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보석 십 Modified 8년 전
1
10 대 여성 보호시설 프로그램 평가 김 소 정김 소 정
2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책무성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부 및 민간의 사회적 자원의 사용의 증 가 서비스의 책무성 (accountability) 의 중요성 증대 서비스의 전문성 강조 프로그램 효과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음
3
모니터링프로젝트 목적 : 서비스 전달자들의 전문성 향상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달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 프로그램 성과평가 참여대상 : 서울시 ( 예산지원 ) 17 개 사회복지서비스기관 ( 서비스 전달 )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 모니터링 ) 클라이언트 : 십대여성 ( 가출, 성매매 ) 기간 : 2005 년 3 월 ~12 월
4
프로젝트 참여기관 주요 프로그램 기관주요 프로그램기관주요 프로그램 A 미술치료 J 의사소통 및 경제관련 기술 B 진로 및 직업찾기 K 경제교육 C L 정신건강 개입 및 네트웍 구축 D 청소년 성장 문화기행 M 알코올 예방프로그램 E 경제 및 일상생활관리 N 사회적 발달 지원 프로그램 F 검정고시, 국토순례 O 리더십 캠프 G 일상생활관리 및 경제관리 P 문화성장 프로그램 H 경제활동 프로그램 Q 의료지원 I 경제관리 프로그램
5
평가 개요 1. 실무자의 전문성 : 여성주의 정체성 2. 프로그램 만족도 :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정도 3. 프로그램 효과성 :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전후 자립의 차이
6
순서 1. 실무자의 여성주의 정체성
7
실무자 여성주의 정체성 목적 : 실무자들은 10 대 여성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므로 성인 지적 관점이 요구됨. 그러나 실무자의 여성주의 정체성에 대한 정보는 거의 파악이 되지 않은 상황. 따라서 어느 정도 여성주의 정체성을 갖 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파악이 필요함 측정도구 :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 척도 (Feminist Identity Development Scale: FIDS) – Worell 과 Remer(2003) 가 개발 – 4 가지 하위범주 ( 수용 / 눈뜸 / 빠져있음 / 참여 ) 로 구성되어 있음 – 총 32 문항, 5 점 리커트 척도 – 신뢰도 :.80
8
실무자 여성주의 정체성 조사방법 프로젝트에 참여한 실무자와 여성단체 ( 한국여성의 전 화, 한국성폭력상담소, 여성민우회 ) 실무자 응답 비교 – 프로젝트 17 개 참여기관 총 45 명의 실무자 – 여성단체 3 개 상담기관 총 40 명의 실무자 분석방법 – T 검증 : 집단간 차이의 유의도 검증
9
실무자 여성주의 정체성 비교
10
실무자 여성주의 정체성 차이 검증 (T 검증 ) 구분 기관 구분 N 평균 표준 편차 tdfP 여성주의 여성주의정체성발달 프로젝트 45 45 3.6363 3.6363.50916.50916 -5.400 -5.400 78. 216 78. 216.000**.000** 여성단체 40 40 4.1432 4.1432.34951.34951
11
여성주의 정체성 하위영역별 차이 검증 (T 검증 ) 구분 기관구분 N 평균표준편차 tdfP 하위 범주 수용 프로젝트 45 4.2694.45951 -3.254 83.002** 여성단체 40 4.5646.36423 눈뜸 프로젝트 45 3.5016.70620 -3.601 80.162.001** 여성단체 40 3.9815.51681 빠져있 음 프로젝트 45 3.2011.62068 -6.607 83.000** 여성단체 40 4.0214.51003 참여 프로젝트 45 3.5730.54792 -3.787 82.889.000** 여성단체 40 4.0054.50445
12
실무자의 여성주의 정체성 여성단체 실무자보다 사회복지서비스 실무자 의 경우 여성주의 정체성이 유의하게 낮게 나 타남 성인지적 관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무자 교 육이 요구됨
13
순서 2. 프로그램 만족도
14
측정도구 : 만족도 척도 (Cli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8: CSQ-8) – 고객만족설문지 – Larsen(1979) 이 개발한 척도 – 총 8 문항, 4 점 리커트척도, –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 – 신뢰도 :.89
15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방법 -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직접 작성 분석방법 - 기술통계
16
만족도 조사 응답율 참여기관대상자수 ( 명 ) 응답자수 ( 명 ) 응답율 (%) 전체기관 514 명 344 명 66.93 %
17
만족도 평균
18
문항 문항평균표준편차 전체 평균 3.12.49.49 1. 제공된 서비스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3.20*.67.67 2. 원했던 종류의 서비스를 받았는가 3.06 3.06.59.59 3. 본인의 욕구를 어느 정도 만족시켰는가 2.92.75.75 4. 이 프로그램을 추천하겠는가 3.16*.62.62 5. 받은 도움의 양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는가 3.11.62.62 6. 본인의 문제를 더 잘 극복하도록 도움이 되었는가 3.22*.57.57 7. 전체적으로 본인이 받은 도움에 만족하는가 3.11.62.62 8. 다시 한번 도움을 구한다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는가 3.18*.73.73
19
클라이언트 만족도 만족도 평균이 3.10 으로 평균 (2.5) 보다 높아 비교적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제공된 프로그램의 질이나 도움 정도에 대해 비교적 만족하고 다시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됨 하지만 프로그램의 클라이언트 욕구 반영 정도, 개입 의 양에 있어서 다소 낮은 점수
20
순서 3.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 자립 )
21
프로그램 참여자 자립의 변화 측정도구 : 자립 척도 (Ansell Casey Life Skills Assessment : ACLSA) 사용 – Casey Family Programs 에서 개발 – 일상생활, 자기보호, 감정관리, 사회적 관계, 일과 학업관련 기술 다섯가 지 하위개념으로 구성 – 총 18 문항, 3 점 리커트척도 – 점수가 높을 수록 자립준비도가 높음. – 신뢰도 :.88
22
프로그램 참여자 자립의 변화 측정방법 :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 두 번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설문에 응답 분석방법 : T 검증 ( 사전사후 검사 비교 ) – 사전 - 사후의 변화를 살펴보아야 하기 때문에, 사전과 사후에 동일 인으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음. 사전 검사지사후 검사지 paired 수거 부수 ( 부 ) 183152142
23
사전사후 자립의 차이
24
자립 사전사후 차이 검증 (T 검증 ) 영역 사전 / 사후 N 평균 표준 편차 tdfP 자립 전체 사후 134 2.1469.36408 2.715266.007** 사전 134 2.2726.39307
25
자립 하위영역별 사전 - 사후 차이 검증 (T 검증 ) 영역 사전 / 사후 N 평균 표준 편차 tdfP 일상생활 사후 140 2.2829.45572 2.291280.023* 사전 142 2.1609.43805 자기 - 보호 사후 137 2.2555.59307 2.494272.013* 사전 137 2.0791.57773 감정관리 사후 141 2.2766.60482 1.593281.112 사전 142 2.1620.60597 사회적 관계 사후 142 2.3779.48252 2.799282.005** 사전 142 2.2212.46074 일과 학업 관련 기술 사후 142 2.1995.54586 1.718281.087 사전 141 2.0898.52799
26
프로그램 효과 프로그램이 클라이언트의 자립에 유의한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음 특히 일상생활, 자기보호, 사회적 관계에 유의한 효과를 보임 그러나 감정관리, 일과 학업관련기술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장기적인 개입이 요망 한계 : 통제집단 없이 단순 사전사후 비교로 성숙효과나 외부 변 인의 효과 통제할 수 없어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음
27
성과 정리 실무자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 – 실무자들의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이 여성관련 상담기관에 비 하여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여성주의 의식 향상을 위 한 교육이 필요함. 만족도 – 모든 문항에서 평균이상 (2.5 이상 ) 의 만족도를 나타냄. 효과성 분석 ( 자립 ) – 사전사후 검사 결과, 프로그램이 청소녀 자립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 – 감정관리나 학업관련 기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될 필요 가 있음
28
의의 정부와 실무자, 연구팀의 공동 협력 접근 : 연구자 중 심의 접근에서 벗어남 프로그램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였다는 것 : 과 학적인 자료의 산출 실무자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 : 평가나 모니터 링에 대한 두려움이나 부담감을 벗어나 평가 및 모니 터링 정보를 적극적으로 자기개발과 프로그램 발전에 수용함
29
제언 평가설계의 엄밀함 : 통제집단이나 사후조사 의 실시 요구 현장의 실무자와 프로그램 평가자, 자원제공 자간 의사소통의 구조 마련이 중요 클라이언트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요구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