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업체별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검토 보고서 - 목 차 – 1. 기술 검토보고서 요약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업체별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검토 보고서 - 목 차 – 1. 기술 검토보고서 요약"— Presentation transcript:

1 업체별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검토 보고서 - 목 차 – www.greenconcent.co.kr 1. 기술 검토보고서 요약
- 목 차 – 1. 기술 검토보고서 요약 2.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운영 규정 3.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주택공사 시방서 4. 제품 사진 5. 타사 전기용품안전인증상의 문제점 6. KS C 온도 상승 7. 온도 상승 테스트 8. 절전/상시 선택 방법 9. 삼파장 테스트 _1 10. 삼파장 테스트 _2 11. 타 용도의 리모컨 간섭 여부 12. 대기전력 자동 차단 시간 및 LED 작동 여부 13. 대기전력 자동차단 시험_1 14. 대기전력 자동차단 시험_2 15. 사용 설명서

2 과부하 차단 기능이 없어 스위치 회로 파괴 및 화재위험 제품
1. 기 술 검 토 보 고 서 담 당 조 정 심 사 결 정 문서번호 보존년한 영구 소 속 개발팀 제 목 업체별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검토 보고서 작성일자 보고자 설대연 과장 1. 검토 목적 : 경쟁사 별 콘센트 성능 비교 분석 검토 업체 :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2. 검토 결과 ▶ 인증 취득 현황 업 체 명 정 격 최대 부하 인 증 기 관 시험 규격 전기용품안전인증번호 취 득 명 중원파워컨트롤스 250V/10A 16A 전자파연구원 KS C 60884 JU 일반콘센트 타사 220V/12A 12A 전기전자시험연구원 KS C 60669 HB D 리모트컨트롤스위치 → 파나소닉전공신동아 제품은 전기용품안전인증을 스위치로 취득 하였으므로 콘센트로 사용불가 하다는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결과통보 ▶ 전력 과부하 및 전기화재 방지 기능 비교 항 목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과부하 차단 기능 부하 16A 이상에서 과부하 차단 전력과부하 차단 기능 없음 화재 방지 효과 과부하 자동 차단에 따른 화재 방지 효과 과부하 차단 기능이 없어 스위치 회로 파괴 및 화재위험 제품 → 스위치 인증을 취득하였으므로 스위치 정격(220V/12A)에 맞는 제품으로 전력 과부하(16A이상) 인가 시 전원회로 파괴 발생하고 화재 위험 제품 ※ 과부하 인가 기준 : KS C 온도 상승 및 표 20의 시험 규격에 의함. ▶ 대기전력콘센트 기능 비교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리드선 복구 스위치 관계없이 대기전력차단콘센트 사용가능 리드선 스위치 제거할 경우 대기전력차단콘센트 사용 불가 제품

3 SMPS트랜스 및 부품 파손, LOWER 커버 발열
▶ 성능 비교 항 목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과부하 테스트 (250V/16A) 이상 없음 SMPS트랜스 및 부품 파손, LOWER 커버 발열 삼파장 영향 없음 수신 리모컨 TV 리모컨(LG社, 삼성社) 대기전력차단시간 2분40초 2분 30초 대기전력차단 여부 차단됨 대기전력 20W 이하만 차단, A mode에서 20W이하의 저전력 제품은 사용중 전원 OFF 됨 LED 표시 여부 콘센트와 USB RECEIVER에 동시 표시 플러그형 스위치에만 표시 리모콘 기능 리모콘의 파워버튼을 이용하여 복구 리모콘의 임의의 버튼을 입력하여 한 버튼에만 동작됨 절전/상시 절전/상시 기능 콘센트에서 조작 가능 리드선 스위치가 있어야만 절전 스위치 리드선스위치가 없으면 일반 스위치

4 2.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운용규정 개정 2010. 2. 25 지식경제부고시 제2010- 49호 8. 자동절전제어장치
가. 절전성능 구 분 제어방식 대기전력 차단시소비전력 대기전력 차단기능 이행시간 자동절전멀티탭 - 부하감지형 - 조도감지형 - 타이머형 - 복합형(부하․조도․인체감지 등) ≤1.0W 이하 ≤3분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 자동절전제어장치(자동절전멀티탭 및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는 전자제품, 컴퓨터 등의 꺼짐 또는 스위치 오프나 조도설정, 시간설정 등을 자동 감지하여 연결된 기기의 전원을 3분 이내에 차단하고, 이때 자체 소비전력이 1.0W 이하이어야 한다. 또한 컴퓨터 등이 정상 작동하거나, 멀티탭 또는 콘센트제어장치 주변의 조도가 설정된 조도를 초과하거나, 설정시간이 변경된 경우 차단된 기기의 전원이 5초 이내에 다시 통전되어야 한다. 수명은 켜짐, 꺼짐을 반복하여 시험하였을 때 5,000회(타이머형의 경우 100회) 작동하여 이상 없어야 한다. (1) 자동절전제어장치의 사용범위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제품신고서, 팜플렛, 사용설명서 등에 제한범위를 명시한다. (2) 상시전원을 가진 경우에는 제품에 상시 전원용이란 용어를 반드시 표시하여야 한다. 나. 위 표의 용어는 다음과 같다. - 부하감지형 : 컴퓨터, 텔레비전수상기 등의 주전원이 오프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모니터, 스캐너, 프린터, 비디오테이프레코더, 셋톱박스 등의 주변기기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 - 조도감지형 : 내장된 조도감지장치가 조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조도가 1.0Lux 이하일 경우 연결된 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야 한다. 단, Lux감지조절기가 있는 경우는 최저감지조도가 0.5Lux에서 차단되어야 한다. - 타이머형 :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연결된 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 - 복합형 : 부하, 조도, 인체감지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등의 주전원이 오프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컴퓨터본체, 모니터, 스캐너,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 -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 자동절전멀티탭의 자동차단기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별도의 콘센트에 연결하거나 벽면 콘센트에 내장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

5 3.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시방서 (기술표준원 /주택공사)
2.7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시방서-주택공사 2.7.1제원 가. 사용 전압 : AC 250V, 50~60Hz 나. 주위 온도 : 40°C 이하 다. 정격 전류 : 10A 이상 라. 표시 장치 : 동작 표시램프 2.7.2 성능 및 기능 가. 전기용품 안전관리법 제3조에 의한 안전인증 및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운영규정 제18조에 의한 에너지 절약마크를 취득한 제품이어야 한다. 나. 가전제품이 대기전력(꺼짐) 상태일 때 자동차단하고 리모컨 및 콘센트에 달린 버튼으로 수동복구하거나 가전제품을 리모컨으로 켬(ON)으로 자동 복구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다. 대기전력 자동차단 기능 고장시 일반형 콘센트로 사용이 가능 하여야 한다. 라. 대기전력 자동차단 용량설정은 부하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 설정하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수동설정 제품은 출고시 기본값(전자제품의 통상적인 대기전력 값으로 한다)을 설정하여야 한다. 마. 콘센트에 일반 멀티탭을 연결 했을 경우 연결된 전자제품들의 정상적인 사용이나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바. 거실에 설치하는 콘센트의 2구는 상시전원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야 하며, 플러시 플레이트에는 “상시전원용”이란 표기를 하여야 한다. 사. 대기전력 차단 시 2극(상선, 중성선)을 동시에 차단하여야 한다. 아. 리모컨 동작방식인 경우 적외선 방식이어야 하며, 타 용도(TV, VTR)의 리모컨으로 콘센트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자. 오동작에 따른 초기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이때 복원 시 정상적인 대기전력 차단 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차. 전선 접속을 위한 단자에는 오결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방법을 표기하여야 한다. 카. 콘센트 주위에 장애물이 있어도 콘센트의 동작에는 지장이 없어야 하며, 수신부를 노출 시 리드선의 길이는 2M 이상 이어야 한다. 타. 정전시에도 설정내용을 72시간이상 유지하여야 한다. 파. 전선 접속을 위한 단자는 나사 없는 단자 형태이어야 한다.

6 하. 콘센트에는 접지단자가 있어야 한다. 거. 콘센트는 배선용 꽂음 접속기 와 플러시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플러시 플레이트는 KSC 8319에 적합한 제품으로 세대에 사용하는 다른 콘센트용 꽂음 접속기의 플러시 플레이트와 잘 어울리는 디자인 제품이어야 한다. 너. 위에 언급하지 않은 구조, 치수, 재료 및 성능은 KSC 8305 의 내용을 준용한다. 더. 기능설명서는 입주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7 4. 제품 사진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고유디자인 특허청 등록제 자료없음

8 5. 타사 전기용품안전인증상의 문제점 → 안전인증을 콘센트가 아닌 리모트콘트롤스위치로 인증 취득함
정격 인증기관 시험 규격 전기용품안전인증번호 제품명 비고 타사 250V/12A 전기전자시험연구원 KS C 60669 HB 리모트컨트롤스위치 정격사양 제조사의 규격에 따름 “리모트 콘트롤 스위치”로 표기 RELAY 250V/12A ※ 타사가 콘센트로 승인을 받을 수 없는 이유 - 일반 콘센트로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250V/16A 부하 조건에서 1시간을 견뎌야 함 - 하지만 타사의 제품은 250V/12A 릴레이를 사용하여 일반 콘센트 시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스위치로 인증을 취득함. ※ 정격 표기 : 콘센트는 220V/12A표기가 없음 콘센트 정격 표기는 : 250V/10A, 250V/16A 등으로 표기됨. → 타사제품은 안전인증을 스위치로 인증을 취득 하였으므로 콘센트로 재 인증 취득하도록 기술표준원 유권해석 함.

9 6. KS C 온도 상승

10 7. 온도 상승 테스트 - 시험 조건 시험 기준 KS C 규격 KS C 의 “19 절 온도 상승 표 20” 을 따름 입력 전압 250V, 부하 전류 16A에서 1시간 동작 후 온도 상승 45K 이하 일 것 자사 규격 시험 조건 : 입력 전압 250V, 부하 전류 16A 인가하여 12시간 연속 동작 판단 기준 - PCB ASM 이상 흔적 없을 것 - 기능 정상 동작 할 것 - 발화 및 발열 현상 없을 것 - 시험 결과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1시간 경과 이상 없음 SMPS트랜스 발열 및 보빈 녹음 2시간 경과 전원단의 부품 대부분 파손, LOWER COVER 발열 12시간 경과 - ※ 타사의 경우 과부하 방지 기능이 없고, RELAY SPEC이 12A로 전기용품인증 시험 규격에 부적합하여 과부하 시험 시 온도가 현격히 증가하여 전원단 대부분의 부품이 파손되어 화재의 위험성이 높음.

11 7. 온도 상승 테스트 - 시험 결과 - 전원 회로 파손에 의한 동작 불가
타사부품 파손 사진 1시간 경과 후 2시간 ▶ SMPS 트랜스 발열 및 보빈 녹음 ▶ SMPS 트랜스 파손 ▶ Bridge diode 파손, ▶ 전원단 각종 수동 소자 파손 - 저항, 제너다이오드, noise filter, 커패시터 등등 ▶ Lower cover 발화 발생 - 전원 회로 파손에 의한 동작 불가 - 전원 회로 파손에 의한 전원단 쇼트 발생 시 지속적인 전원 인가에 의한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음

12 8. 절전/상시 선택 방법 업체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사 진 스위치 조작방법 절전/상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절전/상시 선택
사 진 스위치 조작방법 절전/상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절전/상시 선택 플레이트를 분리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M/T, A, A/O 모드 선택

13 오스람(FLR 32W EX-D/A), 필립스(TLD 36W/865), 번개표(FLR 32W)
9. 파장 테스트 _1 - 시험 조건 시험 기준 거리(L) 150Cm, 200Cm 각 도 360도 회전 삼파장 형광등 오스람(FLR 32W EX-D/A), 필립스(TLD 36W/865), 번개표(FLR 32W) - 시험 결과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삼파장 영향 없음

14 10. 삼파장 테스트 _2 1. 테스트 조건 ▶ Pulse 선정 요건 - TV 리모콘 주파수 대역 : 32KHz, 38KHz
항목 시험 기준 입력 전압 DC3.7V, 100mA Pulse 30KHz~50KHz 가변(1KHz step) 시료 수 자사 : 10EA, 경쟁사 :1EA 거리 50㎝, 100㎝, 150㎝, 200㎝ 각도 360℃ 회전 테스트 전경 장비 배치 ▶ Pulse 선정 요건 - TV 리모콘 주파수 대역 : 32KHz, 38KHz - 전자식 안정기 주파수 대역 : 45KHz 2. 시험 장비 - 오실로 스코프, 주파수 발생기, DC POWER SUPPLY, IR TX MODULE(자체 제작) IR TX MODULE 적외선 신호 송신 주파수 발생기 오실로스코프 DC POWER SUPPLY 3. 시험 결과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전 주파수대 삼파장 영향 없음

15 10. 삼파장 테스트 _2 2. 장비 재원 재원 사진 1. 장비명 : 주파수 발생기 2. 모델명 : AG-203
3. 제조사 : KENWOOD 1. 장비명 : DC POWER SUPPLY 2. 모델명 : DRP-9303TP 3. 제조사 : DIGITAL 1. 장비명 : 오실로스코프 2. 모델명 : 199C 3. 제조사 : FLUKE 1. 장비명 :IR TX MODULE 2. 제조사 : 자체 제작

16 → 타 리모컨으로 간섭을 받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대기전력 차단 모드로 진입함.
11. 타 용도의 리모컨 간섭 여부 ♣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주택 공사 시방서 내용중 리모컨 관련 내용 발췌 2.7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시방서-주택공사 2.7.2 성능 및 기능 아. 리모컨 동작방식인 경우 적외선 방식이어야 하며, 타 용도(TV, VTR)의 리모컨으로 콘센트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 시험 조건 시험 기준 시험 환경 콘센트 대기전력 차단 시 타 리모컨 동작 시 콘센트 복구 여부 테스트 거리(L) 50Cm, 100Cm, 150Cm, 200Cm 시험 리모콘 TV리모컨(LG社, 삼성社), 히터 리모컨(STARION 社), 조명 리모컨(JIN HEUNG 社), 에어컨 리모컨(삼성 社), 비디오 리모컨(삼성社) - 시험 결과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동작 리모컨 TV 리모컨(LG社, 삼성) TV 리모컨(LG社, 삼성社) → 위의 시험은 자사에서 보유한 리모컨에 한함. → 타 리모컨으로 간섭을 받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대기전력 차단 모드로 진입함.

17 12. 대기전력 자동 차단 시간 및 LED 작동 여부 업체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대기전력저감운영프로그램”규정
- 시험 조건 : 대기전력 설정 후 설정 상태에서 대기전력 자동차단 시간 측정 - 시험 결과 업체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사 진 대기전력 자동차단 시간 2분 40초 2분 30초 LED 동작 여부 대기전력 차단 시 콘센트/USB RECEIVER에 녹색 램프 켜짐 대기전력 차단 시 스위치에 적색 램프 켜짐 “대기전력저감운영프로그램”규정 - 대기상태로부터 3분 이내 차단

18 13. 대기전력 자동차단 시험_1 - 시험 조건 : 핸드폰 충전기를 연결한 후 대기전력 설정 후 정상 동작 확인
- 핸드폰 충전기 대기전력 값 : 1.2~1.5W - 핸드폰 충전기 소비 전력값 : 5~7W - 시험 결과 업체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사진 정상 동작 여부 핸드폰 충전 시 전원 차단 없이 정상 동작 - 충전기 대기 모드에서 자동차단 A MODE(대기전력 20W이하에 서 전원 차단) 핸드폰 충전시 전 원 차단됨 A/O MODE(대기전력 20W 이상 에서 전원 차단) 충전기 대기전력 차단 안됨 LED 동작 여부 정상 동작함으로 LED 점멸되지 않음 A MODE에서는 소비전력 20W 이하의 저전력 제품 사용 불가 A/O MODE 에서는 20W 이하 의 제품 대기전력 차단 안됨

19 14. 대기전력 자동차단 시험_2 - 시험 조건 : 멀티탭을 이용하여 시험(TV, 컴퓨터 본체, 모니터)
- 대기전력 합계 : 10.2W - 시험 결과 업체 중원파워컨트롤스 타사 사진 정상 동작 여부 - 2분 40초 후 전원 차단 - 2분 30초 후 전원 차단

20 15. 사용 설명서_중원파워컨트롤스 중원파워컨트롤스 복구 버튼 콘센트에서 대기전력 설정
USB RECEIVER에서 대기전력 설정 리모콘 학습 기능 1단계 : 그린콘센트에 전기제품 플러그를 꽃는 다. 2단계 : 전환스위치를 "상시"으로 전환한다. 3단계 : “복구”버튼을 살짝 누르고 복귀한다. 4단계 : 적색, 녹색LED램프가 순차적으로 깜박 이다가 적색램프로 멈추면 전환스위치를 "절전”으로 전환한다. 5단계 : 부저음 소리와 함께 대기전력 설정이 완료된다 1단계 : 그린 콘센트에 전기제품 플러그를 꽃는 2단계 : 전환스위치를 “절전"으로 전환한다. 3단계 : USB RECEIVER의 “복구” 버튼을 길게 누른다 3단계 : 부저음 소리와 함께 대기전력 설정이 1단계 : 콘센트나 USB RECEIVER를 향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리모콘의 버튼을 길게 2단계 : 부저음 소리와 함께 리모콘 학습 기능 이 완료된다 복구 버튼

21 15. 사용 설명서_타사 타사 자동기본모드(A) 자동옵션모드(A/O) 수동모드/타이머모드(M/T) 모드 선택 기 능
기 능 대기전력 20W이하에서 콘센트 전원 자동차단 자동기본모드에서 전원이 꺼지거나, 전원이 꺼지지 않을 시 사용 (가전기기의 소비 전력이 20W이하이거나 대기전력이 20W이상일 시) 수동모드 : 플러그형 스위치의 버튼을 눌 러 콘센트를 on/off. 타이머모드 : 꺼지기를 원하는 시간에 설 정하면 자동으로 꺼짐 : 자동 복구 안됨 리모콘 학습 기능 커버를 분리한다 선택 스위치를 “A” or “A/O”로 이동. 플러그형 스위치 꽂음. 가전기기를 연결. 복구 버튼을 약 2초간 길게 누름. 리모콘 수신부를 향해 사용할 리모콘의 임의 버튼을 누름. 램프가 켜지고 나면 리모콘 값이 설정. - 리모콘 학습 기능 안됨.


Download ppt "업체별 대기전력자동차단콘센트 검토 보고서 - 목 차 – 1. 기술 검토보고서 요약"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