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교과목명 : 생물해양학 및 실험 담당교수 : 김 종성..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2. 관리와 개발전망 10 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교과목명 : 생물해양학 및 실험 담당교수 : 김 종성..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2. 관리와 개발전망 10 장."— Presentation transcript:

1 교과목명 : 생물해양학 및 실험 담당교수 : 김 종성.

2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2. 관리와 개발전망 10 장

3 1.1 수산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3 수산자원 (fisheries resource) – 넓은 의미 : 해양에서 생산 가능한 모든 생물자원 – 좁은 의미 : 수산업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는 유용생물집단 어업생물자원 – 어업은 지구적인 규모의 산업 – 대부분 200m 이하 수심의 대륙붕이나 용승수역에서 어획됨 – 일부 다랑어류 (tuna) 정도만 대양에서 어획됨 : 대양에는 영양염류가 부족하여, 1 차생산이 낮기 때문 : 대양은 수심이 깊어, 다양한 어구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

4 1.1 수산자원 : 어업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4 어업생물의 종류 ( 어류 ) – 청어과 어류 (clupeoids) : 표영성, 무리생활을 함 : 청어, 정어리, 멸치 등 – 대구과 여류 : 저서성 (demersal), 반저서성 (semi-demesal) : 명태, 대구, 민대구 등 포함 – 볼낙류 (rock fish) : 저서성, 냉수성 해역에 주로 분포 : 우럭 (sea bass), 꺽저기 (sea perch)

5 1.1 수산자원 : 어업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5 어업생물의 종류 ( 어류 ) – 다랑어류 (tuna) : 고등어과와 형태적으로 비슷, 크기가 훨씬 더 큼 : 대양을 회유하는 회유성으로, 대양에서 어획 : 고급어종 – 측편어류 (flatfishes) : 저서성 어류, 주로 저인망을 사용하는 트롤어업에 의해 어획 – 연골어류 (cartilaginous fishes) : 요소성분을 많이 함유하여, 일부 지역에서만 식용으로 사용 ( 홍어 등 ) : 상어, 가오리 등

6 1.1 수산자원 : 어업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6 어업생물의 종류 ( 어류 ) – 회귀성 어류 (anadromous fishes) : 어획량은 적으나, 고급어종으로 인정됨 : 연어, 송어 등

7 1.1 수산자원 : 어업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7 어업생물의 종류 ( 갑각류 ) – 새우, 게, 크릴, 닭새우 등 – 크릴을 제외하고는 식용으로 주로 이용 됨 어업생물의 종류 ( 연체동물류 ) – 오징어가 최대 생산물 – 두족류에는 문어, 갑오징어, 낙지, 꼴뚜기, 한치 등 – 이매패류에는 굴, 조개, 가리비, 홍합 등 – 복족류에는 군소나 고둥류가 일부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

8 1.1 수산자원 : 어업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8 어업생물의 종류 ( 포유류 ) – 고래류가 상업성이 가장 높음 – 물개나 바다표범도 어획되어 식용외 용도로 사용 – 현재는 자원급감으로 상업적 포획이 제한됨 어업생물의 종류 ( 해조류 ) – 미역, 김, 다시마, 우뭇가사리 등 – 한중일 동양권에서는 주로 식용으로, 서양권에서는 산업용으로 사용

9 1.1 수산자원 : 어업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9 어획생물자원의 감소 어로기술 및 장비의 발달 어획능률 상승 어획량 증가 ( 남획 ) 수산자원 감소 악순환의 반복 (20 세기 이후 ) 전체 생물량 감소

10 1.1 수산자원 : 어업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10 어획생물자원의 감소 – 남획에 의해서만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 자연적으로 증감을 반복하는 것이라는 설도 있음 – 대형물고기나 포유류들의 경우, 남획 후 쉽게 회복되지 않음 : 포유류는 특히, 적은 새끼를 낳아 오랜 기간 양육과 성장시간을 가져, 생식 가능한 시기가 늦추어지기 때문

11 1.1 수산자원 : 양식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11 양식생물 자원 – 육상에서 농사를 지어, 안정적인 식량확보를 추구하듯 – 해양에서도 양식을 통해, 식량증산에 기여하고자 함 – 양식방법 : 양식생물의 종류와 성장단계에 따라 생활사, 식성, 행동 등이 달라짐 따라서 양식법도 달라져야 함 : 유영동물 양식 제한된 수용시설물 안에 적응하여 성장할 수 있어야 하므로, 넓은 면적이 필요 어류의 경우, 주로 가두리를 만들어 어류를 가둠 가두리의 경우, 그물코를 통해 물이 교환되므로 수질관리에 유리함

12 1.1 수산자원 : 양식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12 – 양식방법 : 부착 및 저서생물 양식 어패류와 해조류 양식에 해당 굴, 담치, 우렁쉥이의 경우, 부착시기에 접어든 개체들을 정착시킨 부착기질을 물속으 로 내려 기름 모랫바닥에 서식하는 대합, 바지락, 피조개, 꼬막 등은 별도의 시설 없이 성장에 양호 한 환경을 조성하여 치패를 뿌림 해조류의 경우 : 미역 – 조간대 하부에 서식하므로, 수면 아래 일정 깊이에 밧줄을 설치하여 양식 : 김 – 조건대 상부에 서식하므로, 얕은 연안에 갈대나 대나무 등을 꽂거나 발을 내려 자연적 부착을 유도 생활사에 따라 부착시기와 유영시기가 달리 존재하므로, 부착하는 생활사 시기에 부 착할 수 있도록 양식장 조성

13 1.1 수산자원 : 양식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13 – 양식생산의 한계 : 투자비용이 너무 커서, 순이익이 크지 않음 생활사에 따라, 양식환경을 조정해주어야 하고, 질병이 쉽게 확산될 수 있으므로 항상 수질을 관리해야 함 : 양식기술의 발달도 부진한 상황 : 해안의 연안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침 가두리에서 발생한 배설물과 잔여먹이는 가라앉아 저서환경을 황폐화 시킴 이러한 잔여물질은 부영양화의 원인이 됨 – 최근 양식기술의 발전 : biofloc 을 이용한 친환경양식, 빌딩양식 등으로 발전 ?

14 1.1 수산자원 : 바이오플락양식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14

15 1.1 수산자원 : 기타 해양생물자원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15 기타 해양생물자원 – 해산식물 (marine plant) : 화학 / 공업적 사용 아가 (Agar) – 제빵, 제과업 등에 사용 카라지난 (Carrageenan), 후셀라란 (Fucellaran), 후노란 (Funoran) 등 – 식품, 약품, 화장품 등에 사용 : 의약적 사용 요오드 : 갈조류에 다량 함유, 갑상선종의 치료제로 사용 미역 : 니코틴 장애 억제와 피임제로 활용

16 2.1 평가와 관리 : 수산자원의 특징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관리와 개발전망 16 수산자원의 특징 – 수산자원에는 광물자원과 수자원과 생물자원이 있음 – 광물자원은 화석연료가 대표적이며, 소멸되면 되돌릴 수 없는 갱신불 가능한 자원 – 수자원은 자연적으로 생산과 소멸을 반복하는 갱신가능한 (renewable) 자원 – 생물자원은 갱신가능한 자원이면서 자체적으로 성장 및 번식을 조절 하므로 자율갱신가능자원 (self-regulating renewable resource) 이라 고 할 수 있음

17 2.1 평가와 관리 : 수산자원의 특징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관리와 개발전망 17 수산자원의 특징 – 광물자원은 열역학 제 2 법칙에 따라, 한번 에너지로 전환되면 더 높은 엔트로피 ( 무질서도 ) 를 가진 열의 형태로 ( 사용불가능한 자원 ) 변형됨 : 재생 불가능하므로, 한정된 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해야 함 – 수산자원은 어획을 하더라도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이를 다시 충 당하기 위한 생산력이 발휘됨 : 이러한 능력이 제한되지 않는 선에서, 어획량을 조절해야 함

18 2.2 잠재생산량과 개발전망 : 해양의 잠재생산량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관리와 개발전망 18 해양의 잠재생산량을 추산하는 방법 ( 굴란드, 1971) 1. 어획량으로부터 외삽하는 방법 – 현재까지 어획량 변동 추세를 적용하여 미래 어획량을 예측 – 과거에 비해 어획량의 증감경향이 뚜렷하지 않은 현재에는 적용하 기에 부적합 2. 어류생산량의 실제 추정치로부터 예측 – 단위 면적당 어획량 ⅹ 해양의 면적 – 세계의 모든 어장이 같은 수준의 생산력을 가진다고 가정하므로, 신 뢰도가 떨어짐

19 2.2 잠재생산량과 개발전망 : 해양의 잠재생산량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관리와 개발전망 19 해양의 잠재생산량을 추산하는 방법 ( 라이더, 1969) 3. 기초생산량을 이용하는 방법 – 연안역, 용승역, 외해의 1 차 생산을 추정 –1 차 생산이 상위단계로 올라갈 때 전달효율 연안역 : 15% 용승역 : 20% 외해 : 10% – 영양단계의 단계 수 연안역 : 3 용승역 : 1.5 외해 : 5

20 2.2 잠재생산량과 개발전망 : 해양의 목장화 10 장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관리와 개발전망 20

21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1 요약 1. 어업생물자원, 자원의 종류, 자원의 감소 2. 양식생물자원, 양식방법, 바이오플락 양식 3. 기타 해양생물자원, 해산식물 ( 해조류의 이용 ) 4. 수산자원의 특징, 잠재생산량과 개발 전망 5. 해양목장화 사업

22 용어정리 & 그림작성 (with >5 terms) 22 숙제 1. 슬라이드 ( 그림 포함 ) 에 제시된 용어 30 개 이상을 정리 2. 선택한 용어 중 5 개 이상을 이용하여 창의적인 그림 작성


Download ppt "교과목명 : 생물해양학 및 실험 담당교수 : 김 종성..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관리 2 1. 해양생물자원의 종류 2. 관리와 개발전망 10 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