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를 지향하는 환경유니버설컬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를 지향하는 환경유니버설컬러 조 현 주 한국컬러유니버설 협회 강연
2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분석을 통한 컬러 유니버설 요건 추출
3
디자인 수혜자의 범위 규정과 목적에 따라 몇 가지 유사개념으로 파악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BF생활환경인증제 개요 디자인 수혜자의 범위 규정과 목적에 따라 몇 가지 유사개념으로 파악 첫째, ‘접근 가능한 디자인(Accessible design)’으로서, 특정 기능에 제한을 가진 이들에게 요구되는 제품 및 서비스를 통해 디자인 수혜범위를 최대한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포괄적인 디자인(Inclusive design)’으로서, 사용자 범위에 대해 ‘무장애 디자인’과 상반되는 포괄성 지향한다. 이는 인구고령화와 장애인의 사회참여로 변화하는 사용자편의의 기준 확대를 전제로 한다. 셋째, ‘적응 가능한 디자인(Adaptable design)’으로서 사용하기 편리한 조건 확대에 의해 사용자의 폭을 넓히려는 것이며, 장애인이 일반사회 속에서 보통의 생활 조건을 영위할 수 있는 최대한 확장된 사용 환경을 지향한다. 유니버설디자인의 다양한 지향점을 볼 때, 베리어프리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BF인증제의 평가 기준은 장애인을 위한 물리적 편의 환경을 제공하는 취지에 가장 가깝다. 3
4
이는 공공환경 시설물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및 평가를 위해 제도적 출발점으로서 가치를 지님 BF생활환경인증제 개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BF생활환경 인증제는 편의시설의 설치, 관리 여부를 공신력 있는 기관이 평가하여 인증을 부여함으로서,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차별 없는 이동권, 접근성을 고려한 환경 조성을 지향하고 있음 이는 공공환경 시설물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및 평가를 위해 제도적 출발점으로서 가치를 지님 BF생활환경인증제 개요 장애물 없는(BF) 생활환경인증제 관련 법령 법령 및 인증제 주관 연도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보건복지부 1997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국토해양부 2005 장애물 없는(BF) 생활환경 인증제도 2008 장애물 없는(BF) 생활환경인증에 관한 규칙 2010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시행 목적 4
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현행 인증 평가는 건축전문가3인과 장애인 이용자가 1인 이상 포함된 인증심사단을 구성하여 현장 방문을 통해 심사함으로서 평가의 실제성을 높임 인증평가를 위한 공간과 평가 항목은 관계 법령에 따라 여섯 가지 시설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각 시설범주별 세부 공간을 대상으로 매개시설(20항목), 내부시설(26항목), 위생시설(19항목), 안내시설(5항목), 기타시설(35항목)로 총 106항목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 위주의 평가 방법을 제시 공간 중요도에 대한 차이를 두어 항목별 평가 점수의 가중치 6~2점을 부여하였다. 위생시설이 72점으로 가장 높으며, 내부시설과 매개시설이 그다음 비중을 차지함 BF생활환경 인증을 위한 평가방법 파악 시설 영역별 인증평가 배점 부여 5
6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세부 평가기준은 규격, 사용성 여부, 안전성, 시설의 유무 등을 파악하는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별 공간설계 세부 파악을 위해 도면 제출을 통한 평가가 동반됨 무장애디자인 적용 수준에 따라 세 단계의 ‘등급제’로 운용하고 있는데, 심사기준 만점의 90% 이상은 ‘최우수등급’, 만점의 80% 이상 90% 미만은 ‘우수등급’, 만점의 70%이상 80%미만은 ‘일반등급’으로 선정됨 BF생활환경 인증을 위한 평가기준 사례 ①와 같이 평가부분별 세부 평가 항목별로 상세한 인증기준지표가 제시되어 있으며 각 기준별 최우수, 우수, 일반 수준의 정량적 기준 항목의 도달 여부를 통해 평가하고 있음 ②와 같이 산출 기준의 적용지침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평가 기준은 치수, 크기, 위치 등 공간 이용자를 위한 기능적 요건의 평가 위주로서, 내재된 유니버설디자인 속성 및 효용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우므로 총체적인 유니버설디자인 기준으로서 역할은 한계가 있음 6
7
평가항목을 파악하여 각 항목에 환경디자인속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개괄적으로 파악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BF인증 평가속성 사례 평가항목을 파악하여 각 항목에 환경디자인속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개괄적으로 파악 이를 항목별로 파악하기위하여 환경디자인전문가,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문가, 복지시설 공간디자인 전문가 총 3인을 선정하여 각 시설범주별에 유니버설디자인원칙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속성을 기입토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BF인증평가 디자인속성을 도출 평가범주 평가 항목별 평가 방법 디자인속성 매개시 설(3범 주) 접근로 (8항목) -적절한 유효폭 확보 -접근로와 차도의 분리 여부 -단의 높이차이 정도 -접근로의 기울기 -미끄럽지 않은 바닥 재질 정도 -보행안전 통로로서 연속성 -배수로에 빠질 위험 등 안전성 여부 공평성, 사용융통성, 물리적 효용성, 크기 적정성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5항목)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인접 출입구 여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적정 주차면수 확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크기 -보행안전통로의 폭 및 연속성 정도 -장애인전용주차장표시 및 - 입식안내표시의 적정 설치 주출입구 (7항목) -주출입구(문)의 안전하고 편리한 진입여부 -주출입문의 형태(자동문 여부) -주출입구(문)의 통과 유효폭 -주출입구(문) 턱의 높이 차이 -주출입문의 전면 유효거리 확보 정도 -주출입문의 손잡이 형태 및 적정 높이 -시각장애인용 경고블록의 설치 평가범주 평가 항목별 평가 방법 디자인 속성 내부 시설(5 범주) 일반출입문 (4항목) -일반 출입문의 단차 -일반 출입문의 통과 가능한 유효폭 -일반 출입문의 전․후면 유효거리 -손잡이 및 출입구 점자표지판 부착 여부 공평성, 물리적 효용성, 크기 적정성 복도 (5항목) -복도의 유효폭 -복도의 바닥면 단차 정도 -바닥 재질 보행 안전성 -벽면 돌출물의 제거 여부 -복도측면에 연속손잡이 설치 여부 계단 -계단 유효폭 정도, 추락 방지턱 설치 여부 -계단 디딤판 설치와 식별정도 -계단 바닥 재질 안전성 -계단 측면 손잡이 규격 -계단 점형블록 설치 경사로 -경사로 유효폭 확보 -경사로의 기울기 -경사로 바닥 재질 안전성 -경사로 연접 활동공간 확보 -경사로 손잡이 규격 승강기 (7항목) -승강기 전면활동 공간 확보 -승강기 출입문의 유효통과폭 -승강기 내부의 유효바닥면적 -승강기 조작설비 형태 및 설치 높이 -승강기의 장애인 안내장치 설치 -승강기 내부에 수평손잡이 설치 -승강기 바닥의 점형블록 설치 7
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BF생활환경인증제의 효용성 BF생활환경 인증평가는 이용자를 위한 물리적 환경의 최적화뿐만 아니라 정서적 만족감과 일반시민과도 심미성과 쾌적성을 공감할 수 있는 유니버설환경디자인이 적용된 공간을 지향하기 보다는, 장애인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이용 편의, 보호 및 격리를 위한 공간 제공을 지향하는 평가로 분석됨 BF인증제는 예비인증과 본 인증을 거치고 신청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평가의 강제성을 부여할 수 없으나 인증을 획득한 시설은 정부의 유무상 지원 수여에 더욱 유리하다는 이점을 지님 인증 받은 공공기관과 민간건축물은 인증 홍보, 건물 용적률 확대 및 세제감면, 건축물 분양가격 산정 시 등 관련 공사비용 추가 인정 등 혜택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포괄적 적용에 그치고 있음 8
9
서울시 유니버설 환경디자인을 위한 컬러 유니버설 요건
10
서울시 유니버설 환경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지향점 베리어프리 디자인에서 유니버설디자인으로 이행하는 최근의 경향을 볼 때, 장애인의 정서적 니즈까지 포함할 수 있는 색채, 조명, 마감재 연출에 대한 평가 항목이 선택항목으로서, 인증평가 방식의 유니버설디자인을 위한 환경유니버설 디자인의 확장적 속성을 다음과 같이 추가로 제시 유니버설환경디자인을 위한 디자인평가속성 체계 10
11
유니버설환경디자인 가치를 수용하는 다음의 디자인 평가를 제안
서울시 유니버설 환경디자인 유니버설 환경디자인을 위한 평가 제안 유니버설환경디자인 가치를 수용하는 다음의 디자인 평가를 제안 현행 BF인증제는 시설물 개선 및 개축을 위한 물리적이고 실제적 기준으로 활용성이 높으나 총체적인 유니버설 환경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평가기준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복지시설 이용자 만족뿐만 아니라 일반시민과의 공간 환경 공감대를 형성하는 유니버설 환경디자인 속성의 체계를 통해 더욱 확장된 공간 환경 가치의 수용을 제안 첫째, 현행 인증을 유니버설디자인 인증 차원에서 부여함으로서 대상 시설의 디자인 가치 및 브랜드가치를 높일 수 있어야 함 둘째, 인증을 받은 시설물의 기관 종사자 및 이용자가 장애인 및 사회적 약자만을 위한 분리된 환경이 아닌, 일반시민과의 공존 환경의 주체로서 사회적 자긍심을 높일 수 있어야 함 또한 BF 생활환경인증제 평가의 다각화를 통한 인증 개방성을 넓히고, 사용자의 물리적 사용편의성 뿐만 아니라 정서적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유니버설 환경디자인 인증제로의 확장을 전망함 따라서 현행 평가 항목을 승계하되, 정성적 평가 차원인 환경색채와 바닥재 연출, 조명 연출을 통한 신체적, 사회적 약자의 심리적 기능 배려 및 정서적 회복 효과를 평가하는 항목의 선택적 도입을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제안 11
12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통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지침 파악
13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이용자 특성별 공간 디자인 구성요소를 지침화 하고, 개별 시설물에 대한 총체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개발되었으며, 관련 법률 기준 및 권장사항, 공간 체크리스트를 수록하여 활용성을 높였음 가이드라인의 개요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24개 세부시설) 2010~2013년 사이 공공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 전문가에 의해 개발된 양질의 콘텐츠로서 승계의 가치가 높음 시범사업시설에 각 시설군 공간, 디자인 요소별 지침이 수록되어 있음 가이드라인의 유니버설디자인 원칙, 공간 구분 체크리스트 활용 방안 등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①종합사회복지관 ②데이케어센터 ③아동양육시설 ④한부모가족 복지시설 ⑤어린이집 ⑥장애인복지관 ①노인요양시설 ②노인복지센터 ③경로당 ④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⑤노인복지관 ⑥노인복지주택 ①장애인주단기보호시설 ②지적장애인거주시설 ③종합장애인복지관 ④장애영유아거주시설 ⑤장애인공동생활가정 ⑥노숙인시설 ①여성보호시설 ②아동공동생활가정 ③아동단기보호시설 ④아동정신보건시설 ⑤정신보건생활시설 ⑥주간재활정신보건시설 노인, 장애인, 어린이/청소년/여성 대상 3개영역과 24개 세부영역 시설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개별 시설물 디자인 지침과 체크리스트를 수록한 방대한 양의 가이드라인 이었습니다. 13
14
개별 시설물에 적용하며, 디자인 위원회 심의 기준으로서 개별시설물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의 범위 개별 시설물에 적용하며, 디자인 위원회 심의 기준으로서 개별시설물 디자인 원칙으로 활용되며, 체크리스트는 건축 시 체크사항역할을 하나, 유니버설 디자인 통합적 기준에 의한 우수시설물 선정에는 한계가 있음 가이드라인 활용 범위 가이드라인 내 체크리스트 활용 범위 소규모 기능보강사업을 위한 매뉴얼 서울의 공공시설물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고 실현하는 지표 서울시 디자인위원회의 심의기준 서울의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시범사업 시 디자인원칙공유도구 유니버설디자인 보급 및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정책수립의 지침 복지시설 설계자, 관리자, 감리자가 세부공간의 건축과 인테리어설계 시 체크사항 점검 시공 시 디자인 요소를 실제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도구 법률적 기준 및 권장사항 이용자 특성별 공간구성 공간별 참고사례 체크리스트 보건복지부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방향 -공간구성 원리와 계획 -세부공간 디자인 -장애인복지법 아동,청소년,여성시설 가이드라인 노인시설 가이드라인 장애인시설 가이드라인 행정자치부 이 가이드라인은 서울시 디자인위원회 심의기준 등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지표로서 역할을 하고, 체크리스트는 관련자들이 디자인 및 설계 시에 활용하는 점검사항으로 활용도가 높으나, 유니버설디자인 통합적 기준에 의한 우수시설물 선정용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보행안전 및 편의 증진에 관한 법률 공간디자인 공통 요소 국토해양부 색채 조명 사인 마감재 문과 창 가구 및 수납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200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에 관한 규칙(2010)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에 관한 규칙 14
15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과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하여 승계요소로서 유니버설디자인 지향점, 가이드라인 원칙 디자인 공통 기본방향을 선택하며 보완 및 통합요소로는 시설 영역별 구분 방식을 각 영역별로 간결하게 통합/ 보완하며, 체크리스트 항목에 공간디자인 공통요소를 반영함 가이드라인의 구조 승계 요소 시설 영역별 공간 체크리스트 구분 유니버설디자인 지향점 다양한 사람들의 니즈와 감성을 배려하는 디자인 -무장애를 넘어 사용자 배려 디자인 지향 -누군가를 위한 디자인에서 모두를 위한 디자인 -법적 최소한의 기준에서 삶의 최대한 배려를 지향하는 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가이드라인 원칙 지속가능성 건강성 자립지원성 저희는 개발과업이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관점과 연계되어야 한다는 판단을 가지고, 유니버설디자인 지향점, 가이드라인 원칙, 유니버설디자인 공통 기본방향을 승계하며, 체크리스트에서의 공간구분 방식을 통합하여야 평가지표의 성립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합니다. 안전성 인지성 유니버설디자인 공통 기본방향 사용자를 고려한 지원환경 주거공간을 환기시키며 시설적 느낌 최소화 신체적/감성적 안정성 확보를 고려한 환경 감성적 치유공간의 환경 지역사회와 지속적 연계 및 소통 15
16
서울시 유니버설 디자인 인증을 위한 컬러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17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원칙 및 지향점 승계 유니버설디자인 Global Standard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Global Standard 유니버설디자인 원칙 파악과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원칙, 제안사가 기 개발한 공공환경 유니버설디자인 속성, 각 시설 영영별 특성을 융합하여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속성을 도출함 유니버설디자인 속성 도출 범위 유니버설디자인의 4원칙 (Cornell)) 유니버설디자인가이드라인 원칙(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의 7원칙 (UDRC) 유니버설디자인의 PPP원칙 기능적 지원성 높은 디자인 (Supportive Design) 공평한 사용 (Equitable Use) 공평한 사용에 대한 배려 지속가능성 다양한 사용성 사용상의 융통성 (Flexibility in Use) 건강성 수용 가능한 디자인 (Adaptable Design) 쉬운 사용성 및 이해 용이성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Simple and Information) 인지성 복수의 감각을 통한 정보의 이해 접근 가능한 디자인 (Accessible Design)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Perceptible Information) 안전성 사고 방지와 오작동에 대한 수용 신체적 부담의 경감 안전을 지향하는 디자인 (Safety-Oriented Design 자립 지원성 오류에 대한 포용력 (Tolerance for Error), 적절한 크기와 넓이 확보 적은 물리적 노력 (Low Physical Effort) 품질과 심미성 배려 적정 크기와 공간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원칙 및 지향점 승계 유니버설디자인 Global Standard 17
18
아동청소년여성시설 노인 복지시설 장애인 시설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서울시 복지시설 (노인, 장애인, 어린이/청소년/여성시설) 가이드라인의 각 영역별 공간 3개 영역별 5~7개의 표준공간을 선정함 컬러유니버설디자인 도출 범위 제안 아동청소년여성시설 노인 복지시설 장애인 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기본 방향 사용자를 고려한 지원환경 주거공간을 환기시키며 시설적 느낌 최소화 신체적/감성적 안정성 확보를 고려한 환경 감성적 치유공간의 환경 지역사회와 지속적 연계 및 소통 공간 구분 출입/이동 공간 공용공간 단위주거공간 침실 공간 치유 및 활동공간 이동공간 위생공간 출입/이동 공간 침실 공간 학습/놀이 공간 거실/프로그램 공간 위생공간 출입/이동 공간 식사공간 프로그램공간 공용공간 위생공간 18
19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BF생활환경 색채 평가지침 구성 요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의 색채 평가지침 구성 요건으로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구분하는 장애인, 노인, 아동/청소년/여성을 주된 사용자로 하여 Barrier Free Color에서 Space Identity Color까지의 색 인지 수준을 5단계로 나누어 제안할 수 있음 일반 시민 Space Identity Color 아동,청소년,여성 노인 Environmental Color 장애인 Adaptable Color Inclusive Color Barrier Free Color 물리적 심리적/정서적 사회적 브랜딩 Universal Design Design for All 19
20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색채 평가지침 적용수준 예시 보도의 색채는 거리경관 및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해 저채도 Red / Warm-Gray 계열과 저채도 Blue / Cool-Gray 계열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며, 이에 따른 보행안전선과 보도의 기준색을 다음과 같이 제시 서울시 [장애 없는 보도 디자인 가이드라인] Inclusive Color Barrier Free Color 보도 색채에 따른 보행기준선 색채 적용 기준표 20
21
일반보도 및 보행안전선: 색채 평가지침 적용수준 예시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색채 평가지침 적용수준 예시 일반보도 및 보행안전선: 보행자, 자전거, 관리용 차량 등의 교통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갖고 있어야 하며, 특히 교통약자를 포함한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할 수 있도록 미끄럼 저항성을 갖추어야 하며, 특히 우기 시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투수블록을 권장 서울시 [장애 없는 보도 디자인 가이드라인] Inclusive Color Barrier Free Color ▶ 천연석 권장재질 천연석 포장 보행안전선재질과 색은 석도홍과 고흥석을 권장 석재는 ‘잔다듬’ 가공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보행안전선색과 보도색을 적용 천연석의 경우는 색상, 명도, 채도 중에서 명도를 우선적으로 관리 천연석 포장 시 보행기준선 사용가능 석재 조합 표 21
22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색채 평가지침 적용수준 예시 중소병원의 의료서비스의 질과 경쟁력을 높여 환자의 경험 만족도를 높이고 병원경영의 체계화 및 활성화를 지원하는 서비스 실행방안을 제공하는 가이드라인 [중소병원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Environmental Color Adaptable Color 22
23
[경기도의료원실내공간 디자인가이드라인]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색채 평가지침 적용수준 예시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의 3개의 공간 영역에 따른 7가지의 실천 지침 제시 상호 연계성 확보를 위한 공간배치와 공간조닝, 회복과 치유환경을 위한 조명, 색채, 마감재 연출, 동선 통합화 및 이원화를 위한 사인시스템 제시 [경기도의료원실내공간 디자인가이드라인] Environmental Color Adaptable Color [실내공간디자인 기본 원칙에 입각한 공간연출디자인 원칙 및 적용 범위] 23
24
[경기도의료원실내공간 디자인가이드라인]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색채 평가지침 적용수준 예시 환자에게 자극적일 수 있는 고채도 원색(Red, Green, Blue, Purple)의 적용을 지양하여 안정적인 색채감성을 제공함 교육/편의공간의 색조 범위는 활력있는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Vivid, Soft, Bright, Light, Greysh, Dull로 톤의 범위를 넓히며 주조색과 보조색을 다양하게 조합함 벽면과 천정을 중심으로 밝은 회색계, 어두운 회색계를 적절하게 활용하도록 하며 고명도와 중저명도를 연접하거나 대비하여 배색함 [경기도의료원실내공간 디자인가이드라인] Environmental Color Adaptable Color 24
25
BF 생활환경 인증을 위한 평가 지침에 Color 인증 지침을 포함시키기 위함 요건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 제안 BF 생활환경 인증을 위한 평가 지침에 Color 인증 지침을 포함시키기 위함 요건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인증에서 책해 인증 및 평가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BF 인증에서의 색채 도입을 우선화 해야 함 사용자의 색 인지수준과 건물의 용도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수준을 정해야 함 인증 지침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색채 기준은, 특정색의 지정이나 팔레트 지정 보다는 색의 명도/채도/One의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적절함 환경색채는 조명, 재질과의 연관 상황에서 제시하고 판단해야 함 BF생활환경 인증에서 색채 인증이 도입되도록 정책 제안이 필요함 25
26
감사합니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