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말레이시아 경제동향 및 시장현황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 김상묵 관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말레이시아 경제동향 및 시장현황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 김상묵 관장"— Presentation transcript:

1 말레이시아 경제동향 및 시장현황 2013. 12. 27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 김상묵 관장

2 INDEX 국가개황 1 . 말레이시아 경제동향 2 . 말레이시아 시장현황 3 . 한국- 말레이시아 교역∙ 투자동향 4 .
말레이시아 시장 종합 진단 5 .

3 국가개황

4 말레이시아 개황 면적 인구 수도 종교 언어 정체 이슬람교(61.3%), 329,759㎢ (한반도 1.5배)
3개 연방직할지 (쿠알라룸푸르, 라부안, 푸트라자야) 13개 주 (말레이반도 11개주, 동 말레이시아 2개주) 2,934만 명 (2012) 말레이 계 (67.4%), 중국 계 (24.6%), 인도 계 (7.3%), 기타 (0.7%) 쿠알라룸푸르 (KL) 행정도시 : Putrajaya KL (165만명/생활인구 450만명) Klang (100만명), Johor Bahru (87만명) 등 종교 언어 정체 국교 : 이슬람교 이슬람교(61.3%), 불교(19.8%), 기독교(9.2%), 힌두교(6.3%), 기타(3.4%) 공용어 : 말레이어 영어(상용), 중국어(화교) 연방형 입헌군주제 / 의원내각제

5 말레이시아의 지정학적 위치 해상 교통로 및 이슬람 문화권으로 넘어가는 접경국가 말라카 해협, 매년 5만 척 이상의 상선 통과
길이 963 km 폭 20~370 km (지정항로 2.5 km) 평균수심 25~27 m 매년 5만척 이상의 상선 통과 (전세계 물동량의 20~25% 처리) 동아시아 원유 수입량의 80% (한국은 99%) 차지 말라카 해협, 매년 5만 척 이상의 상선 통과 (전세계 물동량의 20~25% 처리)

6 영토분쟁 남사군도(약 73만㎢)는 남중국해의 남단에 위치한 해역으로서 약 100여개의 소도, 사주, 환초, 암초로 구성되어 있으나, 해면 위에 돌출해 있는 모든 도서의 총 면적은 2.1㎢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군사상의 요지 남사 군도에 풍부한 석유자원이 매장(남중국해 매장량 230억톤, 중국 전체와 같음) 해저 가스전

7 2. 말레이시아 경제동향

8 말레이시아 주요 경제 지표 구 분 거시경제 사회 내 용 (2013) 경상 GDP US$ 3,180 억
FDI 유입 US$ 억 물가상승률 % 실업률 % 3분기 기준 관광입국자 ,,876만 명 인구증가율 % 문맹률 % 비 고 EIU, 4.5% 성장(’13), 5.6% 성장(’12) IMF, PPP 기준 US$ 17,680 EIU IMD(2012), FDI 유출 US$ 억 IMF, 외국인 노동력 의존도 심각 말레이시아 관광국, 2,503만 명(’12) CIA Factbook, 2013년 추정 CIA Factbook, 2010년 추정(15세 이상 남녀)

9 말레이시아 산업 구조 구 분(’13.3분기) 1차 산업 (10.0%) 2차 산업 (38.5%) 3차 산업 (51.5%)
GDP 구성비율 (2012→ 분기) 팜 오일 → 4.2% 고무 → 0.6% 광산업 → 9.4% 건설 → 4.3% 정유·화학 → 8.4% 전기전자산업 → 4.8% 수송기계산업 → 2.8% 도소매 → 12.5% 금융(보험 포함) → 7.3% 통신 3.1 → 3.3% 비 고 플랜테이션 농업 Petronas 등 글로벌기업 존재 Penang 중심 외국인투자 자동차, 선박 이슬람 금융비중 20% 말레이시아 기계산업 플랜테이션 등 농업 및 주석광산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계로부터 발전 대표적인 4대 기계/장비시장 : 공작기계, 운반용 기계 및 장비, 석유/가스 기계 및 장비, 전기전자 관련 기계 및 장비 ※ 자료원: 말레이시아 통계청

10 경제성장률 추이 연간 5% 이상 성장…2020년 고소득사회 달성 목표 (%) ※ 자료원: EIU (2013년 전망)

11 최근 경제 동향 말레이시아 경제는 경제전문가들의 기대 (3/4분기중 4.7% 내외 성장전망)를
큰 폭 상회한 5.0% 성장 (13.2/4분기 : +4.4%) - 세계경제 호전에 따른 수출 호조와 견조한 국내수요 지속 등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 - 민간부문 소비 및 투자 확대에 따른 국내수요 증가가 경제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 국내수요 : 견조한 상태를 지속한 가운데 분기중 8.3% 증가(13.2/4분기 : +7.4%) - 총 고정자본 : 민간부문의 자본지출 확대로 분기중 8.6% 증가 (13.2/4분기 : +6.0%) 2013.3/4분기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약 98억 링깃(약 30억 달러)로 증가 - 이는 세계경제가 호전되면서 상품수지 흑자규모가 확대된 데 주로 기인 - 13.3/4분기중 국제수지흑자규모도 전분기보다 확대된 118억링깃(약 38억달러)을 기록(13.2/4분기 : +15억링깃, 약 5억달러)

12 향후 경제 전망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2013 연간 경제성장률이 4.5~5.0%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
향후 주요 선진국 경제는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재정 및 통화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성장의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가능성 말레이시아 경제는 미국의 양적 완화 정책 종료 등 외부 정책에 따른 영향을 받겠으나 견조한 내수가 성장을 뒷받침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2013 연간 경제성장률이 4.5~5.0%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 2014년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국내수요를 바탕으로 5%의 내외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말레이시아 2014년 예산안의 경제 예측 ► 경제성장률: 5%~5.5%(건설업 성장률 : 9.6%, 서비스산업 성장률 5.7%) ► 민간소비 증가율 : 6.2%, 민간투자 증가율 : 12.7%, 수출증가율 : 2.5%,

13 말레이시아 수출입 동향 수출입 전반적 증가세…제조업 분야의 수출은 부진 13 [최근 5년 동안의 수출입추이]
(9.24) (0.68) (15.6) (-15.7) [범례] 1. 금액은 RM 십억 2.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자료원: MATRADE (-16.6) (5.76) (8.47) (21.6) (-10.9) (-16.3) [2013년 10월 말레이시아 10대 수입대상국 수입 증감률 추이] ※ 자료원: MATRADE 품목 중국 싱가포르 일본 미국 태국 대만 한국 인도네시아 독일 베트남 증감률(%) 15.5 -1.0 -10.1 2.3 2.7 24.3 24.8 -2.0 18.4 (수입비중,%) (16.2) (12.4) (8.8) (7.8) (5.8) (4.8) (4.7) (4.4) (3.6) (2.9) [제품형태별 수입증감률 및 수입비중(2012~ 월)] ※ 자료원: MATRADE 중간재 자본재 소비재 2012 증감률(%) -3.4 3.4 20.5 3.5 11.6 8.2 (수입비중,%) (61.4) (59.0) (15.9) (15.0) (7.5) (7.2) 13

14 외국인 투자 동향 new record level in 2012 Services sector 외국인 투자 추이 (승인 금액기준)
9 90 60 30 Total Investment Approved 2012 2008 2009 2010 2011 2012 Investments in Malaysia reached new record level in 2012 RM Billion 111.3 148.8 136.9 104.8 105.6 154.6 162.4 120 150 180 12 외국인 투자 추이 (승인 금액기준) continues to support Malaysia’s economy Manufacturing Services (72.4%) RM162.4 billion Total Investment Approved 2012 41 (25.3%) Primary 3.8 (2.3%) Services sector 2012년 분야별 외국인 투자 승인현황

15 투자 진출국가 및 산업분야 주요 국가별 투자유치 현황 (제조업) 주요 산업별 투자분야 국가 2013년 3분기 까지 2012
건수 금액 (US$백만) 금액(US$백만) 미국 12 1,759 16 97 싱가포르 83 1,152 109 724 한국 10 846 17 535 일본 40 736 62 913 네덜란드 9 713 18 273 중국 11 470 23 646 영국 7 142 19 200 총계 530 10,763 804 13,440 분야 2013년 3분기 까지 건수 금액 (US$백만) 전기전자산업 74 2,556 기초금속산업 25 1,470 석유∙석유화학산업 5 1,420 식품가공산업 48 1,106 수송장비산업 54 1,035 화학산업 43 715 비금속광물산업 22 582 총계 530 10,763 ※ 자료원: 말레이시아 투자청

16 3. 말레이시아 시장현황

17 말레이시아 시장특성 내수시장 급팽창 인프라 수요확대 젊은 인구 소비시장과 경제권력 경제 한류 확산
연간 5% 이상 고속성장 지속 아세안 중산층 인구 2020년 4억 명 전망 (10년 사이 2배) 인프라 수요확대 빠른 산업화, 도시화 (2011, 73% 수준, 연 2.5%) 진행 인프라 환경 개선 노력 지속 젊은 인구 인구의 87.4%가 54세 이하의 젊은 인구 일(생산기지)하고 소비(내수성장)하는 시장 소비시장과 경제권력 다민족 및 다종교 사회 (말레이, 화교, 인도계 공존) 일반 상업 (화교계), 정부 및 정부연계기업 (말레이계) 경제 한류 확산 한류 확산이 성숙단계로 진입 美 ∙ 食 ∙ 通 3대 분야 중심으로 우리기업 진출 증가

18 신경제모델 (New Economic Model)
연평균 6% GDP 성장 GDP US$ 5,230억 국민소득US$ 15,000 1Malaysia – People First, Performance Now Vision 2020 Government Transformation Program Political Transformation Program Economic Transformation Program 10th Malaysia Plan ( )

19 경제변환프로그램 (ETP) Investment: Drivers [FOCUS] US$ 444 billion 12 NKEAs
Transformational Actions Investment Drivers [FOCUS] 12 NKEAs 131 EPPs 60 BOs Enablers [COMPETITIVENESS] 51 Policy Measures 6 SRIs Investment: US$ 444 billion Source: 92% Private, 8% Public Origin: 73% Domestic, 27% Foreign NKEAs: National Key Economic Areas EPPs: Entry Point Projects BOs: Business Opportunities SRIs: Strategic Reform Initiatives

20 핵심경제영역 (NKEAs) (9 EPPs) (12 EPPs) (13 EPPs) (10 EPPs) (6 EPPs)

21 주요 프로젝트(1) 고속철도 ‘13.2 말-싱 정삼회담 결과, 쿠알라룸푸르-싱가폴간 고속철도 사업에 합의, 양국간 구체적인 실현방안을 협의 중이며, ’13년 말 입찰 가능성 KL~싱가폴 구간(400km) 고속철은 향후 범아시아 고속철사업(쿤밍~싱가폴, 3900km 구간)을 감안할 때 초기진출의 의미 지대 ※ 총 사업비는 130억불(상당부분 민자)로 추정되고 있으며, YTL, Gamuda, UEM 등 현지 건설업체 중심으로 컨소시엄을 구성중임 MRT ‘12년 중 MRT 1호선 입찰(총 77억불, 90개 패키지)이 진행되었으며, ’14년 하반기 중 2~3선 발주 개시 전망 - MRT 사장 방한 초청(‘12.하) 등 협력 네트워크 구축 중 ※ 1호선 사업 참여를 위해 국토부 해외건설수주지원단이 현지 방문(‘12.5) 수주활동을 지원하였고, 아국업체로는 LG-CNS가 통신분야(1억불) 사업참여

22 주요 프로젝트(2) RAPID 프로젝트 발전 프로젝트
국영 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는 Johor 주(싱가폴 접경 지역)에 정유-석유화학 복합단지 건설을 추진 중 - 총 2600헥타르 면적에 약 200억불이 투자될 전망) - 정유(30만 배럴/일), 석유화학(300만 톤/연), 발전(2000MW) 등 분야별로 발주가 진행 중이며 아국기업 다수 참여 발전 프로젝트 경제성장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 ‘90년대 초 건설된 1세대 민자발전사업자 교체 시기 도래에 따라 화력 발전소 발주 증가 - ‘12.12월 삼성물산의 Prai 가스발전소(8억 달러)수주에 이어, ’13년 석탄화력 ( MW) 프로젝트 입찰 진행

23 성장하는 내수시장 국가 인구 (명) PPP (US$) 민간소비 증가율 인도네시아 2억 5,080만 5,149 5.3% 필리핀
9,840만 4,642 5.6% 베트남 8,960만 4,021 5.4% 태국 6,,700만 10,081 1.0% 미얀마 6,190만 1,301 4.0% 말레이시아 2,970만 17,680 7.2% ※ 자료원 : EIU (2013년 기준)

24 시장의 양적∙질적 변화 도시인구는 2015년 전체 인구의 7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중산층 인구 확대 고소득 화이트칼라 계층 증가 고급브랜드 내구소비재 수요증가 디지털, 친환경, 웰빙 소비트렌드 하이퍼마켓 고급백화점 홈쇼핑 경제성장 도시화 양적변화 질적변화 (소득증가) (소비고급화) <세계은행> 2014년 중산층 인구 3억명 예상 <일본 미즈호 연구소> 아시아의 중산층(연소득 5,000-35,000달러), 부유층 (연소득 35,000 이상)이 2008년 2억명에서 2020년 4억명으로 증가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층 인도네시아: 9,100만명 -> 1억 8,000명 필리핀: 3,900만명 -> 6,900만명 태국: 4,000만명 -> 5,600만명 베트남: 1,300만명 -> 4,700만명 말레이시아: 2,300만명 -> 3,300만명 도시인구는 2015년 전체 인구의 7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월평균 소비액 : 도시 거주자 (RM 2,285), 지방 거주자 (RM 1,301)

25 소매유통시장 규모 소매유통산업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17.6% 성장. 시장규모는 2012년 1,158억 링깃에서 2017년 1,281억 링깃으로 성장 예상 단위 : 억 링깃 <세계은행> 2014년 중산층 인구 3억명 예상 <일본 미즈호 연구소> 아시아의 중산층(연소득 5,000-35,000달러), 부유층 (연소득 35,000 이상)이 2008년 2억명에서 2020년 4억명으로 증가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층 인도네시아: 9,100만명 -> 1억 8,000명 필리핀: 3,900만명 -> 6,900만명 태국: 4,000만명 -> 5,600만명 베트남: 1,300만명 -> 4,700만명 말레이시아: 2,300만명 -> 3,300만명 ※ 자료원: Euromonitor

26 유통형태별 현황 점포형태의 유통이 전체 소매유통의 대부분을 차지. 점포형태로 운영되는 유통매출액이 ,075억 링깃으로 비점포형태 유통매출의 10배 이상 규모임. 온라인쇼핑 등 비점포유통은 아직까지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함. 단위 : 억 링깃 <세계은행> 2014년 중산층 인구 3억명 예상 <일본 미즈호 연구소> 아시아의 중산층(연소득 5,000-35,000달러), 부유층 (연소득 35,000 이상)이 2008년 2억명에서 2020년 4억명으로 증가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층 인도네시아: 9,100만명 -> 1억 8,000명 필리핀: 3,900만명 -> 6,900만명 태국: 4,000만명 -> 5,600만명 베트남: 1,300만명 -> 4,700만명 말레이시아: 2,300만명 -> 3,300만명 ※ 자료원: Euromonitor

27 유통형태별 현황 – 비점포형 유통업체 비점포형 유통은 COSWAY 등 직접판매형태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나, 최근 인터넷 보급률이 증가하고 수도권의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해외 온라인 쇼핑문화가 유입되면서 온라인유통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단위 : 억 링깃 <세계은행> 2014년 중산층 인구 3억명 예상 <일본 미즈호 연구소> 아시아의 중산층(연소득 5,000-35,000달러), 부유층 (연소득 35,000 이상)이 2008년 2억명에서 2020년 4억명으로 증가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층 인도네시아: 9,100만명 -> 1억 8,000명 필리핀: 3,900만명 -> 6,900만명 태국: 4,000만명 -> 5,600만명 베트남: 1,300만명 -> 4,700만명 말레이시아: 2,300만명 -> 3,300만명 ※ 자료원: Euromonitor

28 주요 유통업체 점유율-점포형 점포형 유통업체는 주로 글로벌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하이퍼마켓이 시장점유율 상위에 올라있음.
Giant(홍콩계), Tesco(영국계), Jusco(일본계) 등이 시장점유율 1, 2, 3위를 다투고 있음 단위 : % 브랜드 2009 2010 2011 2012 Giant 3.4 3.6 3.8 4.2 Tesco 2.6 2.9 3.2 3.1 Jusco 2.2 2.3 2.4 2.5 Parkson 1.4 1.6 Carrefour 1.5 7-Eleven 1.1 1.2 1.3 Giant Superstore 1.0 Econsave The Store ※ 자료원: Euromonitor

29 주요 유통업체 점유율-비점포형 비점포형 유통업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직접판매(Direct Selling)임 Amway, Cosway가 비점포형 유통시장에서 점유율 1, 2위를 차지 Cosway는 말레이시아 로컬기업으로서 전국적 세일즈망을 구축하고 있음 단위 : % 브랜드 2009 2010 2011 2012 Amway 9.7 9.8 10.3 10.8 Cosway 7.0 7.3 7.2 Elken 7.1 6.9 Tupperware 5.9 6.2 6.3 Herbalife 3.8 4.2 5.0 6.0 Avon 5.1 5.3 5.5 Nu Skin 2.0 2.9 3.6 3.9 Hai-O 4.3 3.7 Forever Living 3.4 3.3 3.2 ※ 자료원: Euromonitor

30 가정용 전자제품(Consumer Appliance)
시장현황 가정용 전자제품시장은 ‘11~’12년 3.7%의 성장을 기록 - ‘07~’12년 전체 19.8%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3.7%의 성장을 기록 ’12년 가전제품시장 매출은 47억 링깃을 기록 - 중대형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등) 매출 22억 링깃 - 소형 가전제품(쥬서기, 믹서기 등) 매출 25억 링깃 경쟁현황 및 유통 주요 브랜드 점유율(’12) - 중대형 가전 : Panasonic(19.5%), Toshiba(11.2%). Electrolux(9.8%), Samsung(9.2%), LG(8.0%) - 소형 가전 : Panasonic(22.6%), Philips(14.0%), Pensonic(12.6%), Kenwood(6.8%), Khind(4.0%) 주요특징 - Harvey Norman, Senheng 등의 전문매장 이외에 하이퍼마켓, 온라인매장 등 유통 판매망이 다양화되면서 경쟁이 치열 - Pensonic 등의 로컬브랜드는 현지화한 제품 컨셉으로 대응 ※ 자료원: Euromonitor

31 개인용 전자제품(Consumer Electronics)
시장현황 개인용 전자제품시장은 ’10~’11년 8.3%의 성장을 기록 - ‘07~’12년 전체 45.8%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7.8%의 성장을 기록 - 소득수준의 증가로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 개인용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12년 개인용 전자제품시장 매출은 203억 링깃을 기록 - 컴퓨터 관련 제품 매출 95억 링깃, 휴대용 전자제품 매출 55억 링깃, 가정용 전자제품 49억 링깃, 자동차용 전자제품 4억 링깃 경쟁현황 및 유통 주요 브랜드 점유율(’12) - Samsung(20.2%), Nokia(11.4%), Acer(5.4%), Sony(5.0%), Dell(4.9%), HP(4.9%), iphone (3.9%), HTC(3.1%), LG(1.8%) 등 주요특징 - Harvey Norman, Senheng 등의 전문매장이 주요 유통경로로서, 전문매장의 판매 지역이 확대 됨에 따라 경쟁이 치열 년 디지털 방송 개시 예정에 따라 TV 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 가능 ※ 자료원: Euromonitor

32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 시장현황 경쟁현황 및 유통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 시장은 ‘11~’12 년 8.0%의 성장을 기록
- ‘07~’12년 전체 57.7%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9.5%의 성장을 달성 ’12년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 매출은 32억 링깃을 기록 비타민 등 영양보충제가 16억 링깃으로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하고, 이외에 체중조절약품, 허브건강보조제 등의 판매가 많음 경쟁현황 및 유통 주요 브랜드 점유율(’12) - Herbalife(10.8%), Nutrilite(10.5%), Pharmanex(6.1%), Cerebos(4.0%), USANA(3.3%) 등 주요특징 - 주요 유통경로는 직접판매(47%)가 가장 많았고, 약국 및 의약품 소매점(45%) 등임 - 글로벌 기업 브랜드, 직접 판매망을 구축하여 시장을 장악 : Herbalife, Amway, Nu Skin 등 ※ 자료원: Euromonitor

33 패션 의류 시장현황 패션의류시장은 ‘11~’12 년 6.7%의 성장을 기록 - ‘07~’12년 전체 41.4%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7.2%의 성장을 기록 ’12년 패션의류시장 매출은 205억 링깃 기록 - 일반 의류 165억 매출 링깃, 신발류 매출 40억 링깃 소득수준의 증가에 따라 저가상품 위주에서 고급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경쟁현황 및 유통 주요 브랜드 점유율(’12) - Bata(1.3%), adidas(1.1%), Padini(1.0%), Semlouis(0.9%), Anakku(0.9%), Nike(0.7%) - 브랜드 점유율 1위도 시장점유율 2%를 넘지 못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시장임 주요특징 - H&M 등 해외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Padini, Bonia 등 현지 브랜드도 선전 - 직접 착용 후 구매하는 성향으로 인해 매장을 통한 구매가 절대적으로 높음 * 매장을 통한 유통(98%), 인터넷 판매(1.2%), 직접판매(0.6%), 기타(0,2%) ※ 자료원: Euromonitor

34 음식 서비스(카페, 프랜차이즈 등) 시장현황 경쟁현황 및 유통
음식 서비스업은 ‘11~’12 년 5.1% 의 성장을 기록 - ‘07~’12년 전체 27.6%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5.0%의 성장을 기록 ’12년 음식 서비스 매출은 309억 링깃 기록 - 음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은 30,700개가 있는 것으로 집계 되고 있으며 식당이 10,200개, 간이 음식점 11,200개, 카페 5,300개 등으로 나타나고 있음(’12) - 경쟁현황 및 유통 주요 브랜드 점유율(’12) - KFC(17.1%), McDonnald’s(14.5%), Secret Recipe(5.8%), Pizza Hut(4.6%), Old Town White Coffee(2.8%), Starbucks(2.1%), Dunkin' Donuts(1.4%), Nando’s(1.4%) 주요특징 - 프랜차이즈의 경우 외국계 프랜차이즈와 현지 프랜차이즈가 고루 존재하고 있음 - 한류 등으로 인하여 최근 한국음식에 대한 수요 증가(’12년 불고기 브라더스 진출 등) - 체인형태(프랜차이즈 포함)의 음식점이 전체 음식점의 19%를 차지 ※ 자료원: Euromonitor

35 한국식품-유망품목 시장현황 판매되고 있는 한국식품 중 90%는 라면, 과자, 음료 등 공장에서 제조된 상품이며, 나머지 10%는 냉동 및 신선식품임 한류로 인해 한국식품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은 틈새시장 상품임 품목별 현황 라면 - 말레이시아 라면 시장규모는 11억 링깃(’12), ’07년 이후 연평균 10% 성장하고 있음 - 농심, 팔도 등이 진출해있으며, 15링깃(5개 묶음) ★현지 제품 4-9링깃(5개 묶음) 차류 - 대추차, 유자차, 레몬차 등이 웰빙 식품으로 현지에서 인기 기타 - Organic, Natural food 에 대한 수요 증가(유기농 대추, 과일, 유아용 식품 등) - 간장 등과 같은 소스류는 아직까지 수요가 크지 않음

36 화장품 시장현황 경쟁현황 및 유통 ’07-’12년 품목군 별로 연평균 4-6%의 성장을 시현
- 고급화장품 : 연평균 5.3%, 총 29.3%(’07-’12) - 대중화장품 : 연평균 6.1%, 총 34.2%(’07-’12) - 색조화장품 : 연평균 4.7%, 총 25.8%(’07-’12) ’12년 화장품시장 매출은 52억 링깃 기록 - 고급화장품 매출 12억 링깃, 대중화장품 매출 35억 링깃, 색조화장품 매출 9억 한류로 인해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기가 상승 경쟁현황 및 유통 주요 브랜드 점유율(’12) - 고급화장품 : SK-II(11.1%), Shiseido (10.9%), Artistry(9.3%), Estée Lauder(8.0%), - 대중화장품 : Avon(6.6%), L'Oréal Paris (5.9%), Johnson's(5.6%), Nu Skin(4.1%), - 색조화장품 : Avon(13.7%), Silky(8.5%), Gemey/Maybelline/Jade(8.2%), L'Oréal Paris(8.0%) 주요특징 - 시장 내 다양한 제품과 브랜드가 존재. 신규브랜드의 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짐 - 소비자들은 하이퍼마켓보다 미용전문매장에 서의 구매를 선호. 따라서 구매 시 가격 이외에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등 여타 요인을 많이 고려 ※ 자료원: Euromonitor

37 화장품 화장품시장은 고가브랜드 및 대중브랜드는 유럽, 미국, 일본 브랜드가 장악
저가브랜드 시장은 현지브랜드 및 중국제품의 진출이 활발 The Face Shop 등의 한국브랜드는 중저가의 대중브랜드 시장을 타겟으로 최근 진출이 확대 고가브랜드 세그먼트 -전반적으로 유럽(미국), 일본브랜드가 주축 -Chanel, La Mer, Sisley 등 유럽 브랜드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음 - Shiseido, SK-ll 등 일본브랜드도 인기 대중브랜드 세그먼트 -전반적으로 유럽(미국), 일본브랜드가 강세 이나, 한국브랜드 진출이 확대되는 추세임 -L’Oreal 등이 인기. Shiseido의 매스티지 브랜드(Aqua Label)도 진출 저가브랜드 세그먼트 -현지브랜드 및 중국제품이 강세 -Elianto, Bloop 등을 비롯하여 많은 수의 브랜드가 저가시장에서 경쟁 -Amway 등 직접판매제품도 인기 Shiseido, SK-ll, Kanebo, Kose Chanel, La Mer, Sisley, Lancome, Estee Lauder, MAC, Clinique, Elizabeth Arden 고가브랜드 Palgantong, The Face Shop, Skin Food Aque Label (Shisedo), Gatsby L’Oreal, Maybelline, Jelly Pong Pong 대중브랜드 Brand Position Elianto, Dodo, Bloop, Kiss Me Koji Honpo Amway, AVON 저가브랜드 현지 일본 유럽, 미국 등 Country Origin

38 화장품 고가의 프리미엄 시장이 포화상태 이에 대한 대응으로 매스티지브랜드, 기능성화장품 등으로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매스티지(Masstige) 브랜드 -프리미엄 브랜드 시장 포화상태 -프리미엄 브랜드보다 약간 낮은 가격으로 백화점 명품매장이 아닌 전문샵 판매 등으로 판매경로를 차별화한 매스티지 브랜드 등장 -명품과 유사한 컨셉의 제품을 명품보다 낮은 가격에 소비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어필 -Shiseido Aqua Label 등이 예 기능성 화장품 -유기농/천연화장품 기능을 특화시켜 전문샵 에서 중고가의 가격으로 판매 -차별화된 제품 기능으로 어필, 소비자들의 그린 트렌드 확산과 더불어 시장점유율 상승 포화상태 Premium Brand Position Masstige Traditional Functional, Organic Type of Product

39 화장품 화이트닝, 안티에이징, Organic 등 기능성 위주의 차별화된 제품이 유망 화이트닝 안티-에이징 Organic, 한방
열대지방의 특성상 피부가 햇볕에 많이 타므로, 미백제품이 인기 - 최근 미백제품 시장으로의 신제품 진입이 증가 한국드라마가 현지에서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여배우의 인지도 증가와 함께 한국산 미용제품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고 있음 안티-에이징 중•장년층 여성 소비자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피부노화방지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안티-에이징 기능이 중시됨에 따라, 기초화장품 이외에도 노화방지 기능이 추가된 제품이 증가하는 추세 자외선으로 피부손상 및 노화가 쉬워,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 상존 Organic, 한방 민감성 피부, 알러지 등을 위한 organic제품 수요 증가 현지에서 테라피 등 스킨케어 전문샵이 증가하면서, 의료업체, 전문샵 등을 대상으로 한 기능성 화장품 매출이 증가 최근 한국의 한방화장품에 대한 문의도 증가 추세

40 4. 한국-말레이시아 관계

41 한국-말레이시아 관계 외교관계 교 민 수 교역관계 투자관계 1960년 외교관계 수립 (수교 50주년 : 2010년)
약 14,000명 (상주자 25,000명 추정) * 한국-ASEAN 자유무역협정 발효 교역관계 한국 16번째 수출대상국 (62.5억 달러, ’13. 3분기) 한국 13번째 수입대상국 (76.7억 달러, ’13. 3분기) 투자관계 한국 10번째 Outbound FDI 대상국 (106.6억 달러, ’13. 3분기 누계) 한국 7번째 Inbound FDI 대상국 (72.8억 달러, ’13. 3분기 누계)

42 한국-말레이시아 수출입 동향 2013년 10월 기준 수출 12.9% 증가, 수입 8.2% 증가
- 수출 68.9억 달러, 수입 88.3억 달러, 무역수지 적자 19.4억 달러 (-25.4) (25.8) (2.6) (23.1) (12.9) (-23.6) (41.4) (9.8) (-6.4) (8.2) [최근 5년 동안의 수출입추이] [범례]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금액은 US$ 백만 ※ 자료원: 관세청 수출입통계 2012년 수출 77.2억 달러(23.1% 증가), 수입 98.0억 달러(6.4% 감소) - (수출증가품목군) 석유제품,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자동차, 합성수지, 건전지 및 축전지 등 - (수입증가품목군) 천연가스, 반도체, 원유, 컴퓨터, 알루미늄 등 42

43 한국의 말레이시아 주요수출품목 [수출품목] 석유 및 석유화학, 수송기계, 산업용전자제품 등 호조 43
- 전자부품(반도체, PCB 등), 평판디스플레이, 냉연강판 등은 부진 [10대 수출품목의 증감률 추이 (2011~2013년 10월)] (MTI 4단위, 2012년 기준) 2011년 2012년 2013년 10월 금액(US$백만) 증감률(%) 1.경유 74 -44.2 1,417 1,815.0 1,248 34.8 2.집적회로반도체 624 1.0 543 -13.0 454 -3.7 3.평판디스플레이 612 -38.9 317 -48.3 338 4.승용차 215 8.0 239 11.1 257 32.4 5.합성수지 299 17.1 264 -11.8 248 6.합성고무 251 80.4 296 17.7 238 -4.9 7.기타정밀화학원료 63 14.2 83 31.1 186 172.4 8.냉연강판 260 5.6 250 -3.8 144 -32.4 9.휘발유 - 47 131 1,157.3 10.중유 155 40 -74.2 ※ 자료원: 관세청 수출입통계 43

44 한국의 말레이시아 주요수입품목 [수입품목] 집적회로반도체, 식물성 유지 등의 수입 부진 44
- 천연가스, 중유, 원유 등의 수입은 호조 [10대 수입품목의 증감률 추이 (2011~2013년 10월)] (MTI 4단위, 2012년 기준) 2011년 2012년 2013년 10월 금액(US$백만) 증감률(%) 1.천연가스 2,085 0.2 2,309 10.8 2,153 16.0 2.중유 558 -7.3 1,103 97.6 1,072 8.9 3.집적회로반도체 1,131 -4.0 923 -18.4 754 -2.6 4.원유 1,210 58.5 607 -49.8 581 21.6 5.컴퓨터부품 469 27.7 360 -23.2 331 8.6 6.개별소자 반도체 326 15.3 305 -6.4 261 5.6 7.식물성유지 346 45.9 327 -5.5 233 -15.7 8.알루미늄괴및스크랩 58 70.7 87 49.2 183 157.9 9.기타석유화학제품 112 27.3 82 -26.8 131 89 10.합판 162 -35.1 171 -4.2 ※ 자료원: 관세청 수출입통계 44

45 한국의 말레이시아 투자현황 투자신고 건수 : 1,639건 (2013년 3분기 누계기준)
신고금액 : 10,659백만 달러/투자금액 : 4,282백만 달러 KOCHAM 회원사 : 120여 개사 (596건) (109건) 단위 : 백만 달러 (28건) (61건) (712건) (133건) ※ 자료원: 수출입은행

46 한국의 말레이시아 주요 투자기업 PENANG 서울전자통신 LS전선 TERENGGANU CJ 현대엔지니어링
KUALA LUMPUR 현대자동차(동남아본부) 현대모비스, 현대종합상사 기아자동차 대한항공(동남아/오세아니아본부) 대우건설, 대우인터네셔널 삼성 C&T, 삼성물산 우리은행, 우리투자증권 웅진코웨이 지에스 글로벌 포스코 플랜텍 가스공사, 관광공사 SK텔레콤, SK네트웍스 그린오션, 위니텍 SELANGOR CJ GLS 말레이시아 포스코 말레이시아 LG전자 한진해운 말레이시아 이랜텍 말레이시아 고려해운 말레이시아 법인 풍산말레이시아 동남아해운 미주제강 나노메타크로닉스 영림전자 준희마이크론 엘피온 KOTA KINABALU 삼성엔지니어링 NEGERI SEMBILAN 삼성전자 생산법인 삼성SDI 삼성코닝 비에스씨 일렉트로닉스 제일정밀 세화전자 넥스트 탱크 MELAKA JOHOR 키스웰 키스와이어 타이탄케미칼스 고려용접봉 고려제강 롯데석유화학 타이탄 삼창정밀 SARAWAK 아시아시멘트 동부메탈 진행중

47 말레이시아의 한국 투자현황 투자신고 건수 : 783건 신고금액 : 7,476백만 달러 (2013년 3분기 누계기준) (24건)
단위 : 백만 달러 (24건) (2건) (235건) (5220건) ※ 자료원: Invest Korea

48 4. 말레이시아 시장 종합진단

49 말레이시아 시장 종합 진단 장점 (Strength) 단점 (Weakness) 기회 (Opportunity)
- 풍부한 천연 자원 - 도로, 항공, 항만 등 발달된 사회간접자본 - 정치사회적 안정, 정부정책의 신뢰성 - 영어 소통 가능 - 한류, Look East Policy 등 친한 분위기 단점 (Weakness) - 상재적으로 협소한 내수시장 - 높은 대외 의존도 - 노동력 부족, 외국인 노동자 의존 심화 - 말레이계 우대정책 (부미푸트라) 기회 (Opportunity) - 정부 주도 유망산업 육성 추진 - 인프라 구축 등 대형 프로젝트 활발 - 서비스 시장 개방 및 규제 완화 - 소비시장의 변화 (고급화, 친환경) - 동남아, 이슬람, 인도시장 진출의 교두보 위협 (Threat) - 일본과 중국, 서구기업의 경쟁국 진출 확대 - 최저임금제 등 현지생산비용 상승 - 소득증가에 따른 정치욕구 증가

50


Download ppt "말레이시아 경제동향 및 시장현황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 김상묵 관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