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유럽 혁신클러스터의 어제와 오늘 2005. 12. 16. 홍 진 기 (산업연구원).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유럽 혁신클러스터의 어제와 오늘 2005. 12. 16. 홍 진 기 (산업연구원)."— Presentation transcript:

1 유럽 혁신클러스터의 어제와 오늘 홍 진 기 (산업연구원)

2 목 차 Ⅰ. 의문점들 Ⅱ. 이론적 개관 Ⅲ. 해답의 실마리: 혁신환경(Innovative Millieu) Ⅳ. 사례 분석

3 의문점들 혁신적인 기술과 혁신적인 산업관리방식이 어떻게 신산업을 창출하고 경제성장을 유발하는가?
이러한 기술들은 왜 특정 시대에 특정한 장소에서 발달하는가? 1770년대 랭커셔에서 왜 최초의 산업혁명이 일어났는가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개발할 수 있는가? 1820년대부터 왜 글래스고를 중심으로 최초의 증기선 생산이 집중되었는가? 1870년대에 베를린을 중심으로 전기공학이 탄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탈리아는 어떻게 해서 중소기업 중심의 세계적인 산업집적지가 된 것일까? 바덴뷔르템베르크가 자동차와 기계산업의 중심지가 된 연유는 무엇인가?

4 이론적 개관 자료: 신동호(1995) 시대구분 1930 이전 1930~40 1950~60 1970~80 전반 1980 후반
  1930~40 1950~60 1970~80 전반  1980 후반 관련이론 신고전파 (Manger) 농업지대론 (Thunen  1929)  중심지이론 (Christaller        1933) > 종속론      (ECLA1961;      Frank1966) 산업입지론  (Isard 1955) 유연적전문화론 (Piore& Sabel,    1984) 신국제적노동분업론   (Frobel et al 1976) 주요 지역 발전론 성장거점전략  (Perroux 1955;    North 1955) 농정적개발론   (Friedmann &    Douglass 1975) 기초수요이론  (Friedmann 1979) 적정기술개발론    (El1is1981) 농촌종합개발론  (Rondinelli 1978 ) 소도읍개발론 지속가능개발론  (WCED 1987) 현안과제 성  장 분  배  성장+환경 자료: 신동호(1995)

5 해답의 실마리: 혁신환경(innovative millieu)
최초의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 역사를 통해 앞서의 질문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해답은 혁신환경(innovative miilieu)에서 찾을 수 있음. 그러나 혁신환경의 성격은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 왔는데 1단계의 혁신은 기술적, 조직적 도전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자발적 과정이었으며 조직화된 과학의 역할은 매우 미미했음. - 개인적 접촉이 중요한 역할을 했고 시행착오를 통해 혁신이 일어난 시기로서 대표적인 클러스터는 18세기의 랭커셔와 19세기의 글래스고였음. 2단계의 혁신은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1880년대부터 시작되었는데 과학의 진보와 기업연구소를 특징으로 하며 베를린이 당시를 대표하는 클러스터임. 3단계는 2차대전과 냉전시대를 통해 군사적 수요와 결합된 산학연 협력을 통한 클러스터의 발전과 유연적 전문화 생산체제의 부상에 따른 새로운 클러스터의 등장임.

6 사례 분석: 맨체스터(1) 영국의 랭커셔주 맨체스터에서 최초의 산업혁명이 일어나게 된 것은 양호한 지리적 환경에 힘입은 바가 큼. 맨체스터 인근에는 시내와 개울이 많아 공장을 돌리는 데 필요한 용수 공급이 용이하고 원료와 상품의 수송을 위한 운하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그렇지만 영국에는 이와 유사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는 곳이 많음. 따라서 성공요인은 하나가 아니라 복합적임. 이를 여섯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음. 경제적 생산조직의 확립 네트워킹을 통한 지속적인 혁신 시스템의 구축 소규모 자본가적 기업가인 중산층의 존재 면방 분야에서 기계적 생산능력을 제공하는 엔지니어링 분야로의 네트워크 확산 이 모두에 대한 종합기술적 문화(기술대학과 과학원의 설립 등)에 의한 광범위한 지원 제품과 생산공정에서의 기술적, 조직적 개선을 가져오는 혁신환경

7 사례 분석: 맨체스터(2) 이런 요인들은 맨체스터에서 독특한 시너지를 창출했는데 현대의 산업지구(industrial district)처럼 집적의 효과가 작용하고 있었음. 이를 다섯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음. 첫 번째로 ‘평등주의적 계층 구조’를 들 수 있음.  맨체스터에는 기술을 갖고 있는 이민자들을 포함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는 실질적인 중산층이 형성되어 있었음. 둘째, 고된 노동을 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가진 새로운 계층의 부상과 관련된 ‘심리적인 자유와 에너지’를 들 수 있음. 셋째, 새로운 제품과 새로운 공정에서의 혁신에 대한 끊임없는 인센티브가 있었음. 넷째, 이 시스템에서는 최소한의 공식적인 교육과 자본만 있어도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임. 마지막으로 이 시스템은 거래와 혁신을 위한 지능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었음.

8 사례 분석: 글래스고(1) 글래스고의 발전은 대서양 경제의 성장에 힘입은 바 크지만 세 가지 성공요인을 들자면 금융제도의 정착, 교육 시스템, 강을 끼고 있는 지형적 조건 등이 그것임. 기술적 전통이 강한 교육 제도하에서 발달된 금융과 적당한 깊이의 강이 있었기 때문에 글래스고에서 조선업이 발달할 수 있었음. 초기에 이와 같은 강점들을 활용하여 산업육성에 성공한 글래스고는 1830년 이후에는 기업가 정신에 의해 혁신을 이어갔음. 글래스고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상업화하는 능력이 탁월했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상업적 재능이 뛰어났음.

9 사례 분석: 글래스고(2)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혁신사슬(chain of innovation)의 개발이었음.
혁신은 국내 조선산업의 수요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었고 일종의 선순환이 작용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는 급속히 확산되면서 다른 분야에서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했음. 이러한 과정은 기술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경쟁의 일환이었음. 지역내 기업들은 서로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기술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팀 작업을 통해 복잡하고 비싼 배를 만들어낼 수 있었음.

10 사례 분석: 베를린(1) 베를린은 역사상 처음으로 대규모 첨단기업의 연구소 내에서 조직화되고 체계적인 연구에 의존하여 성장한 클러스터임. 베를린의 전기산업은 도시 중심부에 가까운 조그만 가족 공장에서 시작해서 1880년 이후의 폭발적인 성장기를 거치면서 더 넓은 입지를 찾아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는 과정을 거쳐 왔음. 공장의 도심 바깥으로의 이전에는 위험이 따르는데, 교통망이 확충되지 않으면 숙련된 노동력이 따라 오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도시 내에서 점진적으로 이전하는 과정을 밟게 됨. 1900년의 베를린은 매우 조밀했고 주택난에 공중보건도 취약했으므로 첨단산업이 입지하는 데 있어 물리적인 매력은 전혀 없었음. 베를린의 전기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게 된 것은 다양한 숙련 노동력의 공급이 가능했고 무엇보다도 철도, 우체국, 군대 등과 같은 공공부문이 주요 시장으로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이 가장 큰 매력이었음.

11 사례 분석: 베를린(2) 이 같은 상황에서 기업들은 한 편으로는 공공기관에 가까이 있어야 하면서도 다른 한 편으로는 용지 부족으로 도시 외곽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게 됨. 과학연구는 첨단산업이 베를린에 집적하는 데 있어 핵심적 요인이었음. 그러나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은 벤처 캐피털의 이용가능성이었음. 베를린의 전기산업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배상기간, 년간의 인플레이션 기간, 년간의 대공황 기간의 충격을 잘 버텨냄. 전기산업은 1933년 이후 나치정부의 투자정책과 1936년의 재무장으로부터 활력을 얻었음. 그러나 종전 이후 베를린의 산업생산시설은 점령군에 의해 철저히 해체되었고 보상도 받지 못하고 특허권 등을 상실함으로써 축적된 혁신의 전통이 완전히 파괴되었음.

12 사례 분석: 에밀리아 로마냐 2차 세계대전 이후, 산업지구들은 이탈리아의 북‧중부지역에서 극적인 지역발전을 견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일부지역은 최하위의 농촌지역에서 유럽의 가장 번영한 지역의 하나로 탈바꿈하였음. 이탈리아 산업지구에서 1981년과 1991년 사이에 고용이 19.7% 정도 상승하였는데, 국가 전체적으로는 5.6% 증가에 그쳤음. 이러한 결과는 산업지구의 상당수가 저가의 수입품에 의해 도전받고 있는 의류, 신발과 같은 산업에 특화되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음. 예를 들면, 에밀리아 로마냐 지역의 사수올로는 유럽에서 가장 큰 세라믹 타일 생산지임. 평균 5명의 노동자로 구성된 2,068개의 편물과 의류 공장이 있는 Carpi 지역은 13억 달러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음. 유명한 섬유생산지역인 Prato는 5,990개의 기업과 3만 8,080명의 종업원으로 이탈리아 전체의 모직 수출품의 64%를 차지하고 있음.

13 사례 분석: ERVETT 시스템 에밀리아-로마냐 주정부는 초기에는 주로 낙후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단지 조성에 주력
1972년에 중앙정부로부터 지역산업정책에 대한 권한을 이양 받게 되면서 1974년에 지역개발기구로서 ERVETT SpA를 설립 지방정부와 지역의 민간 경제주체들의 공동 출자를 통하여 ERVETT SpA가 설립된 이후 산업별 리얼 서비스센터들이 잇달아 설립 - 세라믹산업의 서비스 공급을 위한 Centro Ceramico를 필두로 1980년 에 섬유제조업을 위한 CITER 등이 차례로 설립 ERVETT SpA는 민관 파트너십의 합작품으로서 지방정부가 지분의 80.04%를 보유 ERVETT SpA와 지방정부간의 관계는 수직적이 아닌 상호 보완적 관계

14 사례 분석: 이탈리아 소규모 기업들의 생산시스템
1970년대 초반 이후 이탈리아의 연구자와 정책가들은 새로운 지역발전유형, 즉 동일산업에 포함된 수백 개의 전문화된 소기업들이 집적되어 있는 소도시(인구 1만 5천~10만)에 관심을 가졌음. 대표적인 예는 Carpi(니트), Como(견직물), Prato(섬유), Montegranaro(신발), Sassuolo(도자기), Poggibonsi(가구) 등임. 이탈리아의 이러한 지역생산시스템은 산업지구라 불리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음. 첫째, 제한된 지리적 공간(단일 소도시 또는 일군의 소도시들)에서 경제적 관계는 매우 긴밀함(사회․경제적 영역은 행정구역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며, 이는 거버넌스의 문제를 야기). 둘째, 지역경제는 단일의 특정산업이 지배적이며 이들 산업을 구성하는 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 주로 소기업(가끔 중규모 기업도 있지만 대기업은 없음)의 형태 동일 생산과정의 특정 단계에 전문화 협력과 경쟁의 기업관계 공유 지역문화의 공유

15 사례 분석: 이탈리아 산업지구의 기업유형(카프리 지역)
기업규모 하나의 산업지구는 일반적으로 많은 소규모 기업들과 소수의 중규모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음. 신발산업은 평균 종업원이 9명인 반면, 도자기 분야는 평균 종업원이 50명 정도임. 니트와 의류생산으로 유명한 Carpi지역은 88퍼센트(2319업체)가 10명 미만의 종업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11퍼센트는 10~50명을, 1퍼센트만이 50명 이상의 종업원을 갖고 있음.

16 사례 분석: 이탈리아 산업지구의 기업유형(카프리 지역)
기업간의 관계 집중이 약한 편으로 15개의 주요 기업들이 지역 총생산의 30퍼센트를 생산하고, 종업원의 23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을 뿐임. 둘째, 생산과정의 거의 모든 단계마다 하나의 시장이 존재하며 각 생산단계마다 많은 생산자들이 존재하고 있어 경쟁이 심함. 하청업체들이 한명의 고객만을 갖고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따라서 개별 고객들이 보유한 시장통제력은 매우 미미함. 셋째, 경쟁도 심하지만 상호 협력도 잘 되고 있음. 협력은 물질적 관계(생산수단 또는 원자재 대여, 즉각적인 주문에 대응하기 위한 협조체제)와 비물질적인 관계(정보와 지식의 교환)를 포함함. 따라서 기업들은 다른 기업에 대해 일정 정도 책임감을 갖고 있음. 리차드슨(Richardson)은 기업을 춤추는 댄서에 비유하여,“협력을 맺은 기업들은 함께 춤을 추지만, 음악이 끝났을 때 그들은 파트너를 바꿀 수 있다”고 설명

17 사례 분석: 이탈리아 산업지구의 기업유형(카프리 지역)
기업의 역할 1. 최종기업 이 기업들은 주로 도매업자들(44%)과 소매업자들(38.5%)에게 제품을 판매하며 원자재 구매, 하청 작업의 관리, 제품기획, 예비샘플의 제작 등을 수행함. 2. 하청업체 이 기업들은 생산과정에서 하나 혹은 몇몇 단계(접합, 절단, 조립, 수놓기 작업, 다림질, 마무리 작업 또는 포장 작업 등)에서만 전문화되어 있는 기업들임. 하청업체들의 종업원 수는 평균 3명 정도이고, 여러 고객들과 거래를 하고 있음. 3. 보완적 기업 주요 생산과정에서 전후방 연계를 형성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컨테이너 생산기업, 컨테이너 위에 표지 또는 라벨을 부착하는 기업, 특정 산업의 기업들이 사용하는 기계를 제조하는 기업, 제품을 운송하는 기업 등이 이에 속함.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산업지구에서 기업의 역할과 규모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없다는 점임. 소규모기업이 최종기업이 될 수도 있음.

18 사례 분석: 바덴-뷔르템베르크 바덴-뷔르템베르크는 독일 전체 기계공업 매출에서 33%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기계산업 클러스터
이 지역에는 벤츠, 다임러크라이슬러, 보쉬, BASF, 포르쉐 등이 입지하고 있고 뛰어난 산학연 협력체제를 바탕으로 활발한 혁신활동을 전개 중 슈투트가르트, 칼수르 대학을 중심으로 9개 종합대학과 21개 기술대학, 130여 개의 각종 연구소가 입지 21개에 이르는 기술대학들은 실용적 기술개발을 강조하는 학풍을 바탕으로 응용기술 중심의 연구 및 기술개발을 수행 지식과 기술의 창출뿐만 아니라 지식과 기술의 산업체로의 이전을 위해 다수의 전문기관들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기관은 슈타인바이스 재단


Download ppt "유럽 혁신클러스터의 어제와 오늘 2005. 12. 16. 홍 진 기 (산업연구원)."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