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Nov. 2 nd (Fri.), 2012 韓国工作機械産業動向説明会. 1 Korean Economic Trend 2010 2011 [3.6]2012 1/42/43/44/41/42/4 6.34.23.53.63.32.82.3 경제성장률 2010 2011 [3.7]2012 1/42/43/44/41/42/4.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Nov. 2 nd (Fri.), 2012 韓国工作機械産業動向説明会. 1 Korean Economic Trend 2010 2011 [3.6]2012 1/42/43/44/41/42/4 6.34.23.53.63.32.82.3 경제성장률 2010 2011 [3.7]2012 1/42/43/44/41/42/4."— Presentation transcript:

1 Nov. 2 nd (Fri.), 2012 韓国工作機械産業動向説明会

2 1 Korean Economic Trend 2010 2011 [3.6]2012 1/42/43/44/41/42/4 6.34.23.53.63.32.82.3 경제성장률 2010 2011 [3.7]2012 1/42/43/44/41/42/4 25.710.37.71.2-3.38.6-3.5 설비투자 민간소비 2010 2011 [2.3]2012 1/42/43/44/41/42/4 4.42.93.02.11.11.61.1 경상수지 2010 2011 [265.1]2012 1/42/43/44/41/42/4 293.9 26.154.969.0115.125.6111.9 수출 / 입 구 분구 분 20102011 2012 1/42/43/4 수출 4,6645,5521,3491,4021,333 수입 4,2525,2441,3351,3081,254

3 2 2012-2013 World Economy Forecast ‘13 년 세계경제는 선진국과 개도국 경제는 저성장 기조 지속으로 ’12 년에 비해 개선될 것 임. - 미국 : 주택경기 및 소비 회복, 제조업 생산의 증대 등으로 2% 대 성장률 기록 - 일본 : 경제성장률이 1% 대 초반으로 하락 - 유럽 : 재정위기 속 고용부진이 지속되나 기저효과 등에 의해 0% 대로 회복 -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12 년에 비해 소폭 개선되나, 회복세는 미약 구 분구 분 2010201120122013 세계 5.13.82.33.6 미국 2.41.82.22.1 일본 4.52.2-0.41.2 유로존 2.01.4-0.40.2 중국 10.49.27.88.2 인도 10.16.84.96.0 국제통화기금 (IMF) 의 세계 각국 경제성장률 전망 (%) 세계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로 ’13 년 세계 교역량은 소폭 증가할 전망 - 세계교역 증가율 3.2%(’12) 에서 4.5%(‘13) 으로 소폭상승 by IMF 세계경기 회복에도 불구, 생산 및 재고증가로 ’13 년 원자재가격은 하락 할 것

4 3 2012-2013 Korean Economy Forecast ‘13 년 한국경제는 올해보다 회복된 3% 대 중반의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 구 분구 분 20112012(E)2013(E) 주요 특징 경제성장률 (%) 3.62.53.5 민간소비 (%) 2.31.32.9 주택경기 부진으로 인해 증가율이 1% 대 그칠 전망이나 물가안정 지속, 내수 진잔책 등으로 전년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 설비투자 (%) 3.71.65.6 ’12 년은 국내외 경기침체로 인해 ’11 년 대비 설비투자 미약할 것 경기회복에 따른 투자수요 확대에 따라 전년보다 높은 5% 대 기 록 무역수지 ( 억달러 ) 308263268 유럽재정위기 및 신흥국의 경기 둔화로 수출증가율 급감 불황형 흑자양상을 보임. 하지만, 선진국의 경기회복세, 중국 수출경기 개선 등으로 수출 증가율은 9.8% 기록 수출 5,5525,4886,026 수입 5,2445,2255,758 원 / 달러 환율 1,1081,1251,095 유로존 재정위기 등으로 가치 절하되었으나 경상수지 흑자, 경기 부양 기대 등으로 하반기 들어 절상 추세임. 경상수지 흑자지속, 외국인 투자 등으로 원화가치는 상승할 전망 2013 년 주요 경제지표 전망

5 4 End User – Automobile Industry 구 분구 분 200920102011‘12. 1~6 ‘12/’11(%) EU302,124298,263426,057210,5651.1 유럽기타 98,424241,021267,596152,1358.0 아프리카 173,718171,554180,079104,77637.5 아시아 114,699169,937225,40099,910-2.0 중 동중 동 419,797586,740626,046327,4343.2 태평양 147,570180,317160,54082,7717.4 북 미북 미 608,574667,660770,826493,06932.9 중남미 283,956446,615495,164230,092-7.3 합 계합 계 2,148,8622,772,1073,151,7081,700,75210.4 -‘11 년 한국 자동차 산업 전년대비 9% 증가한 생산과 3,152 천대 수출 기록 신차 모델 출시 등 판매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년대비 1.6% 증가한 국내시장 158 만대 판매 현대, 기아자동차의 국내시장 점유율이 79.9% 로 ‘09 년 (80.1%) 이후 최고치 도달 - 해외시장에서의 활발한 진출을 통한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 미국 : 전년대비 26.% 증가한 17.9% 시장점유율 중국 : 전년대비 8.3% 증가 / 13.2% 시장점유로 GM, 폭스바겐에 이어 3 위를 차지 - 상반기 한국자동차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10.4% 증가하며 호조세를 이어감. [ 지역별 자동차 수출실적 ] 세계 5 위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세계 4 위의 수출국 친환경차 개발, 생산성 향상 등 자동차산업에 대한 설비투자 확대될 전망

6 5 End User – IT Industry ◦ IT 제품을 주력으로 성장하는 전자산업 - 한국의 대표기업 삼성, 최고브랜드 기업 순위 9 위 랭크, 아시아 중 최상위 : 19 위 (‘10) → 17 위 (‘11) → 9 위 (‘12) 로 대약진 - 세계 스마트폰 산업은 애플과 삼성전자의 양강 구도인 반면, 최근 노키아의 부진 * 삼성전자의 성공 요인 : 주요부품의 내재화 : 디스틀레이, 카메라, 저장공간 등을 자체 수급하여 공급망 관리 강화 → 모바일을 비롯한 전자기기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설비 투자 지속 세계 IT 시장을 리드하는 한국 IT Industry - 스마트폰 27.1%, 3DTV 45.2%, D-RAM 반도체 66.7%, LCD 패널 53.% 시장점유 (‘11. 3 분기 기준 ) 2011 년 1,569.7 억불 규모의 전자 및 IT 제품 수출

7 6 End User – Next Gen. Growth Engine 녹색기술 분야 첨단융합 분야 고부가 서비스 분야 시스템 자동차, 항공, 의료 등 융합분야에서 WBS(World Best Software) 프로젝트 추진 (1,000 억 원 /’11) 태양광 : 생산체제 및 생산능력 확대로 2015 년 세계시장 점유율 15% 목표 원전플랜트 : 한국형 원전 최초 수출 [ 한 - 터키 정부간 MOU 체결 등 ) LED: 세계최초 40 인치 LED 양산 성공 : LED 소자 생산 세계 순위 5 위 (‘08)> 4 위 (‘09) > 1 위 (’10) 2 차전지 : 세계최초 리튬이온 전지 장착 HEV 차 출시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전기차용 2 차전지 공급 [LG 화학 > GM, Ford 등 삼성 SDI> BMW 등에 공급 스마트폰 : 세계 시장점유율 확대 4.2%(‘09)>10% (’10 4 분기 ) 로봇 : ’10 년 국내 로봇시장, 1.8 조원 규모로 전년대비 80% 성장 (’09 년 1 조원 ) 시스템반도체 : 이미지프로세싱 반도체 및 양방향 스마트키 반도체 국내 최초개발 (’12 년 양산, 현대모비스 )

8 7 Korea FTA brining Bright Future 발효 국가 : 칠레, 싱가포르, EFTA, 아세안, 인도, EU, 페루, 미국 타결 국가 : 터키, 콜롬비아 협상 중인 국가 : 캐나다, 멕시코, GCC, 호주,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중국, 베트남 준비 중인 국가 : 일본, 한 / 중 / 일, MERCOSUR, 이스라엘, 몽골, 중미, 말레이시아 FTA 를 통한 공작기계 교역 활성화 기대 수출관세 ( 한국의 경우, 8%) 가 감면 또는 철폐되어 해외 공작기계의 가격경쟁력 확보 한국공작기계 업계 또한 FTA 국가로의 진출 → 대외경쟁력 제고 및 수출 확대 기여 자동차, 전기전자 및 관련부품 산업 활성화에 따른 공작기계 수요 증가가 예상됨. 동북아 중 가장 FTA 추진을 활발히 하는 한국 (‘12. 6, 한국무역협회 ) 발표중인 FTA 체결국가 : 한국 (45 개국 ), 중국 (17 개국 ), 일본 (15 개국 )


Download ppt "Nov. 2 nd (Fri.), 2012 韓国工作機械産業動向説明会. 1 Korean Economic Trend 2010 2011 [3.6]2012 1/42/43/44/41/42/4 6.34.23.53.63.32.82.3 경제성장률 2010 2011 [3.7]2012 1/42/43/44/41/42/4."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