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3 장 음성장애 정 훈. 제 3 장 음성장애 음성장애 : 성도, 호흡과정, 발성과정, 공명과정 의 구조적 이상 혹은 기능적 이상 음성장애 : 음성강도, 음도, 음질 또는 공명 등이 연령, 성별, 화자의 지역적 배경 등에 정상범위 를 벗어날 때 음성장애로 간주 목쉰소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3 장 음성장애 정 훈. 제 3 장 음성장애 음성장애 : 성도, 호흡과정, 발성과정, 공명과정 의 구조적 이상 혹은 기능적 이상 음성장애 : 음성강도, 음도, 음질 또는 공명 등이 연령, 성별, 화자의 지역적 배경 등에 정상범위 를 벗어날 때 음성장애로 간주 목쉰소리,"—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3 장 음성장애 정 훈

2 제 3 장 음성장애 음성장애 : 성도, 호흡과정, 발성과정, 공명과정 의 구조적 이상 혹은 기능적 이상 음성장애 : 음성강도, 음도, 음질 또는 공명 등이 연령, 성별, 화자의 지역적 배경 등에 정상범위 를 벗어날 때 음성장애로 간주 목쉰소리, 거친소리, 허스키한 소리, 천명 음성, 가는음성 기능적 음성장애, 기질적 음성장애

3 제 3 장 음성장애 1. 기능적 음성장애인가 기질적 음성장애인가 기능적 음성장애 - 기능적 실성증 (functional aphonia) - 결절, 접촉성 궤양 : poor voice 기질적 음성장애 - 후두암, 육아종, 후두격막 신경학적 음성장애 - 경련성 발성장애 (SD) p70

4 제 3 장 음성장애 2. 음성 오용으로 인한 음성장애 : 기능적 원인 1) 가성 사춘기 음성, 변성기 가성, 부적절한 음성 변 성 높은음도 : 성대의 앞부분만 진동, 성대의 뒷부 분은 개방 키가 작고 어리고 신체적으로 성숙하지 않은 화자를 연상 평상시 가성을 사용 : 음성장애 남성 : 여성으로 들리고, 여성 : 미성숙해 보임 손가락조작법, 성대프라이에 음성 섞기, 기침 혹은 목청 가다듬기 끝에 음성 넣기

5 제 3 장 음성장애 흡기발성, 차페기법 후두마시지, 가성 산출 시 후두를 아래로 내리기 (DVD, FA. 11) 2) 기능적 실성증 속삭이듯이 말한다 히스테리, 변환증상 (DVD CS.5) 잘못된 강화 : 연설을 하지 않아도 됨, 사회를 보 지 않아도 됨

6 제 3 장 음성장애 후두병리, 상호흡기 감염 Green(1980): 심리상담 필요 주장 but 음성치 료로 회복이 됨 예후가 좋음 손가락 조작법 3) 기능적 음성장애 p76 1997 년 ASHA & AAO 후두영상을 언어치료사 와 이비인후과 의사 둘다의 영역임을 공동발표

7 제 3 장 음성장애 4) 근긴장성 발성장애 (muscle tention dysphonia: MTD) 지나친 근 긴장 후두의 긴장 - 피로증후군 분류 - 첫째, 가성대 퍠쇄 - 둘째, thyroid & cryicoid 가 당겨짐 - 셋째, 성문 상부의 퍠쇄

8 제 3 장 음성장애 5) 이중음성 (diplophonia) 동시에 두 가지 음성을 산출 한쪽 성대가 무게와 크기와 긴장도가 달라서 한 쪽 상대가 다른 속도로 진동 편측 폴립 후두횡격막, 성대마비, 진성대와 가성대 동시 진 동, 진성대 피열후두개 주름 ( aryepiglottic folds) 의 진동, 기능적인 이유 치료의 초점은 두 번째 음성을 소거 or 편측의 구조물을 제거 후두의 과기능이나 후두 긴장을 감소

9 제 3 장 음성장애 6) 성대비대 성대비대의 2 가지 유형 - 성대외상으로 인한 부종 (edema) - 장기간의 성대 남용의 결과 확장성 폴립 변성 - 라인케씨 부종

10 제 3 장 음성장애 원인 : 성대남용과 오용 p81 Edith 의 예 p82 7) 라인케씨 부종

11 제 3 장 음성장애 7) 라인케씨 부종 ( 그림 3.1)p85 폴립변성 노년기의 흡연자 수술보다는 음성 치료의 효과가 더 좋다 개선된 음성일 경 우가 많음

12 제 3 장 음성장애 8) 성대폴립 ( 그림 3.2)p87 성대의 1/3 지점에 편측성 성대의 과기능, 반대편 성대 점막에 자극을 주 지 않음 한번의 성대외상 ( 결절과 다름 ) 성대 절재술 < 미세플랩시술 CO 2 레이저 수술 음성치료가 중요 영구히 소멸 가능 음성치료, 수술, 음성치료 p87( 예 )

13 제 3 장 음성장애 성대폴립

14 제 3 장 음성장애 9) 성대결절 양성변성 음성의 남용 - 고함지르기 - 성대를 강하게 접촉해서 말하기 - 남용적인 방법으로 노래 - 소음이 있는 곳에서 말하기 - 기침하기 - 심하기 목청을 가다듬기... 성대결절의 두 가지 특징 - 첫째, 음성치료로 좋은 결과가 있다 - 둘째, 성대결절의 수와 위치가 차이가 크다

15 제 3 장 음성장애 성대점막과 성대근 사이에 발생 P 89( 예 )

16 제 3 장 음성장애 성문이 모래시계 ( 그림 3.3)p 90 음도가 낮아지고 목쉰 소리 산출 목에 이물질이 있는 듯이 느낌 ( 목청가다듬기 ) 아침에 양호하나 오후가 될수록 심해짐 오래된 경우, 큰 결절은 수술 후 음성치료 음성치료 - 오 남용 줄이기 - 쉽고 적합한 음성 산출을 돕는 촉진기법 (DVD, CS 10) - 음성위생 - 수술

17 제 3 장 음성장애 여성 > 남성, 호르몬 요인, 해부학적요인, 감염요 인, 공기역학적 요인 결절을 가진 아동이 공격적인 경우가 많다 심리적 위안을 얻기를 원한다 타인과의 관계형성 기술을 개발 시켜 줄 필요가 있다

18 제 3 장 음성장애 10) 외상성 후두염 과도한 발성과 억압적인 음성산출 성대 부종 목쉰 음성과 약한 음성 산출 부종이 영구화 되어 폴리포이드 비대가 될 수 있 으며, 가끔 폴립이나 결절로 발전 음성휴식 시 속삭이는 음성의 사용 하면 안됨 아스피린, 이브프로팬, 혈액 응고력을 저하 시키 는 약물들은 조심 ( 가수 )

19 제 3 장 음성장애 11) 가성대 발성장애 (false fold phonation) Ventricular dysphonia Contect of false code or true code over false code( 그림 3.4)p94 DVD CS. 2 암, 심한 유두종, 풀립을 절개 한 후 대체 음성으 로 사용 낮은 음도, 단음도, 목쉰소리, 기식화된 음성 가끔 이중음성 가성대는 진성대의 움직임을 무디게 한다 흡기발성

20 제 3 장 음성장애 12) 발성일탈 (phonation break) 일시적인 음성상실 부적절한 성대 행동을 제거 제 6 장에서 설명 13) 음도일탈 발달기적 음도일탈 ( 사춘기 ) 장시간 성대 과기능, 부적절한 음도 사용 ( 그림 3.3)p98 성대피로의 결과 성대절기 (vocal limping) 음성휴식, 성대프라이, 하품한숨, 부드러운 발성

21 제 3 장 음성장애 3. 성대 메커니즘의 기질적 변화와 관련된 음성장 애 : 기질적 원인 1) 성대구증 (vocal sulcus)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발생 최대연장발성 시간이 짧다 양측성으로 발생 음성치료 : 음도변화, 강도변화, 손가락으로 갑 상연골을 눌러 발성, 견고한 성대 접촉 테프론 주입, 지방이나 근막을 사용 but 음성 치료가 최상 ( 그림 3.6)p100

22 제 3 장 음성장애 Sulcus

23 제 3 장 음성장애 2) 접촉성 궤양 (contact ulcer) 앞쪽 2/3 는 근육부분, 뒤쪽 1/3 은 연골부위 Vocal process of aryteniod 에 발생하는 작은 궤양 궤양 육아종 (contact granuloma) 이라고 하는 과립조직이 형성 접촉성 궤양의 원인 첫째, 저음 산출, 지나치게 피열연골을 접촉 둘째, 후인두 역류 (LPR) 셋째, 수술 시 삽관으로 접촉성 궤양 발생, 보호 유아종이 발생

24 제 3 장 음성장애 접촉성 궤양의 증상 - 음성이 약화 ( 성대피로 ) - 후두부위에 통증, 한쪽 귀로 번짐 식도역류 (esophageal reflux) - 침대의 머리를 높이기 - 취침전 음식물 섭취를 않아야 함 긴장없이 산출할 수 있는 음도를 사용 ( 음도 높 이기 ) 과도한 성대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음성장애자들 중 1% 비타민 C, E 를 복용시킨 결과 효과가 있었음

25 제 3 장 음성장애 3) 암 (cancer) 구강암의 원인 - 흡연 - 씹는 담배 - 만성적 감염 - 포진 - 반복적 외상 - 백반증 (whitish plaque) 미국 : 악성종양의 6% 정도 후두암 성문상부암 (supraglottal) 성문암 (glottal) 성문하부암 (subglottal)

26 제 3 장 음성장애 cancer

27 제 3 장 음성장애 4) 선천성 이상 후두연화증 (laryngomalacia) - 천명 (sridor) - 너무유연해서 공기통로를 막게 된다 성문화 협착증 (subglottal stenosis) - 성문 아래의 공간이 좁아지는 것 - 선천적으로 후천적으로 발생 - 삽관과 수술 시 구강으로 삽관을 이후에 발생 기식도 폐쇄증과 식도 폐쇄증 - 기식도 누관 (tracheoesophageal fistula: TEF) TEF 는 삭도의 혈관장애 - 식도폐쇄증 (esophageal atesia)

28 제 3 장 음성장애 5) 백반증 (leukoplakia)

29 제 3 장 음성장애 암의 전조증 ( 그림 3.9) 금연, 정서적 안정 6) 내분비선 변화 후두 발육에 중대한 영향, 평균 기본주파수 문제 유발, 음도 너무 낮거나 높음 뇌하수체 :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2 차 성 징이 나타나지 않음 뇌하수체 종양 “ 선단비대증 ” 피임약 : 남성의 음성으로 변할 수 있음, 허스키한 음성 갑상선 기능저하 : 음성이 굵고 거칠며 걸걸한 목 소리, 낮은 목소리

30 제 3 장 음성장애 갑상선 항진증 : 쉽게 흥분하고 예민해 진다. 음 성증후는 그리 심하지 않고 기식적 음성 산출 월경 : 4-5 일 전 음성피로, 음도범위 감소, 발성 기능 저하, 윤택하지 않은 소리, 여성의 33% 7) 육아종 (granuloma) 수술 시 삽관, 음성 오, 남용, 후인두역류질환 접촉성 궤양과 치료방법이 동일 아동과 여성이 위험 ( 기도가 작아서 ) 음성치료

31 제 3 장 음성장애 8) 혈관종 (hemangioma) 육아종은 딱딱한 과립자 낭, 혈관종은 유연하고 혈액이 채워진 낭 수술로 병변을 제거하고 음성치료와 음성위생 을 실시한다. 9) 과각화증 (keratosis) 분홍색의 거친 양성조직, 후에 악성으로 바뀔 수 있다 간접흡연, 흡연이 원인 수술 후 음성치료

32 제 3 장 음성장애 10) 감염성 후두염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 but 박테리아 감염인 경 우는 더 심각 아만타민 ( 항생제 일종 ) 음성휴식과 가습, 구강건조증이나, 목건조증 2-3 일 철저한 음성 휴식, 수분 많이 섭취 11) 유두종 (papilloma) 바이러스로 인해 발병,6 세 이하 아동에게서 발 생

33 제 3 장 음성장애 감기와 관게없이 10 일이상 목쉰 소리가 날 때는 후두검사를 받아야 한다 수술치료 : 호흡이나 음성의 산출을 방해 하지 않으면 유두종을 절개하지 않는다 12) 사춘기 변화 4-5 년 동안 천천히 변화 13) 역류 탄산음료, 알코올 섭취 금지

34 제 3 장 음성장애 13) 후두횡격막 선천적으로 후천적으로 발생 ( 그림 3.10, 11)P121 수술치료 천명

35 THANK YOU


Download ppt "제 3 장 음성장애 정 훈. 제 3 장 음성장애 음성장애 : 성도, 호흡과정, 발성과정, 공명과정 의 구조적 이상 혹은 기능적 이상 음성장애 : 음성강도, 음도, 음질 또는 공명 등이 연령, 성별, 화자의 지역적 배경 등에 정상범위 를 벗어날 때 음성장애로 간주 목쉰소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