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목차 : 1. 서론 2. 중국내 외국인 투자 동향과 전자시장 현황 3.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사례 분석 4.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5. 결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목차 : 1. 서론 2. 중국내 외국인 투자 동향과 전자시장 현황 3.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사례 분석 4.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5. 결론."—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2 목차 : 1. 서론 2. 중국내 외국인 투자 동향과 전자시장 현황 3.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사례 분석 4.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5. 결론

3 1. 서론 1.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 전자시장의 환경과 한국 전자기업 대중국 투자현황을 알아본다. 또한 중국시장에 진출한 전자 기업들의 사례를 삼성과 LG 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전자 기업들의 중국 진출 전략 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방법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산업과 관련된 각종 통계데이터, 논문, 서적, 신문 및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정리하고 삼성전자와 LG 전자의 사례 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4 2. 중국내 외국인 투자 동향과 전자시장 현황 2.1 중국내 외국인 투자 동향 중국 투자의 급증은 WTO 가입 이후 거시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중국 경제체제의 개혁 및 대외개방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2008 년 북경 올림픽, 2010 년 상해 EXPO 등 투자 수요가 발생하고, 서부대개발의 추진 등에 따른 내수시장확대에 기인한다. 또한 중국정부는 다양한 외자유치 장려정책을 시행해왔고, 적극적인 투자유치 정책으로 중국 경제에서 외자 기업 비중이 점차 증가하면서, 2009 년 외자기업의 수출액은 6,722.03 억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55.94%, 수입액은 5,452.07 억 달러로 전체수입액의 54.22% 를 기록 했다.

5 2.2 한국 전자기업 대중국 투자현황 2008 년 중국에 대한 한국의 투자금액은 37.6 억 달러로 한국의 해외 투자총액의 17.3% 를 차지하였다. 중국은 한국의 해외투자 대상국 중 미국 (49.3 억 달러 ) 에 이어 2 위를 차지하였다. 그 중에서 전자통신 분 야가 최대 투자산업으로 투자 누적금액은 55.6 억 달러에 달하였다. 한국 전자업체의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가 매년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 고 있다. 한국 전자업체의 중국 진출은 한국 내에서 점차로 가격 경쟁 력을 잃어가고 있던저부가 가치의 노동 집약적 제품군의 이전에서부 터 시작되었다. 한국 전자산업의 대중국 투자허가를 취득하게 됨으로 써 시작되어 1992 년 중국과의 수교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여 2008 년 한국의 중국에 대한 전자산업의 투자는 3 억 9,000 만달러로 전자분야 전체 해외투자 중에서 중국이 48.2% 를 차지한다.

6 2.3 한국 전자기업 대중국 투자 목적 첫째, 중국을 제조기지로 간주하고 중국의 제조원가가 저렴한 점을 이용하여 기업의 세계 경쟁력을 향상하려는 것이다. 둘째, 중국시장의 수요를 목적으로 하여 직접투자하고 있다. 이는 생 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시장의 수요를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이 윤의 극대화를 달성할 수 있다.

7 2.4 한국 전자기업 대중국 투자 특성 첫째, 일본 전자업체와는 달리 먼저 소규모 중소 전자기업 위주, 특히 전자부품업체 중심의 진출이다. 둘째, 대기업 중심 기지형 투자방식이다. 셋째, 투자방식에 있어 대부분의 중소기업의 경우 100% 단독 투자이 며 대기업의 경우 합자 투자방식을 취하고 있다. 넷째, 투자지역의 특징은 한국 전자업체들이 종래 동부 연해지역에서 남부로 특히 환발해지역 ( 环渤海地域 ) 에 집중분포 되었음을 알 수 있 다.

8 3.1 삼성전자 3.1.1 삼성전자 대중국 진출 현황 삼성은 한 ․ 중 양국이 수교하기 전인 1970 년대 중반부터 중국과의 무역관계를 유지해왔다. 1975 년 홍콩삼성무역회사를 설립하였고, 1978 년에 삼성그룹은 홍콩을 통해 중국에서 석탄을 수입하여 한 ․ 중간 첫 번째 무역업무가 성사되었다. 2009 년 중국 삼성은 중국에서 총 투자액 80 억 달러에 이르며, 중국시장에서 418 억 달러의 총매출을 달성했다. 그 중에서 중국 대륙내에서의 매출액이 308 억달러였다. 2009 년의 중국 대륙의 수출액이 183 억 달러에 다다르며 당해 회사 총매출액의 60% 를 차지했다.

9 3.1.2 삼성전자 대중국 진출 특징 첫째, 삼성그룹은 주요 계열사들이 모두 중국에 진출했다. 둘째, 투자지역을 보면 광동, 천진에 가장 집중하여 각각 투자 프로젝 트 전체의 19.2% 를 차지하고 있고 북경, 상해에도 많이 투자를 했다. 셋째, 현지 구매ㆍ생산 - 판매 - 연구개발 일체형 투자이다. 넷째, 고급화 전략을 운용한다.

10 3.1.3 삼성전자 대중국 진출전략 첫째, 현지 실정에 맞는 제도 정착 및 환경을 조성하고 현지인의 능력 향상을 통한 기업영역 활동 참여폭을 확대하며 의사결정 과정에 현지 인의 참여를 확대한다. 둘째, 1995 년 삼성 중국본부 설립 ( 생산, 물류, 마케팅 등을 단일화 ) 하 였고, 독자적 능력 확보에 따른 경쟁우위 체제 구축 ( 한국본사 의존탈 피 ) 으로 현지 완결형 체제를 구축한다. 셋째, 판매량보다는 제품 포지셔닝을 우선하고 시장점유율보다는 시 장에서의 제품이미지를 중시하여 단기 승부보다는 장기적 계획에 의 한 Market Leader 위치를 확보하는 양보다는 품질위주의 경영전략을 전개한다. 넷째, 진출 법인간의 전략적 제휴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다섯째, 삼성전자는 중국시장에서 매우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실시 하고 있다.

11 3.1.4 삼성전자 대중국 전략 SWOT 분석 강점 : 교육을 통해 인재 육성을 통한 인사조직 현지화, 권한이양 정도가 높 은 경영조직 현지화, 현지지향형 제품의 생산 및 R&D 현지화, 자체의 유통망을 구축을 통해 마케팅 현지화, 현지사회 적극적으로 공헌하여 현지사회와의 융화, 생산거점, 해외수출 현지화, 문화적 유사성, 지리 적 인접성 등 있다. 약점 : 경영조직의 현지화에서 계열사간 상호협력하지 못하며, 생산거점이 동부 연해 지역으로 편중되어 중국전역의 마케팅현지화가 용이치 못 하며, 현지화 경험이 다른 다국적기업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자 금조달 현지화부족 등 있다.

12 기회 : WTO 가입으로 서비스산업의 진출이 용이 ( 보험, 유통 ) 하며, 북경올림 픽 개최로 가전, 반도체, IT, CDMA 의 수요확대, 서부대개발로 인해 투자기회 및 내수확대, 금융 산업의 개방으로 현지에서의 상장이 가 능하고 자금조달 용이 등이 있다. 위협 : 사회주의 의식의 기업관 및 정치적 위험, 같은 업종의 다른 다국적기 업의 기술 및 중국로컬기업 등과의 시장경쟁이 치열, 기술경쟁 및 부 품구매 경쟁의 격화 등이 있다.

13 3.2 LG 전자 3.2.1 LG 전자 대중국 진출 현황 LG 그룹은 1988 년부터 홍콩에 설립된 법인을 통하여 중국에 투자하 여 최초로 합자기업을 설립하였는데 2007 년 초까지 13 개의 생산법인, 5 개의 판매법인, 4 개의 연구개발센터, 9 개의 직영서비스센터를 설립 하여 총 25 억 달러를 투자하였다.

14 3.2.2 LG 전자 대중국 진출 특징 첫째, 핵심 공략지역 중심으로 단계별 전략을 추진했다. 1 단계는 핵심 공략지역을 선정하여 집중 공략하는 과정으로서 이 과 정에서 핵심적인 사항은 목표지역의 전략적 선정이다. 2 단계는 선정된 목표지역을 기업의 핵심 전략으로 시장점유 우위를 확보하는과정에서는 시장 적응전략이 중요하다. 3 단계는 동일 시장 적응전략을 바탕으로 제 2, 제 3 의 목표 지역을 선 정하여 공략하는 과정으로서 역시 지역 선정과정의 고려사항을 필수 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백색가전에서 디지털 가전으로 고급화를 추진하고 있다. 셋째, 독립된 연구개발 센터를 설립했다. 넷째, 가치 창조적 노사관계를 가지고 있다.

15 3.2.3 LG 전자 대중국 진출 전략 첫째, 현지화 전략의 지속적 수행이다. 둘째, R&D 및 디자인 연구센터 운영이다. 셋째, 중국 인재 육성전략이다. 넷째, 제품의 현지화이다. 다섯째, 다양한 사회공헌사업 추진이다. 여섯째 중국 사업을 글로벌, 사업의 중심으로 발전시킨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제품의 글로벌 NO.1 을 추진한다. 일곱째, 중국내 최고의 브랜드로 키운다. 여덟째, 지역시장 세분화 전략을 추진한다.

16 3.2.4 LG 전자 대중국 전략 SWOT 분석 강점 : 인적자원현지화, 서비스현지화, 마케팅현지화, 생산 및 소싱의 현지 화, 현지사회와의 융화, R&D 현지화 등 있다. 약점 : 자본조달 현지화, 브랜드 현지화가 낮으며, 아직도 현지화의 경험이 부족하고 조직의 현지화 정도가 낮은 것이다.

17 기회 : 중국의 WTO 가입으로 내수시장 개방이 더욱 확대되며, 북경올림픽 개최로 전자제품의 수요증가, 서부개발로 인하여 더 많은 투자기회가 주어짐과 동시에 내수시장 규모의 증가, 금융 산업의 개방으로 현지 에서의 상장이 가능하고 자금 조달이 용이한 점 등이 있다. 위험 : 사회주의 의식의 기업관 및 정치적 위험, 동업종과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 기술 및 부품구매 등 면에서 경쟁의 심화 등이 있다.

18 4.1 문제점 가. 중국 투자환경 변화의 문제점 나. 한국전자기업 투자형태로 인한 문제점 다. 현지화의 지연 라. 외자기업 경영환경을 악화시키는 정부규제 마. 대금결제 위험 라. 숙련 및 기술 인력부족

19 4.2 개선방안 가. 한국기업의 기존 진출 전략의 검토 필요 나. 경쟁력 있는 중국기업을 고려한 전략 필요 다. 기업자원의 핵심역량 집중으로 확실한 경쟁우위 확보전략 필요 라. 한국기업과 중국기업의 바람직한 전략적 제휴 활성화전략 필요 마. 효율적 브랜드관리전략 필요

20 5. 결론 중국과 한국경제의 교류는 1992 년 수교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03 년에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자 두 번째 교역국으로 부상 했다. 2008 년에 들어서서 중국내에는 노동계약법과 반독점법이 본격 실시 되고 환경규제도 강화된다. 중국정부는 거시정책을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 촉진정책으로 전략을 바꾸었다. 첫째, 중국정부정책변화에 부응해야 하고 철저한 사전 조사 및 사업타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현지화 전략의 수립을 추진해야 한다.

21 둘째, 중국의 우수기업과 전략적 제휴가 필요하다. 셋째, 제도적 인센티브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넷째, 중국시장의 세분화 및 차별화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유능한 현지경영인의 육성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중국에 대한 한국 전자기업의 투자전략에 있어서 중국의 산업정책 · 시장정책의 변화와 중국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재인식해 야 할 것이다.

22 감사합니다 !


Download ppt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목차 : 1. 서론 2. 중국내 외국인 투자 동향과 전자시장 현황 3.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사례 분석 4. 한국 전자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5. 결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