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인체기생충학 (2 강 ) 1 - 기생충학 총론편 -. 2 1. 기생충의 진화적 특성 기생충의 진화  자유생활종이 먹이선택과 외적을 피해 우연히 슥주 체내에 들어갔다가 그 환경에 적응하여 기생생활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  성공적인 기생생활 - 숙주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인체기생충학 (2 강 ) 1 - 기생충학 총론편 -. 2 1. 기생충의 진화적 특성 기생충의 진화  자유생활종이 먹이선택과 외적을 피해 우연히 슥주 체내에 들어갔다가 그 환경에 적응하여 기생생활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  성공적인 기생생활 - 숙주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Presentation transcript:

1 인체기생충학 (2 강 ) 1 - 기생충학 총론편 -

2 2 1. 기생충의 진화적 특성 기생충의 진화  자유생활종이 먹이선택과 외적을 피해 우연히 슥주 체내에 들어갔다가 그 환경에 적응하여 기생생활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  성공적인 기생생활 - 숙주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기생충 자신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최대 이익을 누리며 살아 남는것  기생생활은 자연적으로 필요없는 운동기관, 소화기관, 감각기관은 도태되고 생식과 흡착기관은 발달

3 3 2. 기생충과 숙주의 정의 및 종류 기생충 (Parasite) 과 숙주 (Host) 의 정의  생활관계이 있어서 영양물을 탈취해 가는 생물을 기생체 ( 충 )(parasite) 라고 하고, 이를 제공하는 생 물체을 숙주 (Host) 라고 한다. 숙주 (host) 의 종류  중간숙주 (intermediate host) - 유충기나 무성생식기를 경과는 숙주 제 1 중간숙주 (1st intermediate host)  제 2 중간숙주 (2nd intermediate host)  종숙주 (final host) - 성충기나 유성생식기를 경과하는 숙주  보유숙주 (reservoir host)- 사람의 기생충이 다른 동물도 감염시킬수 있을때 사람과 동종의 기생충을 갖고 있어 사람 감염의 근원을 제공하는 동물 (ex. 광절열두조충의 보유숙주 : 개, 고양이, 돼지, 여우, 곰 / 리슈만편모충의 보유숙주 : 개, 들쥐 )  연장보유숙주 ( 연장중간숙주,paratenic host)- 자연계에는 감염기 유충을 가진 중간숙주를 종숙주가 섭취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생태학적으로 연결해주는 동물  매개체 (vector)- 기생충을 한 숙주로부터 다른 숙주로 전파하는 경우 (ex. 흡혈성 절족동물 )

4 4 3. 인체병원성 기생충과 비병원성 기생충 병원성기생충  이질아메바  람블편모충  질트리코모나스 비병원성기생충  대장아메바, 치은아메바, 이핵아메바, 왜소아메바, 옥도아메바  메닐편모충, 맹장편모충, 장후진편모충  장트리코모나스, 구강트리코모나스

5 5 4. 원충학 총론  원충학 (Protozoology): 단세포단위 (single cell-like unit) 로 된 원생동물인 원충류 (protozoa) 에 대한 학문, 가장 원시적인 진핵생물 (eukaryote) 근족충류 (Rhizopoda), 편모충류 (Mastigophora), 포자충류 (Sporozoa), 섬모충류 (Ciliata)  원충류의 일반적 구조 1) 외세포질 (ectoplasm): 운동성, 식작용, 호흡, 배설, 외부환경에 대한 보호작용을 하며 내세포질을 둘러싸며 과립성 낮음  외세포질에 존재하는 운동기관 : 위족 (pseudopodium, 아메바 ) 편모 (flagellum, 편모충 ) 섬모 (cillium, 섬모충 ) 2) 내세포질 (endoplasm): 핵을 둘러싸며 과립성 세포질로 구성, 식포, 수축포, 글리코겐, chromatoidal body,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microsome, endoplasmic reticulum 등이 있음 3) 핵 (nucleus) 4) 핵내주위성 염색질 (peripheral chromatin particle): 핵막 안쪽에 위치한 주위성 크로마틴 과립 5) 핵소체 (karyosome): 핵의 중심에 위치

6 6 5. 원충류의 종류 인체 기생 원충류의 분류 근족충류 (Rhizopoda) - 이질아메바, 대장아메바, 왜소아메바, 요드아메바, 이핵아메바, 치은아메바 ( 잇몸아메바 ) 등, 운동과 영양분 섭취에 위족 사용 편모충류 (Mastigophora) - 람불편모충, 메닐편모충, 맹장편모충, 장후진편모충 장세모편모충, 질편모충, 구강편모충 등 주혈편모충 ( 리슈마니아, 트리파노조마 ) 등 편모는 머리카락 같은 세포질돌기 섬모충류 (Ciliata) - 대장섬모충 등, 무수한 짧은 실같은 돌기인 섬모 포자충류 (Sporozoa) – 말라리아 ( 삼일열, 사일열, 열대열, 난형열 ) 사람등포자충, 톡소포자충, 폐포자충 등  교재 44page 참고 원충의 숙주내 기생 부위에 따른 구분 1) 세포內 기생 : 말라리아 원충 ( 열원충 ), 톡소포자충, 리슈마니아편모충, 크루스파동편모충 2) 세포막 : 람불편모충, 폐포자충 3) 조직내 : 이질아메바, 가시아메바 4) 체강내 : 대장아메바 5) 질 (vaginal) 內 : 질편모충 6) 혈액, 림프, 뇌척수액 : 수면병원충 ( 트리파노조마 -> 감비아파동편모충, 로데시아파동편모충 )

7 7 6. 원충 생활사 영양형 (trophozoite)  숙주체내에서 기생부위에 기생하면서 운동을 하여 능동적으로 영양물을 흡수하며 활발히 증식 하는시기로 대부분의 원충의 병원성과 관련됨. 포낭형 (cyst)  숙주체외로 배출되는 형태로 강력한 보호막인 낭벽에 둘러쌓임.  외계의 불리한 조건에서 오랜기간 생존 ( 최대 1 달 생존 ) 원충의 인체감염형  사람에 감염되는 원충의 인체감염형은 종에 따라 다양하나 크게 구분하면 영양형 (trophozoite), 포낭형 (cyst), 난포낭 (oocyst), 포자소체 (sporozoite) 샇

8 8 7. 윤충학 총론 윤충학 (Helminthology): 조직과 기관이 발달한 후생동물 (metazoa) 인 윤충류 (helminth) 에 대한 학문, 벌레 (worm) 를 뜻하는 희랍어에서 유래  선형동물 (nemathelminthes)- 선충류 ( 線蟲綱, Class Nematoda,roundworms))  편형동물 (platyhelminthes)- 흡충류 ( 吸蟲綱, Class Trematoda, distoma), 조충류 ( 條蟲綱, Class Cestoidea, tapeworms) 선충류의 일반적인 형태학적 특징 1) 몸체가 원통형 또는 실모양으로 길게 생김 (round, thread-like) 2) 대부분 자웅이체 3) 대부분 좌우 대칭형 4) 체강 (body cavity) 이 있다 5) 소화기가 완전하다. 흡충류와 조충류의 일반적인 형태학적 특징 1) 몸체가 배측과 복측으로 납작하다 (flat) 2) 대부분 자웅동체 3) 좌우 비대칭인 경우가 흔하다 4) 소화기가 없거나 맹관 (blind ceca) 로 끝나 불완전하다 - 항문이 없다  중간숙주가 필요

9 9 8. 윤충류의 종류 -1 선충류의 종류 회충 (Ascaris lumbricoides) 요충 (Enterobius vermicularis) 편충 (Trichuris trichiura) 구충 (Hook worm) - 두비니 구충 (Ancylostoma duodenale), 아메리카 구충 (Necator americanus) 동양모양선충 (Trichostrongylus orientalis) 분선충 (Strongyloides stercoralis) 선모충 (Trichinella spiralis) 사상충 (Filaria) - 말레이사상충 (Brugia malayi), 반크롭트사상충 (Wuchereria bancrofti), 로아사상충 (Loa loa), 회선사상충 (Onchocerca volulus), 오짜르드사상충 (Mansonella ozzardi) 등 기타 선충류 - 고래회충 (Anisakis sp) 등

10 10 8. 윤충류의 종류 -2 흡충류의 종류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폐흡충 (Paragonimus westermani) 간질 (Fasciola hepatica), 거대간질 (Fasciola gigantica) 요꼬가와흡충 (Metagonimus yokogawai) 췌질 (Eurytrema pancreaticum) 극구흡충 (Echinostoma sp.) 주혈흡충 (Schistosoma sp.) : 일본주혈흡충, 만손주혈흡충, 방광주혈흡충 조충류의 종류 무구조충 ( 無鉤條蟲 : Taenia saginata) 유구조충 ( 有鉤條蟲 : Taenia solium) 왜소조충 ( 矮小條蟲 : Hymenolepis nana) 쥐조충 (= 축소조충, Hymenolepis diminuta) 광절열두조충 ( 廣節裂頭條蟲 : Diphyllobothrium latum)  교재 50page 참고

11 11 교재 pdf file 교재 54-63 page 기생충진단법 원충류진단법 윤충류진단법 검체별 발견 가능 기생충 기생충의 인체 침입경로 기생충병의 중요성과 예방법


Download ppt "인체기생충학 (2 강 ) 1 - 기생충학 총론편 -. 2 1. 기생충의 진화적 특성 기생충의 진화  자유생활종이 먹이선택과 외적을 피해 우연히 슥주 체내에 들어갔다가 그 환경에 적응하여 기생생활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  성공적인 기생생활 - 숙주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