 Risk 부담 불필요 Oil Company 의 높은 신뢰성 요구 Oil Company 는 기존의 Vendor 선호 Oil Company Vendor List 등재가 우선 해양플랜트 기자재 제품의 고 기술적 특성 해양플랜트 기자재 제품의 고 단가 기업의 재무 건전성 지난 30 년 이상의 납품실적 및 향후 Vision 납품실적 및 안전성 요구 공급산업의 연속성 ( 기술인력 )
10
03 해양플랜트산업 경쟁력 분석 Technical Document Composition Technical Document Comprehension Technical Document Writing 공급제품에 대한 Technical Document 능력 부족 기술적 서류 요구
11
03 해양플랜트산업 경쟁력 분석 국제적 A/S 망 요구
12
03 해양플랜트산업 경쟁력 분석 제품의 높은 성능 요구 (Material, Geography, Environment) 신뢰성 규격의 폐쇄성 특수 시험 ( 극한 환경 및 심해저 Test) 특정 국가 및 지역에서의 신뢰성 및 Mechanical Integrity Test 높은 단가의 Test 비용이 기업의 부담으로 작용 시험 인증 후 Oil Company 의 OK 여부도 Risk 기존 Vendor 및 해외기관의 Performance Test 만 인정하는 분위기 해양의 특수한 환경 중 현장의 악조건을 고려하지 못한 국내 시험설비는 Oil Company 의 긍정적 사고를 기대하기 어려움 Package 단위의 제품개발 기술 신인도 제고
13
04 해양플랜트산업 발전전략 시장진입을 위한 기술확보 추진 전략
14
04 해양플랜트산업 발전전략 해양플랜트 기자재 납품 전략
15
04 해양플랜트산업 발전전략 해양플랜트 시장 전략 연구개발사업 시험평가 인프라 인력양성사업 기술지원사업 해외마케팅사업 국제협력사업 시스템통합기술부품기술안정화기술 요소 기술 세부사업 통합 구축 자원 연계 활용 상대적 비교우위 분야 역할 분담 지원기관 ( 연구소, 대학 ) 별 전문기술분야 담당 지원기관 ( 연구소, 대학 ) 및 참여기업별 특화분야 담당 KOMEA & KOSHIPA 주도, 기자재업체 및 조선소 참여 Package 단위의 제품 개발 납품실적 및 안전성 요구 기술적 서류 및 PQ 요구사항 공급산업의 연속성 ( 기술인력 ) 국제적 A/S 망 요구 기술 신인도 제고 시장진입 요구사항
16
04 해양플랜트산업 발전전략 해양 Topside 기본설계분야의 해외 엔지니어사 기술 의존 기자재 국산화율 저조 - 20~30% 신개념 복합 제품 수요 - LNG FPSO, FSRU 등 에너지 Source 변화 ( 극지 / 심해용 ) - Arctic Drillship 등 해양플랜트 사업 영역 확대 - BM MPP, 해상풍력발전 등 자원 부국의 국수국조 동향 해양 Topside 기본설계 역량 강화를 통한 기술자립화 국책과제를 통한 기자재 국산화 추진 LNG FPSO, FSRU 등 신개념 복합 제품 개발 Arctic Rig/Drillship 등 극지용 Project 설계 / 제품 개발 BM MPP, 해상풍력발전 등 신규 Project 사업 진출 러시아, 브라질 등 Local Contents 에 능동적 대응 해양사업 현황 대응 방향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