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동남아 지역연구 방법론 - 베트남 사례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아시아팀 팀장 손승호 2009. 4. 29.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동남아 지역연구 방법론 - 베트남 사례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아시아팀 팀장 손승호 2009. 4. 29."— Presentation transcript:

1

2 동남아 지역연구 방법론 - 베트남 사례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아시아팀 팀장 손승호 2009. 4. 29.

3 2 주 요 목 차주 요 목 차주 요 목 차주 요 목 차 1. 동아시아 지역연구의 의미 2. 베트남 경제의 성장 가능성 4. 베트남 경제 전망 3. 베트남 최근 시장환경의 변화

4 3 1. 동남아시아 개요  신흥시장으로 고도성장 기록 - FDI 확대와 역내 분업 촉진  활발한 경제통합 : AFTA - 인구 5.8 억명, GDP 1.5 조 달러 - 석유, 천연가스 등 자원보유  문화 : 대륙문화와 해양문화 - 불교문화권 : 태국, 베트남, 미얀마, 캄 보디아, 라오스 - 이슬람문화권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 아, 브루나이  개발격차 축소가 관건 : CLMV

5 4 1) 안행 (Flying Geese) 형 모델  1960~90 년대 전반 : 고투자 - 수출주도의 추격 (catch up) 형 공업화 과정에서 순차적 발전 (catch up) 형 공업화 과정에서 순차적 발전  선진국에서 발전을 시작한 산업이 경쟁력 변화에 따라 후진국으로 이동 따라 후진국으로 이동 * 일본 => NIEs => 선발 아세안 * 일본 => NIEs => 선발 아세안  ‘90 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세계시장 진출 급증 * 동아시아 (NIEs+ 아세안 ) 국가들과의 경쟁 심화 * 동아시아 (NIEs+ 아세안 ) 국가들과의 경쟁 심화 “ 동아시아 발전 모델 ”

6 5 2) 대나무 자본주의 (Bamboo Capitalism) 형 모델  1985 년 플라자 합의 이후 동북아 기업의 대동남아 투자 급증으로 역내의 분업이 심화, 확대 투자 급증으로 역내의 분업이 심화, 확대 - FDI 가 사양산업의 단순 이전이 아닌 국가간 공정간 - FDI 가 사양산업의 단순 이전이 아닌 국가간 공정간 분업 행태로 생산부품의 역내교역이 증가 분업 행태로 생산부품의 역내교역이 증가  중국은 기존 일본, 전자산업 위주의 동남아와 동북아간 생산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계기 제공 동북아간 생산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계기 제공 - 그러나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2000 년대 이후 FDI 가 - 그러나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2000 년대 이후 FDI 가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목표로 급격히 증가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목표로 급격히 증가

7 6 3) 수련 (Water Lily) 형 발전 모델  중국 및 동아시아에서 국경간 집적지역에서 발전한 광역집적지역이 생성 발전한 광역집적지역이 생성 - 생성된 집적지역은 경제성장에 따라 임금 및 지가 상승 - 생성된 집적지역은 경제성장에 따라 임금 및 지가 상승 등이 나타나면 새로운 입지우위 지역으로 찾아 이동 등이 나타나면 새로운 입지우위 지역으로 찾아 이동  향후 동아시아에서 광역집적지역이 수련 (water lily) 의 잎자루처럼 순차적으로 나타날 전망 lily) 의 잎자루처럼 순차적으로 나타날 전망 - 동남아에서는 메콩강 유역, 말레이 반도 등이 중요 - 동남아에서는 메콩강 유역, 말레이 반도 등이 중요 - 한 잎자루는 자체적으로 생성 - 발전 - 성숙 과정 - 한 잎자루는 자체적으로 생성 - 발전 - 성숙 과정

8 7 * 동아시아의 수련형 광역집적지역 자료 : SERI

9 8 2. 베트남 성장가능성  경제가 내수경제 기반 의 선순환을 하기 위한 최소단위가 1 억 정도라 는 것이 정설  베트남 현 인구 8,600 만 이며 총 인구의 50% 이상이 30 세 미만 구분면적 (km2) 인구 ( 천명 ) 브루나이 5.8383 캄보디아 18114,500 인도네시아 1,891.00234,700 라오스 2376,135 말레이시아 33027,200 미얀마 67749,200 필리핀 30091,100 싱가포르 0.6974,500 태국 51366,500 베트남 33086,100 ASEAN4,465.50580,318 1) 인구

10 9 2) 자원 부국  세계 2 위 쌀 수출국 (1 위 태국, 3 위 미국 )  1999 년부터 원유 수출이 제 1 위 수출 품목으 로 등장, 점차 비중 확대 (98 년 섬유류 14.4%, 원유 12.8% => 99 년 원유 18.2% => 06 년 원유 21.3%)  정유공장 : 2009.2. 중꽛 정유공장 가동 - 25 억 달러투자, 초기 연 350 만톤 생산 - 필요 원유의 70% Bach Ho 유전, 30% 수입 => 베트남 산업화의 원년 평가

11 10 3) 지정학적 위치  인도차이나 반도의 중 심에 위치  미국의 대 중국 견제정 책에서 유일한 지정학 적 취약 지역 ( 과거 월남시절 미국이 사용하였던 깜란 만 )

12 11 4) 국민성  더운 지역 사람들과 달리 독한 측면을 가 지고 있음.  근면, 성실, 외세 침략에서 승리한 자긍심 5) 세계 경제에 성공적 편입  2006 년말 WTO 가입, PNTR 획득 => 경제성장을 위한 양대 축

13 12 6) 국가의 “ 운 ” 이 좋음  과거 한국의 경제성장은 세계 무역의 급 속한 확대와 시기가 일치 ( 보호무역 가능 )  베트남도 2000 년 이후 세계 경제 성장의 최대 수혜국중 하나  2007 년 중간선거, 미국의 공화당 몰락, 민 주당 득세 => 대베트남 유화정책 추진

14 13  1986 년 : 도이머이 정책 도입  1987 년 : 외국인투자법 제정  1988 년 : 중앙은행에서 상업은행 분리  1992 년 : 신헌법 제정  1994 년 : 미국, 대베트남 경제제재 해제  2001 년 : 미․베트남 무역협정 발효 (NTR)  2006 년 11 월 : WTO 가입  2006 년 12 월 : 미국 PNTR 지위 부여  2007 년 6 월 : Triet 대통령 ( 주석 ) 미 공식 방문  2009 년 2 월 : 베, 중국과 국경 경계선 확정 “ 베트남의 주요 약사 ”

15 14 7) 주요 투자 대상국이자 전략적 파트너  우리기업의 투자 실적 (2008.12 말 ) - 승인 제 4 위, 유입 제 2 위 기록 - MPI 기준 ( 승인 : 165 억 $, 유입 : 59 억 $)  포스트 BRICs 진출 및 생산 기지로서의 베트남 활용  자원 협력 및 개발 지원  베트남은 북한의 교과서 역할 수행

16 15 구 분구 분 200420052006200720082009f 경제성장률 (%) 재정수지 /GDP(%) CPI(%) 7.8 -3.3 7.8 8.4 -4.1 8.3 8.2 -2.9 7.4 8.5 -5.4 8.9 6.2 -5.5 24.4 0.3 -8.3 4.9 - 제 2 위 수출 품목인 섬유 및 직물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제조업 부문이 5 년 연속 10% 이상 성장 - 개인 소비와 고정투자가 확대되면서 연평균 7.8% 에 달 하는 고도 성장을 지속한 것으로 추정됨. -2008 년 상반기중 고인플레로 인한 경제불안 심화로 물 가 상승, 주가지수 폭락, 상품수지 적자 확대 발생 - 베 정부의 긴축정책과 세계경기 침체로 경기 둔화 전망 “ 최근 5 년 동안의 주요 경제 지표 ”

17 16 3. 베트남 최근 시장환경의 변화 - 주가지수 (VN index) 폭락 - 소비자물가상승률 2008 년 6 월 27%, 7 월 28%, 연평균 24% 2008 년 6 월 27%, 7 월 28%, 연평균 24% - 상품수지 적자 확대 ‘ 08. 1~6 월중 153 억 달러, 연중 164 억 달러 ‘ 08. 1~6 월중 153 억 달러, 연중 164 억 달러 ’ 09. 3. 23 일 260P ( 최고점대비 77% 하락 ) ’ 09. 3. 23 일 260P ( 최고점대비 77% 하락 )

18 17 1) ’08 년 상반기중의 물가상승은 공급 요인  식료품 및 원유 등 원자재 가격 폭등 => 식료품이 베트남 소비자물가지수 구성의 34.2% 를 차지 (08. 5 월 식료품 42.4% 인상 ) => 식료품 가격이 물가에 절대적 영향  미 달러화에 연동 (peg) 된 환율 체계 => 달러 표시 수입물가 상승의 효과가 거의 그대로 베트남 물가지수에 전가 => 수출 경쟁력과 딜레마 관계

19 18 1-1) 소비자물가 (CPI) 폭등 원인  베트남 국내신용 (Domestic Credit) 확대 => 2007 년중 국내신용 150% 증가 (IMF) 1) 2006 년말 WTO 가입 이후 국제적 기준에 맞는 경제 규모를 위해 과도한 기업 공개 및 확대 추진 2) 투자 환경 개선으로 2007 년중 사상 최고치인 203 억 달러의 외국인투자 (FDI) 승인액 기록 => 유동성 증가 및 수입증가로 상품수지 적자 확대 3) 해외교포 (Viet Kieu) 의 국내 송금 ( 약 70 억 달러 / 연 ) 4) 해외 근로자의 송금

20 19 2) 상품수지 적자 확대  2008 년 상반기중 수출증대에도 불구하고 수입 확대로 상품수지 적자 급증 => 미국의 경기 둔화에도 불구, 수출대상국을 중국, 호주 등으로 다변화 시도, 그러나 => 유가 상승으로 인한 석유제품의 수입액 증대 => 외국인투자 확대로 인한 자본재 수입 증대 => 고도 경제성장 지속으로 인한 자동차 등 고급 소비재 수요 증가 => WTO 가입 및 AFTA 추진으로 인한 관세율 인하 등으로 수입 수요가 크게 증대

21 20 2-1) 주요 대외거래 지표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20042005200620072008f 경 상 수 지 -957-560-164-6,993-12,059 경상수지 /GDP -2.1-1.1-0.3-9.9-13.9 상 품 수 지상 품 수 지 -2,287-2,439-2,776-10,360-16,463 수 출 26,48532,44739,82648,56161,263 수 입 28,77234,88742,60258,92177,726 외 환 보 유 액외 환 보 유 액 7,1869,21713,59123,74822,169 총외채잔액 18,04919,21220,20221,83123,214 총외채잔액 /GDP 39.736.333.230.726.8 D. S. R.2.6 2.32.01.3

22 21 3) 주가지수 폭락  최고점인 1113.19P 대비 (‘07.5) 77% 하락한 314P(’09.4.8) 기록 => 그동안의 주가상승은 유동성 팽창에 의한 유동성 장세 => 2007 년말 이후 정부의 긴축 정책 실시로 주가 폭락 => 펀드 손실뿐 아니라 베트남 국내의 사회문제화 => 시가총액 /GDP : 11%

23 22 3-1) 베트남주가지수 추이 (’06.5~’09.4)

24 23 3-2) 베트남 관련 펀드 현황

25 24 4) 2008 년 하반기 이후 경기 둔화  경제불안 해소를 위한 베트남 정부 조치 - 중앙은행 기준금리 14% 로 인상 - 13 억 달러의 금융 1 증서 발행 - 국영기업의 신규투자 금지 - 환율변동폭 확대  2008 년 하반기 이후 긴축정책이 효과를 발휘 - 물가 안정, 2009 년중 4.9% 전망 -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4/4 분기 이후에는 오히려 경기부양책을 실시

26 25 4. 베트남 정부 대응 및 향후 전망 - 국영부문의 지출 축소 - 인플레 억제를 위한 고금리정책 단행 ’ 08 년 이후 8.75% => 14.0% 로 인상 ’ 08 년 이후 8.75% => 14.0% 로 인상 - 국내외화대출 규제 ’ 08.4.14 중앙은행 고시 ’ 08.4.14 중앙은행 고시 지출축소로 인한 경기 안정화 도모 지출축소로 인한 경기 안정화 도모

27 26 1) 2008 년중의 경제 불안은 경기 조정 과정 => 베트남은 지난 10 년간 연평균 7% 가 넘는 고도성장 => 특히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인 2000 년대 들어 신규 유망 투자지역으로 부상하면서 대규모 FDI 유입 => 다국적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와 국영기업들의 신 규 투자가 확대되면서 내수경기가 상승하고 주가 지수가 2006 년 8 월이후 6 개월만에 2.5 배나 급등 => 최근의 베트남 경제 불안은 그동안의 경기과열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정 과정

28 27 2) 물가 안정 및 상품수지 적자폭 축소 전망 => 물가상승은 유동성 증가, 고정환율 (peg) 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국제유가 상승 등이 주요 요인 * 긴축금융정책 및 세계 경기 침체로 2009 년중 4.9% 상승에 그칠 듯 => 상품수지적자는 FDI 유입으로 인한 시설재 수입 급증, 베트남 최초 정유공장의 운영을 위한 원유 비축 및 이에 따른 원유 수출 축소, 식품류 가격 안정을 위한 쌀 수출 금지 등에 기인 * 해당 요인 해소 및 수입 급감으로 대폭 축소

29 28 3) 향후 전망  외환위기 가능성은 크지 않음. (1) 베트남은 개방경제체제의 초기 단계로 아직 외환 자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어서 민간 부문 에서의 대외 채무 비중이 적음. (2008 년 단기외채 비중 25% 불과 ) (2) 2008 년말 대외채무 비중이 GDP 대비 27% 로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고, 외채원리금상환비율 (DSR) 도 1.3% 에 불과해 대부분의 외채가 중장기 공적채무임.

30 29 (3) 베트남 정부가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하향 조정하는 등 경기 안정을 도모하고 있음. (4) 무엇보다도 베트남의 경제 규모 및 체제가 아직은 베트남 정부의 통제를 벗어날 만큼 크지도 않고 자유화되어 있지도 않아 베트남 정부의 제반 경제 정책들이 시장에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됨. (5) 단기적으로는 베트남의 수출규모가 GDP 의 70% ( 한국 43%) 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베트남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 일, EU 등 선진국들의 경기침체가 심화되고 있어, 섬유, 봉제 등 주요 수출산업이 본격 적으로 회복되기는 어려울 듯

31 30 4) 대응 전략  베트남 경기 둔화에 대한 대비 => 베트남이 심각한 경제위기는 아니더라도 상당기간 경기 둔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 베트남 내수 시장을 목표로 들어간 기업들은 내수 위축에 대한 대비책 필요 ( 신규 수출시장 모색 등 )  베트남 현지 금융리스크 증대 => 투자시 현지 금융 조달을 계획했던 경우, 현지 금리 상승으로 현지자금 활용이 어려우므로, 한국내 해외 투자자금 또는 본사 자금 이용이 바람직

32 31 Thanks for Your Attention! for more information; 손승호 아시아팀장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02-3779-6672 aojai@hanmail.net


Download ppt "동남아 지역연구 방법론 - 베트남 사례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아시아팀 팀장 손승호 2009. 4. 29."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