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산업보건  산업의학, 산업위생학, 직업보건학  Industrial Medicine, Occupational Health  노동과 노동환경에 관계된 건강문제를 다루는 분야 산업보건학 123 노동조건/환경 상해와 질병문제 질병.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산업보건  산업의학, 산업위생학, 직업보건학  Industrial Medicine, Occupational Health  노동과 노동환경에 관계된 건강문제를 다루는 분야 산업보건학 123 노동조건/환경 상해와 질병문제 질병."— Presentation transcript:

1 산업보건 parkjh11@yonsei.ac.kr

2  산업의학, 산업위생학, 직업보건학  Industrial Medicine, Occupational Health  노동과 노동환경에 관계된 건강문제를 다루는 분야 산업보건학 123 노동조건/환경 상해와 질병문제 질병 / 건강장해의 모든 문제 질병의 원인 규명

3 1. 산업보건  직업성 질환 인류의 시작과 함께 노동(직업)은 인류에게 건강과 안녕, 그리고 부를 제공 반대로 질병과 장애를 야기하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님 노동의 변화  초기 농경사회  생활방법의 발달  노동의 형태가 다양화  농경사회에서 공업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분업화와 작업도구의 발달, 유해위 험물질의 사용증가  직업병 발생의 증가를 수반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산업보건의 범위는 작업(노동)과 작업조건 및 작업환경에 따른 직업병과 직업성 손상에 국한되었으나, 질병의 다인설에 따라 작업장의 여러 요인들이 광의의 직업성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으로 작업과 관련된 질병의 범위가 확대 됨.

4 산업보건의 정의 WHO(1946) 건강은 단지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을 뿐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안녕의 상태 1950년 정의와 비슷 모든 근로자를 위한 것이어야 함이 강조 목적에 있어서도 보다 사회적, 문화적이며 경영시스템의 합리화와 생산성 향상이 강조 1995 ILO/WHO ILO, WHO(1950) 산업보건-모든 직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건강을 고도로 유지시키며, 작업조건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에 유해한 취업을 방지하며, 근로자를 생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적합한 작업환경에 배치하여 일하도록 하는 것 -작업이 인간에게, 일하는 사람이 그 직무에 적합하도록 마련하는 것

5  산업보건의 대상 산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1차적인 대상) 농업인과 상업인을 포함한 직업을 가진 모든 사람들 산업장과 관련되어 환경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일반 주민들  산업보건의 추진목표 순수하게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직업병(occupational disease) 발생을 “0”가 되게 하는 것은 물론 근로자가 가진 질병이 작업환경으로 악화된 경우의 작업관련성 질병(work-related disease) 그리고 일반질 병까지도 예방하여 한 근로자가 입사 시절부터 퇴직하여 생을 마칠 때 까지 질병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6  직업병(Occupational disease) 직업 또는 작업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재해를 업무상 재해  업무상 부상 및 사망  업무상 질병  사고성(부상성) 질병  직업성 질병(작업에 의한 질병 즉 직업병과 작업관련성 질병)  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질병 미국의 근로자 보상법에 의하면  직업병이란 특정한 산업공정, 직종 또는 직업이 고유하고 근로자가 작업을 떠나서는 일반적으로 노출되거나 발생되지 않는 질병

7  직업병의 특징 직업병은 직업에 의해 발생하는 것 외에는 기본적으로 일반질병과 차이가 없다 대부분의 직업병은 임상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이 비직업성 질병의 소견과는 구분되 지 않는다 많은 직업성 질병은 잠복기가 있다. 잠복기에 대한 지식이 직업성 판정에 매우 중 요한 요소 많은 직업성 질병 발생요인들은 비직업성요인들과 혼합작용해서 질병을 일으킴 직업성 질병 발생요인은 일반 임상의사들에게는 그 중요성이 인정되기 어렵다 독성물질의 임상효과는 노출량과 관계가 있다

8  작업관련성질환(Work-related disease) 직업적 유해인자가 병을 일으키는 한 원인이기는 하지만 직업과 관련이 없는 개 인적 특성, 생활환경,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을 말한다. 작업관련성질환에서는  직업적 유해인자가 비직업적 요인과 함께 작용하여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고  또한 질병 발생을 앞당기거나 악화시킬 수도 있다.  즉 업무적인 요인과 업무외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병이 작업관 련성질환이다.  이미 1985년에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산업보건전문위원회에서는 중요한 작업관련 성질환으로 고혈압, 허혈성심장질환, 만성호흡기질환, 근골격계질환, 업무스트레스로 인한 행동변화(Behavioral response)와 정신신체질환(Psychosomatic disease) 등을 들 고 이에 대한 예방을 강조하였다.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작업관련성질환이 전체 업무상질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 가하는 중이다.  1996년에는 진폐증이나 소음성난청과 같은 전통적인 직업병이 전체의 61%를 차지했 는데 2003년에는 작업관련성질환인 뇌심혈관질환이 65%를 차지했다

9 직업병작업 관련성 질환 주로 근로자 집단에서 발생지역사회에서 대규모로 발생 원인 특이적‘다요인’으로 발생 작업장에서의 노출이 필수적작업장에서 노출이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보고의무가 있고 보상 받음보고의 의무가 있을 수 있고 보상도 가능 할수 있다 직업병과 작업관련성 질환의 차이 직업병 판정 분류 건강진단결과내용 A건강관리상 사후관리가 필요없는 자(건강자) C C1직업성질환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조사등 관찰이 필요한 자(요관찰자) C2일반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관찰이 필요한 자 D D1직업성 질환의 소견을 보여 사후관리가 필요한 자(직업병 유소견자) D2일반질병의 소견을 보여 사후관리가 필요한자 R일반건강진단에서의 질환의심자, 2차건강진단 대상자

10  노동은 인류 역사와 더불어  이집트 – 금, 그리스 – 은, 로마-철 : 광부들의 건강장해 발생, 노예-노동  그리스 Hippocrates( 醫聖 ) – 그 시대에 이미 질병이 직업과 관련  로마 Galen – 각종 직업의 직업병을 기술(연중독) Pliny – 제련시 유해분진의 해독 방지 – 동물 방광으로 된 방진 마스크 고안 그러나, 당시는 노동을 천시하여 이들에 대한 건강은 전혀 고려되지 않음.  노동은 인류 역사와 더불어  이집트 – 금, 그리스 – 은, 로마-철 : 광부들의 건강장해 발생, 노예-노동  그리스 Hippocrates( 醫聖 ) – 그 시대에 이미 질병이 직업과 관련  로마 Galen – 각종 직업의 직업병을 기술(연중독) Pliny – 제련시 유해분진의 해독 방지 – 동물 방광으로 된 방진 마스크 고안 그러나, 당시는 노동을 천시하여 이들에 대한 건강은 전혀 고려되지 않음. 고대(~ A.D.500) 산업보건의 역사

11  토지를 가진 대지주가 경제기반을 가지고 지배한 봉건사회  소작인은 농노( 農奴 )로서 땅에 묶이고 직인( 職人 )들은 각종 가내공업에 종사  르레상스가 가까워짐에 따라 자작농가 출현, 상인과 기공들은 전문성을 가지고 조합(Guild)를 조직  10세기 이후 사립의학교 신설  금속공예, 직물공업 발달 - 상업과 무역이 활발해짐 - 금속의 수요 증가 – 채광 – 광부들의 건강장해 주목  중세기 의학은 그리스와 아랍의학의 답습  의료는 교회중심으로 자선진료가 주  토지를 가진 대지주가 경제기반을 가지고 지배한 봉건사회  소작인은 농노( 農奴 )로서 땅에 묶이고 직인( 職人 )들은 각종 가내공업에 종사  르레상스가 가까워짐에 따라 자작농가 출현, 상인과 기공들은 전문성을 가지고 조합(Guild)를 조직  10세기 이후 사립의학교 신설  금속공예, 직물공업 발달 - 상업과 무역이 활발해짐 - 금속의 수요 증가 – 채광 – 광부들의 건강장해 주목  중세기 의학은 그리스와 아랍의학의 답습  의료는 교회중심으로 자선진료가 주 중세기(A.D.500~1500) 산업보건의 역사

12  15세기 말 문예부흥 – 인쇄술이 널리 전파되고 새 분야에 대한 지식에 눈뜨기 시작 신대륙이 발견되고 이에 대한 조사 탐구에도 열중  17세기 초 – 생산의 터가 가내공업에서 공장으로 옮겨지는 시기 광산의 대량개발, 광부들의 건강장해에 대한 서적들이 나오기 시작  Agricola – 금속 채광 및 제련과 관련한 상해와 질병예방에 관해 기술[De re Metallica]  Paracelsus – 광산과 야금에서 오는 질병( 광부들의 호흡기 질환 (천식증))  Stockhausen – 광산과 제련 과정에서 수은과 연 중독  Ramazzini- [직업인들의 질병], 수공업을 하는 각종 직인(광부, 농부, 석공, 초자공, 직조공, 목공)들에게서 일어나는 특유한 질병을 조사, 산업보건의 시조  15세기 말 문예부흥 – 인쇄술이 널리 전파되고 새 분야에 대한 지식에 눈뜨기 시작 신대륙이 발견되고 이에 대한 조사 탐구에도 열중  17세기 초 – 생산의 터가 가내공업에서 공장으로 옮겨지는 시기 광산의 대량개발, 광부들의 건강장해에 대한 서적들이 나오기 시작  Agricola – 금속 채광 및 제련과 관련한 상해와 질병예방에 관해 기술[De re Metallica]  Paracelsus – 광산과 야금에서 오는 질병( 광부들의 호흡기 질환 (천식증))  Stockhausen – 광산과 제련 과정에서 수은과 연 중독  Ramazzini- [직업인들의 질병], 수공업을 하는 각종 직인(광부, 농부, 석공, 초자공, 직조공, 목공)들에게서 일어나는 특유한 질병을 조사, 산업보건의 시조 르네상스(A.D.1500~1600) 산업보건의 역사

13  영국의 산업혁명, 1760-1830년 사이에 에너지(석탄), 엔진(철), 수송(철도)  증기기관은 모든 산업의 원동력, 기계 시대가 막을 엶  대량생산(기차, 기선으로 운송)  전자파의 발견 – 모스(morse) 부호, 원거리 통신의 혁명  공장 중심으로 많은 농부들이 농장으로 모여 들면서 비위생적인 빈민지대 형성  싼 임금으로 부녀자, 연소자들을 긴 노동시간이나 위험, 유해작업에 투입 – 재해와 직업병 빈발  더욱이 병원체에 대한 지식이 없었고 병리학도 확립되지 않음  각종 전염병이 만연되었고 이들 질병은 농촌으로 전파됨  노동여성들의 영유아 사망율이 극히 높았다.  영국의 산업혁명, 1760-1830년 사이에 에너지(석탄), 엔진(철), 수송(철도)  증기기관은 모든 산업의 원동력, 기계 시대가 막을 엶  대량생산(기차, 기선으로 운송)  전자파의 발견 – 모스(morse) 부호, 원거리 통신의 혁명  공장 중심으로 많은 농부들이 농장으로 모여 들면서 비위생적인 빈민지대 형성  싼 임금으로 부녀자, 연소자들을 긴 노동시간이나 위험, 유해작업에 투입 – 재해와 직업병 빈발  더욱이 병원체에 대한 지식이 없었고 병리학도 확립되지 않음  각종 전염병이 만연되었고 이들 질병은 농촌으로 전파됨  노동여성들의 영유아 사망율이 극히 높았다. 산업혁명(1760~1830) 산업보건의 역사

14  산업혁명 당시 노동자들은 공장을 도살장(butchery)으로 호칭 - 국민의 건강은 심각한 상태  독일, John Peter Frank, [완전한 의학적 경찰제도,1788], 산업보건(모성보호)의 중요성을 강조  영국, Sir Edwin Chadwick, [대영제국의 노동계급의 위생상태,1845]  영국, Percivall Pott, 굴뚝청소부의 음낭암, 1788년 노동법규(연통청소법)  1819년 - 최초의 공장법(Factory Act) 제정 1833년 – 세부 규정 확정 ( 하루 12시간이상의 노동시간 제한과 9세 이하 고용금지)  Legge(의사 감독관), [Industrial Maladies]- 경영자 책임, 환경관리 우선, 직업병 예방의 격언 고용자에게 위험 통지 원칙  산업혁명 당시 노동자들은 공장을 도살장(butchery)으로 호칭 - 국민의 건강은 심각한 상태  독일, John Peter Frank, [완전한 의학적 경찰제도,1788], 산업보건(모성보호)의 중요성을 강조  영국, Sir Edwin Chadwick, [대영제국의 노동계급의 위생상태,1845]  영국, Percivall Pott, 굴뚝청소부의 음낭암, 1788년 노동법규(연통청소법)  1819년 - 최초의 공장법(Factory Act) 제정 1833년 – 세부 규정 확정 ( 하루 12시간이상의 노동시간 제한과 9세 이하 고용금지)  Legge(의사 감독관), [Industrial Maladies]- 경영자 책임, 환경관리 우선, 직업병 예방의 격언 고용자에게 위험 통지 원칙 19세기(1800~1900) 산업보건의 역사

15  19세기 후반  다이나마이트 발견(1860), 전기발명(1882)- 산업의 커다란 혁명  전기용접(1881), 착암기(1883), aniline 염료 발견, benzene, 알루미늄 ->산업발전에 따라 새로운 건강장해 발생  의학분야의 눈부신 발전  Claud Bernard, 실험의학의 기초  Rudolf Virchow, 병리학의 체계  Louis Pasteur, Robert Koch, 각종 병원체 발견, 면역학, 혈청학 -> 예방의학의 길을 엶  Max Von Pettenkofer, 실험위생학의 기초  19세기 후반  다이나마이트 발견(1860), 전기발명(1882)- 산업의 커다란 혁명  전기용접(1881), 착암기(1883), aniline 염료 발견, benzene, 알루미늄 ->산업발전에 따라 새로운 건강장해 발생  의학분야의 눈부신 발전  Claud Bernard, 실험의학의 기초  Rudolf Virchow, 병리학의 체계  Louis Pasteur, Robert Koch, 각종 병원체 발견, 면역학, 혈청학 -> 예방의학의 길을 엶  Max Von Pettenkofer, 실험위생학의 기초 19세기(1800~1900) 산업보건의 역사

16  사회발전은 산업발전보다 언제나 뒤떨어짐  산업혁명 후 노동자 계급 탄생, 노동조합 형성 -> 노사분규로 폭동 -> 자본주의에 대항한 공산당 선언(1848)  한편, 국민의 건강은 공중의 책임이라는 개념이 생겨남 -> 영국, 공중보건법 제정  Bismark, 공장재해와 노동자의 상병대책으로 노동자 질병보험법(!883), 공장재해보험 법(1884)을 창시 -> 사회보장제도의 기초 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 학자들에 의해 많은 직업병 보고 -> 대책은 미흡  직업병에 대한 법적 규정은 1895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인(P), 비소(As), 연(Pb)에 대한 직업병 신고제가 제정 그후, ILO(1925) 18조, 1980년 29군의 직업병을 도표로 제시  사회발전은 산업발전보다 언제나 뒤떨어짐  산업혁명 후 노동자 계급 탄생, 노동조합 형성 -> 노사분규로 폭동 -> 자본주의에 대항한 공산당 선언(1848)  한편, 국민의 건강은 공중의 책임이라는 개념이 생겨남 -> 영국, 공중보건법 제정  Bismark, 공장재해와 노동자의 상병대책으로 노동자 질병보험법(!883), 공장재해보험 법(1884)을 창시 -> 사회보장제도의 기초 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 학자들에 의해 많은 직업병 보고 -> 대책은 미흡  직업병에 대한 법적 규정은 1895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인(P), 비소(As), 연(Pb)에 대한 직업병 신고제가 제정 그후, ILO(1925) 18조, 1980년 29군의 직업병을 도표로 제시 19세기(1800~1900) 산업보건의 역사

17  20세기에 들어와 각국의 광산 급속도로 개발  Rontgen의 X-선 발견(1895)으로 진단기술의 도입과 아울러 진폐증의 예방, 진단, 치료에 획기적인 업적을 올리게 됨  영국의 Leonard Hill, 독일의 Lehman, 미국의 Yaguloglou – 환경위생학과 노동생리학  20세기 초 산업보건에 관한 국제기구와 여러학회 연구기관들이 설립  제1회 국제산업보건회의(ICOH), 1906년  1910, Milan, Clinica del Lavoro  1910, New York, Occupational Disease Clinic  1913, Dortmund, Kaiser-Wilhelm Institute Fur Arbeitsphysiologie  1921, 일본, 노동과학연구소  1922, Boston, Harvard 대학원 산업보건학과  1923, Moscow, Academy of medical science on institute of occupational disease  1919, ILO(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 20세기에 들어와 각국의 광산 급속도로 개발  Rontgen의 X-선 발견(1895)으로 진단기술의 도입과 아울러 진폐증의 예방, 진단, 치료에 획기적인 업적을 올리게 됨  영국의 Leonard Hill, 독일의 Lehman, 미국의 Yaguloglou – 환경위생학과 노동생리학  20세기 초 산업보건에 관한 국제기구와 여러학회 연구기관들이 설립  제1회 국제산업보건회의(ICOH), 1906년  1910, Milan, Clinica del Lavoro  1910, New York, Occupational Disease Clinic  1913, Dortmund, Kaiser-Wilhelm Institute Fur Arbeitsphysiologie  1921, 일본, 노동과학연구소  1922, Boston, Harvard 대학원 산업보건학과  1923, Moscow, Academy of medical science on institute of occupational disease  1919, ILO(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현대(1900~2000) 산업보건의 역사

18  1920~40년 사이에 산업위생공학의 발전으로 직업병예방에 큰 성과를 올림  1930년대 작업장의 유해물질 노출기준 제정 미국(1937), 독일(1938), 소련(1939)  2차 세계대전 중 석유화학공업이 새로이 등장, 공장의 기계자동화의 시대  각자의 작업은 벨트 콘베이어(belt conveyer)의 일련작업 속에서 세분화되어 기계의 속도에 맞추어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는 단조로운 작업을 하기 시작 -> 인간소외 정신, 신경, 감각기능의 장해 발생,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고려한 인간공학의 분야  1960년 전자공학의 발전, 컴퓨터가 모든 산업에 도입 모든 측정기기는 디지털 혁명으로 정밀, 유해물질의 측정과 노출기준도 엄격  1970년 사업장에 로봇등장, 노동시간과 유해물질 노출규제에 새로운 전기  컴퓨터의 대량보급으로 techostress로 불리우는 신경감각계와 심리, 정신적 장해 증 후군, 심지어는 반사회적 행동이 증가하고 있어 정신보건의 새로운 과제로 주목  1920~40년 사이에 산업위생공학의 발전으로 직업병예방에 큰 성과를 올림  1930년대 작업장의 유해물질 노출기준 제정 미국(1937), 독일(1938), 소련(1939)  2차 세계대전 중 석유화학공업이 새로이 등장, 공장의 기계자동화의 시대  각자의 작업은 벨트 콘베이어(belt conveyer)의 일련작업 속에서 세분화되어 기계의 속도에 맞추어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는 단조로운 작업을 하기 시작 -> 인간소외 정신, 신경, 감각기능의 장해 발생,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고려한 인간공학의 분야  1960년 전자공학의 발전, 컴퓨터가 모든 산업에 도입 모든 측정기기는 디지털 혁명으로 정밀, 유해물질의 측정과 노출기준도 엄격  1970년 사업장에 로봇등장, 노동시간과 유해물질 노출규제에 새로운 전기  컴퓨터의 대량보급으로 techostress로 불리우는 신경감각계와 심리, 정신적 장해 증 후군, 심지어는 반사회적 행동이 증가하고 있어 정신보건의 새로운 과제로 주목 현대(1900~2000) 산업보건의 역사

19  1970년대에 들어와 각 나라에서 노동법을 정리하여 독립된 산업안전보건법을 제정  규제와 벌칙 일변도에서 사업장 스스로가 책임지고 자발적으로 산업보건사업을 추진하도록 하는 취지에서 만듦  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살충제, 항생제와 새로운 예방접종의 개발로 많은 전염병, 기생충질환의 종식, 인간수명 50~60세에서 70~80세로 연장, 성인병관리 중요과제, 1980년대부터 사업장에서 건강증진 운동이 시작  1990~1995(WHO), 산업보건전략으로서 소외된 특수집단 노동자(중소영세사업장, 부녀자, 연소자, 노인, 해외근로자, 장애자)에 중점  노동자의 건강에 대한 개념은 시혜( 施惠 )적인 것으로 방치되어 오다가 노동법의 제정 에 따라 최소한의 법적 보호를 받게 되었고 노동의 발달에 따라 생산성을 고려한 산업보건의 개념이 도입  1970년대에 들어와 각 나라에서 노동법을 정리하여 독립된 산업안전보건법을 제정  규제와 벌칙 일변도에서 사업장 스스로가 책임지고 자발적으로 산업보건사업을 추진하도록 하는 취지에서 만듦  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살충제, 항생제와 새로운 예방접종의 개발로 많은 전염병, 기생충질환의 종식, 인간수명 50~60세에서 70~80세로 연장, 성인병관리 중요과제, 1980년대부터 사업장에서 건강증진 운동이 시작  1990~1995(WHO), 산업보건전략으로서 소외된 특수집단 노동자(중소영세사업장, 부녀자, 연소자, 노인, 해외근로자, 장애자)에 중점  노동자의 건강에 대한 개념은 시혜( 施惠 )적인 것으로 방치되어 오다가 노동법의 제정 에 따라 최소한의 법적 보호를 받게 되었고 노동의 발달에 따라 생산성을 고려한 산업보건의 개념이 도입 현대(1900~2000) 산업보건의 역사

20  신라, 가야시대에 유리, 금속공방, 주철공방이 존재 -> 진폐증, 금속중독증 발생 예측 -> 그러나 봉건사회 속에서 농민과 공예인은 노비와 평민의 신분 -> 이들이 질병과 보건에 관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려움  1910~1945년, 국민의 건강은 경찰위생행정으로 이루어짐, 노동법 없음, 단지, 재해가 많았던 광산에 광부노무부조 규칙(1942), 징용제(1938)  2차 대전후, 미군정하에 상무부 관공국에 노동과 설치(1945), 최고 노동시간법과 미성년자 노동보호법이 제정 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  보건사회부 노동국 설치(1955)  대한석탄공사의무실 광부진폐증 보고(1954), 일부보상 실시(1957), 갱내 작업환경과 작업능률에 대한 기초조사 실시(1956)  1962년 가톨릭의과대학에 산업의학 연구소 설립  신라, 가야시대에 유리, 금속공방, 주철공방이 존재 -> 진폐증, 금속중독증 발생 예측 -> 그러나 봉건사회 속에서 농민과 공예인은 노비와 평민의 신분 -> 이들이 질병과 보건에 관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려움  1910~1945년, 국민의 건강은 경찰위생행정으로 이루어짐, 노동법 없음, 단지, 재해가 많았던 광산에 광부노무부조 규칙(1942), 징용제(1938)  2차 대전후, 미군정하에 상무부 관공국에 노동과 설치(1945), 최고 노동시간법과 미성년자 노동보호법이 제정 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  보건사회부 노동국 설치(1955)  대한석탄공사의무실 광부진폐증 보고(1954), 일부보상 실시(1957), 갱내 작업환경과 작업능률에 대한 기초조사 실시(1956)  1962년 가톨릭의과대학에 산업의학 연구소 설립 우리나라 한국의 산업보건사

21  1962, 근로보건관리규칙 제정, 사업장 근로자에 대한 정기건강진단 실시  1963,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정, 노동청 신설, 대한산업보건협회(회장 최영태)  1965년부터 서독, 월남에 우리나라 근로자 파견, ILO 전문가 내한, 가톨릭의대에 진폐환자를 위한 직업병 클리닉이 설치 60년대에는 직업성 난청, 벤젠중독, 아항산가스중독, 연중독 등 많은 직업병들이 보고  서울청계상가 평화보세공장의 노동환경조건에 항의(전태일) 사건을 계기로 근로복지위원 개설, 마산자유수출공간에는 집단산업보건관리를 위한 산업보건센터 설립(중소기업 보건관리대행사업의 시범)  1977, 국립노동과학연구소, 근로복지공사 설립, 직장의료보험 시작  1981, 노동부 승격, 산업안전보건법  1987년 한국산업안전공단 설립  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CS2)중독 -> 노동과 건강연구회 발족  1962, 근로보건관리규칙 제정, 사업장 근로자에 대한 정기건강진단 실시  1963,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정, 노동청 신설, 대한산업보건협회(회장 최영태)  1965년부터 서독, 월남에 우리나라 근로자 파견, ILO 전문가 내한, 가톨릭의대에 진폐환자를 위한 직업병 클리닉이 설치 60년대에는 직업성 난청, 벤젠중독, 아항산가스중독, 연중독 등 많은 직업병들이 보고  서울청계상가 평화보세공장의 노동환경조건에 항의(전태일) 사건을 계기로 근로복지위원 개설, 마산자유수출공간에는 집단산업보건관리를 위한 산업보건센터 설립(중소기업 보건관리대행사업의 시범)  1977, 국립노동과학연구소, 근로복지공사 설립, 직장의료보험 시작  1981, 노동부 승격, 산업안전보건법  1987년 한국산업안전공단 설립  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CS2)중독 -> 노동과 건강연구회 발족 우리나라 한국의 산업보건사

22  1988, 대한산업의학회 창립  1990, 한국산업위생학회, 한국산업간호학회 설립  90년대 산업안전보건법을 대폭 개정  1996, 선신화 산업안전보건 3개년 계획을 수립 – 중소영세사업장에 대한 보건관리 사업확대  MSDS, 정도관리제도 새로이 도입, 산업의학전문의제도(1996), 산업위생관리기술사제도(1991) 제정되어 전문인력 배출되기 시작함  1988, 대한산업의학회 창립  1990, 한국산업위생학회, 한국산업간호학회 설립  90년대 산업안전보건법을 대폭 개정  1996, 선신화 산업안전보건 3개년 계획을 수립 – 중소영세사업장에 대한 보건관리 사업확대  MSDS, 정도관리제도 새로이 도입, 산업의학전문의제도(1996), 산업위생관리기술사제도(1991) 제정되어 전문인력 배출되기 시작함 우리나라 한국의 산업보건사

23  19세기 말까지는 직업병보다는 전염병과 빈곤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더 큰 문제  20세기에 들어와 산업재해와 직업병에 대한 높은 관심 속에서 예방을 위한 위생공학이 발전, 2차 세계대전 종말 전후로 각종 공업중독이 산업의학의 중심과제  과학기술의 발전은 노동생산성의 향상의 개념을 도입  기계공학의 발전에 따른 기계자동화 속에서 인간노동의 새로운 문제를 야기 -> 인간공학  작업적성, 인간관계를 포함한 산업심리분야  과거에는 등한시해 왔던 노동권, 사회보장과 복지사업의 확대  산업보건은 근로자의 건강에 관한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모든 분야를 다루는 학문임으로 많은 분야와 연관을 가지고 발전  19세기 말까지는 직업병보다는 전염병과 빈곤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더 큰 문제  20세기에 들어와 산업재해와 직업병에 대한 높은 관심 속에서 예방을 위한 위생공학이 발전, 2차 세계대전 종말 전후로 각종 공업중독이 산업의학의 중심과제  과학기술의 발전은 노동생산성의 향상의 개념을 도입  기계공학의 발전에 따른 기계자동화 속에서 인간노동의 새로운 문제를 야기 -> 인간공학  작업적성, 인간관계를 포함한 산업심리분야  과거에는 등한시해 왔던 노동권, 사회보장과 복지사업의 확대  산업보건은 근로자의 건강에 관한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모든 분야를 다루는 학문임으로 많은 분야와 연관을 가지고 발전 산업보건 분야

24  산업보건활동의 추진방향 산업보건관리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 작업환경관리, 작업관리, 건강관리, 보건교육 활동을 조화롭게 추진하는 종 합적인 산업보건관리를 추진  공학적인 대책과 행정적인 대책을 조화롭게 추진  작업환경관리는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문제의 작업장에 대한 대책을 강구  작업관리는 보호구지급, 작업전환 등 작업자들이 일하는 현장에서 건강장해 가 발생되지 않고 작업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하는 활동  건강관리는 이상자의 조기발견과 관리  보건교육은 작업환경관리, 작업관리, 건강관리 각 부분에 대한 교육을 통하 여 예방적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필요

25 유해요인건강장해 1. 기계적인 유해요인산업사고 및 재해 2. 생리적 긴장 및 중노동근골격계 장애, 요통 3. 인간공학적 유해요인생산성 및 작업의 질 저하 4. 물리적 유해요인소음성 청력손실, 외상성 혈관질환 5. 화학적 유해요인중독, 섬유증, 암, 알레르기, 신경장애 6. 생물학적 유해요인감염증, 알레르기 7. 분진진폐증 8. 신경성 긴장스트레스, 작업불만, 신경쇠약, 우울증 9. 정신, 사회학적 측면갈등, 생산성 감소, 작업의 질 저하, 정신적 스트레스 직업성 질환의 유해요인별 건강장해

26 작업환경관리 요인 물리적인 건강유해요인 온열조건(적외선 포함) - 유리가공 자외선 - 아크용접 전리방사선 - 원자로 작업 소음 - 프레스 작업, 윤전기 작업 이상기압(고압 및 저압환경) - 잠수부, 고공비행 진동 - 벌목작업 화학적 건강유해요인 유기용제 - 도장작업 중금속 - 제련업 특정 화합물 - 화학합성작업 생물학적 건강유해요인 파상풍 - 야외작업 브르셀라증 - 가축업 바이러스성 감염 - 병원종사자 결핵 - 수용시설관리자 Endotoxin - 실내가축업자 작업환경관리 건강유해요인

27 작업관리 요인 인간공학적 건강유해요인 중량물 작업 - 유통업 반복작업 - 부품조립업 부적절한 자세 - 협소공간작업 업무상 안전유해요인 낙상 - 건설업 화상 - 요식업 작업관리 건강유해요인 보건관리 요인 개인관리요인 개인보호구 미착용 - 예술인의 창작활동 부적합한 작업배치 - 소방업무 집단관리요인 업무상 스트레스 - 컴퓨터 프로그래머 교육 및 훈련부족 - 신병훈련소 기타요인 작업전환미비 - 영세사업장 재활 및 작업복귀 미비 - 외국인 근로자 기타 보건관리 미비 보건관리 건강유해요인

28 10대 주요 질환 1. 직업성 호흡기계 질환-진폐, 직업성 천식 2. 근골격계 질환-직업성 요통, 수근터널 증후군 3. 직업성 암-석면으로 인한 폐암, 염료로 인한 방광암 4. 중대재해-추락사 5. 심혈관계 질환-고혈압, 과로사 6. 생식기계 질환-화학물질로 인한 불임, 유산 7. 신경독성 질환-유기용제 중독 8. 소음성 난청-소음성 난청 9. 피부질환-접촉성 피부염, 피부감염 10. 정신질환-정신적 탈진, 약물중독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10대 주요 직업관련성 질환

29 산업장에서 발생하는 유해요인과 유해성  물리적 유해인자(physical agents) 1. 소음  청력장해  일과성 청력장해  영구성 청력장해  회화방해  일반 생리반응  중추신경계 자극 - 혈압, 발한, 맥박 증가, 호흡변화, 전신근육 증가  작업방해  불쾌감  회의실(30dBA), 개인사무실 or 가정(50dBA), 큰사무실 or 제도실(50dBA)  옥외의 경우 - 배경음보다 10dBA 이상 큰 소음  수면방해

30 2. 진동  전신진동  자율신경(특히 순화기 자극) - 말초현관 수축, 혈압상승, 맥박증가, 발한, 피부 전 지저항 저하, 산소소비량 증가, 폐환기 수축  내분비계 - 요중 17-ketosteroid 배설증가, 위장장애, 내장 하수증, 척추이상  국소진동  레이노드씨 현상(Raynoud’s phenomenon) - 백지증(vibration induced white finger)  뼈 및 관절의 장해

31 3. 유해광선 - 에너지 강도 12eV를 경계로  전리방사선 -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X-선, 양성자, 중성자  비 전리방사선 - 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 전자파, 마이크로파 비전리방사선(non-ionizing radiation) - 파장이 길며, 전리능력이 없거나 에너지가 약한 방사선을 총칭 1) 전자파의 유해성  극저주파(60Hz)나 초고주파 노출에 대한 건강 유해성  ’79 Wertheimer와 Leeper가 소아암과 고압선 주변 거주와의 연관성 규명  동물실험, 기전 규명연구 등 일관성있는 결과를 도출하지 못함  ‘96(NRC) – 거주민의 폭로가 건강에 위해하다는 결론적이고 일관성 있는 근거는 없다  But, EMF와 백혈병, 임파종, 뇌암, 유방암, 알츠하이머병 연관성 규명 연구 진행  저주파 장기노출시 인체내 유도전류형성되어 세포막, 내외에 존재하는 Na, K, Cl - 각종 이온의 불균형 초래 - 호르몬분비 및 면역세포에 영향  세포증식이 빠른 혈구, 생식기, 임파선 등과 같은 조직 또는 아동들에게 더 유해

32 2) 자외선(Ultaviolet radiation, UV)의 유해성과 관리  200-400nm 파장, 사진감광작용, 형광작용, 광이온작용  인위적 자외선 발생원 – 아크용접, 고압수은 증기등, 작업장 자외선등, 살균등, sun- tanning 램프, 형광등, 할로겐등  직업적 노출 – 비행사, 식품종사자, 건축 종사자, 약품제조자, 전기공, 의료인, 용접공  조직 투과거리 – 수mm로 투과력이 약하고 대부분 신체표면에 흡수되기 때문에 주로 피부와 눈에 직접적인 영향  피부에 대한 작용  강한 홍반 작용 – 200~290nm, 항히스타민 유리-모세혈관 확장-국소발적  색소침착 – 300~400nm, 멜라닌 형성 왕성  or 피부비후 – 표피와 진피의 두께 증가 – 순화현상(자외선량이 많을수록 현저 하게 나타남) – 색소침착과 더불어 자외선 투과를 막는 보호작용  심각한 만성 장애 – 280~320nm, 피부암(90%는 태양광선에 노출되는 신체부 위에 발생, 표피에 멜라민이 풍부, 각질층이 두꺼운 사람이 저항력이 크다)

33 2) 자외선(Ultaviolet radiation, UV)의 유해성과 관리  눈에 대한 작용  315nm보다 짧은 파장(특히 눈이 가장 민감한 파장은 270nm)의 자외선은 모두 각막 및 결막에서 흡수  과도한 노출 – 결막염, 궤양, 혼탁, 수포형성, 각막 및 결막 의 부종  전기성(전광성) 안염 – 대표적 자외선 장해, 아크용접공, 극지탐험가  295~320nm- 각막에서 모두 흡수되지 않고 수정체까지 도달, 노출에 대한 광화 학적 및 열적 효과가 백내장 발생  비타민 D 생성  280-320nm(UV-B), Dorno ray, 부족시 구루병 발생  살균작용  254-280nm 가장 강한 살균력, 핵단백을 파괴  실내 공기 소독시 공기중 먼지가 많이 떠 있으면 효과 감소  자외선 피폭 허용한계 – 눈이나 피부에 16분이상 1mW/cm2, 16분미만 총조사량 1J/cm2

34 3) 가시광선(Visible radiation)  성질  400-700nm, 망막을 자극하여 광각(light sense)을 일으킴  생체의 세포활동을 활발하게 함  송과선(pineal gland)의 멜라토닌 합성이 억제되고 성선의 성숙에 영향  조명부족시 - 시력저하, 능률저하, 안정피로, 안구진탕증  조명과잉시 – 시력장애, 시야협착, 망막변성, 눈부심, 두통

35 4) 적외선(Infrared radiation)  700nm~1mm, 열을 방출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파장영역  절대온도 이상의 모든 물체는 온도에 비례하여 적외선을 방사  고열물체가 방출하는 복사선은 대부분이 적외선이므로 이를 열선이라고도 함  조직에 흡수되면 구성분자의 운동에너지를 증대시켜 조직온도 상승  750~1,300nm, 심부조직까지 도달하여 국소혈관의 확장, 혈액순환 촉진 및 진 통작용  화상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에너지 수준의 적외선이라 할지라도 만성 노출 (10~15년) – 적외선 백내장(초자공 백내장, glassblower’s cataract)

36 5) 레이저(LASER,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 자외선,가시광선,적외선 가운데 인위적으로 특정한 파장부위(0.3~10um의 전자파)를 강력하게 증폭시켜 얻은 복사선  단일 파장, 강력하고 예리한 지향성을 가짐, 단면에 대량의 에너지를 집중시키도록 설 계  용도 – 정밀기계작업, 재료가공, halography, 물질구조연구, 용접, 절단, 외과적 수수 리 및 통신 매체  생체작용 – 낮은 강도에서는 생물학적 효과는 크지 않음  높은 강도에서는 피부나 눈에 대한 열 또는 압력에 의한 손상  눈 – 충혈, 이물감, 시력 장애  피부 – 홍반, 수포형성, 색소침착  건강관리 – 취업시와 매 6개월 및 이직시에 건강진단 실시  안과 및 피부과적 검사, 혈압측정, 혈구검사, 출혈성 소인의 검사

37 6)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microwave & radiofrequency radiation)  마이크로파는 파장 1~300cm, 주파수 10~10,000MHz  라디오파는 10MHz와 적외선 사이의 범위  발생원  마이크로파 – 레이다, 통신기기, 음극선관, 전자레인이지, 건조기  생물학적 영향 – power density, 주파수, 파장, 환경의 습도와 온도, 조직의 혈관분포 상태, 증가된 온도에 대한 감수성(고환), 외부방사선에 대한 해부학적 장벽의 결여(눈)  생체에 흡수되는 에너지량 – 특정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 W/kg)  생식기능, 기형발생 – 높은 power density 노출(동물실험), 인체영향 추정의 타당성 X  라디오파 질병 – 자율신경 및 중추신경장해의 복합적 증상  백혈병, 조혈기관 및 림프조직의 암발생률 증가 →모두 명확한 결론 X  혈압은 초기 상승하다 곧 억제 효과를 내어 저혈압을 초래  Cholinesterase의 활성치가 감소  여자의 경우 월경주기 변동

38 전리방사선(ionization radiation)  전자기 방사선(electromagnetic radiation) - X선, 감마선,  고주파, 고에너지  입자 방사선(particulate radiation) - 알파입자, 베타입자, 중성자  충돌에 의해 원자와 분자를 분열시켜 이온, 라디칼을 생성하여 생화학적 병소를 일으킴  원자(atom), 방사능(radioactivity), 방사선(radiation) 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 → 원자핵(nucleus)과 전자(electron) → 원자핵은 양성자 (proton)와 중성자(neutron)  같은 화학원소의 모든 원자들은 원자핵에 있는 양성자(양의 하전)와 같은 수의 전 자(음의 하전)궤도를 가지고 있음 → 전기적으로 중성  원소(element)의 양성자 수가 원자번호(atomic number)  양성자의 수와 중성자를 합한 수가 질량수(mass number)  동위원소(isotope) – 원자번호가 동일한 원소로서 다른 수의 중성자를 가지고 있 어 질량수가 다른 것  예) 납 원자의 경우 82개의 양성자와 122,124,125,126개의 중성자수  204 Pb, 206 Pb, 207 Pb, 208 Pb

39  원자(atom), 방사능(radioactivity), 방사선(radiation)  이런 동위원소 중 어떤 것들은 불안정하여 다른 원소의 원자로 전환되며 동시에 알파 or 베타 입자를 분출하고 이때 대개 감마선을 동반  이러한 불안정한 원자의 특성을 방사능(raioactivity)  이러한 변화를 방사성 붕괴(radioactive decay)  이 불안정한 원자를 방사성 핵종(radionuclide)  방사선을 방출하는 동위원소를 방사성 동위원소(radioisotope)  전리방사선의 단위  조사선량(Roentgen, R)  역사적으로 X-선 노출측정으로 조사선량이 사용  단순히 공간상의 어떤 위치에서 방사선 강도의 세기를 나타내는 양  1R = X-선 또는 감마선에 의해 공기 1kg당 2.58X10 -4 C(쿨롱)의 전하 생성

40  전리방사선의 단위  흡수선량(absorbed dose)  방사선 – 에너지의 흐름  조직의 단위질량(1kg)당 흡수된 방사선 에너지량(J), Gy(gray)=1J/kg  등가선량(equivalent dose, Sv(Sievert)) 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흡수선량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손상을 유발하는 특정 방사선의 종류에 의한 차이도 고려한 척도  피폭으로 인한 위험의 객관적 평가척도  흡수선량에 방사선 가중치를 보정한 양  유효선량(effective dose)  인체 내부 각 조직이 같은 등가선량을 받았다고 같은 정도로 건강을 위협하 는 것은 아님  조직별 상대적인 위험도의 차이를 반영하여 전체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된 것  각 조직 또는 장기의 등가선량에 조직 가중치를 가중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하는 양

41 미국인 한 사람당 전리방사선의 연간 평균 조사량 발생원 조사량 mSv(%) 자연적2.9482 라돈2.055 우주선0.278 지각0.288 인체내부0.3911 인공적0.6318 X-선 진단0.3911 핵의학0.144 소비재들0.103 직업성<0.01<0.03 핵연료 재생<0.01<0.03 방사능 낙진<0.01<0.03 기타(에너지시설, 제 련업, 운송업) <0.01<0.03 합계3.57100

42 방사선 손상의 실제와 종류  결정적 영향(deterministic effects)  각 개인의 감수성 차가 있지만 일정한 선량 이상에서는 모든 사람에게 증상이 발 현 된다  역치선량(threshold dose)  확률적 영향(stochastic effects)  방사선 노출에 의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신체영향으로 잠복기를 지님  발암과 유전적 장해가 대표적  노출된 사람에게 반드시 영향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이 노출된 경우 영향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함  이 확률은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므로 그 발생확률은 역치선량 없이 선량에 비례

43 장기영향ED 0 (Gy) 전신 조기 사망 전구증상(구토 등) 1.5 0.5 골수 조기 사망 조혈기능 억제 1.5 0.5 폐 조기 사망 폐렴 5 3~5 피부 급성 홍반, 건성 박리 습성 박리 및 궤사 >8 >15 갑상선갑상선 기능저하증3 수정체 혼탁 백내장 및 시력손실 0.5~2 5 고환 일시 불임 영구 불임 0.15 3.5~6 난소영구 불임2.5~6 태아기형 발생0.1 성인에서 결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역치선량

44 고열과 한랭의 유해성과 관리  고열의 유해성  열사병(heat stroke) - 일사병(sun stroke), 중증형, 체온조절중추의 마비로 어지러 움, 구토감, 두통, 발한 정지로 피부는 고온건조 상태가 되며 체온은 42℃ 이상 계 속 상승  의식혼란, 허탈, 헛소리, 혼수  Shock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많으며 몸을 즉각 냉각시키지 않으면 중요한 기관에 비가역성 손상이 오고 사망  열경련(heat cramps) - 장시간의 고온환경 노출 후 대량의 염분손실을 동반한 지 나친 땀발생으로 인해 발병  복부와 사지 근육강직, 동통 발생, 일시적인 단백뇨  열소모, 열소진(heat exhaustion) -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 손실이 많을 때 발생하는 고열장해  두통, 구역감, 현기증  피부는 차갑고 습하며 안색은 창백하거나 붉어짐  체온 정상 또는 약간 높음  심한 고온환경에서 중등도 이상의 심한 근육작업으로 땀 발생이 많을 때 주 로 발생

45  열허탈(heat collapse), 열실신(heat syncope) - 고열작업장에 순화 (acclimatization)되지 못한 근로자가 고열작업을 수행할 경우 체온조절기능이 원 활치 못해 말초혈관이 확장되고 신체 말단부에 혈액이 과다하게 저류됨으로써 뇌 에 혈액 흐름이 좋지 못해 뇌의 산소부족으로 의식을 잃게 됨  염분과 수분의 부족현상은 인정되지 않음  열허탈은 고온에 순화되지 못한 것이 주요원인이기는 하지만 갑작스런 자 세변화와 장시간의 서있는 상태, 강한 운동 등도 원인이 됨  일시적인 열피로(transient heat fatigue) - 고온에 순화되지 않은 근로자가 장시간 고열환경에서 정적인 작업을 할 경우 흔히 발생  불쾌하고 정신적, 심리적 긴장상태가 일시적으로 나타남  업무능률, 협응력, 주의력의 저하  잠시 누워서 쉬면 곧 해소  열발진(heat rash) - 습난한 기후대에 머물거나 끊임없이 고온다습한 대기에 노출 될 경우  고열대책  공학적  차단, 거리  보건학적 및 행정적 대책  적정배치, 고온순화, 휴식시간, 물과 소금의 공급

46 고온에 의한 신체장애의 증상, 원인 및 치료법 질환증상원인체온치료법 열경련경련, 발작탈수, 염분 감소정상, 약간 상승수분, NaCl 보충 열허탈실신, 허탈순환부전정상휴식 열사병혼수체온조절, 기능장애현저히 상승(41℃)체온을 급속히 냉각 열성발진발진한선폐쇄정상냉각 열소진두통, 현기증탈수, 염분 감소정상, 약간 상승수분, NaCl 보충

47  한랭의 유해성  전신체온강하(general hypothermia) - 장시간의 한랭노출과 체열상실에 의해 발 생하는 급성 중증장해  동상(frostbite) - 심한 한랭으로 조직장해가 오거나 심부혈관의 변화를 초래하는 장해 또는 조직동결로 인한 장해가 있을 때(피부동결은 0 ~ -2℃)  제1도 - 따갑고 가려움, 혈관이 확장하여 발적이 생김  제2도 - 수포를 가진 광범위한 삼출성 염증  제3도 - 조직의 괴사와 괴저  참호족(trench foot), 침수족(immersion foot) - 한랭에 계속해서 장기간 노출되고 동시에 지속적으로 습기나 물에 잠기게 되면 참호족 발생  추위로 피부혈관이 수축되어 지속적으로 국소에 산소결핍이 생기기 때문  부종, 작열통, 소양감, 심한통증, 수포, 피부의 괴사, 궤양  한랭의 관리  의복에 의한 보온  습기제거 및 혈액순환촉진  방풍, 적성배치

48 이상기압  위도 45도 지역의 수평면에서 0℃ 때의 공기 압력은 평균 1kg/cm2(14.7lbs/in2) - 1기압(수은주 760mmHg, 수주 13.6mmH2O, 760torr, 1,012mbar  기압은 고도 5,500m, ½; 8,200m, 1/3; 10,000, ¼ 감소  고도가 높아지더라도 대기중 산소 질소의 백분율 농도는 변하지 않음  단, 전체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각 기체의 분압감소  산소용해도 저하  저산소증 초래  수심 약 10m마다 1기압씩 증가  계기압(gauge pressure), 작업압(working pressure)  절대압(atmosphere absolute, ATA) - 계기압에 1 대기압을 더하여 산출, 인체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직접노출로 인한 세계 최대 잠수기록은 686m(69.6 ATA)

49 저기압 환경에 의한 생체변화  주 자극원은 낮아진 산소 분압  경동맥 소체의 화학수용체가 자극받아 호 흡촉진이 일어나 호흡성 알칼리증이 초래  심박수와 심박출량 증가, 적혈 구와 혈색소는 고지 도착 2시간 후부터 증가  혈장량 감소 저기압에 의한 장해  저산소증(hypoxia)  순화되지 않은 사람에게는 고도 5,000~7,000m부터 심한 저산소증 발생  심계항진, 호흡곤란, 권태감, 우울증, 현기증, 초조감  7,000m 이상에서는 무력화, 저산소성 경련, 혼수  급성 고산병(acute mountain sickness)  해발 2,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발생 시작하여 3,000m부터는 가병운 증상을 일 으키고 고도가 높아지고 등반속도가 빠를수록 급성적인 증상이 수시간내에 나타 나 2~3일째 절정  만성 고산병(chronic mountain sickness)  Monge’s disease, 해발 4,000m 이상 고지대에 상주, 순화된 사람에게 발생  청색증, 극심한 적혈구과다증, 우측심장비대

50 고(기)압 작업환경에 대한 이해  고압환경이란 통상 게이지압이 1kg/cm2를 넘는 경우  인체작용은  1차적으로 인체와 환경 사이의 압력차로 인한 기계적 작용으로 조직의 동통, 치 통, 부종, 출혈 발생  2차적으로 고압하의 대기가스 성분에 의한 중독증상  4기압 이상의 공기 중 질소는 마취작용, 산소분압이 2기압을 넘으면 산소중 독증세  잠함작업  불어로 ‘큰 상자’란 뜻인 caisson이란 구조물을 이용한 수중공법 총칭  수중바닥에 교량의 교각 구축, 해저터널 기초공사시 이용  틀 속의 압력은 틀의 제일 아래 부분이 위치한 수심의 수압과 같다  잠함장치 내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는 고압환경에서 작업을 마치고 대기압조건으 로 복귀하는 감압과정에서 감압병이 발생할 수 있다  잠수작업  호흡정지잠수(breath-hold dive) - 해녀, 호흡정지동안만 수중작업을 수행하나 한 계수심을 초과하여 잠수하면 폐출혈과 흉곽이 과도하게 압축되고 늑골이 골절되 는등의 폐압착증 초래

51 고기압에 의한 장해  질소마취(nitrogen narcosis)  압축공기를 호흡매체로 사용하여 30m보다 깊게 잠수할 때 나타남  30~60m, 황홀감; 60~90m, 판단력, 반사기능 감퇴, 자만감; 90~120m, 환청, 환시, 조울증, 기억력감퇴; 120m 이상에서는 의식 상실  질소마취는 대기압 조건으로 복귀시 아무런 후유증 없이 회복되는 가역적 현상  질소대신 헬륨을 사용하기도 함  산소독성(oxygen toxicity)  중추신경계 산소독성 - 산소분압 2ATA 이상인 조건, 수심 약 90m  시야협착, 이명, 구역, 입술, 눈 주의 근육연축, 정신적 긴장도 증가, 경련성 발작  호흡기(폐) 산소독성 - 0.5ATA(압축공기 잠수시 수심 약 15m)이상 산소분압조건 에 장시간 노출시 발생  호흡곤란, 비충혈, 지각이상, 현기증, 폐활량 감소, 폐조직탄성 및 기체확산 능력 저하  산소독성 예방을 위해 잠수용 호흡기체 제조시 산소의 농도를 낮추어야 함

52  압력손상(barotrauma)  흔히 압착증(squeeze), 신체나 사용하고 있는 잠수장비 중 기체를 함유하고 있는 공간의 압력이 주위 압력과 차이가 있을 때 발생  중이, 물안경, 폐, 외이, 내이, 부비동, 치아, 잠수복 압착증  폐 과팽창증후군(pulmonary overinflation syndrome)  상승시 발생하는 압력손상, 호흡정지잠수를 할 때는 폐용적이 압축되어 적어졌다 가 수면으로 다시 상승하면 폐 속 기체가 팽창하여 원래 상태로 복원되기 때문에 발생하진 않음  SCUBA잠수, 상승시 최대 폐용적 이상으로 기체용적이 늘어날 수 있는데 이처럼 과도하게 팽창하여 발생하는 소견  주로, 미숙련 잠수자, 산소독성으로 의식을 잃은 잠수자를 수면으로 끌어 올릴때  동맥혈기체색전증(arterial gas embolism)  잠수장해 중 가장 치명률 높음  폐포가 과팽창할때 주변의 폐정맥에 과신장(overstretched)이 초래되고 이때 유입 된 기포가 심장을 거쳐 전신순환  수면으로 복귀하는 상승 중 또는 수면 도착 후 10분이내 급작스럽게 발병

53  감압병(decompression sickness)  고압환경에서 체내에 과다 용해되었던 불활성기체(질소, 헬륨등)가 압력이 낮아 질 때 과포화(supersaturation)상태로 되어 혈액과 조직에 기포를 형성하여 혈액 순환을 방해하거나 주위 조직에 기계적 영향을 줌으로서 다양한 증상을 일으킴  압축기체공법이 적용된 터널굴착, 잠함공법이 이용된 교각건설, 잠수작업, 고공비 행, 고압 또는 저압챔버내 근무  제1형 - 근골격계에만 통증유발, 피부에 소양감이나 대리석 피부증상, pain-only DCS  제2형 - 전정기관, 뇌, 척수 등의 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  감압병의 치료는 재가압산소요법이 최상  동맥혈기체색전증의 경우보다는 체내에 생성된 기포의 크기가 작다  이압성골괴사(dysbaric osteonecrosis)  이상기압에 노출된 사람에게 발생하는 만성적 장해  가스 기포가 직업 혈관을 막거나 또는 지방성 혈전이 순환장해를 일으켜 발생  상완골, 대퇴골, 경골 - 가장 많이 장해를 받음  잠수자보다는 잠함장치 내 근로자에게, 작업수심이 깊을 수록 잠수횟수가 많을 수록, 감압병의 과거력이 있을 때 빈발

54  화학적 유해인자(chemical agents) 분진(dust)  분진의 종류와 허용농도  제1종분진 - 유리규산(SiO2) 30% 이상의 먼지(허용농도 2mg/m3) - 활석, 납석, 알루미나 황화광  제2종분진 - 유리규산 30% 미만의 광물성 먼지(허용농도 5mg/m3) - 산화철, 천 연흑연, 카본블랙, 활성탄, 석탄  제3종분진 - 유리규산1% 이하의 기타먼지(10mg/m3) - 알파알루미나, 알루미늄 금속, 탄산칼슘, 셀루로즈, 금강사, 석회석, 고령토, 자철광, 대리석, 규조토, 전분  기타분진 - 석면(0.1섬유/cm3), 면분진(0.2mg/m3), 비누석(6mg/m3)  크기에 의한 분진 구분(ISO 기준)  흡입성 분진(0~185um)  흉곽성 분진(0~25um, 평균입경 10um)  호흡성 분진(0~10um, 평균입경 4um)

55  먼지의 호흡기 내 침착기전(self-possession mechanism)  중력침강에 의한 침착 - 밀도와 직경의 제곱에 비례하여 일정한 속도로 침강  관성충돌에 의한 침착 -  확산에 의한 침착 - 1um 이하의 작은 분진입자는 브라운운동  차단에 의한 침착 - 기도의 벽, 석면이나 유리섬유  정전기에 의한 침착 - 점막에 덮여있는 기도가 전도체

56  분진의 유해성 - 분진입자의 크기, 입자의 모양, 입자의 용해성, 흡수성 및 호 흡기 내부각도, 입자의 화학적 성질, 유전적인 소인 및 기도의 구조 등에 따 라  크기

57  수용성  수용성이 높을 경우 : 상기도 자극, 예)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 수용성이 낮을 경우 : 하기도 자극, 예) 염소, 포스겐  지용성 – 폐포막  불용성 – 인두, 소화관, 폐포내 탐식세포  용해도  용해도가 낮은 물질 – 폐의 혈류량에 의해  용해도가 높은 물질 – 폐호흡량에 의해 흡수량 결정  영향  진폐증(pneumoconiosis) 유발 (원인이 되는 분진의 종류에 따라, 철폐, 용접 공폐, 흑연폐, 탄소폐 등으로 분류)  전신중독 유발 - 납, 수은, 카드뮴, 크롬, 비소, 안티몬, 망간, 베릴리움등의 금속  암 유발 - 분진의 형태로 흡입된 석면이나 니켈, 아민계 색소, 코크스오븐 배출물질, 타르  알레르기 유발  치아부식 또는 피부자극, 점막궤양형성 - 산, 알칼리, 불화물, 크롬산 함유 분진

58  진폐증의 정의 1950, 3회 국제진폐회의 - 분진흡입에 의하여 발생된 폐의 진단 가능한 질병상태 1971, 4회 국제진폐회의 - 분진흡입에 동반한 폐내의 분진의 축적과 그에 의한 폐의 조직반응 무기성 분진(광물성)유기성 분진(식물성) 규폐증(silicosis) 활석폐증(talcosis) 용접공폐증(welder’s lung) 흑연폐증(graphite lung) 탄광부진폐증(coal worker’s pneumoconiosis) 탄폐증(anthracosis) 알미늄폐증(alumunium lung) 규조토폐증(diatomaceous earth pneumoconiosis) 철폐증(siderosis) 석면폐증(asbestosis) 베리륨폐증(berylliosis) 바륨폐증(baritosis) 주석폐증(stannosis) 카오린폐증(kaolinosis) 면폐증(byssinosis) 농부폐증(farmer’s lung) 연초폐증(tabacosis) 목재분진페증(suberosis) 모발분진페증(theosurosis)

59 유기용제의 유해성  정의 –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화학물로서 용질의 성상을 변화시키지 않 고 지방, 기름, 왁스, 색소, 고무 등 여러가지 물질을 균일하게 녹여서 용액을 만드는 물질  특성  화학적으로 비교적 안정적  지방질을 녹임, 실온에서 액체이며 휘발하기 쉬움  취급업종  염료, 합성세제, 유기안료, 의약품, 농약, 향료, 조미료, 사진약품, 폭약, 방충제, 방 부제, 잉크 등 광범위한 화학공업제품 제조에 이용  접착제제조, 금속코팅, 세척, 고무 및 가죽가공에 이용  흔한 사용처 : 페인트, 인쇄, 플라스틱, 세척 및 드라이클리닝 등  우리나라에서 90년대 13만명이 직업적으로 폭로

60 분류(화학적 성상에 따라)  지방족 탄화수소(aliphatic, 사슬모양 탄화수소)  포화탄화수소(파라핀계) - 노말헥산 - 휘발성 높고 중추신경계(CNS) 영향이 높다.  불포화탄화수소(올레핀계) – 파라핀계보다 마취성  방향족 탄화수소 – 지방족보다 더 환각적  포화고리탄화수소( = alicyclic, 지환족) - 시클로알칸계, 시클로헥산  불포화고리탄화수소( = aromatic, 방향족) - 벤젠, 크실렌, 톨루엔(만성노출-부정맥), 스티렌  다핵방향족탄화수소(polynueclear aromatic HC) - 나프탈렌, 안트라센, 벤조피렌 (carcinogenic)  할로겐화 포화지방족 탄화수소(Halogenated 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 사슬모양의 탄화수소의 수소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하는 것  디클로르에탄(CH2Cl2), 사염화탄소(CCl4, 시신경염, 간암), 클로르포름(CHCl3, 간, 신장암), 트리 클로르에틸렌(TCE, CHCl=CCl2, 간암), 염화비닐(간혈관육종, 레이노증후군, 말단골연화증, 간비 장섬유화)  할로겐화 다방향족 탄화수소(Halogenated polyaromatic hydrocarbons)  다핵방향족탄화수소의 수소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하는 것

61  할로겐화 다방향족 탄화수소의 인체폭로를 가중시키는 3가지 이유 ① environmental penetrance : 환경 속에 다량 존재 ② persistence : 대사과정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기간 잔류 ③ bioaccumulation : 생태계의 식품고리를 통해 점차적으로 농축됨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 제1종 유기용제(적색) : 1,2-디클로로에탄 등 6가지 - 제2종 유기용제(황색) : 1,4-디옥산등 41가지 - 제3종 유기용제(청색) : 가솔린 등 7가지 - 특정화학물질 : 염소화비페닐, 벤젠 및 페놀 등 - 독성 : 특정화학물질 > 제1종 > 제2종 > 제3종

62

63  흡수(absorption)  독성물질의 주요 흡입 경로 – 폐, 피부, 소화기관  독성물질 흡입경로에 따른 반응 속도의 순서(빠른 순서로) - 혈류, 복강내, 피하, 근육내, 피내, 경구, 상피  세포막의 구조  지질층 : 유동성, 단백질(aquatic pore) : 수용성 구멍  수동적 수송(농도차이, 옥타놀/물분배계수, 해리상수(pKa)), 여과(aquatic pore, MW 200이하), 특별수송, 촉진적 확산 등  분포(distribution)  혈액 속의 독성물질이 세포 외부에서 세포 내로 들어가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지 용성 물질의 경우 세포 내로의 통과가 쉬우며, 극성물질은 더 특별한 흡수기전이 있는 경우에 잘 들어가게 된다  지용성이 높은 염소화 탄화수소계열의 농약 등은 지방조직에 저장되며,  납은 골조직의 칼슘이온과 대치되어 저장된다.  이렇게 저장되면 일시적으로 독성으로부터 조직이 보호된다.

64  대사(biotransformation)  생체내 대사  간이외의 생체대사  폐, 신장 및 장관(장내세균에 의한 대사)  화학물질의 상호작용  상가, 상승, 부가, 길항작용

65  배설(Excretion)  신장을 통한 배설  사구체 여과(glomerular filtration) - 분자량이 5,000 이하이고 자유상태의 독성물질들은 사구체 여과에 의해 배출  세뇨관에서의 재흡수(tubular reabsorption) - 지용성 높은 물질은 재흡수가 용이  간장을 통한 배설  폐를 통한 배설  기타 (유선, 태반, 모발, 한선)

66  유기용제의 중독증상  비특이적 증상  급성중독 - 자극증상 : 눈, 피부, 호흡기, 점막 - 중추신경 억제 : 현기증, 두통, 도취감, 혼돈 - 마취작용 : 의식상실, 마비, 경련, 사망  만성중독 -피부염, 결막염, 비염 - 신경행동학적 장애 : 피로, 기억력, 집중력저하, 무관심, 불안  특이소견  벤젠 - 조혈장해  할로겐화 탄화수소(사염화 탄소, 포르말린 등) - 간장장해 및 신장장해  메틸알콜 - 시신경장애  노말헥산 및 메틸부틸케톤 - 말초신경장애 (2,5 hexanedione)  이황화탄소 -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장해, 시각 및 청각장해, 심장장해  글리콜 에텔류 - 조혈 및 생식기장해  2-bromopropane - 조혈 및 생식기능장해  염화 비닐 - 간의 혈관육종(hemangiosarcoma)

67 유기용제 노출 예방관리  작업환경관리  유기용제의 대체(substitution)  작업공정배치 시 주의 깊게 설계  유기용제증기 발산원의 밀폐  국소배기장치의 설치 및 관리  전체환기장치의 설치 및 관리  작업환경의 정기적 측정 실시  작업장의 온도관리  직업병 유소견자 발생시 작업환경관리조치  작업관리  작업환경개선이 불충분할 경우 유기용제용 방독면 지급  상황에 따라 작업방법의 개선, 작업시간 단축 등의 조치  작업자들에 대한 교육

68 유해금속  납(lead, Pb)  직업적 폭로: 채광 및 연광석으로부터 1차적 연생산, grinding과 sintering 공정, 연의 재생공정, torch burning, 용접공, 납땜 노동자, munitions plants(군수품공장 ) & rifle ranges에 종사하는 노동자, 축전지생산, 페인트의 생산 및 분사, 크리스 털 유리의 생산, 도자기 제조, 석유정제업 등.  환경적 폭로: 공기, 토양, 수질 오염, 자동차 배기가스, 오래된 집의 lead paint chips, 밀조주, 부적절하게 연소된 세라믹(특히 산성 음식이나 음료), herbal remedies, lead cosmetics, gasoline sniffering, 납 pipe에 의한 수도물 오염 등.  분포 – 혈중에서 적혈구와 결합(혈중 연의 90%), bone이 주요 침착부위(95%)  만성폭로에 의한 연중독의 특징적인 5대 증상  연창백(lead pallor), 연연(lead line(Burton's line)), coproporphyrin 뇨, 신근 마비, 호염기성 점적혈구(파괴된 미토콘드리아에 ferrtin이 응집하여 생김)

69  수은(mercury, Hg)  발생원 : 수은광산, 수은의 제련 및 정련, 온도계, 기압계, 전기계기 등을 제조하는 직종, 실험실에서의 금속수은의 취급, 수은의 증류작업, 유기수은체의 제조, 화학 공장에서 뇌홍의 제조와 사용, 수은 전극을 사용하는 전기물체  자연에 산재, 특히 환경오염에 의한 해산물(약품제조업 또는 농약제조업 공장폐 수), 미나마타병, 이라크 알킬수은 화합물 처리 곡물.  주로 뇌와 신장 분포  만성중독의 3대 증상  진전(tremor), 치은염(gingigitis), 과민증(erethism) metallicinorganicorganic 흡수(HgCl/HgCl 2 )(methyl M) 호흡80% 경구0.01%7%# 90-95% 피부0* (3-4%)contact 배설urine feces(90%)

70  카드뮴(cadmiun, Cd)  발생원 : 전기도금이나 판금의 용접, 염화비닐 안정제, 형광등, 반도체, 보석제작, 축전지 제작, 도자기, 페인트의 색소, 살충제 제조, 유리제조 및 사진현상  주로 호흡기(10~40%)와 소화기(5~10%)를 통해 인체에 흡수  철, 단백질, 칼슘, 아연 결핍시 증가  분포 : 혈중에서 혈장단백과 결합(대부분 metallothionein)  생물학적 반감기 : 8~30년으로 체내에 가장 오래 잔류하는 중금속  증상  폐암, 전립선암, 단백뇨, 골연화증, 빈혈 등

71  크롬(chromium, Cr)  발생원 : 전기도금공장, 안료고장, 가죽제조, 염색, 시멘트공장, 내화벽돌, arc welding  흡수 : 3가 크롬보다 6가 크롬(chromate)이 체내 흡수가 많으며, 6가 크롬은 세포 내에서 3가로 환원되어 단백질과 핵산과 결합하여 크롬독성을 나타낸다.  6가 크롬이 독성이 강하다 : 비 용해성으로 대부분 산소와 결합하고 있어 강력한 산화제, 색소로서 산업장에서 널리 사용, 산화 및 부식작용이 강하여 피부와 점막 을 부식시키고, 저농도에서는 염증과 궤양을 일으키기도 함. 폐암을 일으킴  망간(manganese, Mn)  발생원 : 철강제조, 합금제조, 건전지, 도자기, 유리제조, 안료 및 색소제조  망간의 직업적 폭로는 대개 수년 후에 신경계에 만성효과를 나타낸다.  초기증상은 피로, 두통, 행동장애 등 모호한 증상  Parkinson’s syndrome

72 직업성 암  직업성 피부암 – 콜타르, 핏치, 아스팔트, 경유, 비소, 자외선  직업성 폐암  크롬, 니켈, 석면, 이소프로필류, 전리방사선(라듐, 라돈)  직업성 방광암  베타-나프틸아민, 아미노디페닐, 오라민, 마젠타  직업성 백혈병  방사능, 벤젠  직업성 골육종  라듐 Categoryevidence in humansevidence in animals A1 confirmed human carcinogen sufficient relevant to worker exposure A2 suspected human carcinogen conflicting or insufficient A3 animal carcinogen not confirmed and increased risk not relevant to worker exposure A4 not classifiable as a human carcinogen inadequate A5 not suspected as a human carcinogen not suspected suggesting lack of carcinogenecity *ACGIH 구분

73 내분비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  생체내 항상성 유지와 성장발육을 조절하는 호르몬의 생산, 분비, 운반, 대사, 반응체와 의 결합, 작용기전 등을 교란시키는 유해화학물질을 일컫는 용어이다.  특히 이들 화학물질이 생물체내로 유입되면 마치 호르몬과 같이 작용한다 하여 환경호 르몬으로 불리고 있다.  세계야생보호기금(WWF) – 67종(1997)  잔류성 유기할로겐류 – 다이옥신, PCBs 등 7종  농약 – 43종(이중 국내사용 수는 17종)  그외 유기주석, 페놀류, 비스페놀 등  특징 – 환경으로 배출시 잔류성이 높고 극히 미량일지라도 노출경로나 노출시기에 따 라 생체에 엄청난 피해를 야기  살충제의 경우 개개의 물질로는 악영향은 없으나 혼합되어 사용될 경우 1,000배 이상의 호르 몬 교란효과  일본 다마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컷잉어의 약 30%가 생식기능 이상, 도쿄만의 수컷 가자미의 성기 왜소화 및 정자수 감소, 성인남성의 경우 정자의 건강성이 WHO의 기준에 현저히 못미침  영국 남서부 해안가에서는 선박도료 tributyltin에 의해 암컷 복에 수컷 생식기 발생(임포섹스)  우리나라 남해안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동의 임포섹스현상 발생

74 내분비 교란물질용도 Chlorobenzene 석탄산, 아닐린, DDT 제조, 페인트의 용제 색소인쇄, 드라이크리닝, 열 전달체 Chlorodiphenyl 축전기 및 변전기의 유전체 피부성형공정 열교환액 가소제 고무합성 Benzo[a]pyrene 코팅 및 도료의 원료 지붕 및 도로포장 탄소전극의 결합체 Dibutyl phthalate 플라스틱류, 폭약, 로케트 고체연료의 가소제 검압계액, 곤충제, 화장품, 향료, 유류, 방직물, 윤활유, 보호안경, 기타 화학물질의 용제 Diethylhexyl adipate (DEHA) 염화폴리비닐 필름, sheet 만들기, 압출, 플라스티솔의 가소제, 화 장품의 용제, 피부연화제 di-(2-octylhexyl)phthalate 수혈용 주머니, 외과용 관, 식품용 랩, 어린이 장난감 등 염화폴리비닐(PVC) 수지류와 염화비닐 보조 중합체수지류의 가 소제, 농약의 불활성성분, 지울 수 있는 잉크의 용제 과수원에서 진드기 살충제로 사용, 공기여과장치의 시험제 Hexachlorobenzene (HCB) 1985년까지 농약으로 사용 합성고무제조

75 내분비 교란물질용도 Nitrotoluene염료, 폭약제조 화학물질의 중간제품 Nonylphenol 플라스틱 및 고무공업에서 쓰이는 아인산 산화방지제 제조 의 중간제품, 공업용 세제 Octachloronaphthalene전선케이블의 절연제, 윤활유 첨가제 Pentachloronaphthalene전선 절연제, 윤활유 Pentachlorophenol 흰개미 구제용 살충제 수확기전의 낙엽촉진제 일반 제초제, 목재, 덱스트린, 녹말의 방부제 styrene 합성고무 및 수지류의 용제, 화학합성의 중간제품 중합 합성물의 제조 Tin, organic compounds (유기주석화합물) 직물의 염색 및 인쇄, 살균제 및 살충제 플라스틱의 안정제, 가금류의 구충제 Bisphenol A음료수캔의 내부코팅제, 커텐의 방염처리제

76 유해화학물질의 허용기준  ACGIH(american conference of govermental industrial hygienist)  TLV(threshold limit value)  OSHA(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gency)  PEL(permissible exposure level)  NIOSH(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 REL(recommended exposure level)  TLV-TWA(time weighted avergae, 시간가중 평균치)  하루 8시간, 1주일에 40시간을 반복하여 폭로되어도 거의 모든 작업자에게서 건 강 장해가 없는 평균농도  TLV-STEL(short term exposure limit, 단시간 폭로 허용치)  15분간 폭로되어도 건강장해가 없는 평균농도  TLV-C(ceiling, 한계허용치)  작업하는 동안 한번도 폭로되어서는 안되는 농도  BEI(biological exposure indices, 생물학적 폭로지수)  채액(혈액, 소변)이나 조직의 일부에 포함된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평가하여 작 업장의 폭로수준을 평가  모든 폭로 경로를 포함, 흡수된 내부 폭로량을 반영

77  산업재해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정의 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 거나 작업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이환되는 것 산업재해는 여러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이 보통 이나 일반적으로  직접 원인 - 재해를 일으키는 물체 또는 행위 그 자체를 말함  예. 운전 중의 기계, 동력전도 장치, 고열물 또는 미끄러짐과 같은 재해의 1차적 원인  간접 원인 - 재해의 유인이라고 생각되는 2차적 원인  물적 원인 - 불안전한 시설물, 부적절한 공구, 불량한 작업환경 등으로 언젠가는 누군가가 재해를 일으키게 되어 있는 기본적인 원인  인적 원인 - 작업에 관한 지식의 부족, 부적당한 작업 방법, 너무 긴 작업시간 등 의 관리요인과 체력이나 정신상의 결함, 피로, 부주의 주적절한 행동이나 동작, 수 면 부족 등의 심신요인

78 산업재해의 발생원인 분석  하인리히 법칙 - 330건의 재해 중 300건은 무상해사고(아차사고), 29건은 상 해를 수반한 경미하나 재해, 1건은 중대 재해 산업재해의 지표  건수율(incidence rate), 천인률, 발생률  = 일정기간 중의 재해건수/일정기간중의 평균종업원수 X 1,000  산업재해의 발생 상황을 총괄적으로 파악하는데 적합하나 작업시간이 고려되지 않음  도수율(frequency rate) 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표준적인 지표로서 100만 연작업 시간당 작업손실 일 수로 재해에 의한 손실의 정도를 나타냄  = 일정기간 중의 재해건수/일정기간중의 연작업시간수 X 1,000,000  강도율(intensity or severity rate)  1,000 연작업 시간당 작업손실일수로써 재해에 의한 손실의 정도  이때 사망 또는 영구완전 노동불능의 경우는 7,500 작업손실일수  = 일정기간 중의 작업손실일수/일정기간 중의 연작업시간수 X 1,000

79 산업재해의 발생원인 분석

80 산업재해의 지표  건수율(incidence rate), 천인률, 발생률  = 일정기간 중의 재해건수/일정기간중의 평균종업원수 X 1,000  산업재해의 발생 상황을 총괄적으로 파악하는데 적합하나 작업시간이 고려되지 않음  도수율(frequency rate) 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표준적인 지표로서 100만 연작업 시간당 작업손실 일 수로 재해에 의한 손실의 정도를 나타냄  = 일정기간 중의 재해건수/일정기간중의 연작업시간수 X 1,000,000  강도율(intensity or severity rate)  1,000 연작업 시간당 작업손실일수로써 재해에 의한 손실의 정도  이때 사망 또는 영구완전 노동불능의 경우는 7,500 작업손실일수  = 일정기간 중의 작업손실일수/일정기간 중의 연작업시간수 X 1,000

81 Disease & Cancer Causation Spontaneous 15% Pure Genetic 5% Pure environment 2% Genetics & Environment 78% Environment Genetics - + -+

82 To Consider……. Risk factor Genotype or phenotype Environmental factor High risk population


Download ppt "산업보건  산업의학, 산업위생학, 직업보건학  Industrial Medicine, Occupational Health  노동과 노동환경에 관계된 건강문제를 다루는 분야 산업보건학 123 노동조건/환경 상해와 질병문제 질병."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