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오늘의 학습 주제 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5. 민족 문화 수호 운동 5-1.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5-2. 국학 운동의 전개 5-3. 교육과 종교 활동 5-4. 문학과 예술 활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오늘의 학습 주제 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5. 민족 문화 수호 운동 5-1.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5-2. 국학 운동의 전개 5-3. 교육과 종교 활동 5-4. 문학과 예술 활동."— Presentation transcript:

1 오늘의 학습 주제 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5. 민족 문화 수호 운동 5-1.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5-2. 국학 운동의 전개 5-3. 교육과 종교 활동 5-4. 문학과 예술 활동

2 오늘의 학습 발문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은 어떻게 변화하였나? 일제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시기별 변화는?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한 시기와 그 뜻은? 일제의 한국사 왜곡의 대표적 이론 2가지는?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의 대표적 학설(이론)은? 일제의 언론 탄압을 시기별로 나눠보면? 일제의 종교 탄압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은?

3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 (1) 식민지 교육 목표 ① 우민화(愚民化) 교육을 통해 식민 지배에 순응하는 국민 양성 → 황국 신민화 ② 기초적인 실업 교육 → 식민 통치에 유용한 하급 기술자 양성

4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 (2) 조선 교육령 ① 제1차 조선교육령(1911) : 보통학교 수업연한 단축(4년), 실업교육 중심 ② 제2차 조선교육령(1922) : 보통학교 수업연한 연장(6년), 대학 설립 가능, 한국어 필수 ③ 제3차 조선교육령(1938) : 황국신민서사 암송, 보통학교→소학교, 한국어 선택과목 전환 ④ 제4차 조선교육령(1943) : 수업연한 단축, 군사훈련 실시, 한국어 과목 폐지

5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 (3) 민족 교육 탄압 ① 사립학교 규칙(1911) : 사립학교에 대한 규제 강화 ② 서당 규칙(1918) : 개량 서당의 허가제로 탄압 ③ 국민학교령(1941) : 심상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황국신민화 교육 강화)

6 일제의 한국사 왜곡 (1) 목적 :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 부정 → 식민 통치의 합리화 (2) 단체 : 조선사편찬위원회(→ 조선사편수회, 1922), 청구학회 (3) 식민 사관의 내용 ① 타율성론 : 한국사는 외세의 간섭과 압력에 의해 타율적으로 전개되었다는 주장 ex) 만선 사관, 임나 일본부설, 반도적 성격론 ② 정체성론 : 한국사는 사회·경제적인 발전 없이 고대 사회에 머물러 있다는 주장 ex) 봉건 사회 결여론 ③ 당파성론 : 한국인은 분열이 강한 민족성을 가져 조선은 당파 싸움으로 멸망했다는 주장

7 일제의 언론 탄압 1910년대 : 매일신보(조선총독부 기관지)를 제외한 대한제국 시기의 민족 신문 모두 폐간
(2) 1920년대 : 한글 신문 간행 허용(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 검열과 삭제, 압수 및 정간 (3) 1930년대 : 언론 탄압 강화, 조선중앙일보・동아일보의 일장기 삭제 사건(1936) (4) 1940년대 : 조선일보・동아일보 폐간(1940)

8 일제의 종교 탄압 (1) 기독교 : 105인 사건(안악 사건)으로 타격, 신사 참배 거부 탄압 (2) 불 교 : 사찰령 제정(1911) → 전국의 사찰을 총독에 직속시킴 (3) 천도교 : 3·1운동에서 주도적 역할 → 일제의 지속적 감시와 탄압 (4) 대종교 : 일제 탄압으로 북간도로 이동(1914), 임오교변(1942)

9 제1차 조선 교육령 제2조 교육은 충량한 국민을 육성하는 것을 본의로 한다.
제5조 보통 교육은 보통의 지식 기능을 교수하고, 특히 국민된 성격을 함양하며 국어를 보급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6조 실업 교육은 농업, 상업, 공업 등에 관한 지식과 기능 교수를 목적으로 한다. 제7조 전문 교육은 고등한 학술과 기예를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9조 보통 학교의 수업 연한은 4년으로 한다.

10 제2차 조선 교육령 제2조 국어를 사용하는 자의 보통 교육은 소학교령, 중학교령, 고등 여학교령에 의한다.
제3조 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자에게 보통 교육을 하는 학교는 보통 학교, 고등 보통 학교 및 여자 고등 보통 학교로 한다. 제5조 보통 학교의 수업 연한은 6년으로 한다. 제12조 전문 교육은 전문 학교령에, 대학 교육 및 그 예비 교육은 대학령에 의한다.

11 국민학교 6학년 교과서(1941) 조선의 정치는 역대 총독이 오로지 일시동인(一視同仁)의 뜻을 널리 펴는 데 힘을 기울였기 때문에 … 산업은 개발되고 … 상업은 번창하고 … 또 교육이 보급되고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풍속도 점차 일본과 비슷해지고 있으며, 제도도 계속 개정되어 내선 일체의 틀이 잡혀가고 있다. … 특히 육군에서는 특별 지원병의 제도가 생겨 조선 사람들도 국방의 의무를 지게 되고 … 지금 조선 지방 2천 3백만의 주민이 국민 총력 조선 동맹을 조직하여 일제히 황국 신민의 서사를 제창하며 서로 신애 협력, 내선 일체의 진심을 나타내고, 충군 애국의 뜻에 불타 모두 한결 같이 황국의 이상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

12 사립학교 규칙(1911) 제1조 모든 사립학교는 조선총독부의 설립 인가를 다시 받아야 한다.
제2조 사립학교의 설립자, 교장, 교원은 당국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제4조 교과용 도서는 당국이 편찬한 것이나 그 검정을 받은 것에 한한다. 제5조 교원은 총독부 학무국 발행의 자격증을 가진 자라야 하고 일본어에 능통하여야 한다.

13 서당 규칙(1918) 제1조 서당을 개설하려고 할 때에는 도지사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서당에서 국어, 조선어, 산술 등을 교수하는 경우 그 교수용 도서는 조선총독부 편찬 교과서를 사용해야 한다. 제4조 금고 이상의 형에 처한 자 또는 성행이 불량한 자는 서당의 개설자 또는 교사를 할 수 없다. 제5조 도지사는 서당의 개폐 또는 교사의 변경, 기타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14 조선사 편수회 <조선사> 편찬 요지
조선인은 다른 식민지의 야만적이고 반개화적인 민족과 달라서 문자 문화에 있어서는 문명인에게 뒤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예로부터 전해 오는 역사책도 많고, 또 새로운 저술도 적지 않다. … 헛되이 독립국의 옛 꿈을 떠올리게 하는 폐단이 있다. … 『한국통사(韓國痛史)』라고 하는 재외 조선인의 저서는 진상을 깊이 밝히지 않고 함부로 망령된 주장을 펴고 있다. 이들 역사책이 인심을 어지럽히는 해독은 헤아릴 수 없다.

15 일제의 식민 사관 - 타율성론 - 미지나 쇼에이, 조선사 개설, 1940 -
아시아 대륙의 중심에 가까이 부탁된 이 반도는, 정치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반드시 대륙의 여파를 받음과 동시에, 또 주변 위치 때문에 항상 그 본류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여기서 한국사의 두드러진 특징인 부수성이 말미암은 바가 이해될 것이다. - 미지나 쇼에이, 조선사 개설,

16 일제의 식민 사관 - 정체성론 한국의 현 왕조는 본래 일개 무문(武門)에서 나와서 중앙의 군권을 장악하기에 이르렀지만, 태조 이성계를 제외하고는 그 왕실을 이기는 무문이 일어나서 그 지위를 빼앗은 자가 없기에 그 위망이 무문 전제(武門 專制)의 봉건 국가에 이르기는 멀다. 한국인에게 더욱 결핍한 용감한 무사적 정신의 대표자인 우리 일본 민족은 … 봉건적 교육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경제 단위를 발전을 결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서는 그 부패 쇠망의 극에 다한 민족적 특성을 밑바닥에서부터 소멸시킴으로써 이를 동화시켜야 할 자연적 운명과 의무를 가지는 유력 우세한 문화의 사명이 무거움을 자임해야 하지 않을까. - 후쿠다 도쿠조, 한국의 경제조직과 경제단위,

17 한국사를 보는 두 태도 오늘날 우리 사회에는 전문적인 사학도가 아닐 경우 한국사를 보는 태도에는 두 경향이 있다. 하나는 우리 역사와 우리 민족을 과소평가하고 열등의식에 사로잡히는 경향이며, 다른 하나는 그와 반대로 지나치게 과장하고 그 우월성을 자랑하는 경향이다. 전자는 성년층이 주가 되는 것으로서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 및 그들의 한국사 연구가 남겨준 유산이다. 후자는 미성년자가 주가 되는 것으로서 해방 후 전자에 대항하여 민족정신을 양양시키려는 데서 생긴 것이라 하겠다. 역사교육이라는 입장에서 본다면 양자가 모두 정당성을 잃고 있는 것이지만, 특히 우리에게 문제거리가 되는 것은 전자의 경우이다. 그것은 사회의 지도층, 즉 지식층에 있어서도 자조(自嘲)하지 않는, 있는 그대로의 한국사를 정확히 파악하는 인사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 김용섭, 한국 근대사론 Ⅰ-

18 초성으로 맞추는 역사용어 ㄱㅁㅎㄱㄹ ㅌㅇㅅㄹ ㅇㄴㅇㅂㅂㅅ ㅈㅊㅅㄹ ㅁㅇㅅㅂ ㅇㅈㄱ ㅅㅈ ㅅㄱ ㅅㅅㅊㅂ ㄱㅂ ㅅㅊㄹ

19 오늘의 학습 정리 식민지 교육 정책 일제의 한국사 왜곡 일제의 언론 탄압 일제의 종교 탄압
조선교육령 : 1차(보통학교 4년), 2차(보통학교 6년, 한국어 필수) 조선교육령 : 3차(소학교, 한국어 선택), 4차(한국어 폐지) 사립학교 규칙, 서당 규칙, 국민학교령(1941) 일제의 한국사 왜곡 타율성론(임나일본부설)과 정체성론(봉건사회결여론) 식민사관 연구단체 : 조선사 편수회, 청구 학회 일제의 언론 탄압 1910년대(매일신보), 1920년대(조선,동아일보) 1930년대(일장기 말소 사건), 1940년대(조선,동아 폐간, 1940) 일제의 종교 탄압 기독교(신사참배 거부), 불교(사찰령) 천도교(3.1운동), 대종교(북간도 이동)

20 오늘의 학습 평가 보통학교 6년, 한국어 필수를 규정한 교육령은? 보통학교를 소학교로 개칭한 교육령은?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바꾼 시기는? 일제 식민사관의 핵심적 논리 2가지는? 일제의 식민사관을 대표하는 연구기관은? 1930년대 일제의 대표적 언론탄압 사건은? 신사참배 거부 운동에 앞장선 종교는?

21 내일의 학습 주제 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5. 민족 문화 수호 운동 5-1.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5-2. 국학 운동의 전개 5-3. 교육과 종교 활동 5-4. 문학과 예술 활동


Download ppt "오늘의 학습 주제 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5. 민족 문화 수호 운동 5-1.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5-2. 국학 운동의 전개 5-3. 교육과 종교 활동 5-4. 문학과 예술 활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