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임오군란 壬午軍亂 ( 임오년 [1882] 에 군인들이 일으킨 변란 ). [ 학습목표 ] 임오군란의 전개 과정 과 성격에 대하여 설명 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임오군란 壬午軍亂 ( 임오년 [1882] 에 군인들이 일으킨 변란 ). [ 학습목표 ] 임오군란의 전개 과정 과 성격에 대하여 설명 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Presentation transcript:

1 임오군란 壬午軍亂 ( 임오년 [1882] 에 군인들이 일으킨 변란 )

2 [ 학습목표 ] 임오군란의 전개 과정 과 성격에 대하여 설명 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3 개항후 각종 조약 1876 강화도조약 / 조일수호조규부록 / 조일통상장정 1882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1882 조일수호조규속약 / 제물포조약 1883 조영수호통상조약 / 조독수호통상조약 1883 조일통상장정 ( 개정 ) 1884 조러수호통상조약 1885 한성조약 / 톈진조약 1886 조불수호통상조약

4 각종 사절 파견 1876 제 1 차 수신사 ( 김기수 ) – 일본 1880 제 2 차 수신사 ( 김홍집 ) – 일본 1881 조사시찰단 (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 – 일본 1881 영선사 ( 김윤식, 군사유학생 ) – 청 1882 제 3 차 수신사 ( 박영효, 김옥균 ) – 일본 1883 보빙사 ( 민영익, 홍영식, 유길준 ) - 미국

5 개화 세력의 두 흐름 (1880 년대초 ) 온건 개화파 : 김윤식, 어윤중, 김홍집 - 동도서기 ( 東道西器 ) 론 ; 전제군주제 유지 - 친청적인 민씨 정권과 가까움 - 청의 양무운동 모델 급진 개화파 :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홍영식 - 문명개화론 ; 입헌군주제 개혁 추구 - 친청적 민씨 정부 비판 - 일본 메이지 유신 모델 ( 일본 인사와 교류 )

6 위정척사사상의 흐름 1860 년대 통상반대운동 ; 척화주전론 이항로, 기정진 1870 년대 개항반대운동 ; 왜양일체론, 개항불가론 최익현 1880 년대 개화반대운동 ; 조선책략 유포 반대 ( 만인소 ) 이만손, 홍재학 1890 년대 항일의병운동 ; 을미의병 (1895) 유인석, 이소응, 허위

7 임오군란의 배경 구식군인들의 불만 정부의 개화 시책에 반발 외국 세력과 정부에 대한 하층 민의 불만 직접 계기 : 선혜청에서 구식 군인에게 밀린 봉급 부당 지급

8 임오군란의 경과 1 1882. 6. 9( 양 7. 23) 구식군인들 변란 : 2 영 ( 무위영 / 장어영 ) 의 변란 - 후에 도시 하층민 합세 : 일본공사관과 별기군 공격 : 민씨 정부 공격 – 민겸호 피살 : 명성황후 민비는 변장 후 피신 ( 장호원 ) : 흥선대원군 집권 - 5 군영, 삼군부 부활 ( 통리기무아문 폐지 )

9 임오군란의 경과 2 민씨 정권의 청 원군 요청 ( 김윤식, 어윤중 ) : 청군 3000 명 출병 ( 원세개 = 위안스카이 ) : 청군의 조선군 진압 및 해체 : 흥선대원군을 톈진으로 압송해 감 : 민씨 일파 중심 친청 정권 수립 : 청, 일과 각종 조약 체결 : 청의 내정간섭 강화

10 임오군란 결과 제물포조약 ( 조 - 일 ) : 배상금 지불 공사관 경비를 위한 일본군 주둔 허용 같은날 조일수호조규속약 체결 ( 간행이정 50 리 ) 청의 내정간섭 강화 - 고문 파견 : 마젠창, 묄렌도르프 – 군권 장악 : 위안스카이 - 경제적 침투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양화진 무역, 내지무역 가능해짐

11 별기군 1

12 별기군 2

13 명성황후민비명성황후민비

14 흥선대원군흥선대원군


Download ppt "임오군란 壬午軍亂 ( 임오년 [1882] 에 군인들이 일으킨 변란 ). [ 학습목표 ] 임오군란의 전개 과정 과 성격에 대하여 설명 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