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상민 마 Modified 8년 전
1
가정과 행복 이정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우리는 행복한가 ( 한길사 )
2
목차 서론 소득과 행복 행복의 역설 문제의 제기 행복의 기반 붕괴 혼외출산과 미혼모 문제의 시사점 동거 문제의 시사점 높은 이혼율의 시사점 건강한 가정 건강한 가정의 육성 결론
3
서론 우리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들 : 소득, 가정의 화목, 기타 ◇핵심주장 주장 1: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면 소득보다는 가정의 화목이 우 리의 행복에 더 중요해진다. 주장 2: 건강한 가정은 각 개인을 행복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를 살기 좋게 만들고 우리 경제를 활성화하는 기반시설이다. 그러므로 가정문제는 당사자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이해 관계가 걸린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 모두가 깊은 관심을 가지고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문제이다.
4
행복의 요인 행복 가정 소득 기타 1. 행복에 대한 ; 소득의 기여 < 가정의 기여 2. 건전한 가정은 사회기반시설
5
소득과 행복 미국의 예 1
6
미국의 예 2
7
행복관련 주요 지표의 동반하락 결혼생활 만족도 ↘ 직장생활 만족도 ↘ 주거환경 만족도 ↘ “ 물질적 풍요가 역사상 최고에 이르렀지만, 인생의 허무함 을 느끼는 사람의 수 역시 최고에 이르렀다.” 엘 고어 (2007 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
8
일본의 예 ( 자살 사망률이 교통사고 사망률보다 높은 나라 )
9
독일의 예
11
행복한 나라와 불행한 나라 A 그룹 : 잘 살면서 행복한 나라 네델란드, 북구의 나라, 스위스, 미국 B 그룹 : 못 살면서 행복한 나라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베트남, 필리핀 C 그룹 : 못 살면서 불행한 나라 불가리아, 짐바브웨, 파키스탄 일본과 우리나라
12
경제성장 효용체감의 법칙 ( ※소득과 건강 )
13
행복의 역설 ◇ 선진국의 실상 소득수준의 향상이 국민을 더 행복하게 하지는 않는 현상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측됨 → 행복의 역설 ◇행복의 역설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 지난 반세기행복에 대한 연구의 홍수 ; 자연과학자들이 주도 이스털린 (Easterlin) 의 연구 개인소득의 증대 → 개인의 행복 국민소득의 증대 → ⅹ국민의 행복 후속이론들 이스털린의 역설을 일부 부정 개인소득의 증대 → ⅹ개인의 행복 새로운 개념들 결별점 (Decoupling Point), 적응 ( 습관화 ), 포부형성
14
⊙상대성 이론 소득수준의 향상 → 남과의 비교가 심해짐 실험 1: 다음 두 가지 중 어느 것을 선호 ? 선택① : 당신의 월급은 400 만원이고 다른 모든 사람의 월급은 800 만원인 상황 선택② : 당신의 월급은 200 만원이고 다른 모든 사람의 월급은 100 만원인 상황 ☞ 다수가 ② 선택 [ 나의 소득 증가, 남의 소득 증가 ] → ⅹ 행복 ↑ ⇒ 1 인당 국민소득 증가 → 국민의 행복감 불변
15
상대성 이론의 사례들 (1)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와 동메달리스트 (2) 구 동독 국민의 행복지수 ⇒소득, 소비의 영역 : ‘ 남과의 비교 ’ 가 유난히 심함 남과의 비교 : 행복감을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 우리의 현실 ( 선진국의 현실 ) [ 소득수준 ↑, 경쟁의 격화 ] → 남과의 비교가 점점 더 중요 경쟁격화 → 스트레스 : 불행의 주된 요인 지위재의 비중 증가 : Luxury Fever, “ 사치의 나라 ”, 사교육 열풍 ☻ 행복의 비결 : 남과 나를 자꾸 비교하지 말라
16
⊙물질적 행복 포화이론 ◇행복의 종류 √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 특징 : 한계효용체감현상 √ 돈으로 살 수 없는 행복 사랑, 우정, 화목, 존경, 명예 등 특징 : 한계효용체증의 현상 ◇선진국 사회 :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이 포화상태 에 이름 ☞행복의 역설을 설명
17
문제의 제기 ◇선진국에 대한 질문 왜 달은 보지 않고 손가락만 보는가 ? ◇우리 사회 : 선진국으로 돌진하는 사회 금전적․물질적 목표를 중심으로 짜여진 사회 2007 년 참여정부 국정목표 : 1 인당 국민소득 2 만 불 비전 2030, : 2030 년까지 5 만 불, 세계 제 8 위 경제대국, 생활의 질 10 위 (2007 년 현재 40 위 ) 질문 : 2 만 불 선을 넘어서면 어떻게 되는가 ? 소득증대 → 생활의 질 ↑ → 행복 ? ◇ 경제성장에 대한 반성 경제성장의 득과 실 계산 → Smart Growth ◇소득과 소비에 대한 집착 → 행복의 기반 파괴
18
행복의 기반 붕괴 미국 사회의 비관적 변화 (1960-1990) ✓ 이혼율이 두 배 늘었다. ✓ 10 대 자살률이 세 배 늘었다. ✓ 공식 기록된 폭력범죄가 4 배 늘었다. ✓ 감옥소에 수용되어 있는 죄수의 수가 5 배 늘었다. ✓ 미혼모가 낳는 신생아의 비율이 6 배 늘었다. ✓ 동거부부가 7 배 늘었다. ✓ 우울증이 2 차 대전 전에 비해서 10 배 늘었다. ⇒ 선진국 사회의 뒤안길 [ 이혼율, 미혼모, 동거부부 ] ⇒ 가정과 관련된 문제 ↓ [ 범죄, 자살, 우울증 ] 가정해체 : 미국사회의 기본을 파괴
19
아이가 아이를 낳는 문제 ◇혼외출산의 만연 2000 년 미국 신생아 3 명 중 1 명, 스웨덴 신생아 10 명 중 7 명 ( 특히 미혼모의 출산이 급증 ) 혼외출산율과 폭력범죄율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 ◇미혼모가 낳은 아이의 대부분 : 원치 않는 아이 “ 원치 않는 출생처럼 아이에게 나쁜 것은 없다.” 미혼모가 낳은 아이들이 범죄를 저지를 확률, 월등히 높음. ◇미국의 범죄율 추이 90 년대 초반까지 급격하게 상승, 그 이후 급격히 하락 질문 : 왜 갑자기 하락하였는가 ? 전통적인 이론으로 충분히 설명이 안됨
20
◇레빗과 도나휴의 연구 낙태의 합법화가 미국의 범죄율을 낮춘 주된 요인임을 밝힘 통계자료 : 낙태를 합법화한 미국 5 개 주에서 15 년 후 범죄율이 급격히 감소 레빗과 도너휴의 논리 “ 원치 않는 출산은 높은 범죄율의 원인이 된다.” “ 낙태는 원치 않는 출산을 줄여준다.” “ 그러므로 낙태는 낮은 범죄율의 원인이 된다.” ⇒ 미혼모의 문제와 범죄율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 입증 ※레빗과 도너휴의 연구에 대한 도덕적 비난 ◇자유화의 후유증 섹스의 자유화 → 개인의 자유 증진 섹스의 자유화 → 혼외출산, 미혼모, 높은 이혼율 → 높은 범죄율 범죄 : 개인의 자유에 대한 가장 큰 위협 개인자유 증진 → 가정해체 → 범죄증가 → 개인자유 침해
21
동거의 문제 동거는 이혼율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가 ? 답 : 아니다 거의 대부분의 동거생활이 결혼에 이르지 못함. 동거과정을 거쳐 결혼한 부분의 이혼율이 더 높음. 동거는 결혼보다 더 행복한가 ? 답 : 아니다 동거부부의 행복지수 < 결혼부부의 행복지수 동거부부 : 언제라도 헤어질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 혼인에 대한 책임감 (commitment) 의 문제 동거 자녀들의 불행
22
생각보다 큰 이혼의 후유증 “ 인생은 길어지는데 사랑은 짧아진다.” ◇불행한 어른들, 상처 받는 아이들 이혼 전에는 스트레스, 이혼 후에는 고민 ( 가난 ) 과 우울증 월등히 높은 우울증 확률, 높은 자살률 “ 이혼은 다리를 하나 잘리는 것과 같다.” 편부모의 자녀 : 높은 범죄율 (Magic Number 70%) 10 대 가출 청소년의 70%, 청소년 살인범의 70%, 장기 복역수의 70% → 편부모 가정의 자녀들 ◇높은 이혼율 →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 이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 → “ 수 틀리면 언제라도 헤어진다 ” → 가정유지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함 → 불화와 갈등 증폭
23
선진국 사회의 교훈 1. 건강한 가정 → 개인의 행복 “Big Five” (U.S. General Social Survey) ➀가족관계 ➁재정상태 ➂일 (work) ➃공동체 (community) 와 친구 ➄건강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이 첫 번째임 2. 건강한 가정 → 건강한 사회 ( 살기 좋은 사회 ) 3. 건강한 가정 → 사회적 자본 → 경제활성화 사회적 자본 : 상호신뢰 하에 협동하는 능력 혹은 인간관계망 가정은 이타심과 신뢰의 산실 ⇒ 건강한 가정은 사회기반시설
24
건강한 가정의 육성 ◇긍정심리학의 시사점 ▪ 정상적인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행복을 위한 지식을 생산 ⇒정상적인 가정을 연구하고 육성할 필요성 ▪ 행복해질 수 있는 능력, 그 능력은 기르기 나름 ◇가정교육의 목표 : 행복해질 수 있는 능력의 함양 ▪ ‘ 생산기술 ’ 보다는 ‘ 생활기술 ’ 을 가르쳐라 ※사교육의 문제 ▪ ‘specialist’ 보다는 ‘generalist’ 를 ◇가정에 대한 강한 commitment 의 함양 타산적 결혼관 : 가정은 상호이익 도모의 장소 낭만적 결혼관 : 가정은 베품의 장소
25
맺는 말 행복을 의무로 삼는 사회 행복한 사람 : 남을 더 잘 배려, 더 협동적, 더 많은 봉사활동, 더 많은 기부 불행한 사람 : 그럴 마음의 여유를 갖지 못함 ⇒ 사회구성원 각각이 행복 → 더 좋은 사회 “ 행복은 개인의 권리이자 의무 ” ⇒건강한 가정을 유지할 권리와 의무 개인의 행복추구 한계 → 사회적 ( 국제적 ) 공조 필요
26
감사합니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