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에너지 신산업 협의회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분과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에너지 신산업 협의회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분과"— Presentation transcript:

1 에너지 신산업 협의회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분과
에너지 신산업 협의회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분과 [목]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문승일

2 울릉도 에너지 자립섬 구축계획

3 “세계최초 ICT(ESS/EMS)가 융합된”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Best Practice확보
추진배경 “세계최초 ICT(ESS/EMS)가 융합된”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Best Practice확보 협업·공조를 통한 울릉도 사업추진 가속화 정부 경북도 · 울릉군 한국전력 대통령 기자회견(’14년 1월 6일) -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에너지타운’을 만들고 올해 중 시범사업 추진 산업부 업무보고(’14년 2월) - 신재생+ESS 신규 사업모델 우대 울릉도의 친환경 섬 조성 의지 - 울릉도 그린 아일랜드 조성사업(’08년), 울릉도 녹색섬 종합계획(’10년) 등 예산확보의 어려움 및 기술적 타당성 문제로 진행이 중단 도서지역 디젤발전 결손액 발생 - ’13년 63개 도서 결손액 1,378억원 (울릉도 약 190억) - 연료비 상승결손액 지속발생 신재생 발전원 도입으로 도서지역의 디젤발전 의존도 최소화 노력 필요

4 추진경과 ‘14.02 울릉도 신재생 및 ESS활용 탄소 제로화 방안 검토(산업부 업무보고) ‘14.02 울릉도 탄소제로섬 구축 기본(안) 검토 : 하이브리드 M.G구축(안) 및 SPC설립 방안 ‘14.05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조성(안) 보고(→B.H) : 경제성 검토 및 단계별 추진방안 등 ’14.08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추진 민관합동 T.F 발족 ‘에너지자립섬 및 네가와트 기업설명회’ 후속 산업부 요청(‘14.07) 차~3차 회의(7.11/8.25/9.30) → 전원믹스, 투자방안, SPC 설립방안 등 결정 ’14.10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을 위한 사업협력 양해각서 체결(차관님 임석) 참여기관 : 경상북도, 울릉군, 한국전력, LG CNS, 도화엔지니어링, 넥스지오 ’14.11 울릉도 SPC 설립을 위한 TF 운영(3회) 지자체SPC설립지원 검토, 풍황계측장비 설치, 주주협약서 검토 등 진행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종합계획 수립 본부장 결재완료 및 관련 처․실 합의중 (기획본부, 영업본부)

5 사업개요(1/3) – 에너지원별 Mix 에너지원별 Mix (案) 발전원별 구축비용 15.2 8.0 1.0 21 23.0 4.0
현재 (MW) 디젤발전 소수력 (설비용량/발전량) 18.5 0.7 / 0.43 최종(MW) : 1단계 / 2단계 단계 디젤 소수력 (설비용량/발전량)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지열 ESS (MWh) 1단계 15.2 0.66 / 0.56 8.0 1.0 21 2단계 비상용 23.0 4.0 36.5 현재 (MW) 디젤발전 소수력 (설비용량/발전량) 18.5 0.7 / 0.43 연료전지 도입 여부 추가 검토 필요 → 기저발전원 확보, 친환경 상징성, 주민수용성,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 ESS는 신재생설비 용량 및 년 평균 부하증가량 감안 용량 선정 발전원별 구축비용 구분 수력 풍력 태양광 지열 ESS (MWh) 연료전지 부대 시설 기타 비용 합계 총계 (도서할증 20% 적용) 용 량 (kW) 660 8,000 1,000 4,000 36.5 23,000 투자비 (억원) 40.1 244.6 51.9 538.1 645.6 1,186.6 432.8 112.2 3,251.9 3,902.3

6 사업개요(1/3) – 에너지원별 Mix 현 행 개 선 1단 계 2단계 고객 (7,392호) 7.2 MW 고객 (7,392호)
개 선 1단 계 2단계 추산수력 0.66 MW ESS 36.5MWh 풍력 8 MW 태양광 1 MW 운영 시스템 고객 (7,392호) 지열발전 4 MW 연료전지 23 MW 추산수력 0.66 MW ESS 21MWh 풍력 8 MW 태양광 1 MW 운영 시스템 고객 (7,392호) 남양내연 7.2 MW 저동내연 8 MW 남양내연10.5MW 고객 (7,392호) 추산수력 0.7 MW 저동내연* 8 MW

7 사업개요(2/3) – 단계적 구축 현재 1단계 2단계 디젤 중심의 전력공급 신재생 에너지 디젤 Zero化 30%
신재생발전 Mix 도입 현재 1단계 2단계 (‘15 ~ ‘17 ) (‘18 ~ ‘20 ) 디젤 중심의 전력공급 신재생 에너지 30% 디젤 Zero化 2개의 디젤 발전소 및 어선, 자동차로 인한 매연 → CO2 등 환경오염 물질 과다배출 저동 디젤발전소 운영중단 (신재생 대체) ICT(ESS+EMS)가 결합된 친환경 에너지 공급 → 신재생 에너지 30% 구축 남양 디젤발전소 운영중단 → 지열, LNG활용 발전 지역 인프라와 어우러진 친환경 자립섬 조성 → ‘에너지 자립섬’ 달성

8 사업개요(3/3) – 사업추진 방법 참여 SPC 설립 구조 SPC 구성 (예) 매출
한전, 지자체(경북도, 울릉군) 및 전략적 투자자 등으로 주주구성 SPC 설립 판매전력량 : 전력수요증가율 6.2% 판매가격 : 울릉도 정산단가 적용 운영기간 : 20년 적용 (통상적 PPA 약정기간 준용) 매출 구조 판매전력량 판매가격 운영기간 [Funding 3,300억] [SPC 구성(案)] SPC 구성 (예) 한전 25% 경북도· 울릉군 15% P.F 70% SPC 30% 출자금 990억원 전략적/재무적 투자자 60%

9 별첨 : 민 · 관 합동 TF 추진 경과 울릉도 현황 공유 : 지리적 특성, 전력설비 현황 등
1회차 (8/11) 울릉도 현황 공유 : 지리적 특성, 전력설비 현황 등 단계별 발전원 구성안 및 경제성 검토 사업협력 MOU 체결방안 검토 2회차 (8/25) 전원믹스 : 현지 조사 시행 여부, 연료전지 도입여부 등 투자방안 : 예타 대응방안, 전략적 투자자 참여, SPC와 PF 투자비율 운영방법 : 장기전력수급계약(PPA) 체결, 손실보전금 지급 3회차 (9월-3주) 경제성 분석결과 검토 SPC설립 추진방안, 최종 사업계획 검토·확정 * 수익확보 방안, SPC 주주구성 및 출자형태 등

10 인천광역시 에너지 자립섬 구축계획

11 인천광역시 에너지 자립섬 구축계획

12 인천광역시 에너지 자립섬 구축계획 에코아일랜드 조성사업 사업위치 :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 일원
사업주체 : 인천광역시, 옹진군, 지역 5개발전사, 민·관 참여기관 사업기간 : ~ 2016. 덕적도 태양광 주택 보급 지원 108가구 및 전기자전거 10대 에너지 테마마을 조성 : 30억원

13 인천광역시 에너지 자립섬 구축계획 백아도 탄소제로섬 조성(2013 융복합 지원사업) 사업위치 : 옹진군 덕적면 백아리(백아도)
사업기간 : 〜 추진기관 : 인천시, 옹진군, 4개 컨소시엄 기관 - 인천TP, JH에너지, 금풍에너지, 우진산전 사 업 비 : 4,234백만원(국비 50%, 시비 35%, 군비 15%) 사업내용 : 태양광 발전 250㎾, 풍력 40㎾, ESS 1식 1,125㎾

14 인천광역시 에너지 자립섬 구축계획 덕적도 에너지자립섬 조성(2014 융복합 지원사업) 사업위치 : 옹진군 덕적면(덕적본도)
사업기간 : ~ 추진기관 : 인천시, 옹진군, 한전 등 총 10개 기관 컨소시엄 사 업 비 : 2,310백만원(국비 1,100, 인천시 605, 옹진군 605) 사업내용 : 덕적면 주민자치센타 등 7개소 신재생발전설비 설치 - 사 업 량 : 태양광 144kW, 풍력 33kW, 지열 10RT, ESS 500kWh

15 전남 신재생에너지 자립 섬 추진 현황 전라남도

16 전남 신재생에너지 자립 섬 추진 현황 대상 섬 현황
212개 섬(계통연계 138, 한전 운영 46, 시군 운영 28), 34,746가구 - 유인 섬 275개중 육지화(31개), 신재생에너지 기 설치(26개), 일시 거주 (4개), 이주 예정(2개) 63개 섬 제외 ※ 전남 섬 현황 : 총 2,219개 섬(전국 3,409개 섬의 65%) / 유인도서 275개 섬 추진방향 전남도 에너지 자립 섬 조성 기본계획 수립 : ‘12. 1월 - 한전 전력계통 연계 섬(138개 섬) : 민간발전사업자 유치를 통해 추진 - 한전운영 자가발전(46개 섬) : 한국전력 자립 섬 사업으로 추진 - 시․군 운영 자가발전(28개 섬) : 국비지원 사업으로 지자체가 추진

17 전남 신재생에너지 자립 섬 추진 현황 지금까지 추진상황 ⇒ 8개 사업, 18개 섬 추진 중(해남 삼마도, 진도 가사도 준공)
① (전남도+한전)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연구사업 / 293억원 진도 가사도, 신안 비금·안좌·팔금·장산·옥도, '12~'15 ② (전남도+한전) 성장거점연계 지역산업 육성사업 / 90억원 진도 동거차도, 서거차도, 상하죽도, '14~'17 ③ (전남도+에관공) 해남 상마도 에너지 자립 섬 / 34억원 해남 상마도·하마도, '13~'14 * 준공 : ‘14. 9월 ④ (전남도+한전) 진도 가사혈도 에너지 자립 섬 / 30억원

18 전남 신재생에너지 자립 섬 추진 현황 지금까지 추진상황 ⇒ 8개 사업, 18개 섬 추진 중(해남 삼마도, 진도 가사도 준공)
⑤ (전남도+기업) 해남 중마도 에너지 자립 섬 / 19억원 - 해남 중마도, '12~'15 * 정부 “광역경제권 협력사업”으로 추진 ⑥ (전남도+에관공) 신안 상태도 에너지 자립 섬 / 25억원 - 신안 상태도·중태도, '14~'15 * 준공 : ‘14. 9월 ⑦ (민간발전사) 신안 자은도 에너지 자립 섬 / 1,100억원 ⑧ (민간발전사) 완도 청산․노화도 에너지 자립 섬 / 2,600억원

19 전남 신재생에너지 자립 섬 추진 현황 향후계획 도내 대형 섬(진도 조도, 신안 흑산도) 에너지 자립 조성
- 민간발전사 참여형 및 국가사업으로 추진(개소당 1,000억원 규모) ※ 전남도는 진도 조도 자립 섬 관련 기획과제를 추진중이며 “세월호 사고 관련 진도 경 제 살리기 특별대책” 사업으로 검토중 “국토 최서남단 신안 가거도”처럼 의미있는 섬을 자립 섬으로 조성 - 가거도는 한전 운영 섬으로 한전과 협의하여 사업 추진

20 제주 추자도 에너지자립섬 구축 추진

21 제주 추자도 에너지자립섬 구축 추진 추자도 일반현황 위 치 : 제주도 북서쪽(제주항에서 약 53Km 거리)
면 적 : 6.167㎢(제주부속도서 중 1번째) 인 구 : 2,576명(세대수 : 1,167세대) 주산업 : 수산업 전력 사용현황 : 16,006㎿h/년(최대 2,736㎾, 평균 1,827㎾) 디젤발전기 : 5,500㎾(1,000㎾×4, 500㎾×3)

22 제주 추자도 에너지자립섬 구축 추진 사업개요 * 디젤발전기 사용 비용을 SPC에서 신재생에너지와 ESS에 先투자
사업기간 : ‘ ~ ’ 참여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한국전력공사, 민간SPC * SPC구성 : 참여희망 전문기업 및 제주기업으로 구성 소요예산 : 254억원(민자) * 디젤발전기 사용 비용을 SPC에서 신재생에너지와 ESS에 先투자 주요 사업내용 : 추자도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구축 기존 디젤발전과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구축 * 풍력발전(3MW), 태양광(1.5MW), 전력저장장치(12MWh)

23 제주 추자도 에너지자립섬 구축 추진 세부 추진계획 추진방침 : 스마트그리드 기반 에너지 공급체계 구축 발전원별 구축계획
디젤발전 → 풍력발전 + 태양광 + ESS 대체 지역주민의 생활여건에 따라 최적의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시스템 구 축 발전원별 구축계획 풍력발전(3㎿) : 발전효율, 경관 등 고려, 단위용량 및 위치 결정 태양광(1.5㎿) : 저수지, 공공기관, 학교, 주차장 등 ESS(12㎿h) : 한국전력 디젤발전소 내 설치

24 제주 추자도 에너지자립섬 구축 추진

25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에너지 신산업 협의회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분과"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