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OBJECTIVES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해줬지만, 정신적 건강, 대인관계 그리고 신체적 건강 분야에 대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왔다. 청소년들은 스마트폰과 같 은 미디어에 대해 매우 수용적이어서 어른들보다 부작용에 대해 영향 받기 쉽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OBJECTIVES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해줬지만, 정신적 건강, 대인관계 그리고 신체적 건강 분야에 대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왔다. 청소년들은 스마트폰과 같 은 미디어에 대해 매우 수용적이어서 어른들보다 부작용에 대해 영향 받기 쉽다."— Presentation transcript:

1 OBJECTIVES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해줬지만, 정신적 건강, 대인관계 그리고 신체적 건강 분야에 대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왔다. 청소년들은 스마트폰과 같 은 미디어에 대해 매우 수용적이어서 어른들보다 부작용에 대해 영향 받기 쉽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중독, ADHD, 우울증, 불안증, 충동 성, 자존감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있다. METHODS 조사 대상은 2014 년 9 월부터 10 월까지 천안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조사에 동의해서 가정에 설 문지를 보낸 학생 중 최종적으로 응답한 321 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 연구방법에 대해서는 단국대학교 병원 의료윤리위원회의 심 사 및 승인을 받았다. 평가도구로는 역학질문지, 한국형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프로그램인 KIAS, 한국형 Dupaul ADHD 평가 척 도, 코박 우울척도, 스필버거 특성 불안척도 / 상태불안 척도, 스 마트폰 중독 진단척도인 KSAS, 바렛 충동성척도, 로젠버그 자 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RESULTS 최종 연구 대상자인 321 명 중에서 남아는 176 명 (54.8%), 여 아는 145 명 (45.2%) 이였으며 이 중 스마트폰 중독군은 43 명 으로 13.4% 의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 은 남아가 16 명 (32.7%), 여아가 27 명 (62.8%) 이었고, 정상군 아동은 남아가 160 명 (57.6%), 여아가 118 명 (42.4%) 으로 양 군간의 유의한 빈도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에서 ADHD 중독군은 16 명 (37.2%), 스마트폰 정상군 아동에서 ADHD 중독군은 26 명 (9.4%) 이었 고,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에서 우울군은 11 명 (25.6%), 스마 트폰 정상군 아동에서 우울군은 15 명 (5.4%) 였다. 그리고 스 마트폰 중독군 아동에서 불안 특성군은 35 명 (81.4%), 스마 트폰 정상군 아동에서 불안 특성군은 107 명 (38.5%), 이었고,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에서 불안상태군은 26 명 (60.5%), 스마 트폰 정상군 아동에서 불안상태군은 87 명 (31.3%) 로 ADHD 중독군, 우울군, 불안특성군, 불안상태군 모두 양군간의 유 의한 빈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에서 충동성과 자아존중감 척도 총점이 각각 56.56±10.84, 26.58±6.59, 정상군 아동에서 각각 47.80±11.54, 31.33±5.53 점으로 충동성과 자아존중감에서도 마찬가지로 양 군간 유의한 빈도 차이가 있었다. Yeon Joo Jun, Student 1, Young Seo Kim, Bo Yeong Park, Course of Bachelor 2, Hyo Churl Lee, MD 3, Myung Ho Lim, MD, PhD 2 1.Chungnam Foreign Language High Schooll, Cheonan; 2.Department of Psychology, College of Social Science, Dankook University, Cheonan; 3.Department of of Psychiatr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Cheonan, DISCUSSION & CONCLUSION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중독, ADHD, 우울증, 불안증, 충동성, 자아존중감과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회귀분석의 시행이후에도 연관성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들을 위해서 인터넷 중도군만 아니라 ADHD, 우울불안증의 효과적인 평가와 치료가 필요한 것으 로 보인다. 또한 충동성과 자존감의 개선도 스마트폰중독의 효과적인 중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Rating Scale Smartphone addiction group(n=43) Mea±S.D Control group(n=27 8) Mena±S.D F or x 2 p value Age13.67±0.4711.78±0.451.90.17 Sex(N,%) Female Male 27(62.8%)11.78±0.456.220.13 16(37.2%)160(57.6%) Table 2. Rating Scales of father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1 Table 1.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These data represent mean±S.D., by independent t test, or N(%), by chi-square test, significant p value <.05,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Smartphone addiction group (n=43) Control group (n=278) KIAS 66.70±19.90 51.60±13.78 CDI 11(25.6%) 15(5.4%) STAI/SSAI 35(81.4%) /26(60.5%) 107(38.5%) 87(31.3%) BIS 56.56±10.8447.80±11.54 SES 26.58±6.5931.33±5.53 These data represent mean±S.D., ANCOVA adjusted for age, sex by general linear model, significant p value <.05, KIAS: Korean Internet Addiction Scale, KSAS: Korean Smartphone Addiction Scale, KARS: Korean Dupaul ADHD Rating Scale, CDI: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SAI/STAI :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IS: Barratt Impulsiveness Scale, SES: Rosenberg Self-esteem Scale. REFERENCES Kim D, Lee C (2010) Technology Trends of Smartphone User Interfac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Review 28(5):15–26. Bianchi A, Phillips JG (2005).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 Behav. 8(1):39-51 Young KS (1998) Psychology of computer use: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79:899–902.


Download ppt "OBJECTIVES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해줬지만, 정신적 건강, 대인관계 그리고 신체적 건강 분야에 대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왔다. 청소년들은 스마트폰과 같 은 미디어에 대해 매우 수용적이어서 어른들보다 부작용에 대해 영향 받기 쉽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