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주 창 윤 Jooculture.com 한국 언론과 문화의 역사 10주 박정희 시대의 언론과 텔레비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주 창 윤 Jooculture.com 한국 언론과 문화의 역사 10주 박정희 시대의 언론과 텔레비전."— Presentation transcript:

1 주 창 윤 Jooculture.com 한국 언론과 문화의 역사 10주 박정희 시대의 언론과 텔레비전

2 목차 1. 정치환경과 언론 2. 자유언론실천운동 3. 텔레비전의 개국 4. 텔레비전과 가족문화 5. 국가의 방송규제 2

3 정치환경과 언론 3 1961.5.16 군사쿠데타 포고령 11조(5월 23일) ‘사이비 언론기관을 정화하고 지정한 민주언론창달과 혁명과업 완수에 이바지할 수 있는 국가재건을 위하여’ 1962년 1월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2.3.22 윤보선 대통령 사임; 박정희 대통령 권한대행 6월 언론정책 최고회의 언론정책 7월 《동아일보》 ‘국민투표는 만능이 아니다’ 사설에 반공법 위반 8월 조선, 한국-조간, 동아, 서울, 경향, 대한-석간 11월 《한국일보》 장기영 구속 12월 대통령 중심제 국민투표 1963년 2월 공화당 창당: 박준규, 김종필, 민관식 1963년 10월 대선 박정희 46.6% 윤보선 45.1%

4 4 1963년 방송법 제정 1964년 한일회담 1966년 정부는 전자산업을 수출육성산업으로 지정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에 큰 영향 1968년 텔레비전 국내조립 생산 1967년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당선 1968년 김신조 청와대 습격-예비군 창설 통혁당 사건 주민등록증 1970년 11월 전태일 분신 《사상계》 五賊 사건 경부고속도로 개통 텔레비전 저녁 9시 뉴스데스크 시작 1971년 대선을 앞두고 언론통제 강화 4.15일 《동아일보》 기자들의 언론자유수호 선언 박정희와 김대중의 대통령 선거 12월 프레스카드제도 도입

5 5 방송법: 편성규제의 변화 시기/구분보도교양오락 196310% 이상20% 이상 197310% 이상30% 이상20% 이상 198010% 이상40% 이상20% 이상 198710% 이상40% 이상20% 이상 200030% 이상50% 이하 200450% 이하

6 6 1972년 정부 각 부처 기자실 줄이고 출입기자 제한 7.4 공동성명 10월 유신 감행 《조선일보》의 유신찬양: 코리아나 호텔 건설 1973년 8월 김대중 납치사건 《동아일보》 ‘보도가치가 있는 기사를 지면에서 다룰 것’ 주장 10월 오일 쇼크-텔레비전 방송시간 단축(아침방송 중단) 1974년 1월 긴급조치 1,2호 5월 방송정화를 위한 통제 1) 국가안보 위주의 방송편성 2) 공공질서 유지를 위한 방송의 선도적 역할 3) 국민상호 간의 상부상조하는 정신을 진작 10월 《동아일보》 기자들 ‘자유언론실천선언’ 《동아일보》 광고탄압(광고 98%가 떨어져 나감) 1975년 《동아일보》 정부에 굴복 기자 113명 해직 《조선일보》 언론자유선언 33명 해직 1976년 문화공보부 가족시간 프로그램 편성지침 1979년 YH 무역 여공 180명 신민당 농성, 10.16일 부마항쟁, 10.26 박정희 죽음

7 자유언론실천운동 7 1971년 4월 15일 《동아일보》 기자들 ‘언론자유 수호선언’-1차 언론자유수호 운동 “꺼져가는 언론 자유의 불씨를 되살리기 위해 불퇴전의 자세로 일어설 것”을 선언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문화방송 등 14개 언론사 기자들의 지지 기자협회 5월 15일 ‘언론자유수호 행동강령’ 채택 - 신문윤리강령 및 기자협회 강령 준수 - 관계 기관의 불법적인 기자연행 거부 - 게재불가 기사에 대한 편집인과의 논의 반대 - 정보기관원의 언론기관 상주 또는 출입 반대 1972년 유신 선포 전 3월부터 언론사 정리 및 통제강화 - 지방신문 통폐합(《대전일보》, 《중도일보》 통폐합, 《전북일보》, 《전북매일》 통합 - 정부에 비판적인 《대한일보》 폐간 - 프레스카드 제도 실시 - 정부 부처 기자실과 출입기자 감축 규제법규 강화: 언론자유를 제약하는 법률 제정 - 군사기밀보호법, 방송법, 영화법, 출판사 및 인쇄소 등록에 관한 법 - 긴급조치 1호와 2호 ‘개헌논의 금지’ 9호 ‘유언비어 유포’ 단속대상

8 8 2차 언론자유 수호운동 1973년 《동아일보》와 《한국일보》 기자들의 노조결성-해직 1973년 10월 19일 《경향신문》 기자들이 외부 압력배제하고 사실 보도 충실할 것을 결의 《동아일보》 경북대 데모기사, 민주수호국민회의 시국선언문 기사가 보도되지 않자 2차 선언채택 《한국일보》, 《조선일보》, 문화방송, 《중앙일보》 기사들도 언론자유 수호 결의 1974년 《동아일보》 기자 33명 전국출판노동조합 동아일보 지부 결성 -사측이 해임시킴 1974년 CBS와 동아일보 기자들 자유언론 및 민주주의 수호, 부당한 내외압력 거부 결의문채택 신문 방송 잡지에 대한 어떠한 외부 간섭도 일치된 단결로 강력히 배제한다 기관원의 출입을 엄격히 거부한다 언론인의 불법 연행을 일체 거부한다. 만약 어떠한 명목으로라도 불법 연행이 자행되는 경우 그가 귀사할 때까지 퇴근하지 않기로 한다 언론인의 대량해직과 재야 언론운동 《조선일보》 32명 기자, 《동아일보》 113명 기자 해직 해직기자들은 출판운동을 전개 한길사(김언호), 예조각(임채정), 청람출판사(권근술), 두례(신홍범) 이 출판사들이 1980년대 사회과학 출판사의 효시

9 텔레비전의 개국 9 KBS 군사정부 DBC-TV 인수 1961.8~12 텔레비전 개국준비 KBS-TV개국(12월 31일) 개국 후 1962년 1월 14일까지 임시방송 15일부터 6시-10시 30분 방송 1973년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출범 공사의 의미 1) 정부주도의 권위주의적 행정과 홍보수단에서 벗어남 2) 방송의 독자성 구축 3) 네트워크화가 이루어짐 자본금 100억 원 국가가 투자 운영재원 수신료(1963년 월 100원, 신문구독료 80~100원)

10 10 MBC 한국문화방송 개국: 부산문화방송, 부일 장학회, 5.16 장학회 김지태(부산문화방송+부일 장학회) 박정희 군사쿠데타 이후 김지태를 부정 축재자로 규정 재산환수 – 5.16 장학회 만듬 김지태(1948년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설립 재산을 빼앗김) 1963년 기구확장을 통해 전국 라디오 방송국으로 전환 1969년 FM설립 1969년 MBC-TV개국 방송3사 시대: KBS, MBC, TBC 스카우트 경쟁, 편성경쟁, 서울과 부산에만 방송국을 둔 TBC와 전국 네트워크 MBC 경쟁 1970년대 초반 MBC 20개 라디오, 9개 텔레비전, 2개 FM 1971년 MBC 분양: 이환의 7명의 주주에게 양도 1974년 《경향신문》 인수합병

11 11 TBC 동양방송(라디오)는 1962년 12월 개국 1964년 12월 동양 텔레비전 주식회사(DTV) 1965년 중앙 텔레비전주식회사(JBS-TV) 삼성소유 1966년 동양방송(TBC-TV)로 개칭 1974년 《중앙일보》와 합병, 주식회사 《중앙일보》 동양방송 TBC전략 일반 시간대(생활의 공약수)에 맞는 편성 주부, 어린이, 청소년 등을 집중공략 기동성과 현장성 초기 오락 프로그램 중심의 편성(61%) 삼성: 《중앙일보》-동양방송-전자산업까지 진출

12 12 1970년대 자본축적: 매체보급 확대와 활성화된 광고시장 광고비의 증가 매년 전년 대비 33% 1970년대 중반 이후 광고시장은 판매자 시장으로 바뀜 1973년 오일 쇼크 중에도 226% 성장 기록 텔레비전 자본은 ‘안정성’을 확보하고 타 매체 인수복합기업화 경방: 《동아일보》, 동아방송(1963) 삼성: TBC, 《중앙일보》, 전자산업 대기업의 언론소유 문제: 한국비료 사건 TBC와 《중앙일보》는 삼성입장에서 보도 복합기업화는 여권 정치세력과 관계 MBC의 전국 네트워크, 《경향신문》, KBS 《서울신문》 정치인들이 지방 방송국 소유(박정규 마산문화방송, 이후락, 울산문화 포항문화방송)

13 텔레비전과 가정문화 13 안방문화 1973년 100만대 보급 1974년 175만대 1976년 230만대 텔레비전 보급으로 연극, 영화, 스포츠 관람, 라디오 청취의 쇠퇴 안방은 오락과 공유, 담소의 공간, 가족접착제(household cement) 1970년대 가정의 82% 안방에 수상기 설치 (전통적으로 안방은 사적 공간: 의류와 침구류, 여성의 공간) 초창기에 텔레비전을 소유한 가정은 ‘동네극장’의 역할 “TV시청의 장소가 가정이라는 점은 여러 가지 뜻에서 중요한 뜻을 지닌다. ‘안방극장’이란 말이 표시하듯이, 종래의 모든 구경은 집 밖 에서 이루어진 데 반해 TV는 구경을 방안으로 끌어들임으로써 거 리감을 없애고 오락을 일상화시킨다. 시청장소가 가정이라는 점 은 TV시청이 언제나 가족을 중심으로 소집단 사이에 이루어지며, 어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송내용을 시청하는 가 운데 TV를 통한 최대공약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서규석, 1969).

14 14 안방극장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연유: 〈화요극장〉, 〈금요극장〉 〈주말극장〉, 〈가정극장〉, 〈청춘극장〉, 〈인생극장〉, 〈럭키극장〉 1970년대 중 후반 아파트, 연립주택 등 신축되면서 ‘거실문화’ 1가구 2텔레비전이 확대되면서 거실과 안방에 텔레비전이 위치 가정권력의 변화와 채널선택권 1966년 채널선택권 조사 아들(29.2%),, 꼬마(19.7%), 딸(19.0%) 아내(12.9%), 남편(12.7%), 할아버지 할머니(3.7%) 1970년대 텔레비전 채널 선택권은 주부와 자녀 라디오의 경우 통제권이 자녀(10.1%), 부모(61.3%)와 대조 장자에 대한 우월적 지위 인정 테돌이와 테순이의 등장 핵가족에서 동일한 권력

15 15 여가생활의 지배 1966년 조사 ‘TV를 가진 후 변화는?’ 라디오(18.8%) 또는 영화(11.1%)를 덜 보게 되었다 가족이 한자리에 자주 모인다(14.5%) 1973년 조사 부부가 주말을 보낼 때 ‘59.2% TV 시청’ 남편은 꼼짝하기 싫은 휴식방법을 TV를 통해 찾고, 아내는 대화의 공간으로 활용

16 16

17 역사방법론 17

18 국가의 방송규제 18 규제자로서 개입 방송시간의 규제 1973 오일 쇼크로 아침방송 중단 1974 에너지 절약-방송시간 단축 1976 방송종료시간 엄수: 평일 6시~11시 토 1시-12시 편성 및 프로그램 규제 1971 건전윤리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정화 1972 포괄적 규제지침 1973 방송정화 실천요강 1976 프로그램 개편행정지도: 저녁8시대 사회교양 프로그램 의무화 국민교육매체화 방침: 시간대 편성지침 비성인시간대 6시-10시: 가수, 무용수, 코미디언 출연금지 교양목적의 사극이나 정책드라마 이외에 드라마 방영금지 저녁 8시대 최소 25분 민족사관정립극 방영

19 19 산업에 개입 1974년 《경향신문》 MBC 흡수통합, 《서울신문》 증자분 KBS 인수 컬러 텔레비전 도입 억제 1976년 박정희 컬러 텔레비전 도입불가 후원자로서 국가 직접후원 MBC는 교육텔레비전으로 개국했으나 상업용으로 전환 차관으로 MBC 우수기자재 허가 1971년 전국 네트워크 국가권력이 경영진에 영향 장기영은 텔레비전 영업권을 갖고 있었지만 정부 불허 간접후원 수상기 보급지원 텔레비전 물품세 인하 새마을운동(농촌 전기보급과 텔레비전 보급)

20 20 법적 지원 1971년 선거에서 KBS편파성에 대한 비판고조 관료적 타성에 젖은 KBS개혁 필요성 KBS는 문공부의 한 부서 1973년 한국방송공사가 설립 직제는 방송제작 중심으로 변화 인사의 독립성 확보 못함 문공부가 출자, 운영, 예산, 경영활동에 감독과 규제


Download ppt "주 창 윤 Jooculture.com 한국 언론과 문화의 역사 10주 박정희 시대의 언론과 텔레비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