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전통한옥 실내공간의 구성과 특성. 상류주택의 안채는 각 지방의 평면형을 적용하기도 하나 이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평면을 이 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것은 주로 평면의 형태에서 풍수 ( 風水 ), 도참 ( 圖讖 ) 에 관계된 일자형 ( 一字形 ), 월자형 ( 月子形.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전통한옥 실내공간의 구성과 특성. 상류주택의 안채는 각 지방의 평면형을 적용하기도 하나 이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평면을 이 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것은 주로 평면의 형태에서 풍수 ( 風水 ), 도참 ( 圖讖 ) 에 관계된 일자형 ( 一字形 ), 월자형 ( 月子形."— Presentation transcript:

1 전통한옥 실내공간의 구성과 특성

2 상류주택의 안채는 각 지방의 평면형을 적용하기도 하나 이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평면을 이 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것은 주로 평면의 형태에서 풍수 ( 風水 ), 도참 ( 圖讖 ) 에 관계된 일자형 ( 一字形 ), 월자형 ( 月子形 ), 구자형 ( 口子形 ), 용자형 ( 用字形 ) 등의 길상자형 ( 吉祥字形 ) 을 이루려고 애쓴 데 기인된 것으로 추정 서울 상류주택은 사랑채와 안채가 독립된 별채로서 건축되는 것이 보편적이고 지방의 상류 주택은 대부분 사랑채와 안채가 부속채로서 서로 연속된 한 채로 건축됨 - 후에는 분리됨. 이 이유는 서울은 중앙 행정의 중심지로서 양반계급의 정치의 중심이 되었었고 또한 궁궐의 외 전과 내전의 성격을 가장 민감하게 체득할 수 있었기 때문 일반적으로 조선의 상류주택은 내외사상으로 여자들이 사용하는 ' 안 ' 공간과 남자들이 사용 하는 ' 밖 ' 의 공간으로 구분. 안채는 집안의 주인마님을 비롯한 여성들의 공간이며 주택의 안 쪽에 위치하였다. 가부장적 제도의 권위를 상징하는 사랑채는 밖 공간으로 집안의 가부장과 장자를 비롯한 남자들이 글공부를 하거나 풍류를 즐기던 공간이었다. 상하 신분제도의 영향으로 신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공간을 다르게 배치하였다. 상 ( 上 ) 의 공 간인 안채와 사랑채는 양반들이, 하 ( 下 ) 공간인 행랑채는 대문간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 하여 머슴들이 기거하는 공간이었으며 중문간 행랑채는 중 ( 中 ) 의 공간으로 중간계층인 청지 기가 거처하는 공간이었다. 이들 공간들은 커다란 한 울타리안에 작은 담장을 세우거나 채를 분리하여 구획하였다. 이렇게 상류주택은 신분과 남녀별, 장유별로 공간을 분리하여 대가족 이 함께 어우러져 사는 당시의 가족생활을 고려한 공간 배치를 하였음. 전통상류한옥 평면의 기본적 특성

3 전통사회 주거생활의 특성 식사는 개인별 존중의식의 단면을 보여주는 1 인 중심의 독상 위주로 이루어져 이로 인한 다양한 소 반이 발달. 가족들이 식사를 하는 장소는 모두 안채의 안방이나 큰방에서 이루어졌고 일부의 경우 에는 계절에 따라 여름에는 대청, 그 외에는 안방에서 함. 반가의 식사공간은 식사를 하는 단순한 장소로서의 의미를 벗어나 가장을 중심으로 한 가족의 서열적. 평면적 식사방식이 수반되었던 가부 장제의 결속을 다지는 공시적 의미로서의 중요한 공간이었음. 취침생활은 온돌이라는 전통적 기거방식에 의해 바닥에 구조적으로 밀착되었을 때 오는 계절적인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침구와 도구들이 발달. 반가의 일부에서는 평상과 같은 입식가구 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가구사용을 후대의 실학자들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권장하기도 하였는데 여름에는 바닥의 냉기를 막아주고 또한 겨울에는 지나친 방바닥의 채난에 의한 뜨거움을 막을 수 있어서 주로 사랑채에 많이 사용. 가정의 제반생활은 안채, 즉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안채는 체옥 ( 體屋 ) 또는 체사 ( 體舍 ) 로 표 현되었으며 풍수에 의한 민택의 배치는 이 안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생산과 번영을 위한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 식사방식은 소반에 의한 개별적 독상차림이 기본. 소반은 들고 나르기 쉽도록 구성되었으며 한편으 로 전통적 가옥이 온돌을 채용함으로써 생긴 바닥의 높낮이의 차이에도 수월하게 옮길 수 있었던 것. 손님이 많은 집은 보통 40-50 개 소반 준비되어 있었음. 가족의 식사는 장유유서 및 내외사상이 적용되어 집안의 가장 연장자인 어른이자 가장이 먼저 식사를 하는 것이 순서이고 예절. 남자는 남 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 식사를 하였으나 장남인 경우 모자지간에는 겸상도 함. 반가의 접객생활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아주 중요. 선비들의 고고한 격조 높은 모임인 곡회, 고회, 시회들이 있었고 여가를 위한 바둑, 장기, 쌍육, 투전, 골패 등 대부분 양반의 체통에 맞게 몸을 별로 움직이지 않고 점잖게 앉아서 하는 실내게임. 손님용 취침공간이 늘 예비되어 있어야 했음. 제사는 보통 밤 12 시 이후에 행해지고 4 대 봉사를 하였으며 대개 그 절차와 음복을 위한 제수 준비 를 중요시함.

4 전통 한옥 규범, 가족제도 공간 : 의미와 상징 - 편액과 주련 개인의 정체성 감성 : 기능, ……

5 드러난 공간, 드러나지 않은 공간 남여유별의 문화적 공간거리 : 심리적 행태 - 생활기능의 과소평가 * 중국, 일본의 ‘ 충 ’ 한국의 ‘ 효 ’ – 봉제사 접빈객이 주요 일상 + 비일상 * 조선 후기 : 중국 친영제 ( 혼례, 사당건립 등 ) 전통문화의 정착 채와 마당, 담과 중문간, 온돌의 확장과 간의 분화, 사당건립 등 상류가옥의 구조 정착

6 김동수 가옥 (1773-1784) 서백당 조선 전기 (1457) 18 세기의 변화 생활의 질적 발전, 부농의 출현, 경제생활향상과 공간분화, 문화적 규범의 생활 의장화 정착 ( 상풍하속 ), 실리주의 사상 등

7 안채와 안방 안방 부엌

8 회덕 제월당. 5 대조 제사 위한 대청 칸수

9 사랑방 누마루 사랑채와 사랑방

10 건축의 구조적 공간 · 실내바닥 + 생활양식 · 가족제도 · 자연환경 한중일 삼국 Interior Design 의 문화적 비교

11 요소별 적용 가능성 전망

12 중국 1. 축과 중심성의 공간원리 2. 공자, 노자, 장자, 묵자 들의 실용성 3. 순자의 장식적 옹호론 위계적 공간사용과 구획 외관, 내부 채화장식 입식가구 발달 배치 현란한 조각기법과 문양 미의식 좌우대칭의 균형적 질서와 조화 반복적 패턴 표현 입체적 조각기법의 면적구성 다채로운 색채적용

13

14 일본 : 도코노마의 의장적 정형화

15 장벽화, 장병화, 후스마에

16

17 대조전 공왕부 자금성 성선각

18 한옥의 목부재 분할 일본 : 격식적, 모듈, 보이지 않는 강한 규칙이 적용 중국 : 인위적 장식, 시각적 규 범의 강한 적용 한국 : 목부재의 다양한 입체적 형태의 공존과 조화, 그리 고 바닥, 벽, 천정 등의 공간에서 면적 분할에 의한 미적 리듬 형성

19 방의 장소성과 한실 인테리어 양식의 구현

20 방의 구심성

21 한옥은 사용자 중심의 공간이자 인테리어 일본 : 손님을 위한 집 사합원의 축과 위계 전통 일본주택의 손님접대를 위한 공간

22 수장재와 가구의 뛰어난 조형성 종류 채 띠살정자살용자살불발기빗살갑창살창판장문 총계 ( 창호수 / 벽면수 ) 사랑채 14 ․ 42 ․ 3 ․․ 23/17 안채 1733 ․ 265238/24 안사랑채 ( 별당채 ) 921 ․․․ 2418/22 장, 농, 반닫이, 사방탁자, 소반류 정읍 김동수가옥

23 안방은 정침의 중심이자 집의 중심 안방은 보료 병풍 문갑 장 농 머릿장 방석 등가 경대 의 가구가 있으며 여기에 는 꽃과 나비, 복, 수자 등 길상문양을 사용

24 병풍의 다양한 활용 장식그림 : 사용자와 사용목적에 맞는 장식적 선택

25 현대한옥에의 적용

26 아파트 내 한옥구성 요소 도입

27 신한옥의 공간지혜


Download ppt "전통한옥 실내공간의 구성과 특성. 상류주택의 안채는 각 지방의 평면형을 적용하기도 하나 이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평면을 이 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것은 주로 평면의 형태에서 풍수 ( 風水 ), 도참 ( 圖讖 ) 에 관계된 일자형 ( 一字形 ), 월자형 ( 月子形."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